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779B1 -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779B1
KR102079779B1 KR1020170168498A KR20170168498A KR102079779B1 KR 102079779 B1 KR102079779 B1 KR 102079779B1 KR 1020170168498 A KR1020170168498 A KR 1020170168498A KR 20170168498 A KR20170168498 A KR 20170168498A KR 102079779 B1 KR102079779 B1 KR 10207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tition
homepage
work
contes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268A (ko
Inventor
심헤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토리
Priority to KR102017016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7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공모전 응시 접수에 사용될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요청 과정;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가, 상기 공모전 주최사의 요청에 따라서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 및 상기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생성된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는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contest based URL}
본 발명은 공모전 관리 방법으로서,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공모전을 관리하는 공모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년 다양하게 개최되고 있는 각종 공모전들은 대중이 직접 참여하는 행사 성격으로 인해 주최사 입장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획득함과 동시에 원하는 홍보를 대중의 참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마켓팅 툴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공모전 참여자들이 단순히 공모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공모전 정보 제공웹사이트들은 다수가 존재하는 상황이나, 단순하게 주최사들의 공모전 요강을 모아 놓은 형태로 주최사 입장에서는 단순히 주최사의 공모전을 소개하고 광고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주최사들은 자사 공모전의 브랜딩과 공모전 접수 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공모전 개최시마다 공모전 홈페이지 및 접수 관리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여 운영하거나 또는 예산이 부족할 경우 블로그를 홈페이지를 대신하여 사용하고, 공모작품은 이메일로 접수받는 등 비효율적인 공모전 운영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날로 강화되는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공모전 참여자들의 정보를 차기 공모전이나 새로 기획한 공모전에 대한 홍보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주최사의 참여자에 대한 관계 관리가 단발성으로 끝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최사들이 공모전을 개최하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방법으로 공모전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3680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모전 주최사가 원하는 공모전 콘텐츠를 개별적으로 등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된 공모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공모전 응시 접수에 사용될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요청 과정;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가, 상기 공모전 주최사의 요청에 따라서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 및 상기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생성된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는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이 있은 후,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상기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전에 응시되는 작품을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로부터 접수받아 저장하며, 접수받는 작품의 저작권 보호에 사용되는 저작권 보호 코드를 생성하는 작품 접수 과정;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을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와, 각 공모전 심사위원별로 비공개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심사 툴이 표시되는 공모전 심사 화면을 생성하여,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과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미리 선정된 심사위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통하여 공모전 심사 결과를 입력받는 공모전 심사 과정; 및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상기 심사위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모전 심사 결과에 따라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들에 대한 수상작 선정을 수행하는 수상작 선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품 접수 과정은, 작품 접수 과정을 통해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를 접수되는 작품과 함께 저장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접수된 작품 및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별도의 인증기관을 통해 저작권 인증된 저작권 인증 코드이며, 저작권 보호기관으로부터 저작권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작품, 저작권 정보, 저작권 인증 코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 접수 공모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추적 정보를 코드화한 저작권 추적 코드이며, 상기 작품 접수 과정은,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를 작품에 삽입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를 작품에 삽입하는 것은, 접수된 작품에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를 바코드, QR코드, 홀로그램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작품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모전 심사 과정은, 동일 작품에 대하여 가장 큰 점수나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채점 행위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는 심사위원인 경우, 심사위원 명단에서 제외시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상작 선정 과정은,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분포 차이보다 클 경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되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각 공모전 심사위원의 심사 점수를 보정한 후 수상작 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은, 상기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로부터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선택받아, 선택되는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은, 통합 게시판에 등록, 수정, 삭제되는 공모전 콘텐츠는 하위 단계의 서브 게시판에서 동기화되어 등록, 수정, 삭제되도록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공모전을 관리함으로써, 공모전 주최사들은 효율적으로 공모전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예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과정들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할당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예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 보호 코드가 작품에 삽입된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은 각각의 공모전 주최사에게 독립된 공모전 서비스를 제공하여, 공모전 주최사 자신이 원하는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공모전 주최사가 만든 공모전 콘텐츠를 통합 포털에서 검색할 수 있고 다른 공모전 포털웹사이트 또는 연계 장치에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웹사이트 또는 장치에 업로드 및 게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카테고리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식은 주최사가 자유롭게 공모전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고, 공모전 홈페이지 서비스에 접속하여 자유롭게 공모전 콘텐츠를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미도시),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 공모전 관리 서버(100),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300), 및 심사위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미도시)은,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 공모전 관리 서버(100),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300), 및 심사위원 단말기(4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는, 공모전 주최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데스크탑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 다양한 통신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는, 공모전 관리 서버(100)에 회원 가입을 통해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공모전 응시 접수에 사용될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공모전 관리 서버(100)에 요청한다. 따라서 공모전 주최사는,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각각 다른 복수개의 공모전 홈페이지를 등록할 수 있다. 공모전 주최사는,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되는 각각의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여, 각각의 공모전 홈페이지에 등록된 공모전 콘텐츠에 대한 수정 및 삭제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공모전 관리 서버(100)는, 공모전 주최사의 요청에 따라서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공모전 주최사의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생성된공모전 홈페이지를 등록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반복 수행하여 독립 URL을 가지는 복수개의 공모전 홈페이지가 회원별로 생성되어 해당 회원의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모전 주최사는 자신의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복수개 등록하여 각각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모전 관리 서버(100)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전에 응시되는 작품을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300)로부터 접수받아 저장하며, 접수받는 작품의 저작권 보호에 사용되는 저작권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을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와, 각 공모전 심사위원별로 비공개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심사 툴이 표시되는 공모전 심사 화면을 생성하여,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과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미리 선정된 심사위원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통하여 공모전 심사 결과를 입력받는다. 또한 공모전 관리 서버(100)는, 심사위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공모전 심사 결과에 따라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들에 대한 수상작 선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공모전 관리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300)는, 웹사이트에 등록된 공모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작품을 접수하여 공모전에 참가하는 공모전 참가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공모전 참가자는 공모전 참여하고자 하는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작품 등록, 접수자 정보를 입력하여 공모전에 참가할 수 있다.
심사위원 단말기(400)는, 공모전에 참여한 접수 작품들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는 심사위원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심사위원 단말기(400)에는 공모전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심사 가이드가 표시되며, 공모전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공모전 심사 툴을 이용하여 작품에 대한 채점 또는 투표를 통한 심사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과정들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립 URL 할당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공유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 보호 코드가 작품에 삽입된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요청 과정(S410),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S420), 및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S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작품 접수 과정(S440), 공모전 심사 과정(S450), 및 수상작 선정 과정(S460)을 포함할 수 있다.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요청 과정(S410)은,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가, 공모전 응시 접수에 사용될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공모전 관리 서버(100)에 요청하는 과정이다.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S420)은, 공모전 관리 서버(100)가, 공모전 주최사의 요청에 따라서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과정이다.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 ID에 해당하는 독립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생성(S421)하고 기존의 URL 사용 여부를 체크(S422)한 후, 승인되는 경우 웹 디렉토리 데이터가 생성(S423)된다. 이러한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은 카테고리별로 복수개 생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모전 주최사가 관리하는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는 카테고리별로 공모전 접수할 수 있는 공모전 홈페이지가 복수개 등록될 수 있다.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S420)은,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로부터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선택받아, 선택되는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 공모전 주최사는 자신만의 화면 UI 및 메뉴 구성을 한 공모전 홈페이지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할 때 공모전 주최사의 개별적인 요구사항에 맞게 공모 접수 환경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가 개인 형태인지, 팀의 형태인지를 선택받는 참가자 접수 형태 설정 기능, 다양한 개인정보 중에서 수납하고자 하는 항목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입력 요청 정보 설정 기능, 한 번의 접수 정보 입력으로 다수의 작품을 한꺼번에 등록할 수 있는 복수 작품 접수 설정 기능, 공모전 전체에 접수되는 작품 저장 용량을 사용자가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체 접수 작품 저장 용량 설정 기능, 업로드하는 작품파일 1개의 최대용량을 사용자가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접수 파일당 용량 설정 기능, 개별 공모전마다 다른 공모 부문에 대한 개수 및 부문명을 설정하는 접수 부분 설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S430)은,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200)가,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된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이다. 공모전 홈페이지가 생성되면, 해당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명칭, 공모전 접수 기한, 시상 내용, 접수 자격, 응시 작품 조건 등의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한다.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S430)은, 통합 게시판에 등록, 수정, 삭제되는 공모전 콘텐츠는 하위 단계의 서브 게시판에서 동기화되어 등록, 수정, 삭제되도록 공유할 수 있다.
상술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입력되면, 입력된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게시판이 통합 게시판이 되며, 공유하기를 원하는 다른 다수의 게시판들이 서브 게시판이 된다. 따라서 통합 게시판과 서브 게시판을 연동시켜, 통합 게시판에서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등록되거나, 수정 또는 삭제될 경우에 별도의 작업없이 동시에 전체 또는 선택된 서브 게시판에의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등록되거나, 수정 혹은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모전 웹페이지 관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작품 접수 기능은, 공모전 관리 서버(100)가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전에 응시되는 작품을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300)로부터 접수받아 저장한다. 작품 접수 과정(S440)을 통해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를 접수되는 작품과 함께 저장체에 저장하는 것이다. 참고로 작품 저장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작품 접수하여 저장함에 있어서 저작권을 보호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접수된 작품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삭제되도록 구현한다.
예를 들어, 회원이 아닌 참가자가 개별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작품을 접수하였을 경우 공모 접수 기한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후(공모 접수 약관에 명시한 기간) 자동으로 접수된 작품 파일이 일괄 삭제되고 이를 해당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해주도록 한다. 또한 회원인 참가자가 로그인후 개별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작품을 접수하였을 경우는 회원 개인의 자유 의지에 의해 작품파일을 유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회원이 작품 파일을 유지할 경우, 공모전 참가 이력 등의 정보 제공을 통해 개인의 저작권 권리 주장이 입증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작권 보호 기관 예를 들면, 한국저작권위원회 또는 저작권협회 등에서 시행되는 저작권 등록은 비용이 발생하므로 다수의 공모전에 참가하는 학생들에게는 부담스럽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를 위한 보조적 수단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작품 접수 기능은, 작품이 접수될 때 접수받는 작품의 저작권 보호에 사용되는 저작권 보호 코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저작권 보호 코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서 생성될 수 있다.
하나는, 접수된 작품 및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별도의 인증기관을 통해 저작권 인증된 저작권 인증 코드가 저작권 보호 코드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저작권 보호기관으로부터 저작권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작품, 저작권 정보, 저작권 인증 코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 보호기관에 저작권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저작권 보호 코드를 통해 보조적으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 접수 공모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추적 정보를 코드화 저작권 추적 코드가 저작권 보호 코드에 해당될 수 있다. 작품 접수가 이루어질 때, 저작권 추적 코드를 작품에 삽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권 추적 코드를 작품에 삽입하는 것은, 접수된 작품에 저작권 추적 코드를 바코드, QR코드, 홀로그램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작품에 표시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품의 사진에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작품에 삽입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홀로그램 형태로 작품에 삽입할 수 있다.
참고로 QR코드는, 데이터 영역의‘바둑판 무늬’가 밝은 색이냐 어두운색이냐에 따라 0과 1을 구분하는 것이다. 바둑판무늬가 조밀할수록 많은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들어가는 정보량에 따라 바둑판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현재 버전1(바둑판무늬가 가로 21개×세로 21개)부터 버전40(177×177)까지 가능하다. 가장 높은 버전40을 데이터로 환산하면 23,648비트다. 숫자 7,089개, 영문자 4,296개, 바이너리 2,953개까지 담을 수 있는 양이다. 따라서 QR코드의 패턴에 따라서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 접수 공모전 정보 등의 저작권 추적 정보를 담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작품 접수 과정(S440)이 있은 후, 공모전 심사 과정(S450)을 가진다.
공모전 심사 과정(S450)은, 공모전 관리 서버(100)가,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을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와, 각 공모전 심사위원별로 비공개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심사 툴이 표시되는 공모전 심사 화면을 생성하여,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과 공모전 심사 화면을 미리 선정된 심사위원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공모전 심사 화면을 통하여 공모전 심사 결과를 심사위원으로부터 입력받는 과정이다.
그리고 공모전 심사 과정(S450)이 종료되면, 수상작 선정 과정(S460)을 가진다.
수상작 선정 과정(S460)은, 공모전 관리 서버(100)가, 심사위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는 공모전 심사 결과에 따라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들에 대한 수상작 선정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다만, 접수된 작품에 대한 심사와 수상을 공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모전 심사 과정(S450)과 수상작 선정 과정(S460)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공모전 심사에 있어서, 동일 작품에 대하여 가장 큰 점수나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채점 행위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는 심사위원인 경우, 심사위원 명단에서 제외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심사위원별로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에 따라 온라인에서 독립적, 비공개적으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온라인 심사 통합 관리 툴에서는 이를 자동집계하여 순위를 매기거나 심사 회차별 커트라인 설정을 통해 심사대상 리스트를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다음 회차 심사위원에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상작 선정에 있어서,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분포 차이보다 클 경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되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각 공모전 심사위원의 심사 점수를 보정한 후 수상작 선정을 수행한다. 표준편차는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분포 차이보다 클 경우, 심사의 공정을 위하여 각 심사위원의 심사 점수를 보정한 후에 이에 따른 수상자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작품에 대한 10명의 심사위원의 점수 분포가 미리 설정된 분포 차이보다 클 경우, 가장 높은 점수와 가장 낮은 점수를 제외한 심사 점수들에 대한 평균값을 1차적으로산출한 후, 산출된 평균값에 표준 편차 가중치를 적용한 보정값으로 최종 심사 점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밖에 이러한 보정 알고리즘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차이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심사위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수상작 선정에 미치는 편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 카테고리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기능
독립된 카테고리의 URL을 생성하여 공모전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독립된 카테고리의 URL을 통해 데이터를 독립적 카테고리에 저장.
2. 서비스간 데이터 공유 기능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통합 게시판에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등록되거나, 수정 또는 삭제될 경우에 별도의 작업없이 동시에 서브 게시판에 데이터가 등록된다. 즉,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입력되면, 입력된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의 게시판이 통합 게시판이 되며, 공유하기를 원하는 다른 다수의 게시판들이 서브 게시판이 된다. 따라서 통합 게시판과 서브 게시판을 연동시켜, 통합 게시판에서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등록되거나, 수정 또는 삭제될 경우에 별도의 작업없이 동시에 전체 또는 선택된 서브 게시판에의 데이터(게시글, 이미지, 동영상)가 등록되거나, 수정 혹은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모전 웹페이지 관리가 가능해진다.
3. 공모전 접수 작품 저작권 보호 기능
- 회원이 아닌 참가자가 개별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작품을 접수하였을 경우 공모 접수 기한 종료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후(공모 접수 약관에 명시한 기간) 자동으로 접수된 작품 파일이 일괄 삭제되고 이를 해당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해주는 기능.
- 회원인 참가자가 로그인후 개별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작품을 접수하였을 경우는 회원 개인의 자유 의지에 의해 작품파일을 유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접수된 작품 및 저작권 정보에 대하여 별도의 인증기관을 통해 저작권 인증된 저작권 인증 코드를 저작권 보호 코드로 생성 기능.
-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 접수 공모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추적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작권 보호 코드로 생성 기능.
4. 공모 접수 환경 구성 기능
- 참가자접수 형태 설정 기능: 참가자가 개인 형태인지, 팀의 형태인지를 선택받는 기능.
- 입력 요청 정보 설정 기능: 다양한 개인정보 중에서 수납하고자 하는 항목만 선택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
- 복수 작품 접수 설정 기능: 한 번의 접수 정보 입력으로 다수의 작품을 한꺼번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
- 전체 접수 작품 저장 용량 설정 기능: 공모전 전체에 접수되는 작품 저장 용량을 사용자가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
- 접수 파일당 용량 설정 기능: 업로드하는 작품파일 1개의 최대용량을 사용자가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
- 접수 부분 설정 기능: 개별 공모전마다 다른 공모 부문에 대한 개수 및 부문명을 설정하는 기능.
5. 공모전 심사 기능
- 온라인 심사 방식 설정: 공모 부문별 점수제, 투표제 설정, 심사위원수 설정, 심사 회차 설정 기능(1차심사, 2차심사등).
- 심사위원 섭외 시스템 제공: 각각의 개별 공모전에서 등록된 심사위원의 데이터를 심사 분야, 심사 이력 등으로 분류 저장하여 관리하고 새로운 공모전 심사 설정시 원하는 심사위원을 섭외 요청하고 수락하는 기능(원하는 심사위원이 없을 경우 추가 등록 기능 제공).
- 심사위원별 온라인 심사 시스템 제공: 심사위원별로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에 따라 온라인에서 독립적, 비공개적으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온라인 심사 통합 관리 툴에서는 이를 자동집계하여 순위를 매기거나 심사 회차별 커트라인 설정을 통해 심사대상 리스트를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다음 회차 심사위원에게 제공되는 기능, 또한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차이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심사위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수상작 선정에 미치는 편향을 조절하는 기능.
- 심사집 자동 생성 기능: 오프라인 심사를 선호하는 경우를 위해 접수된 공모 작품을 공모 부문별, 대상별 등 원하는 설정대로 자동 분류하여 e-book, pdf 등의 파일로 심사집을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서비스를 제공, 프린트하거나 타블렛으로 전환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대국민 온라인 심사 기능 제공: 주최사가 원하는 가이드에 따라 심사 방식 (점수제, 투표제등)을 설정하고 대국민 심사 결과를 수상작 선정시 반영할 수 있는 기능.
6. 콘텐츠 SNS 멀티 퍼블리싱 기능
각각의 공모전 주최사가 개별 개최하는 공모전의 홍보를 위한 홍보 콘텐츠(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를 여러 SNS(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글매, 카카오톡 등)에 1번의 조작으로 멀티 퍼블리싱할 수 있는 기능.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공모전 관리 서버
200:공모전 주최사 단말기
300:공모전 참가자 단말기
400:심사위원 단말기

Claims (8)

  1.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공모전 응시 접수에 사용될 공모전 홈페이지의 생성을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요청 과정;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가, 상기 공모전 주최사의 요청에 따라서 독립 URL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하는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 및
    상기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가, 상기 공모전 관리 웹사이트에 등록되어 생성된 공모전 홈페이지에 공모전 콘텐츠를 등록하는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이 있은 후,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상기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전에 응시되는 작품을 공모전 참가자 단말기로부터 접수받아 저장하며, 접수받는 작품의 저작권 보호에 사용되는 저작권 보호 코드를 생성하는 작품 접수 과정;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을 공모전 주최사가 설정한 심사 가이드와, 각 공모전 심사위원별로 비공개로 채점 또는 투표할 수 있는 심사 툴이 표시되는 공모전 심사 화면을 생성하여, 공모전 응시 기간이 종료되면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과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미리 선정된 심사위원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공모전 심사 화면을 통하여 공모전 심사 결과를 입력받는 공모전 심사 과정; 및
    상기 공모전 관리 서버는, 상기 심사위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모전 심사 결과에 따라 공모전에 접수된 작품들에 대한 수상작 선정을 수행하는 수상작 선정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작품 접수 과정은,
    작품 접수 과정을 통해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정보를 접수되는 작품과 함께 저장체에 저장하며,
    상기 저작권 보호 코드는,
    접수되는 작품의 등록일, 접수자 정보, 접수 공모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추적 정보를 코드화한 저작권 추적 코드이며,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는 상기 작품 접수 과정시에 작품에 삽입되며,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를 작품에 삽입하는 것은,
    접수된 작품에 상기 저작권 추적 코드를 바코드, QR코드, 홀로그램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작품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모전 심사 과정은,
    동일 작품에 대하여 가장 큰 점수나 가장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채점 행위를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는 심사위원인 경우, 심사위원 명단에서 제외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작 선정 과정은,
    심사위원별 점수 분포의 표준 편차가 미리 설정된 분포 차이보다 클 경우,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되는 보정값을 이용하여 각 공모전 심사위원의 심사 점수를 보정한 후 수상작 선정을 수행하는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모전 홈페이지 생성 과정은,
    상기 공모전 주최사 단말기로부터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선택받아, 선택되는 화면 UI 구성 및 메뉴 구성을 가지는 공모전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모전 콘텐츠 등록 과정은, 통합 게시판에 등록, 수정, 삭제되는 공모전 콘텐츠는 하위 단계의 서브 게시판에서 동기화되어 등록, 수정, 삭제되도록 공유하는 독립 URL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KR1020170168498A 2017-12-08 2017-12-08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KR102079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498A KR102079779B1 (ko) 2017-12-08 2017-12-08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498A KR102079779B1 (ko) 2017-12-08 2017-12-08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68A KR20190068268A (ko) 2019-06-18
KR102079779B1 true KR102079779B1 (ko) 2020-02-21

Family

ID=6710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498A KR102079779B1 (ko) 2017-12-08 2017-12-08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685B1 (ko) * 2019-09-07 2021-11-11 박세현 온라인상에서 질문에 대한 에세이작성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543A (ja) * 2000-10-31 2002-05-17 Sony Corp 著作物データ寄託方法、著作物コンテスト応募方法および著作物コンテスト応募受付装置
KR101738826B1 (ko) * 2016-11-14 2017-05-23 강수정 공모전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176B1 (ko) 2012-09-18 2014-10-16 최현호 온라인 정보공개 공모전 방식의 구인구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0543A (ja) * 2000-10-31 2002-05-17 Sony Corp 著作物データ寄託方法、著作物コンテスト応募方法および著作物コンテスト応募受付装置
KR101738826B1 (ko) * 2016-11-14 2017-05-23 강수정 공모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68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tsvairo et al. Is citizen journalism dead? An examination of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US201203000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publishing product interest
US8443043B2 (en) Content sharing system and content sharing method
US10148635B2 (en) Systems, apparatuse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history of user
US200702504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llaborative Generation of Life Stories
US11218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 plurality of local meeting groups
US20100114968A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attendee data
CN103959706A (zh) 朝向内容消费者迁移经过认证的内容
KR102062796B1 (ko) Sns 서버, 이를 이용한 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349233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CN110580611B (zh) 简历信息的管理方法、招聘信息的管理方法及装置
CN103020121A (zh) 插入来自多个储存库的媒体内容
US10445420B2 (en) Electronic form mobility hand-off
US20150222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video collection
WO2014042687A1 (en) A global identification number and portal platform technology
KR102079779B1 (ko) 독립 유알엘 공모전 홈페이지 기반의 공모전 관리 방법
KR101038903B1 (ko) 다수의 커뮤니티 회원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공모 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컨텐츠의 생성시스템
KR20150069611A (ko) 독자 참여형 전자책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P2017510926A (ja) クライアント主導型の応募者追跡システム及び複数のジョブレポートを管理する関連方法
KR20150107509A (ko) 온라인 게시판 서버, 온라인 게시판 시스템 및 온라인 게시판의 유해 이미지 표시 제어 방법
US20170187662A1 (en) Communications System
JP2018013941A (ja) 電子申請支援システム、電子申請支援方法、及び電子申請支援プログラム
KR20210105067A (ko) 자격증 진위 검증 서비스 제공 방법
JP7412526B1 (ja) 株主総会支援システム及び株主総会支援方法
US20120272135A1 (en) Methods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of large number of websites for communication, media sharing, and management within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