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252B1 -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252B1
KR101376252B1 KR1020120036895A KR20120036895A KR101376252B1 KR 101376252 B1 KR101376252 B1 KR 101376252B1 KR 1020120036895 A KR1020120036895 A KR 1020120036895A KR 20120036895 A KR20120036895 A KR 20120036895A KR 101376252 B1 KR101376252 B1 KR 10137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vior
company
sns
investors
s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480A (ko
Inventor
권혁태
Original Assignee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는 해당 창업기업에 대한 구주 취득 의사 형성의 동기로 작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투자자들로부터 구주 인수에 대한 요청(Buy)이 있을 경우 구주 소유자들에게만 매도창(Sell)가 활성화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구주 트레이딩이 가능하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 트레이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OPEN TRADING SYSTEM AND METHOD FOR OLD SHARE OF NON LISTING COMPAN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는 해당 창업기업에 대한 구주 취득 의사 형성의 동기로 작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투자자들로부터 구주 인수에 대한 요청(Buy)이 있을 경우 구주 소유자들에게만 매도창(Sell)가 활성화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구주 트레이딩이 가능하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 트레이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권사는 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 관여할 수는 있으나 비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는 관여할 수 없으므로,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는 매수자와 매도자간에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진 후 별도로 이루어지는 상호간의 대금 지급과 주식의 명의 개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투자자들에게 비상장사의 주식을 선 권리자로부터 매수하여 취득하기 위한 투자의사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비상장사의 사업 내용과 발전가능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Start Up)의 경우 상장사와는 달리 공개되는 정보 및 그 정리가 쉽지 않은바, 투자자들로서는 기업의 내부 상황과 시장 점유정도 또는 매출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주 취득 의사가 적극적으로 생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 주식을 취득하기 위한 투자자들로서는 창업기업에서 제공하는 사업계획서에 의존하여 회사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는 증권사 웹사이트에 구비된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는 실제 시장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불확실한 예정사항들 위주로 기재되므로, 투자자 입장에서 실제 시장에서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갖고 사업이 이루어질 것인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증권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의 경우 그 출처를 확인하기 어려워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헐적으로 기재되는 회사의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를 회사별로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비상장사의 주식거래는 증권사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매도자가 매도 희망 광고를 올리면, 이러한 매도 희망 광고를 접한 매수자가 증권사의 게시판에 대한 답글 또는 별도의 연락처를 통한 개별연락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게 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매수자와 매도자가 개별적으로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한계로 인하여 해당 비상장사의 주식을 갖지 않은 자들이 매도자인양 대금을 요청할 수 있게 되어 입금 후 주식을 양도받지 못하거나, 주식 양도 후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게 되는 사고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52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에서 매수인으로부터 대금이 입금됨을 확인한 후 매도인으로부터 주식의 양도를 요청하고, 주식의 양도가 이루어진 후 일시 보관중이던 대금을 매도인에게 전달하여 비상장 주식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은 에스크로 시스템에서 대금을 일시 보관하였다가 주식의 양도가 이루어짐을 확인한 후 대금을 매도인에게 전달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은 있으나, 통상적인 비상장사의 주식거래와 마찬가지로 투자자들에게 비상장사인 창업기업(Start Up)의 경영정보 등이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의사소통 수단이 없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투자자들로서는 창업기업에 대한 정보부재로 인하여 비상장사 주식 취득시 손실의 발생위험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투자자들에게는 비상장사 주식 취득의 메리트가 감소되기 때문에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가 극히 드물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비상장사의 주식을 가진 구주 보유자들의 경우 투자자금을 중간에 회수하거나 회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는 해당 창업기업에 대한 구주 취득 의사 형성의 동기로 작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투자자들로부터 구주 인수에 대한 요청(Buy)이 있을 경우 구주 소유자들에게만 매도 가능한 표시(Sell)가 활성화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구주 트레이딩이 가능하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 트레이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부;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부; 상기 창업기업의 경영에 따라 발생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직접 등록하는 SNS 등록부;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는 SNS 표출부; 및 이미 발행된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려는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의사(Buy)가 수신되면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구주의 매도가 가능한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켜 구주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자자 등록부는,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 또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회원가입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상황등록부; 해당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의 주식에 대한 매수요청인 구주 인수 요청이 있을 경우 투자자에게 표출되는 홈페이지에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거래활성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는,
투자자들이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의사를 먼저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부; 상기 구주인수신청부에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입력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부;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기존주주활성화부; 및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는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를 먼저 입력한 구주 보유자에게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은,
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 및 이미 발행된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려는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의사(Buy)를 수신한 후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구주의 매도가 가능한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켜 투자자와 구주 보유자간의 구주거래가 이루어지는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 또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회원가입과정과,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상황등록과정으로 이루어진 투자자등록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는,
투자자들이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의사를 먼저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과정; 상기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입력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과정;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기존주주활성화과정; 및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과정은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가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먼저 등록한 구주 보유자에게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창업기업의 마일스톤 달성 또는 진행과정 등 사업을 영위하면서 이루어지는 동적인 경영정보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하여, 투자자로서는 발전가능성 있는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에서 발행된 주식(구주 : Old Share)에 대한 취득의사 형성의 중요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자자들에게 구주 취득 의사가 생겨서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바이(Buy)를 선택하여 구주 인수 신청을 할 경우, 구주를 보유한 기존 투자자들에게만 셀(Sell)이 활성화되면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거래의 안전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창업기업의 사업 진행상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형태로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장사의 주식 거래정보를 정렬하여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주 오픈트레이딩을 포함하는 주식 거래상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주 오픈트레이딩을 포함하여 진행이 완료된 주식 거래상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 등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시스템(10)은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부(100)와, 상기 창업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나 투자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들의 창업기업들에 대한 주식 보유 현황과 같은 투자상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자 등록부(15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시장에 진입하여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부(200)와, 상기 창업기업의 경영에 따라 발생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직접 등록하는 SNS 등록부(300)와,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는 SNS 표출부(400)와, 이미 발행된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려는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의사(Buy)가 수신되면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구주의 매도가 가능한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켜 구주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한 창업기업의 현황정보와 투자자들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 후 저장하는 웹서버 등의 서버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버시스템(10)은 투자의 대상인 창업기업(Start up)의 경우 현황정보와 마일스톤 및 회사 경영에 따른 공지사항 등을 각 창업기업별로 표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해당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각 창업기업의 경영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검색 가능하게 하여 투자자들이 언제든지 창업기업별로 현황정보와 마일스톤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시스템(10)은 투자자들에게도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해당 서브 홈페이지에는 각 투자자들이 보유한 주식 현황과 관심종목으로 등록해 놓은 창업기업들의 갱신된 SNS 메시지 등이 표출되게 하여 투자정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들이 각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회원 가입한 창업기업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사의 현황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는 창업기업의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항목 관리부(110)와, 상기 항목 관리부에서 등록한 카테고리 항목 중 창업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투자자를 위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가중치 설정부(120)와, 상기 창업기업의 자산규모 변경이나 지적재산권의 출원 또는 등록 등의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갱신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서 등록되는 현황정보는 창업기업의 사업방향과 자산상황 또는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등 창업초기부터 구비하게 되는 자산 또는 자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창업기업의 현황정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 좌측에 표출되는 컴퍼니(Company) 또는 기업현황 항목에 트리구조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팀(Team), 재무(Financial), 차별성(Unique/Creative), 또는 지적재산권(IP)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는 기업현황 항목은 창업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항목들의 일 예일뿐,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중치 설정부(120)는 기업의 운영기간이 길지 않은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항목 관리부에서 등록된 현황정보를 이루는 항목들에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갱신저장부(130)는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서 등록하여 저장되어 있던 창업기업의 현황정보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된 사항을 상기 SNS 등록부(300)를 통해 각 창업기업에서 등록하여 투자자들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자자 등록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을 통하여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 또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회원가입부(152)와, 상기 회원가입부를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상황등록부(154)와, 해당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의 주식에 대한 매수요청인 구주 인수 요청이 있을 경우 투자자에게 표출되는 홈페이지에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거래활성화부(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투자상황등록부(154)는 투자자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정보만이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투자자들이 다수의 창업기업을 주시하며 관리할 수 있도록, 관심 있는 것으로 등록해 놓은 창업기업들의 목록과 최근에 등록된 SNS 메시지가 표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투자자의 과거 주식 거래 내역도 함께 저장되어 투자자들이 자신의 비상장사 주식 거래 내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래활성화부(156)는 상기 투자상황등록부(154)에 등록되어 있는 창업기업들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구주 인수 요청(Buy)과 관련된 SNS 메시지가 등록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그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매도창(Sell)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각 창업기업에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있으면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등록되어 있는 주주들에게 SNS 메시지가 일괄 전송되고, 이러한 SNS 메시지를 보고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선착순으로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매도창(Sell)은 별도의 창으로 표출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한 홈페이지내에서 해당 버튼(Sell)이 선택가능하게 변경 표출되어 구주 보유자들이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200)는 창업기업이 회사를 운영하는 초기부터 성장해 나가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각 창업기업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마일스톤의 성취사항을 투자자들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마일스톤의 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일스톤 관리부(200)는 해당 창업기업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부(210)와, 상기 창업기업이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210)는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Milestone)을 설정하여 상기 서버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법인등록, 베타서비스 시작, 펀딩(Seed Funding), BEP(손익분기점) 달성, 연 매출 10억원 달성, 연 순이익 5억원 달성, 연 매출 200억원 달성, 및 코스닥 상장과 같이 창업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마일스톤은 창업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인바, 이와 다른 목표들을 창업기업에서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220)는 설정한 여러 목표들을 표출시켜 창업기업의 성장방향을 투자자들이 예측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미 달성한 목표의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거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표를 부가하여 그래픽화하는 등 아직 도달하지 못한 목표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한 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해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검색하는 투자자들에게 그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여러 목표를 함께 표출시키며 이미 달성한 목표들만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하게 변경시켜 표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일정 기간마다 마일스톤을 달성한 창업기업들의 목록과 각 창업기업이 달성한 목표인 마일스톤의 내용만을 통합하여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NS 등록부(300)는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자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한 창업기업에서 회사의 경영상황, 가입자 증가, 팀원 확충, 베타서비스 시작, BEP 달성 예측시점 공지 등과 같이 일반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상황을 지속적으로 공지하기 위한 SNS 메시지를 작성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창업기업은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를 통하여 회사의 현황정보를 등록하고 서브 홈페이지를 부여받을 때 각 서브 홈페이지에 SNS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는 권한도 함께 부여 받게 되며, 이러한 권한에 의해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공지사항을 투자자들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SNS 메시지로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SNS 표출부(400)는 상기 SNS 등록부(300)를 통하여 각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공지사항들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업기업에게 할당되어 있는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킴은 물론, 여러 창업기업들에서 등록하는 SNS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정보 제공 플랫폼의 서버시스템(10)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구비된 통합 검색 화면 등을 통하여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새로운 SNS 메시지의 등록을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500)는 투자자들이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의사를 먼저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부(510)와, 상기 구주인수신청부에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입력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부(520)와,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기존주주활성화부(530)와,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주인수신청부(510)는 상기 SNS 표출부(400)를 통하여 홈페이지화면에 표출되는 창업기업들의 다양한 경영정보를 통하여 특정한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고자 결정한 투자자가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입력하는 구주 인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주인수신청부(5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특정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되는 바이(Buy)신호를 선택하는 투자자의 입력에 의해 구주 인수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주인수신청부(510)는 상기 바이(Buy) 선택 신호 후 투자자가 취득하고자 하는 주식의 수량과 가격을 입력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실질적인 거래를 위해 추후 구주 보유자와의 연락을 위한 인적정보를 함께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주인수표출부(520)는 상기 구주인수신청부(510)에서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가 등록된 후, 구주의 인수를 요청하는 신호가 등록되었음을 다른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SN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통합 홈페이지와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가 등록된 SNS 메시지들만을 별도의 오픈트레이딩(OPEN TRADING) 항목에 통합하여 표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래의 최종기한 등을 함께 표출시켜 별도의 오픈트레이딩(OPEN TRADING) 항목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주 인수 요청이 등록되었음을 SNS 메시지로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530)는 상기 구주인수표출부(520)를 통하여 구주 인수 요청(Buy)이 등록된 후 상기 통합 홈페이지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투자자들 중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구주(Old Share) 보유자들에게는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할 수 있는 매도창(Sell)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530)에서 구주 보유자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시스템에서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사의 주식 보유현황을 상기 투자상황관리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구주의 매도창(Sell)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인증과정을 통하여 구주 보유자임을 인증 받은 후에야 매도창(Sell)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530)는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를 먼저 입력한 제1구주 보유자에게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우선적인 거래권을 부여받은 제1구주 보유자에게는 구주 인수 요청(Buy)을 입력한 투자자의 구주 매수조건, 즉 매수하고자 하는 주식의 수량과 가격 등의 정보와, 매수자와의 연락을 위한 연락처 등이 공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가 등록된 후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실제 보유하고 있는 구주 보유자들에게만 매도창(Sell)이 활성화되고, 이들 상호간에만 개인정보 등이 교환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주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투자자와 제1구주 보유자간에 구주 매수조건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면 상호간의 구주 거래가 이루어지고, 투자조건에 대한 협의가 성립되지 않아 결렬되면 다음으로 빨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한 제2구주 보유자에게 거래권이 있게 되며, 순차적으로 구주 매수조건에 대한 협의가 진행되며 구주의 오픈트레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540)는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를 통하여 구주 매도의사(Sell)를 입력한 구주 보유자와 그 전에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를 입력한 투자자 간의 협의를 통하여 구주의 거래가 완료되면, 이를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다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 거래(Completed Trading) 항목에 거래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SNS 메시지를 표출시켜 구주 보유자들이 거래를 요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SNS 메시지 형태로 창업기업들의 경영상황에 대한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제공되면서 창업기업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투자자들은 창업기업들의 발전가능성을 스스로 판단하여 투자의사를 생성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투자의사에 의해 비상장사의 주식인수에 대한 구주 인수 요청(Buy)을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는 SNS 메시지 형식으로 구주 보유자들에게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대응한 매도 의사(Sell)는 구주 보유자들에게만 활성화되므로, 거래의 안전성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비상장사 투자자들에게도 안전하고 활성화된 중간회수시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은, 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S10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S200)와,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S300)와,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S400)와, 이미 발행된 창업기업의 주식을 취득하려는 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의사(Buy)를 수신한 후 해당 창업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구주의 매도가 가능한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켜 투자자와 구주 보유자간의 구주거래가 이루어지는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타트업 등록단계(S100)는 각 창업기업에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시스템에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항목입력과정(S110)과, 입력된 현황정보의 카테고리 항목 중 창업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가중치 설정과정(S120)과, 상기 창업기업의 자산규모 변경이나 지적재산권의 출원 또는 등록 등의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갱신저장과정(S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항목입력과정(S110)을 통하여 창업기업에서 등록하는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델, 팀, 재무, 차별성, 또는 지적재산권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창업기업의 현황정보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창업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나 투자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들의 창업기업들에 대한 주식 보유 현황과 같은 투자상황을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투자자등록단계(S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자자등록단계(S150)는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고자 하는 예비투자자 또는 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회원가입과정(S152)과,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상황등록과정(S1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단계(S200)는 창업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과정(S210)과, 상기 창업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래픽처리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과정(S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설정과정(S210)은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을 설정하여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창업기업의 단계적인 달성 목표인 마일스톤은 법인등록, 베타서비스 시작, 펀딩(Seed Funding), BEP(손익분기점) 달성, 연 매출 10억원 달성, 연 순이익 5억원 달성, 연 매출 200억원 달성, 및 코스닥 상장과 같이 창업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일스톤은 상기 창업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이므로, 상술한 단계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표출과정(S220)은 창업기업이 이미 달성한 목표인 경우에는 표출되는 글자의 색을 달리하거나, 각 단계의 일 측에 별표와 같은 캐릭터를 부가하는 등 그래픽화 함으로써, 해당 창업기업이 아직 달성하지 못한 단계와 현재 위치해 있는 단계를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처리한 후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SNS 표출단계(S400)는 각 창업기업들이 상기 SNS 등록단계에서 등록한 회사의 경영정보와 관련된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 할당되어 있는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스타트업 개별 표출과정(S410)과, 상기 SNS 등록단계를 통하여 새로운 공지사항의 등록이 이루어진 여러 창업기업들의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통합적으로 표출시키는 통합 표출과정(S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 표출과정(S420)에서 여러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신규 SNS 메시지가 표출되므로 투자자는 종래 증권사의 게시판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던 광고와는 달리 SNS 메시지의 내용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타트업 개별 표출과정(S410)을 통하여 각 창업기업들이 마일스톤의 첫 단계부터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면서 등록하였던 SNS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창업기업의 경영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S500)는 투자자들이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의사를 먼저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과정(S510)과, 상기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입력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과정(S520)과,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기존주주활성화과정(S530)과,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과정(S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주인수신청과정(S510)은 창업기업의 발전가능성을 파악하거나 구주를 획득할 필요성이 있는 투자자들이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서 바이(Buy)를 선택하여 구주 인수 의사를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주인수신청과정(S510)에서 투자자가 취득하고자 하는 창업기업 주식의 수량과 가격 또는 연락을 위한 인적정보 등을 함께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주인수표출과정(S520)은 구주 인수 요청(Buy) 신호가 등록된 SNS 메시지들만을 별도의 오픈트레이딩(OPEN TRADING) 항목에 통합하여 표출시킴과 아울러, 거래의 최종기한 등을 함께 표출시켜 별도의 오픈트레이딩(OPEN TRADING) 항목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도 구주 인수 요청이 등록되었음을 SNS 메시지로 표출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기존주주활성화과정(S530)은 구주 보유자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시스템에서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비상장사의 주식 보유현황을 확인한 후 구주의 매도창(Sell)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인증과정을 통하여 구주 보유자임을 인증 받은 후에야 매도창(Sell)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과정(S530)은 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가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먼저 등록한 구주 보유자에게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오프라인상에서 구주 보유자와 투자자간에 이루어지는 거래의 질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스타트업 등록부 110 - 항목 관리부
120 - 가중치 설정부 130 - 갱신저장부
150 - 투자자 등록부 152 - 회원가입부
154 - 투자상황등록부 156 - 거래활성화부
200 - 마일스톤 관리부 210 - 마일스톤 설정부
220 - 마일스톤 표출부 300 - SNS 등록부
400 - SNS 표출부 500 -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
510 - 구주인수신청부 520 - 구주인수표출부
530 - 기존주주활성화부 540 -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

Claims (9)

  1.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장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 및 예비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시스템은, 스타트업 등록부, 투자자 등록부, 마일스톤 관리부, SNS 등록부, SNS 표출부, 및 구주 오픈 트레이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는 상기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며,
    상기 투자자 등록부는,
    상기 투자자 및 예비투자자들의 인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회원가입부;
    상기 회원가입부에 저장되어 있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들의 주식 보유 현황을 등록하여 저장하는 투자상황등록부; 및
    해당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창업기업의 주식에 대한 매수요청인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있을 경우 투자자에게 표출되는 홈페이지에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는 거래활성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투자자 및 예비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며,
    상기 SNS 등록부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한 공지사항들을 등록 저장하며,
    상기 SNS 표출부는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며,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관리부는,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상기 예비투자자들의 구주 인수 요청(buy)을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부;
    상기 구주인수신청부에 구주 인수 요청(Buy)이 등록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부;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예비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를 먼저 입력한 구주 보유자에게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되도록 하는 기존주주활성화부; 및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비상장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을 이용하되,
    상기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를 통하여 카테고리 항목별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SNS 등록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 및 예비투자자들에게 상기 SNS 표출부를 통해서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주 오픈트레이딩 단계는,
    예비투자자가 바이 버튼(buy button)을 선택하여 구주를 취득하고자 하는 구주 인수 요청(buy)을 상기 구주인수신청부에 등록하는 구주인수신청과정;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이 입력된 사실을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구주인수표출부를 통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구주인수표출과정;
    상기 SNS 메시지의 생성 후 홈페이지나 상기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접속한 구주(Old Share) 보유자에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를 통하여 매도창(Sell)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예비투자자의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구주 보유자가 매도창(Sell)을 통하여 구주의 매도의사를 입력하면 매도의사를 먼저 입력한 구주 보유자에게 상기 기존주주활성화부를 통하여 우선적인 거래권이 부여되도록 하는 기존주주활성화과정; 및
    상기 구주 인수 요청(Buy)에 대응하여 먼저 입력되는 구주 보유자의 매도신호(Sell)에 의해 상호간의 거래가 이루어진 후 구주 거래의 완료를 SNS 메시지로 생성하여 상기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부를 통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오픈트레이딩 완료 표출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20036895A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KR10137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95A KR101376252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95A KR101376252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480A KR20130114480A (ko) 2013-10-18
KR101376252B1 true KR101376252B1 (ko) 2014-03-24

Family

ID=4963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895A KR101376252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832B1 (ko) * 2015-03-25 2023-09-08 이윤택 클라우드 투자 시스템 및 클라우드 투자 서비스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ss2009. "소셜펀딩 투자의 새로운 창구가 되다!". 금융감독원 공식 블로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480A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23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22425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JP6172872B2 (ja) オープンプラットフォームを用いたファンディング運営及び事後管理システムとその方法
CN107833098A (zh) 大众创业电商平台
US20230162286A1 (en)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Providing Support and Financial Resources for Small Businesses
Joseph et 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 the knowledge economy
JP6462169B1 (ja) ポイントシステムを用いた3者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KR10137625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US20180247375A1 (en) Method and system of funding a business entity
Baporikar Significa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ndian eBusiness
Das et al. The digital archipelago
KR101376251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자정보 제공방법
KR20000063162A (ko) 지식관리시스템 및 지식관리방법
KR101535422B1 (ko)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KR101376253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KR101940392B1 (ko) 오프라인 연동 기반 p2p 대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Safibullaevna et al. Projecting Parametres Trade Electronic Platform
Zheng et al. Fundamentals of E-commerce
JP2019003246A (ja) 系列組織的販売を管理す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2086944B1 (ko) 오프라인 연동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Rui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Chinese E-Commerce Firms. The Case of Alibaba Group
Tan Identifying trends on global online to offline (O2O) e-commerce research: A bibliometrics analysis
Tarakanova E-commerce entrepreneurship: a practical study of online shop development
Babli E-commerce platform & its opportunities in Bangladesh: A study on Kablewala Bangladesh Corporation.
KR20220101574A (ko) 온라인 링크 공유에 따른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