KR20180053966A - 공모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모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966A
KR20180053966A KR1020160151185A KR20160151185A KR20180053966A KR 20180053966 A KR20180053966 A KR 20180053966A KR 1020160151185 A KR1020160151185 A KR 1020160151185A KR 20160151185 A KR20160151185 A KR 20160151185A KR 20180053966 A KR20180053966 A KR 2018005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st
competition
management system
site
appl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Priority to KR102016015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3966A/ko
Publication of KR2018005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Abstract

본 발명은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 구축된 공모자 데이터베이스와 응모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및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응모자의 관심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모아서 개인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응모작품 관리부는 응모작품의 심사를 위한 심사위원들의 신상 및 심사 경력에 대한 정보를 포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공모자가 심사위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공모자에게 심사위원들의 신상 및 심사 경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모전 관리 시스템{Contes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여 공모자는 공모전을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개최하고, 응모자는 편리하게 응모할 수 있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1만 개 이상의 다양한 공모전, 혹은 콘테스트가 개최되고 있고, 수백만 명의 사람이 위 공모전에 응모하고 있다. 기업은 공모전을 대중과 소통하는 채널로 활용하고 단시간 내에 아이디어를 확보함과 동시에 인재발굴, 미래 고객 확보 등의 목적으로 공모전을 이용하게 된다.
과거에는 공모전을 홍보하는 방법으로서 포스터, 방송 매체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부터 인터넷을 이용한 공모전 홍보가 대중화되었다. 현재 인터넷 상의 공모전 전문업체로서 씽굿, 디자인정글, 인투인미디어, 대티즌 등의 회사가 공모전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데, 도 8은 이중에서 대표적인 공모전 전문업체인 씽굿에서 제공하는 공모전 사이트(www.thinkcontest.com)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씽굿의 공모전 사이트 화면을 살펴보면, 포스터와 함께 공모전 기간 및 주관 기관의 명칭이 게시판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포스터를 클릭하게 되면 공모 요강이 텍스트 형태로 개시되거나, 아니면 주관 기관이 별도로 제작한 공모전 사이트로 링크된다.
공모 요강이 텍스트 형태로 개시된 상태에서 응모 작품은 이메일로 접수 받는 형태로 운용될 수 있고, 혹은 공모자가 별도의 공모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공모 사이트 내에서 접수 받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34217호(공고일: 2014.08.29)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공모 시스템 및 공모 방법"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77245호(공고일: 2003.03.2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모 사업 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05436호(공개일: 2014.01.15.) "온라인 공모전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종래에 운영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전의 내용을 단순히 게시판에 게시한 형태로 운용되는 것으로서, 공모자는 공모전의 공모 사항을 게시판에 올린 후 이메일 등을 통하여 응모작을 접수 받아 관리하거나, 혹은 개별적으로 공모전 사이트(마이크로 사이트)를 만들어 응모작을 접수받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므로 공모전 운영자는 응모작이 많아질 경우 이메일로 접수 받은 응모작들을 관리하고, 통계를 내거나 보고서를 만드는데 어려움 겪게 된다. 더 나아가, 별도의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사이트 제작 및 운용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공모전 사이트는 단순히 게시판 형태로 공모전 정보를 나열하고 있을 뿐이므로, 응모자 입장에서도 매년 1만 건 이상 쏟아지는 공모전 중에서 관심있는 공모전을 선택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또한 역대 수상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것 역시 큰 어려움으로 다가온다. 더 나아가, 아이디어는 있으나,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를 가지지 못함으로써, 공모전에 응모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많은 아이디어들이 구현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공모전 사이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공모자에게는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공모전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응모자 역시 편리하게 공모전 상황을 파악하고, 큰 어려움 없이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모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아이디어는 있으나 구현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아니한 응모자들도 부담없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펼치고 응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 구축된 공모자 데이터베이스와 응모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및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응모자의 관심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모아서 개인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관함에 보관된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은 리스트 또는 캘린더 형태로 응모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응모자의 스케줄 관리를 돕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나, 응모자가 응모 작품을 만드는데 제공될 수 있는 저작 도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저작 도구부는 포스터 디자인 도구, 사진 편집 도구, 영상 편집 도구 및 스토리 편집 도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사진, 그림, 영상 및 서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소스를 저장한 디자인 소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소스부에 저장된 디자인 소스는 상기 저작 도구부와 함께 공모자 및 응모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모 작품 관리부는 응모전 접수 상황과 홍보 상황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하는데, 응모전 접수 상황은 접수된 응모 작품의 수를, 응모전 홍보 상황은 공모전 사이트의 클릭 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모전 홍보용 사이트(마이크로 사이트)가 시스템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사이트 제작에 들어가는 포스터의 저작 도구까지 제공됨으로써 공모자는 저비용으로 손쉽게 공모전을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내에서 직접 응모작을 접수 받아 이를 공모자에게 일괄 전달하기 때문에 공모자가 응모작들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응모자는 관심을 가지는 공모전을 별도의 관리함 내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응모작들의 포트폴리오를 특별한 노력 없이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서 저작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디어는 있으나 구현하지 못하는 응모자들이 어려움 없이 공모전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공모전에 응모할 수 있는 대상을 폭을 크게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전 운영에 필요한 서식을 저장하는 서식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상기 공모자가 상기 서식 저장부(370)에 저장된 서식을 공모전의 성격에 맞추어 변형한 뒤 이를 공모전 사이트에 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모자는 서식 준비의 어려움을 경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응모 작품 관리부(330)는 보고서 작성부(334)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고서 작성부(334)는 공모전 홍보 결과 또는 공모전 최종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공모자와 응모자가 상호간에 연결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순서를 개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전 게시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응모자가 공모전에 응모하기 위한 순서를 개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관심 공모전 관리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종래기술("씽굿"의 공모전 사이트)에 따른 공모전 게시판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 기재에 의하여만 결정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통신 네트워크, 대표적으로는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공모자(공모전을 주최하거나 주최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자)의 단말기(100) 및 응모자(공모전에 응하여 응모작품을 출품하거나 출품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자)의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웍으로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모자는 단말기(100)를 통하여 공모전의 공모 사항을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에 올리게 되고, 응모자는 단말기(200)를 통하여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올라와 있는 공모전들을 검색하고, 관리하며 응모하게 된다.
도 2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크게 회원관리부(310),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320), 응모 작품 관리부(330), 입출력부(340), 저작 도구부(350), 디자인 소스부(360)와 같은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들 모듈들 상호간에는 제어부(300)를 통하여 데이터들이 전달된다.
즉, 예를 들어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입력된 회원정보는 제어부(301)를 통하여 회원관리부(31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그리고 응모작품 관리부(330)에서 접수된 응모작품에 대한 정보는 회원관리부(310)의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회원 정보와 연동되어, 접수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작 도구부(350)와 디자인 소스부(360)는 제어부(301)를 통하여 공모자 또는 응모자에게 저작 도구와 디자인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01)는 각 모듈 사이에 데이터의 흐름을 조율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각 모듈들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모듈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설계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나 코딩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원관리부(310)는 공모자의 단말기 또는 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전달받아, 공모자 데이터베이스(311)와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를 구축한다.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320)는 공모자가 올린 공모전 사이트를 관리하는 모듈로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 공모자가 완성한 공모전 사이트를 응모자가 볼 수 있도록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322), 그리고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보관하는 관심 공모전 보관부(323)를 포함한다. 특히 관심 공모전 보관부(323)는 응모자가 관심 공모전으로 등록한 공모전만을 모아서 개인 관리함에 관리함으로써,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의 기일을 놓지지 않도록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는데, 이와 관련한 것은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응모 작품 관리부(330)는 응모자가 올린 응모 작품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응모 작품 관리부(330)는 응모 작품의 접수/홍보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하는 접수/홍보 상황 관리부(331), 응모 기간 도과 후 응모 작품을 한꺼번에 공모자에게 전송하는 응모 작품 저장/전송부(332), 그리고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를 포함한다.
저작 도구부(350)는 포스터 디자인, 사진 편집 도구, 동영상 편집 도구, 스토리 편집 도구 등과 같이 저작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도구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웹 상태에서 저작물을 만들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방식은 wix 등과 같이 홈페이지 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사이트(ko.wix.com) 등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저작 도구는 공모전 유형에 따라 다양한 도구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웹 기반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나, 웹 기반의 도구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작도구는 디자인/광고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 영상/사진 공모 제작을 저작도구, 기획/아이디어/마케팅/논문 공모를 위한 발표용 저작도구, 웹툰/스토리/카드뉴스와 같은 스토리보드형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디자인/광고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픽픽사의 웹 기반 그래픽 디자인 도구가 알려져 있다.
영상/사진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wideo" 또는 "무비메이커" 등의 웹기반 템플릿형 영상 제작 솔루션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획/아이디어/마케팅/논문 저작도구로는, 웹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구글"사의 "docs.", 혹은 "네이버"사 "크라우드 오피스" 등과 같은 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웹툰/스토리/카드뉴스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투 블루"사의 웹 전용 카드뉴스 "타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저작도구들은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일 뿐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기서 제시되지 아니한 저작도구들을 활용하거나, 공모전에 최적화된 저작도구를 자체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소스부(360)는 사용자들에 제공되는 각종 사진, 그림, 영상, 또는 서체들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는 디자인 소스부(360)에서 원하는 사진, 그림, 영상 또는 서체를 선택하고, 저작 도구부(350)를 활용하여 이를 가공함으로써 제3의 창작물을 만들 수 있다. 디자인 소스를 제공하는 것 역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디자인 소스부(36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은 공모전 출품 전용 상품으로 제공될 것이며, 디자인 소스부(360)가 제공한 데이터가 공모전 외 목적으로 사용되어 저작권 침해 문제 등을 법률적 문제를 사전 공지를 통하여 방지하도록 한다.
저작 도구부(350) 및 디자인 소스부(360)를 구비하는 주 목적은 응모자가 아이디어는 있으나 이를 구체화할 수단을 가지지 못할 경우를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공모자 입장에서도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는데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저작 도구부(350) 및 디자인 소스부(360) 자체는 종래에 존재하는 도구로서 각각으로 나누어서 보면 그 자체로는 특별한 것이 없지만, 이러한 요소들이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 탑재됨으로써, 종래의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서식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서식 저장부(370)에는 공모전 운영에 필요한 각종 서식자료, 예를 들면 참가 신청서 양식, 작품소개서 양식, 저작권 동의서 양식 등의 서류가 저장되어 있다. 공모자는 서식 저장부(370)에 저장된 기초 양식을 사용하여 필요한 경우 변형하여 공모전 사이트에 올려서 응모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것으로서, 위 과정은 주로 앞에서 설명한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를 통하여 구현된다.
우선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 관리함을 받는 단계(114)를 거친 후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113) 하게 된다.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게 되는데(115), 구체적으로 도메인 구매 단계(115a), 포스터 제작 단계(115b), 그리고 각종 공모전 관련 정보(공모 기간, 주관 기관)를 입력함과 동시에 응모작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하는 사이트 제작 단계(115c)를 거치게 된다. 보통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 사이트라고 하여 대형 웹 사이트의 일부로서 대형 웹 사이트와는 분리된 형태의 사이트가 공모전 사이트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응모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저작 도구 및 디자인 소스가 제공된다는 것인데, 이러한 저작 도구 및 디자인 소스는 공모자가 공모 사이트를 제작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이 보유한 모든 저작 도구를 무제한으로 공모자 및 응모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제공하는 저작 도구들마다 별도의 비용을 청구하는 사업 모델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모자는 비용 대 효과 등을 고려하여 오픈하고자 하는 공모전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저작 도구를 선택하여 응모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은 저작 도구의 선택 여부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므로, 저작 도구 제공자에게는 저작 도구의 질적 향상을 자극하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전 사이트들이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포스터(401)가 게시된 상태에서 보통 하단에 응모 기간 및 주관 기관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게시판의 소정 부분에 해당 공모전에서 제공되는 저작 도구에 대한 정보를 아이콘(402)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포스터 제작 도구, 사진 편집 도구와 스토리 저작 도구가 제공되고, 두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아무런 저작 도구도 제공되지 않으며, 세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스토리 저작 도구가 제공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여러 가지 사용 가능한 저작 도구 중 포스터 제작 도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텍스트, 이미지, 배경 등을 선택하여 불러오고 배치하는 도구를 웹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저작 도구는 공모자가 요구하는 디자인 제약 조건을 반영함으로써 응모작들이 공모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근래 들어 간판 제작 또는 팜플렛 제작이 공모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 경우 원하는 가로/세로 사이즈와 같은 간판 규격, 원하는 색상 경향 등을 미리 저작 도구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예를 들어 청색 계열의 디자인을 원할 경우 저작 도구의 팔레트 상에 청색 계열의 색상만이 드러나도록 설정), 응모작들이 공모자의 의도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서식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공모자는 위 서식 저장부(370)에 저장된 기초 양식들(참가신청서, 작품소개서, 저작권동의서, 심사평가표)을 다운받아 공모전 실정에 맞게 변형한 뒤, 이를 개별 공모전 사이트에 올리게 된다. 응모자는 개별 공모전 사이트에서 공모전 성격에 맞게 변형된 양식을 다운받아서 이용할 수 있다.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에 의해 공모전 사이트가 완성되면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322)를 통하여 공모전을 오픈하게 되고(116), 이후 접수/홍보상황 관리부(331)을 통하여 접수/홍보 상황을 관리하게 된다(117). 우선 접수 상황 관리는 시간에 따른 응모작의 제출 수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홍보 상황 관리는 공모전 사이트의 클릭 빈도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접수/홍보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마감 기간 내에 충분한 수의 응모가 없거나 클릭 수가 현저히 낮을 경우 미리 응모 조건을 수정하거나, 응모자의 관심을 끌만한 요인, 예를 들면 수상자에 대한 보상 수준의 상향 조정 등과 같은 요인을 부가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공모전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응모 기간이 지난 다음에는 공모자는 응모작품 저장/전송부(332)를 통하여 응모작을 일괄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118),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를 통하여 심사를 거친 후(119) 응모자에게 최종 상격을 통보하게 된다(120). 바람직하게는,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응모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응모작들과 관련한 각종 통계 자료, 예를 들면 응모자들의 나이/지역/전공 등과 관련 분류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보고서 작성부(334)를 더 포함하는데, 위 보고서는 홍보 결과 보고서와 공모전 최종 결과 보고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보고서 기본 양식을 제공하는데, 공모전 사이트 운영을 통하여 얻어진 각종 정보, 예를 들면 공모전 사이트 접속 트래픽 통계, 날짜별 응모접수 동향, 수상 결과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한 뒤 문서 파일 형태, 바람직하게는 pdf 파일 형태로 공모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특히 회원관리부(310)에는 응모자의 신상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가 구축되어 있으므로, 응모자의 성별/지역/학교/전공(학과)/나이대 등의 통계 자료가 자동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여기서 응모자는 실제로 공모전에 응모한 응모자를 이야기한 것이나, 실제로 응모를 하지 않았으나 공모전 사이트에 접속한 회원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에서 이루어지는 응모작품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해오던 것과 같이, 심사위원에게 응모 작품들과 배점 기준이 명시된 채점표를 제공하여 이루질 수 있다. 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심사위원들로 참여했던 인력의 신상정보를 확보함과 아울러, 어떠한 심사위원이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참여했는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A라는 사람은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경험이 많으며, B라는 사람은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경험이 있다는 식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된다.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제공되는 심사위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게 되는데, 공모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심사위원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선택하면, 수임 계약 등과 같은 소정의 절차를 거친 다음 심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심사위원에게 송부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인물을 공모자가 심사위원으로 위촉할 경우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새로운 인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공모자는 새로운 인물을 입력을 입력해야하는 동기가 없으므로, 배너 광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 또는 수수료 감면 쿠폰 등과 같은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는 공모자들은 심사위원들이 공정하게 심사를 하였음을 선언하는 선언서 작성 항목을 두어서, 시스템 내에서 심사위원 선정 및 결과 처리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심사위원들로부터 공모자들에게 신상정보 및 심사경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동의서를 미리 받고, 필요한 경우 이력 증명에 필요한 서류들을 미리 받아놓아서 공모자들이 안심하고 심사위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응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응모 작품을 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응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 관리함을 받는 단계(214)를 거친 후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213) 하게 된다.
응모자는 공모전 사이트 게시판을 검색하여 응모 대상을 찾게 되는데, 이 때 관심이 있는 공모전 사이트는 개인 관리함에 따로 보관할 수 있다. 개인 관리함에서는 관심 대상인 공모전의 공모 기간이 한 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데, 리스트 형태로 열거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캘린더 형태의 스케줄러에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의 공모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심 대상인 공모전의 공모 기간이 네이버 스케줄러나 구글 캘린더와 같이 기존에 널리 이용되는 스케줄러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응모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굳이 접속하지 않더라도 원래 사용하던 스케줄러에서 공모전 기간 마감을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케줄러는 관심 공모전 마감 기간 며칠 전부터 알람 메시지를 띄우거나, 혹은 스케줄러에 표시된 공모전의 글자체 또는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응모자가 공모전 마감을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응모자가 응모하고자 하는 공모전을 선정하게 되면(218),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221) 응모작을 완성한 뒤 이를 출품할 수 있다(222). 물론 공모전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저작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선택적인 것으로서, 공모자가 본인의 도구를 사용하여 완성한 응모작, 즉 파일을 업로드하여(220) 출품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응모자의 출품 활동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의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와 연동되어 저장되고, 추후 응모자는 자신의 출품 이력 및 수상 이력을 별다른 수고 없이 정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공모전의 공모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수상 이력에 대한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을 통하여 해당 분야에서 어느 정도 공신력을 쌓게 된다면, 위 증명서는 실제로 사설 인정서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는 공모전 유형, 응모자의 응모 이력 및 수상 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응모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확보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응모자들에게 맞춤형 배너 광고 등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응모자는 공모전 스케줄 관리 및 응모 이력 관리를 할 수 있으며, 공모자 역시 편리하게 공모전을 오픈하고, 심사 및 보고서까지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00: 공모자 단말기 200: 응모자 단말기
300: 공모전 관리 시스템 301: 제어부
310: 회원관리부 320: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321: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 322: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
323: 관심 공모전 보관부 330: 응모 작품 관리부
331: 접수/홍보 상황 관리부 332: 응모 작품 저장/전송부
333: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 340: 입출력부
350: 저작 도구부 360: 디자인 소스부
370: 서식 저장부 334: 보고서 작성부

Claims (6)

  1.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 구축된 공모자 데이터베이스와 응모자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및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응모자의 관심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모아서 개인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응모작품 관리부는 응모작품의 심사를 위한 심사위원들의 신상 및 심사 경력에 대한 정보를 포한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공모자가 심사위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공모자에게 심사위원들의 신상 및 심사 경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보관함에 보관된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이 리스트 또는 캘린더 형태로 응모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나, 응모자가 응모 작품을 만드는데 제공될 수 있는 저작 도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부는 포스터 디자인 도구, 사진 편집 도구, 영상 편집 도구 및 스토리 편집 도구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진, 그림, 영상 및 서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소스를 저장한 디자인 소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소스부에 저장된 디자인 소스는 상기 저작 도구부와 함께 공모자 및 응모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모 작품 관리부는 응모전 접수 상황과 홍보 상황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하는데, 응모전 접수 상황은 접수된 응모 작품의 수를, 응모전 홍보 상황은 공모전 사이트의 클릭 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20160151185A 2016-11-14 2016-11-14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20180053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85A KR20180053966A (ko) 2016-11-14 2016-11-14 공모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185A KR20180053966A (ko) 2016-11-14 2016-11-14 공모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966A true KR20180053966A (ko) 2018-05-24

Family

ID=6229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185A KR20180053966A (ko) 2016-11-14 2016-11-14 공모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396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470A (zh) * 2019-09-26 2020-01-03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寄件方法、装置、快递柜和介质
KR20200080564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아이오라이브마케팅 엔터테인먼트 토탈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349046B1 (ko) * 2020-07-14 2022-01-07 윤승현 온라인 대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64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아이오라이브마케팅 엔터테인먼트 토탈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648470A (zh) * 2019-09-26 2020-01-03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寄件方法、装置、快递柜和介质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349046B1 (ko) * 2020-07-14 2022-01-07 윤승현 온라인 대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15007A1 (ko) * 2020-07-14 2022-01-20 윤승현 온라인 대결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olie et al. E-recruitment: practi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erguson Communication planning: An integrated approach
KR20180053966A (ko)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1738826B1 (ko) 공모전 관리 시스템
US200800521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public opinion
Nightingale The cameraphone and online image sharing
CN101802858A (zh) 在线营销平台
US20100241488A1 (en) Educational website
Yang et al. E-government application at local level: issues and challenges: an empirical study
Salem et al. The voice of travelers: leveraging user-generated content for tourism development 2018
KR101846122B1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2307497B1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Huh Communication model of commitment and engagement: Illustrations of exhibition social media marketing
Richardson et al. Develop your PR skills
Alford Promoting and marketing e-resources
WO20120325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de show information management
KR101535422B1 (ko)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Solomon et al. The Role of Librarians in Marketing Library Products and Services in Public University Libraries in Rivers State
KR20200109787A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 플랫폼
Goedert # PowerInNumbers: How Digital Libraries Use Collaborative Social Media Campaigns to Promote Collections
WO2015060787A1 (en) Online campaign system and method
KR102153754B1 (ko) 연구결과 자료 거래 시스템
Kooy Building virtually free subject area expertise through social media: An exploratory study
Roth-Cohen et al. The advertising industry as a dynamic environment: The Israeli case
Roberts How Digital Out-of-Home Contributes to Traditional Out-of-Home Advertising: An Exploratory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rish Industry Practitio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