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926B1 -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926B1
KR102390926B1 KR1020200051064A KR20200051064A KR102390926B1 KR 102390926 B1 KR102390926 B1 KR 102390926B1 KR 1020200051064 A KR1020200051064 A KR 1020200051064A KR 20200051064 A KR20200051064 A KR 20200051064A KR 102390926 B1 KR102390926 B1 KR 102390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user
component
messenger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533A (ko
Inventor
최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Priority to KR102020005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9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이벤트에 대한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이벤트를 기설정된 분야별로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로부터 분류된 분야별로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기설정된 점수기준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메신저 활동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유저의 메신저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저 컴포넌트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 및 점수를 로딩하여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펜타곤 방사형 그래프로 시현하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카테고리별 점수를 수신하여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카테고리 중 상위 4순위까지의 카테고리의 대표 키워드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은 유저가 활동한 이력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므로 유저 자신의 객관적인 능력, 성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USER'S ONLINE ACTIVITY ANALYSIS SYSTEM}
본 발명은 개인 유저가 인사채용, 공모전, 봉사활동, 교육/강연 등의 다양한 이벤트에 관한 온라인상의 활동을 분석하여 유저가 자신의 활동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청년 실업난이 지속되면서, 대학생활 속에는 기본적인 전공 학업과 어학 공부 이외에도 인턴, 공모전, 봉사활동, 사회활동 등이 중요하게 자리매김 하였다.
또한, 많은 기업체들은 지적능력 외에도 인성과 창의성, 소통능력등을 신입사원 채용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입사지원자에 대한 면접과 함께 각종 이력을 참고하여 채용 여부를 결정한다. 아울러, 기업이미지 향상, 기업문화 확산, 기업홍보 등을 위해 대학생, 청소년,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한 각종 이벤트를 주최하기도 한다.
구직자(주로 대학생)가 필요로 하는 각종 활동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다. 다만, 범람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떠한 정보가 자신의 분야와 관심에 부합하는 것인지 일일이 체크하는 것은 쉽지 않고, 꼭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여 좋은 기회를 실기하는 일도 빈번히 발생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아래 [선행기술문헌] 목록은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인력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중개하는 각종기술들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구직자가 각종 이벤트를 수행하더라도 이벤트의 최종 결과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구직자의 진행과정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특허 10-1917139 "구인 구직 플랫폼 제공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2. 등록특허 10-1470579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3. 공개특허 10-2017-0117670 "단체 구인 및 구직 서비스제공 방법 및 서버"
본 발명은 구직자의 대내외적인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직자의 주제/분야별 수행능력, 성향 등을 분석여 객관적인 지표를 구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온라인 이벤트에 대한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이벤트를 기설정된 분야별로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로부터 분류된 분야별로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기설정된 점수기준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메신저 활동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유저의 메신저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저 컴포넌트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 및 점수를 로딩하여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펜타곤 방사형 그래프로 시현하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카테고리별 점수를 수신하여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카테고리 중 상위 4순위까지의 카테고리의 대표 키워드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이벤트를 IT/과학, 환경/에너지, 기획, 미디어, 디자인, 영상/사진, 컬쳐, 경영/경제, 여행, 소셜 및 봉사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유저 컴포넌트는, 펜타곤 방사형 그래프 및 대표 키워드는 프라이빗 UI상에 동시에 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키워드는 활동, 주도, 배려, 외향, 친화, 적극, 성취 및 참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활동 내역은, 이벤트 지원, 이벤트 지원 합격, 최종 수상, 관심 이벤트 등록, 추가지원 및 추가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는 공모전 및 글로벌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저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유저의 이벤트 스코어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데이터 베이스의 이벤스 스코어를 로딩하여 총 이벤트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랭킹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랭킹 컴포넌트는, 유저별 총 이벤트 스코어를 비교하여 상위 10% 이내에 속하는 유저들을 선택하며, 총 이벤트 스코어가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랭킹 컴포넌트는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로 정렬하여, 유저 컴포넌트는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 순서로 시현할 수 있도록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랭킹 컴포넌트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주기별로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한편,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단체 대화방 생성 여부, 단체 대화방 팀장지위 획득 여부, 팔로잉 및 팔로워 상호 일치 여부, 타 유저로부터 획득한 호감도 스코어, 이벤트 외부 공유, 공모전 지원, 메신저 로그인 및 3일 이상 유지되는 대화방의 참여횟수가 50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근거로 유저에게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유저의 이벤트 수행시 오프라인 참여 여부에 따라 유저의 성향을 외향성 또는 내향성으로 판단하며, 유저 컴포넌트는 외향성 또는 내향성에 따라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의 배경화면의 색깔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이벤트 활동내역 및 메신저 활동내역을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이벤트 활동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을 로딩하여 관리자가 기 설정한 소정 조건을 달성하는 경우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현할 칭호 및 알림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알림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은 유저가 활동한 이력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므로 유저 자신의 객관적인 능력, 성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플랫폼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를 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메인페이지 하단부의 실시예이다.
도 4는 메인 페이지 하단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키워드 설정 UI의 실시예이다.
도 6은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을 시행하는 과정의 실시예이다.
도 7은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서 생성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실시예이다.
도 8은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서 생성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메신저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UI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메신저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UI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은 메신저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UI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는 프라이빗 UI의 실시예이다.
도 13은 프라이빗 UI에 유저의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 및 참여 이벤트 리스트를 구분하여 현시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 구비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서 주제/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분야를 도시한 룩업테이블이다.
도 17은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구비된 점수기준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구비된 점수기준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알림 컴포넌트에 구비된 칭호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니다.
도 20은 프라이빗 UI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경력관리"란 개인 유저(User) 입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고, 자신의 다양한 활동 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상기 "인사관리"란 기업(각종 단체, 지자체 등 포함) 입장에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공고, 모집, 사업관리, 평가 등을 수행해야 하는 여러 가지 행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통칭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에서 '유저'란 메신저를 사용하는 개인을 뜻하며, 일 예로 구직활동하거나 여러 사회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가지고 본 발명 플랫폼을 이용하는 개인으로서,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의 젊은층이 될 수 있다. 또한 ‘유저’의 다른 예로 직장인과 같이 동일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죌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기업'은 회사법인은 물론 지방자치단체, 학회, 협회, 정부기관 등 사용자 또는 행사 운영자가 될 수 있는 주체 전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벤트'는 사원채용, 인턴채용, 공모전, 강연, 봉사활동 등 기업이 주최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을 통칭함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는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플랫폼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플랫폼은 프로그램과 온라인 사이트가 혼용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저 컴포넌트(User Component), 메신저 컴포넌트(Messenger Component),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Event Management Component)와 기업 컴포넌트(Enterprise Component)를 구분하여 각각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유저 컴포넌트, 메신저 컴포넌트,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는 모바일용 앱으로 제작하여, 모바일 단말기에서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업 컴포넌트 역시 모바일용 앱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기업의 인사관리 지원 측면에서 PC용 프로그램으로 제작, 배포할 수 있다. 관리 컴포넌트(Management Component)는 플랫폼 운용 주체가 관리·감독하는 관리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유저의 기본정보를 수집하고, 키워드 설정 UI및 프라이빗 UI를 제공할 수 있다. 기본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식별정보 및 성별, 학력, 나이,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한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며, 이러한 기본정보는 유저가 본 발명 플랫폼을 이용하기 위한 회원 등록시 입력토록 하거나, 유저의 동의 하에 SNS와의 링크를 통해 제공받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정보에는 대학생, 직장인, 기업, 외국인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정보 수집에 따라 본 발명 플랫폼에서는 유저별로 프라이빗 UI를 제공함으로써, 프라이빗 UI를 통해 최적 정보 수신, 스케줄 관리, 작업 관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본정보는 유저의 선택에 의해 선별적으로 공개할 수 있다.
기업정보는 회사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포함하며, 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만이 기업 컴포넌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기업 컴포넌트에서는 이벤트 설정 툴, 평가 지원 툴, 평가서 편집 툴, 평가관 등록-관리 툴을 포함한 이벤트 설정에 필요한 다양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기업 컴포넌트는 이벤트의 일정, 주제, 내용 등의 이벤트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업 컴포넌트에 대하여는 차후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 컴포넌트는 유저 컴포넌트와 기업 컴포넌트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저별 설정 키워드에 맞추어 선별된 추천 이벤트 리스트를 이벤트별 지원서 서식과 매칭하여 제공하여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로 제공할 수 있다. 지원서 서식은 첨부 파일 또는 딥링크(Deep-Link)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컴포넌트는 기업 컴포넌트를 통해 이벤트가 등록될 때마다 각 유저의 설정 키워드에 맞추어 추천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프라이빗 UI에서는 추천 이벤트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유저 컴포넌트에 기본정보로 입력된 휴대전화번호, SNS 정보 등을 통해 알림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가 앱(App)으로 제공된 경우에는 앱이 설치된 단말기에서 직접 알림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모바일 앱으로 제공된 상태의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 메신저 컴포넌트 및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페이지를 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메인페이지 하단부의 실시예이고, 도 4는 메인 페이지 하단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는 서버의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제공받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메인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메인 페이지는 앱 실행시 시현되는 메인 페이지와 스크롤하여 확인할 수 있는 하단 페이지에 이벤트 정보를 시현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는 서버의 관리 컴포넌트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이벤트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추출된 이벤트는 유저의 기본정보를 근거로 관심영역의 이벤트이거나, AI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맞춤형 활동을 선정할 수 있다.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는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메인 페이지를 구성하게 된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서버의 관리 컴포넌트는 다수의 유저의 활동로그로부터 이벤트별 인기도, 급상승여부, 마감순으로 상위 랭크된 이벤트를 선정하고, 메인 페이지 생성 컴포넌트는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레이아웃으로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페이지 생성 콤포넌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기준, 검색어에 따라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현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키워드 설정 UI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의 검색시에는 키워드를 유저가 직접 입력하거나, 관심주제, 활동 내용, 활동 일정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제시된 선택지에서 복수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을 시행하는 과정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는 유저가 이벤트에 대하여 상세 정보 확인, 이벤트 지원, 이벤트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도 6을 살펴보면, 메인 페이지 또는 검색결과로 시현된 이벤트를 클릭하면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가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는 이벤트에 대한 모집기간, 서류 발표일, 면접일, 합격자 발표일, 모집정보, 활동정보, 혜택 정보와 같은 해당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신하여 현시한다. 또한 관리 컴포넌트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정보 중 후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시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서 생성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실시예이며, 도 8은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서 생성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선택에 의해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하여, 이벤트 정보가 현시되도록 하고, 유저는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저 컴포넌트의 프라이빗 UI는 추천 이벤트 리스트를 현시하고, 유저의 선택에 의해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하여, 이벤트 정보가 현시되도록 하고, 유저는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한 상태에서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컴포넌트는 기업 컴포넌트를 통해 생성된 모든 유효 이벤트(이벤트 참여자 모집 기간이 남아 있는 이벤트) 정보를 인기순(누적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 건수가 많은 순), 급상승순(단위 시간 당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 건수가 많은 순), 마감순(이벤트 참여자 모집 기간 만료일 이 짧게 남은 순), 최신순(최근에 생성된 이벤트 순) 등으로 소트(sort)하여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에 정보를 전달하고, 유저 컴포넌트를 통한 열람에 제공토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관리 컴포넌트는 특정 기업이 주최하는 이벤트, 유저가 관심 대상으로 등록한 특정 이벤트와 유사한 성격의 이벤트 등을 추출하여 이벤트 관리 컴포넌트를 통해 유저 컴포넌트에 제공토록 구성할 수 있다.물론 관리 컴포넌트에서는 전술한 소트나 추출을 통해 제공된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하는 것 외에도 별도의 키워드 입력을 통해 이벤트를 검색하고 해당 이벤트 정보 링크에 접속하여 참여 지원 또는 관심 대상 등록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관리 컴포넌트는 기업 컴포넌트를 통해 입력된 이벤트별 선정자 정보를 수령하여, 선정된 유저의 프라이빗 UI를 통해 선정 결과를 통지한다. 이에 따라 프라이빗 UI는 전술한 방식으로 알람신호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메신저 컴포넌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메신저 컴포넌트에 의해 생성되는 UI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 컴포넌트는 유저간 메신저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저간 메신저 기능에는 그룹별 종료시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종료시점에 해당 그룹의 대화창이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신저 컴포넌트는 또한 후술할 미션과 관련된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신저 컴포넌트는 이벤트별 단체대화방을 개설하여 선정된 유저의 프라이빗 UI를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체대화방은 선정된 유저 간의 교류, 기업 컴포넌트에서의 단체 공지 내용을 입력받고 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지 게시판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단체 대화방에서는 프라이빗 UI 내에서 친구목록으로 추가되지 않더라도 초대코드를 이용하여 다른 유저를 초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유저가 대화방을 개설하고 인식코드, 예를 들면 QR코드와 같은 코드를 생성하고, 다른 유저가 QR코드를 스캔하면 개설된 대화방에 자동으로 초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연락처 또는 개인 아이디를 입력하고 대화방으로 초대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른 유저를 대화방으로 초대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아이디 또는 연락처와의 연동이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어느 한 유저가 대화방을 종료하더라도 다른 대화 참여 유저와 친구리스트로 등록되지 않아 사생활과 구분된 사용이 가능하다. 즉 단체대화방과 개인 프라이빗 UI상의 친구리스트를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메신저 컴포넌트는 미션 생성툴, 모임생성툴, 설문생성툴, 투표생성툴 및 공지 게시판 생성 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션 생성툴은 유저그룹 내에서 유저별 Task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탬플릿을 제공한다. 미션 생성툴에 의해 유저는 미션의 제목, 설명, 마감일, 유저 개인별 Task, 전체 Task, 특정인 Task 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미션 생성툴에 의해 생성된 미션은 해당 그룹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프라이빗 UI 내에서 유저에게 할당된 미션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션 생성툴에서 제공하는 탬플릿에는 ‘Task’로 기술하였으나, 미현, 할일, 업무와 같은 다양한 용어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입력한 기본정보로부터 우선적으로 현시되는 용어가 선택되도록, 예를 들어 유저의 대학생군으로 분류될 경우 ‘미션’용어를 우선적으로 현시할 수 있으며, 직장인군으로 분류될 경우 ‘Task’또는 ‘업무’와 같은 용어가 우선순위로 현시되도록 구성될 있다.
모임생성툴은 그룹 내에 모임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장소, 일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탬플릿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설문생성툴은 그룹 내에서 사용자 간의 설문양식을 생성할 수 있는 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투표생성툴은 그룹 간의 투포에 관한 양식을 생성할 수 있는 탬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공지 게시판 툴은 단체대화방별로 확인할 수 있는 공지를 생성할 수 있는 탬플릿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프라이빗 UI의 실시예이며, 도 13은 프라이빗 UI에 유저의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 및 참여 이벤트 리스트를 구분하여 현시된 상태의 실시예이다. 본 도면에서는 ‘이벤트’가 ‘로켓’으로 표현되어 현시되어 있다.
프라이빗 UI는 유저의 참여지원 이벤트 리스트,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 및 참여 이벤트 리스트를 구분하여 제공토록 구성할 수 있다.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에서는 이벤트별로 "지원 완료", "작성중", "선발중" 등의 용어로 분류된 상태 정보가 현시되도록 할 수 있다.
"지원 완료"는 이벤트 정보를 통해 제시된 지원서를 작성을 포함한 필요 서류 제출 또는 정보 입력을 마무리하였으나 모집기간이 남아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작성중"은 이벤트 참여 신청 후 지원서 등의 제출을 완료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선발중"은 유저의 이벤트 참여신청 완료 후 모집기간이 경과하였으나 관리 컴포넌트가 기업 컴포넌트를 통해 선정자 정보를 수령하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유저 컴포넌트의 프라이빗 UI를 통해 "작성중"으로 분류·현시된 이벤트 링크를 통해서는 작성중인 지원서를 열어 내용으로 보충, 저장토록하고, "지원 완료"나 "선발중"으로 분류·현시된 이벤트 링크를 통해서는 작성 완료된 지원서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지원완료"로 분분류·현시된 이벤트 링크를 통해 열람한 지원서는 갱신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선발중"으로 분류·현시된 이벤트 링크를 통해 열람한 지원서는 갱신 등록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 상의 모든 이벤트에 대해서는 유저의 의사에 따라 참여 신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컴포넌트에 취소 사항이 통지되도록 할 수 있다.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 상의 이벤트 정보에 대해서는 타 유저와의 정보 공유를 위한 "공유하기", 이벤트 참가 지원을 위한 "지원하기", 관심대상 이벤트 리스트에서 제거하기 위한 "삭제" 등의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컴포넌트가 기업 컴포넌트로부터 선정자 정보를 수령함으로써, 선정된 유저의 프라이빗 UI 상에는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 상에 나타나 있는 이벤트 정보가 참여 이벤트 리스트로 자동 전환·현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참여 이벤트 리스트에서는 이벤트별로 곧바로 단체대화방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프라이빗 UI를 통해 스케줄 관리 템플릿을 제공하고, 관리 컴포넌트는 실시간으로 유저별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 및 참여 이벤트 리스트에서 일정 정보를 추출하여 스케줄 관리 템플릿에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참여 지원 이벤트 리스트나 관심 대상 이벤트 리스트에서는 주로 이벤트별 지원 기간 마감 정보를 추출할수 있으나, 참여 이벤트 리스트에서는 이벤트별로 후속 작업 일정(보고서 제출 마감일, 강연일, 답사일 등)을 추출하여 스케줄 관리 템플릿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부,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 랭킹 컴포넌트, 알림 컴포넌트 및 유저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 및 유저의 온라인상의 활동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부는 유저 컴포넌트, 관리 컴포넌트 및 기업 컴포넌트를 포함한 시스템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는 관리 서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유선 및 무선을 통하여 다양한 컴포넌트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벤트 정보, 즉 기업 컴포넌트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 정보에 대하여 주제 및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는 관리자가 미리 주제 및 카테고리에 대한 분야를 저장될 수 있다.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새로운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새롭게 저장된 이벤트 정보가 어떠한 분야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분류 기준에 따라 분야를 부여한뒤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 대하여는 차후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이벤트에 대한 유저의 활동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로부터 분류된 각각의 이벤트에 대한 분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전송받으며, 분야별로 유저의 활동에 대한 점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각각의 이벤트별로 유저의 이벤트 지원, 합격여부, 최종 수상여부 등과 같은 이벤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터 액션을 분석하고, 해당 이벤트가 속하는 분야별로 점수를 산출 및 합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수 기준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벤트 스코어링은 차후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의 메신저 활동 내역을 근거로 메신저 사용 점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저의 메신저 사용 점수는 유저가 수행한 활동을 성향에 따라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각각 산정될 수 있다. 메신저 사용 점수는 관리자에 이해 미리 입력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대화방의 개설, 활동, 유지, 팔로잉/팔로워 상호 일치와 같은 활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메신저 스코어링은 차후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랭킹 컴포넌트는 다수의 유저들이 획득한 이벤트 스코어를 근거로 상위 랭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랭킹 컴포넌트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벤스 스코어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받으며, 분야별로 고득점 상위 랭커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벤트가 분류된 어느 하나의 분야에서 이벤트 스코어가 상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을 선별할 수 있다. 랭킹 컴포넌트는 선별된 유저들의 이벤트 활동 내역을 분석하고 가장 많이 선택 또는 지원한 이벤트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랭킹 컴포넌트는 선별된 이벤트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부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유저 컴포넌트의 요청이 있는 경우 유저 컴포넌트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랭킹 컴포넌트는 관리자가 입력한 기간별로 이벤트 스코어의 상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이벤트를 선택한 회수를 초기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위 랭크의 독점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유저들의 선택 트랜드를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알림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의 이벤트 스코어, 메신저 스코어 및 메신저 활동내역을 근거로 프라이빗 UI에 시현될 칭호 및 알림문자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알림 컴포넌트는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칭호 및 알림문자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컴포넌트는 알림 문자에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성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할 수 있다. 알림 컴포넌트에서 생성되는 알림 문자는 유저의 이벤트 활동 및 메신서 활동의 성향을 대표할 수 있는 키워드를 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저 3인이상 참여하는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3인 이상 대화방에서 팀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주도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주도력에 관한 키워드인 ‘주도’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가 시현될 수 있도록 키워드 별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알림 컴포넌트에서의 칭호 및 알림문자에 대하여는 차후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유저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메신서 스코어링 컴포넌트, 알림 컴포넌트 및 랭킹 컴포넌트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보를 송수신하고, 프라이빗 UI(user interface)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나타난 기능 또한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서 부여된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5개의 분야에 대한 정보를 프라이빗 UI에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라이빗 UI에는 분야 이름과 분야에 대한 점수가 동시에 시현될 수 있도록 방사형 그래프로 나타날 수 있다. 일 예로서 오각형의 그래프, 즉 펜타곤 형상의 방사형 그래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컴포넌트는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의해 부여된 성향별 점수를 누적하여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유저 컴포넌트는 알림 컴포넌트로부터 선정된 키워드를 조합하여 프라이빗 UI에 시현함으로써 유저가 자신의 온라인상의 활동에 대한 성향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저 컴포넌트는 랭킹 컴포넌트에서 선정한 상위 랭커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이벤트가 유저가 프라이빗 UI 상에서 시현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컴포넌트는 유저가 관심 이벤트 또는 지원한 이벤트를 확인하는 페이지가 시현될 때 다른 이벤트와 함께 상위 랭커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이벤트를 동시에 시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16을 참조하여,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 구비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이벤트는 주제/카테고리 및 활동 내용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룩업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분류기준 중 주제는 사업 부분 또는 주제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마케팅/광고’, ‘언론/미디어’, ‘디자인/사진/영상’, ‘문화/전시/공연’, ‘푸드/헬스’, ‘패션/뷰티’, ‘리빙/동물’, ‘여행’, ‘IT/테크/과학’, ‘환경/에너지’, ‘경제/금융’, ‘창업/경영’, ‘정치/국제’, ‘사회/공익’, ‘지역사회’가 될 수 있다. 또한 분류기준 중 활동 내용은 세부적인 업무 또는 임무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획/아이디어’, ‘컨텐츠 제작’, ‘디자인’, ‘사진’, ‘영상’, ‘블로깅/SNS’, ‘기자단’, ‘토론/대회/경연’, ‘캠프’, ‘멘티’, ‘멘토’, ‘행사/패스티벌’이 될 수 있다.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전술한 분류 기준에 의하여 각각의 이벤트에 대하여 주제/카테고리 및 활동 내용을 참조하여 1차적으로 분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에서 주제/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분야를 도시한 룩업테이블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각각의 이벤트에 대하여 주제/카테고리 및 활동 내용을 근거로 대표될 수 있는 분야가 나타나 있다. 대표 분야는 ‘IT/과학’, ‘환경/에너지’, ‘기획’, ‘미디어’, ‘디자인’, ‘영상/사진’, ‘컬쳐’, ‘경영/경제’, ‘여행’, ‘소셜’ 및 ‘봉사’의 11 가지가 될 수 있다.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이벤트를 1차적으로 분류하여 판단된 주제/카테고리 및 활동 내용을 근거로 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어떠한 대표 분야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의 활동 내용에 따라 내향적 업무와 외향적 업무가 구분될 수 있도록 내향성/외향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이벤트별로 외향적인 경우 +1의 값을, 내향적인 경우 -1의 값이 부여될 수 있다. 결국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최종적으로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어떤 대표 분야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구비된 점수기준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각의 대표 분야와 활동 내용별로 점수를 산정하는 기준이 나타나 있다.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서는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점수가 산정될 수 있다. 산정된 이벤트 점수를 기준으로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의 이벤트 진행, 달성, 성과와 관련된 온라인상의 활동 내역을 분석하여 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 유저의 활동 내역별로 정산된 점수는 각각의 대표 분야별로 합산될 수 있다.
점수의 산정을 위한 유저의 활동 내역은 ‘지원’, ‘1차 합격’, ‘활동 완료 최종 수상’, ‘찜하기’, ‘기수별 추가지원’ 및 ‘기수별 추가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각각의 활동 내역에 따라 부여되는 이벤트 점수의 배분은 지원하는 경우 2%, 1차 합격하는 경우 10%, 활동 완료 최종 수상시 88%로 배분될 수 있다. 또한 ‘찜하기’로 해당 이벤트에 관심을 표시한 경우 0.5%의 가산점이 추가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기수별 추가 지원에 대한 활동은 5%의 가산점수, 기수별 추가 활동은 10%의 가산점이 부여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세부 활동 내역에 따른 점수 기준은 일 예일 뿐 관리자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조정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이벤트 활동 내역에 따라 대표 분야별로 산정된 누적 점수는 유저 컴포넌트에 의해 프라이빗 UI를 통하여 시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차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가 유저의 메신저 활동 내역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는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구비된 점수기준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룩업 테이블에 포함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 스코어를 산정하고, 각각이 메신저 활동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총합을 계산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스코어를 획득하기 위한 조건은 특정 행위별로 선정될 수 있다. 특정 행위는 메신저를 이용한 다양한 유저의 활동 내역 중 성향과 인과관계가 있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특정 행위는 3인 이상의 대화방(로켓톡)을 개설, 3인 이상 대화방을 개설하고 팀장의 역할을 수행, 팔로잉/팔로워 상호 일치, 호감도 증가, 이벤트 외부 공유, 이벤트 지원, 3일 이상 유지되는 대화방 50회 이상 채팅 참여 시, 로그인/댓글 1회, 이벤트 각 단계 합격시,및 이벤트 미션 완료가 될 수 있다.
이후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전술한 유저의 메신저 상의 행위에 대하여 점수를 산정하고, 메신저 활동 내역이 해당하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3인 이상의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개설된 3인 이상의 대화방에서 팀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행위는 주도적인 성향을 반영하므로, 주도력에 대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팔로잉/팔로워 상호 일치시, 호감도 증가는 유저간 관계에서 친화력이 상승하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므로 ‘친화력’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각각의 행위에 대한 점수는 일 예로서 1 내지 7점으로 부여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점수는 일 예일 뿐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의해 산정된 점수는 카테고리별로 합산되어 데이터 베이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후 유저 컴포넌트에 의해 프라이빗 UI에 시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알림 컴포넌트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알림 컴포넌트에 구비된 칭호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니다.
도 19를 참조하면, 알림 컴포넌트는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을 근거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칭호 및 알림 문자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알림 컴포넌트는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을 로딩하고, 조건별로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 칭호 및 알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칭호 및 알림 메시지를 유저 컴포넌트 및 데이터 베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다.
알림 컴포넌트는 유저가 직관적으로 자신의 활동 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칭호 및 알림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새롭게 시스템에 가입하여 시작하는 유저가 서비스 가입 후 튜토리얼을 완료하는 경우 ‘로켓 스타터’라는 칭호를 선택하며, 프라이빗 UI에 시현될 알림 메시지를 ‘축하합니다. ‘로켓 스타터’칭호를 획득하였습니다!’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유저가 ‘IT/과학 카테고리 활동/ 공보전 5회 이상 참여’ 이력이 있는 경우 ‘과학계 샛별’의 칭호를 선택하며, 알림 메시지로서 ‘축하합니다. ‘과학계 샛별’칭호를 획득하였습니다!’의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다. 결국 알림 컴포넌트는 유저의 이벤트 및 메신서 활동 내역에 근거하여 칭호 부여 및 알림을 수행하므로 유저가 직접 자신의 온라인 상의 활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유저 컴포넌트에 의해 유저의 상태(status)가 시현된 프라이빗 UI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프라이빗 UI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유저 컴포넌트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의해 부여된 점수를 프라이빗 UI 상에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프라이빗 UI 중 상태(status) 시현 영역을 분할하여 펜타곤 영역(Ap)과 알림 영역(An)을 분할하여 시현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펜타곤 영역(Ap) 내에, 전술한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의해 선정된 고득점 상위 5개의 분야와 각각의 분야에 대한 점수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5각형 방사형 그래프로 시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여행, 금융, 마케팅, 디자인 및 미디어에 대한 점수가 시현되어 있다. 또한, 이벤트의 활동 내역의 외향/내향의 성향에 따라 펜타곤 영역의 배경의 색깔을 서로 다르게 시현할 수 있다.
유저 컴포넌트는 알림 영역(An) 내에,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에 의해 카테고리별로 합산된 점수를 시현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중 고득점 상위 4개의 카테고리에 대한 대표 키워드를 선정하여 성향을 시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활동’, ‘주도’, ‘배려’, ‘외향’, ‘친화’, ‘적극’, ‘성취’ 및 ‘참여’중 높은 점수를 획득한 카테고리에 연관되는 키워드를 조합할 수 있다. 선정된 키워드는 문장의 형태로 함께 시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활동적이고 배려깊은 외향적 리더’의 문장의 형태로 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은 유저가 활동한 이력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므로 유저 자신의 객관적인 능력, 성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Ap: 펜타곤 영역
An: 알림 영역

Claims (13)

  1. 온라인 이벤트에 대한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 및 메신저 활동 내역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이벤트를 기설정된 분야별로 분류하는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
    상기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로부터 분류된 상기 분야별로 상기 유저의 이벤트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기설정된 점수기준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상기 메신저 활동 내역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유저의 메신저 활동 내역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
    상기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상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저 컴포넌트는,
    상기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점수 상위 5순위 까지의 분야 및 점수를 로딩하여 상기 유저의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펜타곤 방사형 그래프로 시현하며,
    상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카테고리별 점수를 수신하여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테고리 중 상위 4순위까지의 카테고리의 대표 키워드를 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분류 컴포넌트는,
    상기 이벤트를 IT/과학, 환경/에너지, 기획, 미디어, 디자인, 영상/사진, 컬쳐, 경영/경제, 여행, 소셜 및 봉사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컴포넌트는,
    상기 펜타곤 방사형 그래프 및 상기 대표 키워드는 상기 프라이빗 UI상에 동시에 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키워드는 활동, 주도, 배려, 외향, 친화, 적극, 성취 및 참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활동 내역은, 이벤트 지원, 이벤트 지원 합격, 최종 수상, 관심 이벤트 등록, 추가지원 및 추가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공모전 및 글로벌 활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상기 유저의 이벤트 스코어를 데이터 베이스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의 이벤스 스코어를 로딩하여 총 이벤트 스코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랭킹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컴포넌트는,
    상기 유저별 상기 총 이벤트 스코어를 비교하여 상위 10% 이내에 속하는 유저들을 선택하며,
    상기 총 이벤트 스코어가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를 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컴포넌트는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로 정렬하여,
    상기 유저 컴포넌트는 상기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 순서로 시현할 수 있도록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랭킹 컴포넌트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상위 10% 내에 해당하는 유저들이 선택한 이벤트의 선택회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단체 대화방 생성 여부, 단체 대화방 팀장지위 획득 여부, 팔로잉 및 팔로워 상호 일치 여부, 타 유저로부터 획득한 호감도 스코어, 이벤트 외부 공유, 공모전 지원, 메신저 로그인 및 3일 이상 유지되는 대화방의 참여횟수가 50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근거로 상기 유저에게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상기 유저의 상기 이벤트 수행시 오프라인 참여 여부에 따라 상기 유저의 성향을 외향성 또는 내향성으로 판단하며,
    상기 유저 컴포넌트는 상기 외향성 또는 내향성에 따라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의 배경화면의 색깔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스코어링 컴포넌트 및 상기 메신저 스코어링 컴포넌트는 상기 이벤트 활동내역 및 상기 메신저 활동내역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이벤트 활동내역 및 상기 메신저 활동 내역을 로딩하여 관리자가 기 설정한 소정 조건을 달성하는 경우 프라이빗 유저 인터페이스에 시현할 칭호 및 알림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알림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0200051064A 2020-04-27 2020-04-27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39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64A KR102390926B1 (ko) 2020-04-27 2020-04-27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064A KR102390926B1 (ko) 2020-04-27 2020-04-27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533A KR20210132533A (ko) 2021-11-04
KR102390926B1 true KR102390926B1 (ko) 2022-04-26

Family

ID=7852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064A KR102390926B1 (ko) 2020-04-27 2020-04-27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9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68B1 (ko) 2012-03-13 2014-10-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발적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4-10-16 최현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KR101779397B1 (ko) 2016-04-14 2017-09-18 주식회사 솔투온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관리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831925B1 (ko) 2016-12-21 2018-02-23 스토리앤브라더스(주) 인재와 프로젝트를 매칭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46122B1 (ko) 2017-05-15 2018-04-05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579B1 (ko) 2013-09-10 2014-12-09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고용 브랜드 강화 및 인재 풀 확보를 위한 멘토링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멘토링 서비스 방법
KR20170110453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더콘테스트 공모전을 이용한 인재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17670A (ko) 2016-04-14 2017-10-24 윤주열 단체 구인 및 구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80053966A (ko)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공모전 관리 시스템
KR101917139B1 (ko) 2018-01-12 2018-1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인 구직 플랫폼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068B1 (ko) 2012-03-13 2014-10-0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발적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4-10-16 최현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KR101779397B1 (ko) 2016-04-14 2017-09-18 주식회사 솔투온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관리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831925B1 (ko) 2016-12-21 2018-02-23 스토리앤브라더스(주) 인재와 프로젝트를 매칭하기 위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46122B1 (ko) 2017-05-15 2018-04-05 주식회사 케이콘테스트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공모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533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cholas et al. Early career researchers: Scholarly behaviour and the prospect of change
Cotton et al. On becoming extraordinary: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developmental networks of Major League Baseball Hall of Famers
Nanda et al. Workplace peers and entrepreneurship
US9405807B2 (en) Personnel recrutement system using fuzzy criteria
Lampe et al. Inherent barriers to the use of social media for public policy informatics
US201602415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ocial recruiting network
Granados et al. How do collaborative practices contribute to innovation in large organisations? The case of hackathons
US2013018521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ocial recruiting network
Gammelgaard Knowledge retrieval through virtual communities of practice
Martí-Audí et al.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Spanish call centre sector: The bird cage model of call centre work
Mousa et al. Why him not ME? Inclusive/exclusive talent identification in academic public context
Yuen et al. Surveying spontaneous mass protests: Mixed-mode sampling and field methods
Treverton New tools for collaboration
Wenger et al. Social media and the army: Implications for outreach and recruiting
KR102307497B1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ampeau “The right way, the wrong way, and the Blueville way”: standards and cultural match in the police organization
KR102390926B1 (ko)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Guo et al. “We Work in International Companies”: Affordances of Communication Media in Chinese Employe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EP281287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social recruiting network
Schlesinger The suitability of social media for headhunters to recruit managers from and for the fashion business
KR20200109787A (ko)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 플랫폼
Kitchin Using a dual-sited organizational ethnography to examine change within and between community sport organizations
Vahidi et al. Examining career transition narrativ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justice: a critical study of the British Press
Thomson Can we heal ourselves? Transforming conflict in the restorative justice movement
von Thülen et al. Challenges in Digital Work–Exploring Solutions to Improve Team Identification in Virtual T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