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122B1 -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122B1
KR101846122B1 KR1020170059711A KR20170059711A KR101846122B1 KR 101846122 B1 KR101846122 B1 KR 101846122B1 KR 1020170059711 A KR1020170059711 A KR 1020170059711A KR 20170059711 A KR20170059711 A KR 20170059711A KR 101846122 B1 KR101846122 B1 KR 10184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st
competition
site
management syste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정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Priority to KR102017005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755
    • G06F17/303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 및 공모전 관련 검색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전 동향을 분석하여 공모자 또는 응모자에게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Contest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Analysis}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모자는 공모전을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개최하고, 응모자는 편리하게 응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모자가 공모전을 기획하고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년 1만 개 이상의 다양한 공모전, 혹은 콘테스트가 개최되고 있고, 수백만 명의 사람이 위 공모전에 응모하고 있다. 기업은 공모전을 대중과 소통하는 채널로 활용하고 단시간 내에 아이디어를 확보함과 동시에 인재발굴, 미래 고객 확보 등의 목적으로 공모전을 이용하게 된다.
과거에는 공모전을 홍보하는 방법으로서 포스터, 방송 매체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부터 인터넷을 이용한 공모전 홍보가 대중화되었다. 현재 인터넷 상의 공모전 전문업체로서 씽굿, 디자인정글, 인투인미디어, 대티즌 등의 회사가 공모전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데, 도 12는 이중에서 대표적인 공모전 전문업체인 씽굿에서 제공하는 공모전 사이트(www.thinkcontest.com)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씽굿의 공모전 사이트 화면을 살펴보면, 포스터와 함께 공모전 기간 및 주관 기관의 명칭이 게시판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각각의 포스터를 클릭하게 되면 공모 요강이 텍스트 형태로 개시되거나, 아니면 주관 기관이 별도로 제작한 공모전 사이트로 링크된다. 공모 요강이 텍스트 형태로 개시된 상태에서 응모 작품은 이메일로 접수 받는 형태로 운용될 수 있고, 혹은 공모자가 별도의 공모 사이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공모 사이트 내에서 접수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공모전 사이트와는 차별화되는 기능을 가지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2016년 11월 14일에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특허출원 제10-2016-0151157호). 상기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모자에게는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는 도구 및 응모작품을 일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과 아울러, 응모자들에게도 역시 응모 작품 제작에 필요한 도구를 공급함으로써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일체의 공모 및 응모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모전 사이트와는 차별화되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34217호(공고일: 2014.08.29)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공모 시스템 및 공모 방법"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77245호(공고일: 2003.03.2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모 사업 방법"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05436호(공개일: 2014.01.15.) "온라인 공모전 운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하였던 공모전 관리 시스템(특허출원 제10-2016-0151157호)를 통하여, 종래의 공모전 사이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공모자에게는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공모전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응모자 역시 편리하게 공모전 상황을 파악하고, 큰 어려움 없이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하고 특허출원하였던 위 공모전 관리 시스템(특허출원 제10-2016-0151157호)이 종래의 공모전 사이트와 비교하여 차별화된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함은 두말할 나위 없지만, 위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는 공모전 관련 정보 내지 트랜드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툴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공모전을 기획하는 사람들은 공모전 기획 또는 마케팅에 필요한 정보를 별도로 조사해야 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위 공모전 관리 시스템과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연계하고, 빅테이터 분석 자료를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공모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공모전 기획 및 마케팅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 및 키워드 입력을 통한 공모전 관련 검색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전 동향을 분석하여 공모자 또는 응모자에게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텍스트화(602) 한 후, 텍스트화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형태소 분석(603)을 통하여 분석에 불필요한 단어들은 제거하고, 분석대상이 되는 단어들만 남길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형태소 분석(603)을 거친 데이터 내에 담긴 각각의 단어들의 수에, 상기 단어들마다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하여 얻어지는 빈도수를 반영한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둘 이상의 분석 기준을 중심으로 분포된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데이터 개체들끼리 군집화하는 군집분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분석 기준은 성별, 나이별, 지역별, 공모전 종류별 중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형태소 분석을 거친 데이터에 담겨진 단어들의 숫자들을 각각 카운팅한 후 카운팅이 많이 된 순서대로 다시 키워드로 선정하여 재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응모자의 관심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모아서 개인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개인 보관함에 보관된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이 리스트 또는 캘린더 형태로 응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통하여 기존의 공모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분석하여 공모전 관리 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사용자들은 해당 공모전 관련 분야의 트렌드를 파악한 상태에서 공모전 기획 및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공모전 홍보용 사이트(마이크로 사이트)가 시스템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됨과 동시에, 사이트 제작에 들어가는 포스터의 저작 도구까지 제공됨으로써 공모자는 저비용으로 손쉽게 공모전을 오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내에서 직접 응모작을 접수 받아 이를 공모자에게 일괄 전달하기 때문에 공모자가 응모작들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응모자는 관심을 가지는 공모전을 별도의 관리함 내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응모작들의 포트폴리오를 특별한 노력 없이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내에서 저작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디어는 있으나 구현하지 못하는 응모자들이 어려움 없이 공모전에 응모할 수 있도록 하여, 공모전에 응모할 수 있는 대상을 폭을 크게 넓힐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공모자와 응모자가 상호간에 연결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순서를 개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전 게시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저작 도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응모자가 공모전에 응모하기 위한 순서를 개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관심 공모전 관리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빅데이터 분석부가 데이터를 분석하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빅데이터 분석부가 제공하는 워드 클라우드 이미지의 일례이다.
도 10은 비계층적 군집분석방식 중 하나인 k 평균 알고리즘의 적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씽굿"의 공모전 사이트)에 따른 공모전 게시판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 기재에 의하여만 결정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통신 네트워크, 대표적으로는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공모자(공모전을 주최하거나 주최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자)의 단말기(100) 및 응모자(공모전에 응하여 응모작품을 출품하거나 출품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자)의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단말기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웍으로 연결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모자는 단말기(100)를 통하여 공모전의 공모 사항을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에 올리게 되고, 응모자는 단말기(200)를 통하여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올라와 있는 공모전들을 검색하고, 관리하며 응모하게 된다.
도 2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크게 회원관리부(310),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320), 응모 작품 관리부(330), 입출력부(340), 저작 도구부(350), 디자인 소스부(360),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부(390)와 같은 모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들 모듈들 상호간에는 제어부(300)를 통하여 데이터들이 전달된다.
즉, 예를 들어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입력된 회원정보는 제어부(301)를 통하여 회원관리부(310)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그리고 응모작품 관리부(330)에서 접수된 응모작품에 대한 정보는 회원관리부(310)의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회원 정보와 연동되어, 접수 상태에 대한 보고서를 만드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작 도구부(350)와 디자인 소스부(360)는 제어부(301)를 통하여 공모자 또는 응모자에게 저작 도구와 디자인 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빅데이터 분석부(390)에서 모아지고 분석된 데이터들에 대한 처리 결과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320) 또는 응모 작품 관리부(330)를 통하여 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01)는 각 모듈 사이에 데이터의 흐름을 조율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각 모듈들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모듈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설계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므로, 구체적인 데이터 구조나 코딩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회원관리부(310)는 공모자의 단말기 또는 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입출력부(340)를 통하여 전달받아, 공모자 데이터베이스(311)와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를 구축한다.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320)는 공모자가 올린 공모전 사이트를 관리하는 모듈로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는 과정을 담당하는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 공모자가 완성한 공모전 사이트를 응모자가 볼 수 있도록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322), 그리고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보관하는 관심 공모전 보관부(323)를 포함한다. 특히 관심 공모전 보관부(323)는 응모자가 관심 공모전으로 등록한 공모전만을 모아서 개인 관리함에 관리함으로써,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의 기일을 놓지지 않도록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는데, 이와 관련한 것은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응모 작품 관리부(330)는 응모자가 올린 응모 작품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응모 작품 관리부(330)는 응모 작품의 접수/홍보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하는 접수/홍보 상황 관리부(331), 응모 기간 도과 후 응모 작품을 한꺼번에 공모자에게 전송하는 응모 작품 저장/전송부(332), 그리고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를 포함한다.
빅데이터 분석부(390)는 공모전 관련 데이터를 각종 인터넷 사이트들로부터 정형/비정형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수집하고, 이들을 분석하여 얻어진 공모전의 트랜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화한 보고서를 제작하고, 공모전 관리 시스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저작 도구부(350)는 포스터 디자인, 사진 편집 도구, 동영상 편집 도구, 스토리 편집 도구 등과 같이 저작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도구를 제공하는 모듈로서, 웹 상태에서 저작물을 만들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방식은 wix 등과 같이 홈페이지 저작도구를 제공하는 사이트(ko.wix.com) 등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저작 도구는 공모전 유형에 따라 다양한 도구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웹 기반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나, 웹 기반의 도구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작도구는 디자인/광고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 영상/사진 공모 제작을 저작도구, 기획/아이디어/마케팅/논문 공모를 위한 발표용 저작도구, 웹툰/스토리/카드뉴스와 같은 스토리보드형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디자인/광고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픽픽사의 웹 기반 그래픽 디자인 도구가 알려져 있다.
영상/사진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wideo” 또는 “무비메이커” 등의 웹기반 템플릿형 영상 제작 솔루션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획/아이디어/마케팅/논문 저작도구로는, 웹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서 “구글”사의 “docs.”, 혹은 “네이버”사 “크라우드 오피스” 등과 같은 도구가 이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웹툰/스토리/카드뉴스 공모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로는 “투 블루”사의 웹 전용 카드뉴스 “타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저작도구들은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일 뿐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여기서 제시되지 아니한 저작도구들을 활용하거나, 공모전에 최적화된 저작도구를 자체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임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소스부(360)는 사용자들에 제공되는 각종 사진, 그림, 영상, 또는 서체들의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는 디자인 소스부(360)에서 원하는 사진, 그림, 영상 또는 서체를 선택하고, 저작 도구부(350)를 활용하여 이를 가공함으로써 제3의 창작물을 만들 수 있다. 디자인 소스를 제공하는 것 역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특히 디자인 소스부(36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은 공모전 출품 전용 상품으로 제공될 것이며, 디자인 소스부(360)가 제공한 데이터가 공모전 외 목적으로 사용되어 저작권 침해 문제 등을 법률적 문제를 사전 공지를 통하여 방지하도록 한다.
저작 도구부(350) 및 디자인 소스부(360)를 구비하는 주 목적은 응모자가 아이디어는 있으나 이를 구체화할 수단을 가지지 못할 경우를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공모자 입장에서도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는데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저작 도구부(350) 및 디자인 소스부(360) 자체는 종래에 존재하는 도구로서 각각으로 나누어서 보면 그 자체로는 특별한 것이 없지만, 이러한 요소들이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 탑재됨으로써, 종래의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서식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서식 저장부(370)에는 공모전 운영에 필요한 각종 서식자료, 예를 들면 참가 신청서 양식, 작품소개서 양식, 저작권 동의서 양식 등의 서류가 저장되어 있다. 공모자는 서식 저장부(370)에 저장된 기초 양식을 사용하여 필요한 경우 변형하여 공모전 사이트에 올려서 응모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것으로서, 위 과정은 주로 앞에서 설명한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를 통하여 구현된다.
우선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 관리함을 받는 단계(114)를 거친 후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113) 하게 된다.
공모자는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기 전, 또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공모전 설계에 도움을 받기 위하여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빅데이터 분석자료를 요청할 수 있다(121).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공모전 사이트를 제작하게 되는데(115), 구체적으로 도메인 구매 단계(115a), 포스터 제작 단계(115b), 그리고 각종 공모전 관련 정보(공모 기간, 주관 기관)를 입력함과 동시에 응모작을 업로드할 수 있도록하는 사이트 제작 단계(115c)를 거치게 된다. 보통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마이크로 사이트라고 하여 대형 웹 사이트의 일부로서 대형 웹 사이트와는 분리된 형태의 사이트가 공모전 사이트로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응모자가 활용할 수 있는 저작 도구 및 디자인 소스가 제공된다는 것인데, 이러한 저작 도구 및 디자인 소스는 공모자가 공모 사이트를 제작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이 보유한 모든 저작 도구를 무제한으로 공모자 및 응모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제공하는 저작 도구들마다 별도의 비용을 청구하는 사업 모델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모자는 비용 대 효과 등을 고려하여 오픈하고자 하는 공모전과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저작 도구를 선택하여 응모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은 저작 도구의 선택 여부에 따라 수익이 달라지므로, 저작 도구 제공자에게는 저작 도구의 질적 향상을 자극하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다.
도 8은 빅데이터 분석부(390)에서 공모전 관련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부(390)에서는 검색을 통하여 비정형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공모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공모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모자들이 공모전 트랜드를 파악한 상태에서 공모전을 기획하고 마케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키워드 입력 및 검색 단계(601)에서 공모전과 연관된 키워드를 설정하여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공모전”, “콘테스트”와 같이 쉽게 예측될 수 있는 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게 되지만, 빅데이터 분석 결과가 축적된 이후에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어지는 키워드들을 자동으로 축적하여사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어지는 키워드들은 검색 시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즉, 검색 시기 등에 따라 패턴을 찾을 수 있음), 예를 들면 가을의 경우에는 “독후감”, “독서”, “문예”, “낭만” 등의 단어가, 봄의 경우에는 “새학기” 등의 단어가 순위에 오르게 된다. 즉, 처음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공모전”, “콘테스트”와 같이 쉽게 예측되는 키워드들만으로 검색이 시작되지만, 빅데이터 분석이 진행될수록 분석 결과에 의하여 얻어진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다시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점차 검색 영역을 넓혀가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키워드 입력 및 검색 단계(601)에 의하여 얻어진 다양한 정보들은 텍스트화 되어 저장되는 단계(602)를 거치는데, 검색된 정보들은 대부분 비정형 정보들이므로, 추후 분석이 가능하도록 텍스트화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때 검색된 정보들은 시간대별, 주별, 월별, 년도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거나, 각각의 데이터에 검색 시간 등을 로그에 기록하는 식으로 저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들 내의 문장들은 형태소 분석 단계(603)를 거치면서 조사와 문장부호는 제거되고, 단어만 남게 된다. 예를 들면, “공모전이란 기업, NGO 등의 기관이, 대학생을 비롯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라는 문장이 있다고 한다면, “이란”, “등의”, “이”, “을”, “으로” 등의 조사와 “,” 또는 “.” 등의 문장부호는 제거되고, “공모전”, “기업, NGO”, “기관”, “대학생”, “비롯한”, “일반”, “대중”, “대상” 과 같은 단어들만 남게 된다.
형태소 분석이 마무리된 데이터들로부터는 워드 클라우드(610) 형태의 시각적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우선, 워드 클라우드(610)는 검색된 데이터 내에 사용된 핵심 단어들의 중요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관련 핵심 단어들의 빈도수를 기본으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게 되며, 도 9에 그 결과물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기에 앞서, 형태소 분석을 마친 데이터에 나타나는 단어의 빈도수가 축적되게 되는데, 공모전 또는 콘테스트와 직접 관련된 단어들을 미리 선정하여 그 관련도에 따라 가중치를 주고,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는 단어들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주지 않거나 음의 가중치를 주었다.
단어 공모전 기업 NGO 기관 대학생 비롯한 일반 대중
가중치 3 2.5 2.5 2.5 2 1 1 1
위 가중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방대한 데이터들 각각에 포함된 단어들의 개수를 모두 합산하게 되고, 합산 값에 위 가중치를 곱하게 되면 가중치가 반영된 각 단어들의 빈도수가 계산된다.
그리고 단어의 크기를 위 빈도수에 상응하는 크기로 조절하게 되어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워드 클라우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워드 클라우드 이미지를 작성하는데에는 “R"과 같은 빅데이터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으나, 근래들어 빈도수를 반영하여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여 주는 프로그램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므로, 이들 중 하나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할 수 있다.
위 과정을 거치게 되면, 사용자가 “공모전” 관련 키워드를 직접 입력했을 때 얻어진 데이터에 어떠한 단어들이 많이 등장하는 지가 자연스럽게 카운팅된다. 키워드 입력 자동화 플로우(606)를 통하여 카운팅이 많이 된 순서대로 단어들을 리스팅하고, 이들 중 필요에 따라 카운팅 수가 많은 상위권 단어들을 다시 키워드로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재검색이 이루어져 데이터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즉, 검색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하게 되지만, 데이터베이스가 충분히 쌓인 다음에는 시즌 또는 트랜드에 걸맞는 적절한 단어가 자동으로 키워드로 입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4월에는 “봄”, “새학기”, “벚꽂” 등의 단어가 순위에 올라 재검색 대상이 되는 반면, 9월에는 “독서”, “낭만” 같은 단어가 순위에 올라 검색 대상이 될 수 있다.
문장분석의 키워드형 결과물은 추후 군집분석에 사용될 수 있으며 형태소분석의 자동화된 결과물은 공모자가 원하는 기간을(년/월/일) 설정하여 단어 별 군집별로 결과물을 제공할수 있다.
더 나아가 형태소 분석 단계(603)를 거치면서 조사와 문장부호는 제거되고, 단어만 남게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군집분석(604)을 수행할 수 있다. 군집분석을 수행하게 될 변수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공모전 성격 등을 기준으로 각 데이터를 구분지을 수 있으며, 위 변수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다.
분류기준 성별 연령 지역별 년도별
DATA 1 1 (남성) 1 (10대) 1 (서울) 1 (2015년)
DATA 2 0 (여성) 3 (30대) 2 (경기) 3 (2017년)
표 2는 텍스트화된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하기에 앞서서 데이터를 군집분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Coding)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년도별 4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 중 2가지 또는 3가지 기준으로만 군집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모전 종류(디자인/광고, 영상/사진, 기획/아이디어/마케팅/논문, 웹툰/스토리/카드뉴스와 같은 스토리보드형)에 따른 기준을 추가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위에서 제시된 기준 이외에도 추가적인 기준을 선정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DATA 1, DATA 2로 표시된 것은 검색되고, 텍스트화된 데이터 개체 각각에 매겨진 이름인데, 통상적으로 그 데이터의 출처가 되는 url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성별의 경우, 데이터가 남성에 관한 것이면 1, 여성에 관한 것이면 0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연령과 관련해서는, 10대에 관한 것이면 1, 20대에 관한 것이면 2, 30대에 관한 것이면 3, 40대에 관한 것이면 4를 표시하도록 하였는데, 나이가 벌어지면 더 거리가 멀어질 수 있도록 1과 0 이외에도 거리의 멀어짐이 표현될 수 있도록 1~4의 숫자를 부여하였다. 만일 나이를 예민하게 살펴보고 싶다면 구간을 더 세분화하고, 부여되는 숫자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과 관련해서는 지역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코드를 부여하였다. 예를 들면, 서울을 1로 했다면, 경기도는 2, 충청도 3, 전라도는 4와 같은 식으로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가 개체가 작성된 년도와 관련해서 분석대상이 2015년부터 2017년이라고 가정하고, 2015년에 1, 2016년에 2, 2017년에 3을 부여하였는데, 위 년도 구분 역시 분석하고자 하는 기간 등을 고려하여 관리자게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유클리디언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계산하여 가까운 거리의 데이터들끼리 하나의 군집으로 묶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Figure 112017045581869-pat00001
위 식은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pi는 qi는 같은 항목 내에서의 두 데이터들의 수치를 의미하는데, 표 1에 제시된 것을 예를 들자면 DATA 1의 p1 값은 1 (남성), q1 값은 0(여성), 그리고 p2 값은 1 (10대), q2 값은 3(30대), p3 값은 1(서울), q3값은 2(경기), 그리고 p4 값은 1(2015년), q4 값은 3(2017년)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DATA 1과 DATA 2의 거리는
Figure 112017045581869-pat00002
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D12만 예시적으로 제시하였지만, 모든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거리가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일이 계산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것끼리 묶음으로써 군집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군집분석의 알고리즘으로는, 처음에는 군집의 개수를 정하지 아니하고 데이터 개수 만큼의 군집에서 시작하여 군집의 수를 줄여나가는 계층적 군집분석과, 처음부터 군집의 개수를 정하고 군집의 초기치를 선택한 후 재배치 하는 비계층적 군집분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계층적 군집분석의 경우 데이터가 커질수록 계산량이 급격히 커지므로, 빅데이터 분석에는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의 데표적인 알고리즘인 k 평균 알고리즘을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1) 초기 씨앗(seed) 역할을 하는 데이터 개체를 k개 선택한다(도 6(b)).
2) 나머지 데이터 개체들은 각 위 k개의 초기 데이터 개체와의 거리를 계산하여 가까운 것(Dij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끼리 군집을 형성하게 한다(도 6(c)). 2개 이상의 데이터 개체가 모인 군집이 형성이 되면 씨앗(seed)의 위치는 군집 중심(cluster centroid)으로 대체된다(도 6(d)).
3) 모든 데이터 개체가 k 개의 군집으로 할당된 후에는, 하나의 데이터 개체와 다른 군집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계산한다. 만일 어떠한 데이터 개체가, 그 데이터 개체가 속해 있는 군집 중심과의 거리가, 데이터 개체와 다른 군집 중심과의 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위 데이터 개체를 중심거리가 더 가까운 다른 군집으로 옮긴다(도 6(e)).
4) 옮긴 후 두 군집의 중심을 다시 계산하고, 다시 각 데이터 개체와 군집 중심과의 거리를 재계산한다(도 6(f)).
3번과 4번 과정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하고, 더 이상 개체의 군집간 이동이 없을 때 계산을 멈추고, 최종적인 군집으로 결정하게 된다(도 6(g)).
비계층적 군집분석 방법을 적용할 때에는, 처음에 군집의 개수만 결정될 뿐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군집이 형성되는지는 전혀 결정하지 아니하고 최종적인 결과물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동일 군집 내에 속하는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유사점 또는 규칙성, 즉 패턴을 찾아내게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k 평균 알고리즘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군집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각 군집을 형성하는 데이터 개체가 가지는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군집 분석 결과는 Forced-directed graph(620)라는 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날 수 있는데, 빅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20대 여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공모전을 찾고 있다고 한다면 군집분석에서 20대와 여성이라는 조건으로 묶인 군집과 연관된 또 다른 특징(예를 들면 20대라는 조건, 그리고 여성이라는 조건을 가진 가진 군집은 다른 나이대 또는 다른 성별에 비하여 제3의 조건(다른 계절에 비하여 겨울철에 적극적으로 응모 or 특정 지역에 편중)을 가지는 경우다 많더라)을 찾아낼 가능성이 있고, 공모전 설계자는 이러한 군집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공모전의 설계 및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형태소 분석(603)과 군집분석(604)을 마친 후 얻어진 워드 클라우드(610) 또는 Force-directed graph(620)와 같은 결과물을 공모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보고서(605)를 작성하게 된다.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는 과정이나 군집분석 과정에서, 공모전 또는 콘테스트 관련해서 파생되는 키워드들을 찾아낼 수 있다. 특정 시기에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는 단어들, 예를 들면 3월의 “신학기”, 10월의 “독서” 등의 새로운 키워드가 도출될 수 있고, 이렇게 새롭게 도출된 키워드들은 공모전의 시기와 관련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 새로운 키워드들은 Google Tenser Flow API 등의 머신 러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학습될 수 있고(606), 이렇게 학습된 정보를 바탕으로 키워드 입력 및 검색 단계(601)에서 확장된 키워드가 제공됨으로써, 점점 정밀한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키워드 입력 및 검색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텍스트화하여 빅데이터 분석 대상으로 한 사례를 설명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는 유저의 로그 정보를 활용하여 워드 클라우드 정보를 얻거나, 군집분석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서버에 설치된 로그 정보 수집기를 통하여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 서버로 옮겨 저장한 뒤 위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게된다. 로그 정보 수집은 통상적으로 서버에 설치된 Flume Agent를 이용할 수 있고, 수집된 로그 정보는 Hadoop 서버(HDPS Sink)에 옮겨져 저장된 상태에서 분석 대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로그 정보에 대한 분석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군집분석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공모전 사이트들이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포스터(401)가 게시된 상태에서 보통 하단에 응모 기간 및 주관 기관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게시판의 소정 부분에 해당 공모전에서 제공되는 저작 도구에 대한 정보를 아이콘(402)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포스터 제작 도구, 사진 편집 도구와 스토리 저작 도구가 제공되고, 두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아무런 저작 도구도 제공되지 않으며, 세 번째 공모전 사이트에서는 스토리 저작 도구가 제공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여러 가지 사용 가능한 저작 도구 중 포스터 제작 도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화면의 원하는 위치에 텍스트, 이미지, 배경 등을 선택하여 불러오고 배치하는 도구를 웹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저작 도구는 공모자가 요구하는 디자인 제약 조건을 반영함으로써 응모작들이 공모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근래 들어 간판 제작 또는 팜플렛 제작이 공모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 경우 원하는 가로/세로 사이즈와 같은 간판 규격, 원하는 색상 경향 등을 미리 저작 도구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예를 들어 청색 계열의 디자인을 원할 경우 저작 도구의 팔레트 상에 청색 계열의 색상만이 드러나도록 설정), 응모작들이 공모자의 의도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서식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공모자는 위 서식 저장부(370)에 저장된 기초 양식들(참가신청서, 작품소개서, 저작권동의서, 심사평가표)을 다운받아 공모전 실정에 맞게 변형한 뒤, 이를 개별 공모전 사이트에 올리게 된다. 응모자는 개별 공모전 사이트에서 공모전 성격에 맞게 변형된 양식을 다운받아서 이용할 수 있다.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321)에 의해 공모전 사이트가 완성되면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322)를 통하여 공모전을 오픈하게 되고(116), 이후 접수/홍보상황 관리부(331)을 통하여 접수/홍보 상황을 관리하게 된다(117). 우선 접수 상황 관리는 시간에 따른 응모작의 제출 수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홍보 상황 관리는 공모전 사이트의 클릭 빈도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접수/홍보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마감 기간 내에 충분한 수의 응모가 없거나 클릭 수가 현저히 낮을 경우 미리 응모 조건을 수정하거나, 응모자의 관심을 끌만한 요인, 예를 들면 수상자에 대한 보상 수준의 상향 조정 등과 같은 요인을 부가함으로써 능동적으로 공모전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응모 기간이 지난 다음에는 공모자는 응모작품 저장/전송부(332)를 통하여 응모작을 일괄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118),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를 통하여 심사를 거친 후(119) 응모자에게 최종 상격을 통보하게 된다(120). 바람직하게는,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 응모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응모작들과 관련한 각종 통계 자료, 예를 들면 응모자들의 나이/지역/전공 등과 관련 분류 정보를 공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보고서 작성부(334)를 더 포함하는데, 위 보고서는 홍보 결과 보고서와 공모전 최종 결과 보고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보고서 기본 양식을 제공하는데, 공모전 사이트 운영을 통하여 얻어진 각종 정보, 예를 들면 공모전 사이트 접속 트래픽 통계, 날짜별 응모접수 동향, 수상 결과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한 뒤 문서 파일 형태, 바람직하게는 pdf 파일 형태로 공모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특히 회원관리부(310)에는 응모자의 신상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가 구축되어 있으므로, 응모자의 성별/지역/학교/전공(학과)/나이대 등의 통계 자료가 자동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이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여기서 응모자는 실제로 공모전에 응모한 응모자를 이야기한 것이나, 실제로 응모를 하지 않았으나 공모전 사이트에 접속한 회원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에서 이루어지는 응모작품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해오던 것과 같이, 심사위원에게 응모 작품들과 배점 기준이 명시된 채점표를 제공하여 이루질 수 있다. 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심사위원들로 참여했던 인력의 신상정보를 확보함과 아울러, 어떠한 심사위원이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참여했는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게 된다. 즉, A라는 사람은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경험이 많으며, B라는 사람은 어떠한 종류의 공모전 심사에 경험이 있다는 식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된다.
공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 내에서 제공되는 심사위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받게 되는데, 공모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심사위원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물을 선택하면, 수임 계약 등과 같은 소정의 절차를 거친 다음 심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심사위원에게 송부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인물을 공모자가 심사위원으로 위촉할 경우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에 없는 새로운 인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공모자는 새로운 인물을 입력을 입력해야하는 동기가 없으므로, 배너 광고 등에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 또는 수수료 감면 쿠폰 등과 같은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333)는 심사위원들이 공정하게 심사를 하였음을 선언하는 선언서 작성 항목을 두어서, 공모자들이 별도로 심사위원들에게 받아야 하는 서류들을 시스템 내에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내에서 심사위원 선정 및 결과 처리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심사위원들로부터 공모자들에게 신상정보 및 심사경력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동의서를 미리 받고, 필요한 경우 이력 증명에 필요한 서류들을 미리 받아놓아서 공모자들이 안심하고 심사위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응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응모 작품을 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응모자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하고 개인 관리함을 받는 단계(214)를 거친 후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213) 하게 된다.
응모자는 공모전 사이트 게시판을 검색하여 응모 대상을 찾게 되는데, 이 때 관심이 있는 공모전 사이트는 개인 관리함에 따로 보관할 수 있다. 개인 관리함에서는 관심 대상인 공모전의 공모 기간이 한 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데, 리스트 형태로 열거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캘린더 형태의 스케줄러에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모전의 공모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심 대상인 공모전의 공모 기간이 네이버 스케줄러나 구글 캘린더와 같이 기존에 널리 이용되는 스케줄러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응모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굳이 접속하지 않더라도 원래 사용하던 스케줄러에서 공모전 기간 마감을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케줄러는 관심 공모전 마감 기간 며칠 전부터 알람 메시지를 띄우거나, 혹은 스케줄러에 표시된 공모전의 글자체 또는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응모자가 공모전 마감을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응모자가 응모하고자 하는 공모전을 선정하게 되면(218),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221) 응모작을 완성한 뒤 이를 출품할 수 있다(222). 물론 공모전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저작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선택적인 것으로서, 공모자가 본인의 도구를 사용하여 완성한 응모작, 즉 파일을 업로드하여(220) 출품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응모자의 출품 활동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의 응모자 데이터베이스(312)와 연동되어 저장되고, 추후 응모자는 자신의 출품 이력 및 수상 이력을 별다른 수고 없이 정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공모전의 공모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수상 이력에 대한 증명서 발급이 가능하다. 지속적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을 통하여 해당 분야에서 어느 정도 공신력을 쌓게 된다면, 위 증명서는 실제로 사설 인정서로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300)은 응모자가 관심을 가지는 공모전 유형, 응모자의 응모 이력 및 수상 이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응모자의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를 자연스럽게 확보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응모자들에게 맞춤형 배너 광고 등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모전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응모자는 공모전 스케줄 관리 및 응모 이력 관리를 할 수 있으며, 공모자 역시 편리하게 공모전을 오픈하고, 심사 및 보고서까지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100: 공모자 단말기 200: 응모자 단말기
300: 공모전 관리 시스템 301: 제어부
310: 회원관리부 320: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321: 공모전 사이트 개설부 322: 공모전 사이트 게시부
323: 관심 공모전 보관부 330: 응모 작품 관리부
331: 접수/홍보 상황 관리부 332: 응모 작품 저장/전송부
333: 심사/상격 결과 관리부 340: 입출력부
350: 저작 도구부 360: 디자인 소스부
370: 서식 저장부 334: 보고서 작성부
390: 빅데이터 분석부

Claims (7)

  1. 공모자의 단말기와 응모자의 단말기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는 공모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모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고 게시하는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
    상기 게시된 공모전 사이트 중 응모자가 선택한 공모전 사이트를 통하여 응모자가 제출한 응모 작품을 저장하여 공모자에게 전달하는 응모작품 관리부;
    키워드 입력을 통한 공모전 관련 검색정보를 바탕으로 공모전 동향을 분석하여 공모자 또는 응모자에게 제공하는 빅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공모자가 공모전 사이트를 개설하거나, 상기 응모자가 응모 작품을 만드는데 제공될 수 있는 저작 도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키워드 입력을 통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텍스트화(602) 한 후, 텍스트화된 상기 데이터에 대한 형태소 분석(603)을 통하여 분석에 불필요한 단어들은 제거하고, 분석대상이 되는 단어들만 남기며,
    상기 형태소 분석(603)을 거친 데이터 내에 담긴 각각의 단어들의 수에, 상기 단어들마다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각각 곱하여 얻어지는 빈도수를 반영한 워드 클라우드를 작성하고,
    둘 이상의 분석 기준을 중심으로 분포된 데이터 개체들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거리가 가까운 데이터 개체들끼리 군집화하는 군집분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은 성별, 나이별, 지역별, 공모전 종류별 중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형태소 분석을 거친 데이터에 담겨진 단어들의 숫자들을 각각 카운팅한 후 카운팅이 많이 된 순서대로 다시 키워드로 선정하여 재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모전 사이트 관리부는 응모자의 관심 공모전 사이트 정보를 모아서 개인 보관함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개인 보관함에 보관된 관심 공모전의 응모 기간이 리스트 또는 캘린더 형태로 응모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20170059711A 2017-05-15 2017-05-15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184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11A KR101846122B1 (ko) 2017-05-15 2017-05-15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711A KR101846122B1 (ko) 2017-05-15 2017-05-15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6122B1 true KR101846122B1 (ko) 2018-04-05

Family

ID=6197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711A KR101846122B1 (ko) 2017-05-15 2017-05-15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271B1 (ko) * 2020-03-30 2020-11-18 비에이비 주식회사 사용자 활동이력 기반 협업 필터링을 통한 공모전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109B1 (ko) * 2015-10-01 2016-11-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대표 색인어와 유사도를 이용한 문서 자동 분류 방법
KR101732068B1 (ko) * 2016-10-28 2017-05-04 (주)위드라인 스포츠대회 빅데이터 마이닝 서버 및 스포츠대회 빅데이터 마이닝 서버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109B1 (ko) * 2015-10-01 2016-11-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대표 색인어와 유사도를 이용한 문서 자동 분류 방법
KR101732068B1 (ko) * 2016-10-28 2017-05-04 (주)위드라인 스포츠대회 빅데이터 마이닝 서버 및 스포츠대회 빅데이터 마이닝 서버 운영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102307497B1 (ko) 2019-11-13 2021-09-30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180271B1 (ko) * 2020-03-30 2020-11-18 비에이비 주식회사 사용자 활동이력 기반 협업 필터링을 통한 공모전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390926B1 (ko) 2020-04-27 2022-04-26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ández-Méndez et al. The influence of e-word-of-mouth on travel decision-making: consumer profiles
Kelleher Public relations online: Lasting concepts for changing media
Mehlenbacher Science communication online: Engaging experts and publics on the internet
Hausman Innovativeness among small businesses: Theory and propositions for future research
Sabherwal et al. Business intelligence: Practices, technologies, and management
Nave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ramework to track consumer sentiments in social media
US20180232751A1 (en) Internet system and method with predictive modeling
Watson Tutorial: business intelligence–past, present, and future
Helbing et al. How to create an innovation accelerator
US20070226250A1 (en) Patent Figure Drafting Tool
CN103503048A (zh) 用于提供智能协作内容基础设施的方法、系统及计算机程序
WO2012159200A1 (en) Recommending students to prospective employers based on students' online content
KR20210037842A (ko)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의 광고 마케팅 시스템
KR101846122B1 (ko)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20180053966A (ko) 공모전 관리 시스템
US8694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earch database management
WO2010027299A2 (en) A method for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creative projects and a computer server for its realization
Meier Are today's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 being overtasked? An analysis of job responsibilities in recent advertisements on the ALA JobLIST web site
Kuchkovskiy et al. Application of Online Marketing Methods and SEO Technologies for Web Resources Analysis within the Region.
Tennant Free newspapers in the United States: Alive and kicking
Zaid et al. The impact of the platformization of Arab news websites on quality journalism
Siciliani et al. AI-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ublic procurement
Huh Communication model of commitment and engagement: Illustrations of exhibition social media marketing
Halkiopoulos et al. Cultural and tourism promotion through digital marketing approaches. A case study of social media campaigns in Greece
KR20210058162A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