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176B1 -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176B1
KR101450176B1 KR1020120103374A KR20120103374A KR101450176B1 KR 101450176 B1 KR101450176 B1 KR 101450176B1 KR 1020120103374 A KR1020120103374 A KR 1020120103374A KR 20120103374 A KR20120103374 A KR 20120103374A KR 101450176 B1 KR101450176 B1 KR 10145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job search
competition
members
applic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802A (ko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최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호 filed Critical 최현호
Priority to KR102012010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1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특정 주제에 대한 공모전 정보를 게시하는 공모전 정보 게시부; 상기 게시된 특정 주제에 대해서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출력된 공모전 주제에 대해서 다수의 응모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수신하는 응모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공개하는 응모데이터 게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RECRUIT SYSTEM OF ONLINE OPEN CONTEST}
본 발명은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모전 주제에 대한 응모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하거나, 별도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하는 방식을 통하여 구인구직이 이뤄지도록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기업은 더 나은 인재를 채용하려고 하는 반면, 수많은 구직자는 더 좋은 직장을 찾는데 혈안이 되어 있다.
이를 위한 채용방식은 대부분 구인공고를 신문 등의 일간지 또는 온라인 취업 사이트상에 게시하면 구직자가 구인공고를 본 후 이력서 등을 기업의 채용담당자에게 우편 또는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 이력서 등을 통한 인재채용방식은 구직자가 이력서 등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기업과 구직자 간 일대일 접촉방식이다. 이에 따라 구직자는 이력서 제출이라는 과정을 많이 반복해야 구직의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업에서는 소정 직무와 관련되는 주제에 대해서 공모전을 통해서 재능있는 인재를 발굴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모전을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된 심사자들이 필요하며 많은 참가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많은 홍보비용, 상금 및 행사비용의 지출이 요구되므로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공모전에 응모한 개인의 아이디어나 재능이 취업과 무관하게 공모전을 주최한 기업에 귀속될 수 있으며 공모전에 응모한 개인의 아이디어나 재능 등의 심사가 폐쇄적으로 이루어져 투명한 심사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의구심 때문에 공모전 응모를 꺼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공모전에 당선되는 아이디어나 재능을 제공한 응모자가 취업과 연계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24821(공개일: 2002년 04월 03일)이 개시된다.
공모전 주제에 대한 응모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하거나 별도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하는 방식을 통하여 구인구직이 이뤄지도록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특정 주제에 대한 공모전 정보를 게시하는 공모전 정보 게시부; 상기 게시된 특정 주제에 대해서 다수의 응모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수신하는 응모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공개하는 응모데이터 게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각각의 응모데이터를 다중 평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하는 공모전 순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은, 기업회원들과 비기업 회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업회원들은, 상기 공모전을 주최한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이외의 비주최 기업회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비기업 회원들은, 상기 다수의 응모자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 이외의 개인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모전 순위 결정부는,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 상기 다중 평가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응모데이터 게시부는,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게 각각 응모 데이터의 형태나 용량에 따라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상기 응모데이터 게시부는,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게 각각 청구된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공모전의 공모총액에 합산할 수 있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응모자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이력 정보는, 성별, 나이, 경력정보 및 자격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의 제공에 대한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되는 응모자들,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운영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IDentification) 마다 매치되는 개인연락처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 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간 통신연결을 중계하거나 통신연결 요청을 차단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의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된 공모전의 특정 주제와는 별도로, 다수의 재능응모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수신하는 재능데이터 수신부; 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공개하여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 각각의 재능이 홍보되도록 하는 재능데이터 게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양상에 따른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되는 재능응모자들 및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의 운영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지급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양상에 따른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IDentification) 마다 매치되는 개인연락처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 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간 통신연결을 중계하거나 통신연결 요청을 차단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에 따르면, 구직자가 온라인 공모전의 주제에 대한 응모 데이터를 제작하여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한 상태에서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된 구직자의 응모 데이터를 본 관심 있는 기업들이 해당 구직자에 대한 구인절차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구직자가 지원하고자 하는 기업에 일일이 이력서 등을 제출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공모전을 주최하는 주최기업이 아닌 비주최 기업이라도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응모 데이터 또는 재능 데이터를 공개한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구직자의 취업의 기회가 넓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 공모전의 주제가 세분화된 주제이므로 구직자가 기업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쉽고 기업에서는 원하는 적절한 인재발굴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수의 구직자가 온라인 공모전에 응모하는 경우 그에 따른 정보를 기업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구직자의 능력을 다양하게 검토할 수 있다.
온라인 공모전에 응모하는 응모자들의 응모 데이터들이 모두 온라인상에 공개된 후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의 평가 및 응모자들의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응모 데이터의 평가를 외부 전문가 등의 섭외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응모데이터에 대한 평가 내역 들이 온라인상에 모두 공개가 되므로, 온라인 공모전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 응모자들의 평가에 대한 의심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공모전에 응모된 응모 데이터들 또는 재능 데이터들이 모두 공개되므로 사장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기업발전에 이용할 수 있고 이는 결국 국가발전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응모 데이터들 또는 재능 데이터들이 모두 공개되므로, 공모전 주최 기업 또는 공모전 비주최 기업도 응모자의 재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구직자가 이력서 제출이나 기업 정보 검색에 할애되는 시간 및 노력을 줄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인구직 시스템(4)은 공모전 정보 게시부(5), 응모데이터 수신부(6) 및 응모데이터 게시부(7)를 포함하며,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공모전 주최기업의 단말기(1), 다수의 비주최 기업의 단말기(2-1,...,2-n) 및 다수의 응모자의 단말기(3-1,...,3-n)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서 구인구직 시스템(4)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주최기업의 단말기(1), 다수의 비주최 기업의 단말기(2-1,...,2-n) 및 다수의 응모자의 단말기(3-1,...,3-n) 각각도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구인구직 시스템(4)과 통신하기 위해서 단말기 내에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구인구직 시스템(4)은 온라인 공모전을 통한 구인구직에 이용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서 온라인 공모전이 이뤄지고 이 온라인 공모전에 응모하기 위해서는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어야 하며, 또한 온라인 공모전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어야 한다.
이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은 기업회원들과 비기업 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회원들은 상기 공모전을 주최한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이외의 비주최 기업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기업 회원들은 상기 다수의 응모자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 이외의 개인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입회원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각각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구인구직 시스템(4)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응모 데이터 수신부(6)는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4)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된 공모전 정보 내 공모전의 특정주제에 대해서 다수의 응모자의 단말기(3-1,...,3-n)로부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각각의 응모 데이터는 구인구직 시스템(4) 내의 저장장치(미도시) 또는 구인구직 시스템(4) 외부에 별도의 저장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모전의 특정주제는 공모전을 주최한 주최기업의 단말기(1)로부터 수신되어 구인구직 시스템(4) 내의 공모전 정보 게시부(5)에 의해서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될 수 있다. 상기 공모전의 특정주제는 주최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재의 능력을 시험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개인의 전문성을 심사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모전의 특정주제는 주최기업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인재를 발굴할 수 있으므로 세분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공모전의 특정주제에 지역범위까지 한정하여 온라인 공모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공모전의 지역범위를 서울 동작구로 한정하고, 상기 공모전의 특정주제를 "헤어 염색 중 붉은색 계열의 염색"으로 할 수 있으며, 온라인 공모전의 기간을 1개월로 한정할 수 있다.
응모데이터 게시부(7)는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공개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뿐만 아니라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비회원들도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로, 공모전의 지역범위가 서울 동작구이고 공모전의 특정주제가 헤어 염색 중 붉은색 계열의 염색이고 공모전 기간이 1개월인 경우, 응모데이터 게시부(7)는 서울 동작구에 거주하거나 서울 동작구로 출퇴근 가능한 구직자들 중 붉은색 계열의 염색을 할 수 있는 구직자들이 붉은색 계열의 염색과 관련된 응모 데이터를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 해당 응모 데이터를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응모자의 단말기(3-1,...,3-n)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응모 데이터는 공모전의 특정주제와 관련된 사진, 공모전의 특정주제와 관련된 동영상, 자료작업과정에 대한 부연설명, 공모전의 특정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모 데이터는 붉은색 계열의 염색을 한 사진, 붉은색 계열의 염색을 진행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들, 붉은색 계열의 염색을 진행하는 과정을 담은 동영상, 붉은색 계열의 염색과 관련된 아이디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응모자들은 좀 더 나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 방대한 자료를 올리려 노력할 것이기에, 응모 데이터 게시부(7)는 각각 응모 데이터의 형태나 용량에 따라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모 데이터의 용량이 허용 값 이상인 응모 데이터를 전송한 응모자에게 데이터 초과에 상응하는 금액을 요구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응모데이터 게시부(7)는,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게 각각 청구된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공모전의 공모총액에 합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공모전 현상금이 증가하게 되어 공모전에 많은 응모자가 응모하게 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응모 데이터 게시부(7)는 응모자들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할 때 응모자의 현재 구인구직상태정보를 함께 게시할 수 있다. 상기 응모자의 현재 구인구직상태정보는, 예를 들어 구직희망, 이직희망, 프리랜서 등일 수 있다.
한편 구인구직 시스템(4)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각각의 응모데이터를 다중 평가하는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하는 공모전 순위 결정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중평가방식은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와,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공모전 순위 결정부(8)는,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 상기 다중 평가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평가방식의 진행순서는, 먼저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평가가 이뤄진 후 그 평가결과에 대해서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한 평가가 진행되거나,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평가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한 평가가 동시에 진행되거나, 먼저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의한 평가가 이뤄진 후 그 평가결과에 대해서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한 평가가 진행되는 순서로 이뤄질 수 있다.
이렇게 공모전 순위 결정부(8)는 상기 다중평가방식을 통해서 이뤄지는 평가 내역을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다중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응모자 간 경쟁을 유도할 수 있으며 공모전의 특정주제에 대한 다수의 응모자의 안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에 의해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 이유는 다수의 응모자 각각이 공모전의 특정주제에 대한 자신의 응모 데이터가 좋은 평가를 받도록 주변 사람들을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도록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서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 수가 증가할 수 있고 다수의 응모자 각각이 주변 사람들을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으로 가입 요청하는 과정에서 공모전의 홍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서 공모전의 홍보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응모자는 자신의 응모 데이터 이외의 다른 응모 데이터들에 대해서 의무적으로 정책상 설정된 일정 수 이상 투표를 하여야 한다.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공모전의 특정주제에 대한 응모데이터의 게시는 유지하되, 포상 순위 대상자에서 제외하는 형태로 제재를 가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내역에 대한 공개로 기업가입회원으로 하여금 해당 응모자의 눈썰미를 짐작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이로써 응모자로 하여금 성실한 투표를 독려할 수 있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4)은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응모자 정보 제공부(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인 이력 정보는, 성별, 나이, 경력정보 및 자격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응모자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는 후술할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응모자 정보 제공부(9)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의 제공에 대한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응모자 정보 제공부(9)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되는 응모자들,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운영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이 공모전 비주최 기업회원인 경우, 응모자 정보 제공부(9)는 공모전 비주최 기업회원에게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하고, 공모전 비주최 기업회원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하는 응모자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운영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모전 주최기업이 아닌 비주최 기업이 정보제공비용을 제공하고 관심 있는 응모자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응모자의 구인을 검토해볼 수 있기 때문에, 응모자의 취업 기회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비주최 기업이 관심 있는 응모자에게 비주최 기업이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급함으로써, 응모자가 제공된 비용을 새로운 온라인 공모전의 응모에 활용할 수 있어서 결국 성실한 구직자의 구직활동을 독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4)은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와 중계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기 위해서는 가입시 개인연락처정보를 입력해야하고 구인구직 사이트로부터 인증을 받아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면 가입회원에게는 개별 ID(IDentification)가 부여된다. 이 가입회원의 ID와 개인연락처정보는 서로 매치(match) 되어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다.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는 다수의 가입회원들 각각의 ID와 이에 매치되는 개인연락처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각각의 개인연락처정보는 이메일(E-mail) 주소, 모바일 전화번호, 집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집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부(11)는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 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간 통신연결을 중계하거나 통신연결 요청을 차단한다. 이때 중계부(11)를 통한 가입회원들 간의 통신 연결 및 통신연결 요청은 가입회원들 각각의 단말기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중계부(11)는 임의의 가입회원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개인연락처 정보를 상기 임의의 가입회원의 상대방 가입회원에게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임의의 가입회원의 ID 및 상대방 가입회원의 ID만을 이용하여, 상호 간의 통신연결을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가입회원이 A가입회원의 ID, 연결하고자 하는 B가입회원의 ID 및 B가입회원과의 통신연결 요청정보를 포함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중계부(11)에 전송하면, 중계부(11)는 상기 연결 요청메시지를 B가입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B가입회원은 A가입회원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중계부(11)에 A가입회원과의 연결 허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연결 허락 메시지는 B가입회원의 ID, 연결허락 대상인 A가입회원의 ID를 포함하거나, B가입회원의 ID, 연결허락 대상인 A가입회원의 ID 및 B가입회원의 개인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부(11)는 B가입회원으로부터 수신된 연결 허락 메시지를 A가입회원에게 전송한다. 이후 A가입회원은 연결허락 메시지에 B가입회원의 ID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 A가입회원의 개인연락처정보, A가입회원의 ID 및 A가입회원의 연결상대방인 B가입회원의 ID를 포함한 연결 메시지를 중계부(11)를 통해 B가입회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B가입회원은 연결 메시지 내 A가입회원의 개인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A가입회원과 직접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허락 메시지에 B가입회원의 개인연락처정보까지 포함되어 있는 경우 A가입회원은 B가입회원의 개인연락처정보를 이용하여 B가입회원과 직접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상대방 가입회원으로부터 상기 임의의 가입회원과의 연락차단을 요청받게 되면, 중계부(11)는 상기 임의의 가입회원에게 상기 상대방 가입회원과의 통신연결 차단 대상임을 통보하고, 이후에 상기 임의의 가입회원으로부터 상기 상대방 가입회원과의 통신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가입회원들은 각각의 상대방에 따라 개인연락처 정보를 보호하는 상태로 중계부(11)를 통해서 지속적인 연락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차단할 수도 있고, 개인 연락처 정보를 개별적으로 공개할 수도 있다. 이때 중계부(11)는 통신연결을 요청한 가입회원에게 통신연결 방식에 따라 비용청구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계부(11)는 가입회원들 각각의 개인연락처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서 가입회원들 각각의 개인연락처정보를 가입회원들의 ID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사이에서 통신연결을 중계함으로써, 개인정보를 보호하며, 가입회원의 일방적 연락이나 연락처 수집, 스팸, 스토킹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불특정 다수에 정보 공개를 꺼리는 가입회원들의 구인구직 사이트 이용을 독려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도 1의 구인구직 시스템(4)은 공모전을 주최한 기업이 있고 공모전의 특정 주제에 대해서 다수의 응모자가 응모한 응모 데이터들을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한 상태에서,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의 평가 및 다수의 응모자의 평가로 이뤄지는 다중평가방식을 통해 공모전의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정해진 공모전의 특정 주제와 무관한 별도의 주제에 대해서 재능을 가진 응모자(재능 응모자)가 주제가 정해진 공모전과 무관하게 재능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에 공개하여 재능 응모자의 구직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구인구직 시스템이 후술할 도 2에 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20)은, 재능데이터 수신부(21)와 재능데이터 게시부(22)를 포함하며,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다수의 가입회원의 단말기(15-1,...,15-n), 다수의 재능 응모자의 단말기(16-1,...,16-n)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서 구인구직 시스템(20)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다수의 기업(회원)의 단말기(15-1,...,15-n)와 다수의 재능 응모자의 단말기(16-1,...,16-n) 각각도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구인구직 시스템(20)과 통신하기 위해서 단말기 내에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구인구직 시스템(20)은 온라인 공모전을 통한 구인구직에 이용되는 구인구직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서 다수의 재능응모자가 각각의 재능 데이터를 공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재능응모자는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이 되어야 한다.
이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은 기업회원들과 비기업 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회원들은 상기 공모전을 주최한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이외의 비주최 기업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기업 회원들은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 및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 이외의 개인회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입회원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각각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으며 구인구직 시스템(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재능데이터 수신부(21)는 구인구직 시스템(20)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된 공모전의 특정 주제와 별도로,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단말기(16-1,...,16-n)로부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한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는 구인구직 시스템(20) 내의 재능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거나 구인구직 시스템(20) 외부에 위치한 별도의 저장서버(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재능데이터 게시부(22)는 구인구직 시스템(20)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공개한다.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가 구인기업들에게 자연스럽게 노출되기 때문에 재능응모자의 구직활동노력을 감소해준다. 즉, 기존 구인구직 방식에서 재능응모자가 구직을 위해서 구직하고자 하는 기업마다 이력서 등을 제출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20)은,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23)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할 수 있다.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23)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되는 재능응모자들 및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20)의 운영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지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4)은 도 2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20)의 재능데이터 수신부(21), 재능데이터 게시부(22) 및 재능응모자 정보 제공부(23)의 구성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인구직 시스템(4)은 공모전의 특정 주제에 대한 다수의 응모자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하여 구인구직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공모전 주최 기업이 제시한 공모전의 특정 주제와 무관한 별도의 주제에 대해서 재능을 가진 다수의 재능응모자 각각의 재능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하여 구인구직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20)은 도 1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4)의 공모전 정보 게시부(5), 응모데이터 수신부(6), 응모데이터 게시부(7), 공모전 순위 결정부(8), 응모자 정보 제공부(9),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 및 중계부(11)를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인구직 시스템(20)은 공모전의 특정 주제에 대한 다수의 응모자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하여 구인구직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공모전 주최 기업이 제시한 공모전 주제와 무관한 별도의 주제에 대해서 재능을 가진 다수의 재능응모자 각각의 재능 데이터를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공개하여 구인구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재능 응모자 정보 제공부(23)가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재능 응모자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는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구인구직 시스템(20)은 중계부(11)를 통해서 가입회원들 각각의 ID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간 통신연결을 중계하거나 통신연결 요청을 차단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4) 또는 구인구직 시스템(20)을 통한 구인구직이 이루어지게 되면, 구인 기업, 구직자, 국가 등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 온다.
먼저 구인 기업의 경우, 인재채용에 있어서 적재적소에 유능한 인재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인사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지도가 낮은 구인기업의 경우라도 필요한 인재를 발굴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상에 공개된 특정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시장의 흐름 및 유행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구직자의 경우, 구인기업에 자신의 재능을 선보일 수 있는 폭넓은 기회를 가지게 되며, 취업 시 자신의 관심분야의 업무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적성 문제에 따른 이직률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구인기업에 정식 채용이 되지 않아도 온라인 공모전에 응모하여 수상할 경우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에 대해서 좀 더 전문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구직자가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을 습득한 후 해당 기업의 취업에 있어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직자는 다른 사람들과의 무한 경쟁 속에서 자신의 실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입증할 수 있게 된다.
국가의 경우, 인재를 발굴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적성문제에 따른 이직이 감소하게 되며, 개인이 취업을 위하여 학벌이나 천편일률적으로 어학을 공부하는 대신 전문적인 재능개발을 위하여 노력을 하므로 결국 국가 경쟁력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온라인 공모전을 통해서 응모자들의 응모 데이터들 또는 재능응모자들의 재능데이터들이 공개되므로 국가 지식 자원이 풍성해질 수 있다. 원활한 이직으로 계약직 문제를 일부나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프리랜서 활성화 및 육아휴직에 대한 우려 감소로 인한 저출산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구인구직 시스템(4)의 블럭 구성도 및 도 2의 구인구직 시스템(20)의 블럭 구성도는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류된 것일 뿐, 실제 구현방식 또는 하드웨어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4) 및 도 2에 도시된 구인구직 시스템(20)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모듈로 통합 또는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모든 데이터의 송수신은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이 운영하는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특정 주제에 대한 공모전 정보를 게시하는 공모전 정보 게시부;
    상기 게시된 특정 주제에 대해서 다수의 응모자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수신하는 응모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모두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모든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를 공개하는 응모데이터 게시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데이터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하는 공모전 순위 결정부;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응모자 정보 제공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게시된 공모전의 특정주제와는 별도로,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해당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데이터를 수신하는 재능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상에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 데이터를 게시하여,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에 접속하는 접속자에게 상기 각각의 해당 재능응모자가 선택한 주제의 재능데이터를 공개하는 재능데이터 게시부; 및
    상기 다수의 재능응모자의 일부 또는 전부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재능응모자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가입회원들은, 기업회원들과 비기업 회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업회원들은, 상기 공모전을 주최한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이외의 비주최 기업회원들을 포함하며,
    상기 비기업 회원들은, 상기 다수의 응모자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 이외의 개인회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모전 순위 결정부는,
    상기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 및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 의해서만 이뤄지는 상기 각각의 응모 데이터에 대한 평가로 구성된 다중 평가 방식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응모자의 공모전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모데이터 게시부는,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게 각각 응모 데이터의 형태나 용량에 따라 비용을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응모데이터 게시부는,
    상기 다수의 응모자에게 각각 청구된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공모전의 공모총액에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이력 정보는,
    성별, 나이, 경력정보 및 자격증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에게,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의 제공에 대한 정보제공비용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모자 정보 제공부는,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를 요청한 가입회원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공한 정보제공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각각의 개인 이력 정보에 해당되는 응모자들, 상기 공모전 주최 기업회원 및 상기 구인구직 사이트의 운영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인구직 시스템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IDentification) 마다 매치되는 개인연락처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와
    상기 가입회원들 각각의 ID 만을 이용해서 가입회원들 간 통신연결을 중계하거나 통신연결 요청을 차단하는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103374A 2012-09-18 2012-09-18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KR10145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74A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2-09-18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74A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2-09-18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02A KR20140036802A (ko) 2014-03-26
KR101450176B1 true KR101450176B1 (ko) 2014-10-16

Family

ID=5064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74A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2-09-18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79B1 (ko) 2017-12-08 2020-02-21 주식회사 스펙토리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KR102138008B1 (ko) 2019-11-15 2020-07-28 주식회사 대웅 건조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밀 그라우팅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870A (ja) 2000-09-08 2002-03-22 Sharp Corp 情報掲示板システム、情報掲示板サーバ、および情報掲示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57258A (ko) * 2000-12-30 2002-07-11 박두진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 및 구직 서비스방법
JP2002215841A (ja) 2001-01-19 2002-08-02 Jal Cultural Development Co Ltd コンペ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43313A (ko) * 2003-11-05 2005-05-11 (주)토탈정보시스템 인터넷을 이용한 직업정보,인재정보 제공 및 이익분배,인재양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2870A (ja) 2000-09-08 2002-03-22 Sharp Corp 情報掲示板システム、情報掲示板サーバ、および情報掲示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57258A (ko) * 2000-12-30 2002-07-11 박두진 인터넷을 이용한 구인 및 구직 서비스방법
JP2002215841A (ja) 2001-01-19 2002-08-02 Jal Cultural Development Co Ltd コンペ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43313A (ko) * 2003-11-05 2005-05-11 (주)토탈정보시스템 인터넷을 이용한 직업정보,인재정보 제공 및 이익분배,인재양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162A (ko) *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KR102307497B1 (ko) 2019-11-13 2021-09-30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을 수행하며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32533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KR102390926B1 (ko) 2020-04-27 2022-04-26 주식회사 마이크로프트 유저의 온라인 활동 분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802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son Revolution@ State: the spread of ediplomacy
Morris et al. A comparison of information seeking using search engines and social networks
Agergaard et al. Politicisation of migrant leisure: A public and civil intervention involving organised sports
US20090019060A1 (en) Creating online social learning communities
WO200900137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nterview and recruitment
KR101450176B1 (ko)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Gordon et al. Criminal justice internships: Theory into practice
Cheng et al. Spanning across the boundary of Airbnb host community: a network perspective
Hays et al. A grounded theory of counselor educators' academic leadership development
US20130013380A1 (en) Online Application Combining Election Service with Social Media for Voter-Candidate Matching
CN106384315A (zh) 一种在线教育交流交友求职招聘系统及方法
Hayes et al. Agreements in restorative justice conferences: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agreements for post-conference offending behaviour
Aliaga et al. Trips of the tongue: Language tourism in Barcelona
Zamoff et al. Proposed Guidelines for Arbitral Disclosure of Social Media Activity
US20130085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eting Marketplace
Theviot Towards a standardization of campaign strategies dictated by the Obama ‘model’? The case of ‘American-style’canvassing during the 2012 French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Maciel et al. Democratic citizenship community: a social network to promote e-deliberative process
Marquez et al. Call to action: The colorado supreme court's task force on lawyer well-being
Kaufman et al. The role of mandates in third party intervention
Dowey et al. The Equator Project
Borsig Storytelling and presidential leadership at a regional public university
KR20130104275A (ko) 자발적 공유 및 확산을 위한 인터넷 서비스
Miller et al. Year of the Air Force family: 2009 survey of active-duty spouses
Spraggon Think before you tweet: Social media best practices for undergraduate business schools
Chinaris More Important All the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