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253B1 -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253B1
KR101376253B1 KR1020120036896A KR20120036896A KR101376253B1 KR 101376253 B1 KR101376253 B1 KR 101376253B1 KR 1020120036896 A KR1020120036896 A KR 1020120036896A KR 20120036896 A KR20120036896 A KR 20120036896A KR 101376253 B1 KR101376253 B1 KR 10137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funding
sns
new stock
inve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481A (ko
Inventor
권혁태
Original Assignee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여부 결정의 판단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창업기업(Start Up)에서 추진하는 신주 펀딩이나 신주 인수와 같은 신주의 관리상황에 대한 발생 또는 진행정도를 투자자들에게 SNS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신주 취득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창업기업으로서는 펀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NEW STO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NON LISTING COMPANY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여부 결정의 판단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창업기업(Start Up)에서 추진하는 신주 펀딩이나 신주 인수와 같은 신주의 관리상황에 대한 발생 또는 진행정도를 투자자들에게 SNS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신주 취득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창업기업으로서는 펀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권사는 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 관여할 수는 있으나 비상장사 주식의 매수/매도 계약에는 관여할 수 없으므로,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는 매수자와 매도자간에 청약과 승낙이 이루어진 후 별도로 이루어지는 상호간의 대금 지급과 주식의 명의 개서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비상장사의 주식을 선 권리자로부터 매수하거나 공모주 청약 등을 통하여 취득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이 비상장사의 사업 내용과 발전가능성 등을 판단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Start Up)의 경우 상장사와는 달리 공개되는 정보 및 그 정리가 쉽지 않은바, 투자자들로서는 기업의 내부 상황과 시장 점유정도 또는 매출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 주식을 취득하기 위한 투자자들로서는 창업기업에서 제공하는 사업계획서에 의존하여 회사정보를 획득하는 것 외에는 증권사 웹사이트에 구비된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 등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업계획서는 실제 시장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불확실한 예정사항들 위주로 기재되므로, 투자자 입장에서 실제 시장에서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갖고 사업이 이루어질 것인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증권사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간헐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정보의 경우 그 출처를 확인하기 어려워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사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간헐적으로 기재되는 회사의 운영상황에 대한 정보를 회사별로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장사의 입장에서도 회사의 발전에 따른 동적인 성장과정을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하면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는바, 회사의 발전상황에 대한 정보가 시드머니 펀딩과 같은 이벤트의 일 재료로 제공됨에 그치게 되어 창업기업과 투자자 간에 회사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펀딩시 투자자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비상장사의 주식거래는 증권사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매도자가 매도 희망 광고를 올리면, 이러한 매도 희망 광고를 접한 매수자가 증권사의 게시판에 대한 답글 또는 별도의 연락처를 통한 개별연락을 통하여 거래가 이루어지게 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처럼 매수자와 매도자가 개별적으로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한계로 인하여 입금 후 주식을 양도받지 못하거나, 주식 양도후 대금을 지급받지 못하게 되는 사고가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452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에서 매수인으로부터 대금이 입금됨을 확인한 후 매도인으로부터 주식의 양도를 요청하고, 주식의 양도가 이루어진 후 일시 보관중이던 대금을 매도인에게 전달하여 비상장 주식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은 에스크로 시스템에서 대금을 일시 보관하였다가 주식의 양도가 이루어짐을 확인한 후 대금을 매도인에게 전달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장점은 있으나, 통상적인 비상장사의 주식거래와 마찬가지로 투자자들에게 비상장사인 창업기업(Start Up)의 경영정보 등이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의사소통 수단이 없는 것은 마찬가지인바, 투자자로서는 창업기업에 대한 정보부재로 인하여 손실위험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비상장 주식 거래 에스크로 시스템도 비상장사에서 신주의 인도 또는 펀딩을 공모하기 전에는 투자자들로서는 자신의 비상장사 주식 구매의사를 표출할 방법이 없었는바, 투자자로서는 발전가능성 있는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의사를 표출하기 어려웠고,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으로서는 투자자들이 그 창업기업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투자의사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 투자자와 창업기업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와 같은 정적인 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사업을 영위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와 같은 마일스톤에 대한 등록과 성취에 대한 동적인 경영정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창업기업(Start Up)과 투자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투자여부 결정의 판단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창업기업(Start Up)에서 추진하는 신주 펀딩이나 신주 인수와 같은 신주의 관리상황에 대한 발생 또는 진행정도를 투자자들에게 SNS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신주 취득을 촉진하고 그로 인해 창업기업으로서는 펀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부;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부; 상기 창업기업의 경영에 따라 발생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직접 등록하는 SNS 등록부;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는 SNS 표출부; 및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 또는 종료와 같은 신주 펀딩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고, 투자자들이 직접 신주 펀딩에 참여할 수 있게 관리하는 신주 인수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주 인수 관리부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표출하는 펀딩등록부;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부; 및 투자자들의 통합된 신주인수 참여의사에 의해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목표금액에 도달하기 위한 변경된 잔액을 SNS 메시지로 표출시키는 변환 표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주 인수 관리부는 펀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투자자들이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은,
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 및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과 같은 신주 펀딩정보, 즉 신주 인수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면서 창업기업이 투자자들을 직접 모집하는 신주인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신주인수단계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와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기 위해 등록하는 펀딩진행 등록과정;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보고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과정; 및 상기 참여의사 통합과정에서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잔여금액을 연산한 후 표출시키며 신주 펀딩의 진행상황을 SNS 메시지로 표출하는 진행사항 표출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주인수단계가 진행되지 않는 동안에도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창업기업의 마일스톤 달성 또는 진행과정 등 사업을 영위하면서 이루어지는 동적인 경영정보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시지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하여, 투자자로서는 발전가능성 있는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의사를 표출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창업기업으로서는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투자의사를 취합하여 신주 펀딩을 진행하면서 투자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업기업들의 마일스톤 달성 상황 및 신주 펀딩상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창업기업들의 신주 펀딩정보를 정렬하여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창업기업의 사업 진행상황과 신주 펀딩상황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형태로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신주 거래상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신주 거래가 완료된 상황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 등을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서버시스템(10)은 창업기업(Start up)의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부(10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시장에 진입하여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부(200)와, 상기 창업기업의 경영에 따라 발생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직접 등록하는 SNS 등록부(300)와,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는 SNS 표출부(40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 또는 종료와 같은 신주 펀딩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고, 투자자들이 직접 신주 펀딩에 참여할 수 있게 관리하는 신주 인수 관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시스템(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접속한 창업기업의 현황정보와 투자자들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 후 저장하는 웹서버 등의 서버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버시스템(10)은 투자의 대상인 창업기업(Start up)의 경우 현황정보와 마일스톤 및 회사 경영에 따른 공지사항 등을 각 창업기업별로 표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할당하고, 해당 서브 홈페이지에서는 각 창업기업의 경영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검색 가능하게 하여 투자자들이 언제든지 창업기업별로 현황정보와 마일스톤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들이 각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회원 가입한 창업기업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사의 현황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는 창업기업의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항목 관리부(110)와, 상기 항목 관리부에서 등록한 카테고리 항목 중 창업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라 투자자를 위한 가중치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가중치 설정부(120)와, 상기 창업기업의 자산규모 변경이나 지적재산권의 출원 또는 등록 등의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갱신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서 등록되는 현황정보는 창업기업의 사업방향과 자산상황 또는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등 창업초기부터 구비하게 되는 자산 또는 자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창업기업의 현황정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 좌측에 표출되는 컴퍼니(Company) 또는 기업현황 항목에 트리구조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팀(Team), 재무(Financial), 차별성(Unique/Creative), 또는 지적재산권(IP)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보이는 기업현황 항목은 창업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항목들의 일 예일뿐,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중치 설정부(120)는 기업의 운영기간이 길지 않은 비상장사인 창업기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기 항목 관리부에서 등록된 현황정보를 이루는 항목들에 가중치를 상이하게 부여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갱신저장부(130)는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서 등록하여 저장되어 있던 창업기업의 현황정보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된 사항을 상기 SNS 등록부(300)를 통해 각 창업기업에서 등록하여 투자자들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항목 관리부(110)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200)는 창업기업이 회사를 운영하는 초기부터 성장해 나가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각 창업기업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마일스톤의 성취사항을 투자자들에게 알림과 아울러, 상기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마일스톤의 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일스톤 관리부(200)는 해당 창업기업이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부(210)와, 상기 창업기업이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일스톤 설정부(210)는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Milestone)을 설정하여 상기 서버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법인등록, 베타서비스 시작, 펀딩(Seed Funding), BEP(손익분기점) 달성, 연 매출 10억원 달성, 연 순이익 5억원 달성, 연 매출 200억원 달성, 및 코스닥 상장과 같이 창업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마일스톤은 창업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인바, 이와 다른 목표들을 창업기업에서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220)는 설정한 여러 목표들을 표출시켜 창업기업의 성장방향을 투자자들이 예측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미 달성한 목표의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거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표를 부가하여 그래픽화하는 등 아직 도달하지 못한 목표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게 한 후 서브 홈페이지를 통해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표출부(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검색하는 투자자들에게 그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여러 목표를 함께 표출시키며 이미 달성한 목표들만 시각적으로 구분가능하게 변경시켜 표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간마다 마일스톤을 달성한 창업기업들의 목록과 각 창업기업이 달성한 목표인 마일스톤의 내용만을 통합하여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NS 등록부(300)는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자정보 제공 플랫폼에 등록한 창업기업에서 회사의 경영상황, 가입자 증가, 팀원 확충, 베타서비스 시작, BEP 달성 예측시점 공지 등과 같이 일반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상황을 지속적으로 공지하기 위한 SNS 메시지를 작성하여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창업기업은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100)를 통하여 회사의 현황정보를 등록하고 서브 홈페이지를 부여받을 때 각 서브 홈페이지에 SNS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는 권한도 함께 부여 받게 되며, 이러한 권한에 의해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공지사항을 투자자들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SNS 메시지로 알릴 수 있게 된다.
상기 SNS 표출부(400)는 상기 SNS 등록부(300)를 통하여 각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공지사항들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창업기업에게 할당되어 있는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킴은 물론, 여러 창업기업들에서 등록하는 SNS 메시지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정보 제공 플랫폼의 서버시스템(10)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구비된 통합 검색 화면 등을 통하여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되어 새로운 SNS 메시지의 등록을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주 인수 관리부(500)는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표출하는 펀딩등록부(510)와,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부(520)와, 투자자들의 통합된 신주인수 참여의사에 의해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목표금액에 도달하기 위한 변경된 잔액을 SNS 메시지로 표출시키는 변환 표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딩등록부(510)는 여러 단계에 걸친 마일스톤 달성 목표 중의 한 과정으로서, 또는 창업기업의 재무개선이나 시설 투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펀딩(Seed Funding)을 시작함을 SNS 메시지로 작성한 후, 상기 서버시스템을 이루는 웹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통합 홈페이지나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딩을 시행하는 창업기업과, 펀딩을 통하여 모으고자 하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 2에서는 “Hot! Start-Up”항목에 ‘EXPY에서 20,000만원의 Stage B Funding을 시작합니다.’라고 기재하여 펀딩의 시작을 알리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펀딩의 시작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SNS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펀딩등록부(510)에서 등록되는 SNS 메시지는 마일스톤의 한 단계로서 펀딩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일스톤의 달성과 같은 변동사항이 표출되는 항목을 통하여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의 형태로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등록하면 이러한 신규 SNS 메시지가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나 통합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표출되는 SNS 메시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딩의 시작을 알림과 아울러, 펀딩이 진행되는 기간, 펀딩을 통하여 조달하고자 하는 총 금액, 일반 투자자들을 통하여 모으고자 하는 펀딩 금액 등을 함께 표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신주 인수인 펀딩을 포함하는 진행정보를 통합적으로 표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참여의사 통합부(520)는 상기 펀딩등록부(510)에서 등록된 SNS 메시지 등을 통하여 펀딩이 시작된 것을 알고 해당 창업기업의 펀딩에 참여하여 신주를 인수받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바이(Buy)를 선택하여 펀딩에 참여하면, 이러한 투자자들의 펀딩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투자자들의 참여에 의해 누적된 금액을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참여의사 통합부(520)는 투자자들의 참여로 누적된 금액이 펀딩목표 금액에 도달하면 펀딩이 종료되게 하여 펀딩에 먼저 참여한 투자자들에게 만이 신주 취득의 기회가 부여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 누적된 금액이 펀딩목표 금액을 초과하더라고 펀딩 기간 내에는 투자자들의 참여를 계속적으로 받고 펀딩 기간이 완료된 후 추첨등에 의해 신주를 취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
이때, 펀딩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의 참여의사는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회원 가입한 투자자들이 로그인하여 해당 창업기업의 홈페이지로 이동한 후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참여의사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참여의사가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 표출부(530)는 상기 참여의사 통합부에서 누적 연산된 투자자들의 총 투자금액을 변경하여 상기 SNS 표출부(400)를 통해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투자자들의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누적되는 투자금액이 증가하는 것을 다른 투자자들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보다 경쟁적이고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주 펀딩을 통하여 모집하려는 펀딩금액은 전액을 개인투자자로부터 조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처 캐피탈(VC), 엔젤투자자(Angel), 및 개인투자자로부터 각각 투자받기 위한 투자금액을 분할 설정하고, 해당 투자자들만이 각 모집 금액에 투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자자들이 참여하면서 펀딩 기간이 경과하거나 목표 펀딩액에 도달하게 되어 더 이상의 투자자 참여가 불가능하게 되면 각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액을 수령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들에게 창업기업의 주식을 양도하여 신주 펀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신주인수를 위한 펀딩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 거래를 통합적으로 나타내며, 펀딩을 통해 신주를 인수받은 투자자로부터 해당 주식을 다시 인수고자 하는 다른 투자자는 상기 완료된 거래 항목에서 각 거래 내용과 함께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투자자에게 주식 매수의사를 전달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비상장사 주식의 거래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주 인수 관리부(500)는 펀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투자자들이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부(5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펀딩의사 누적부(540)는 펀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투자자들이 입력하는 바이(Buy) 선택 신호에 의해 해당 투자자들을 신주 취득 예정자로 미리 등록하여 저장하고, 추후 창업기업의 신규 펀딩이 이루어질 경우 미리 등록하여 저장되어 있는 투자자들에게 우선적인 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은, 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S10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S200)와,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S300)와,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S400)와,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과 같은 신주 펀딩정보, 즉 신주 인수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면서 창업기업이 투자자들을 직접 모집하는 신주인수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타트업 등록단계(S100)는 각 창업기업에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를 입력하여 서버시스템에 등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항목입력과정(S110)과, 입력된 현황정보의 카테고리 항목 중 창업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의 종류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가중치 설정과정(S120)과, 상기 창업기업의 자산규모 변경이나 지적재산권의 출원 또는 등록 등의 변동사항을 반영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던 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갱신저장과정(S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항목입력과정(S110)을 통하여 창업기업에서 등록하는 창업기업(Start up)의 현황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즈니스 모델, 팀, 재무, 차별성, 또는 지적재산권 등의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창업기업의 현황정보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마일스톤 관리단계(S200)는 창업기업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마일스톤 설정과정(S210)과, 상기 창업기업이 사업을 수행하면서 현재 도달해 있는 지점을 다수의 단계가 표출되는 마일스톤 항목에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래픽처리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표출과정(S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일스톤 설정과정(S210)은 창업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마일스톤을 설정하여 서버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창업기업의 단계적인 달성 목표인 마일스톤은 법인등록, 베타서비스 시작, 펀딩(Seed Funding), BEP(손익분기점) 달성, 연 매출 10억원 달성, 연 순이익 5억원 달성, 연 매출 200억원 달성, 및 코스닥 상장과 같이 창업기업이 설립된 후 사업을 영위하면서 순차적으로 달성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을 단계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일스톤은 상기 창업기업이 설정할 수 있는 여러 목표 중의 일 예일뿐이므로, 상술한 단계들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마일스톤 표출과정(S220)은 창업기업이 이미 달성한 목표인 경우에는 표출되는 글자의 색을 달리하거나, 각 단계의 일 측에 별표와 같은 캐릭터를 부가하는 등 그래픽화 함으로써, 해당 창업기업이 아직 달성하지 못한 단계와 현재 위치해 있는 단계를 투자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처리한 후 표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SNS 표출단계(S400)는 각 창업기업들이 상기 SNS 등록단계에서 등록한 회사의 경영정보와 관련된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 할당되어 있는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는 스타트업 개별 표출과정(S410)과, 상기 SNS 등록단계를 통하여 새로운 공지사항의 등록이 이루어진 여러 창업기업들의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에 통합적으로 표출시키는 통합 표출과정(S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 표출과정(S420)에서 여러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신규 SNS 메시지가 표출되므로 투자자는 종래 증권사의 게시판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던 광고와는 달리 SNS 메시지의 내용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타트업 개별 표출과정(S410)을 통하여 각 창업기업들이 마일스톤의 첫 단계부터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면서 등록하였던 SNS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창업기업의 경영 히스토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주인수단계(S500)는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와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기 위해 등록하는 펀딩진행 등록과정(S510)과,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보고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과정(S520)과, 상기 참여의사 통합과정에서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잔여금액을 연산한 후 표출시키며 신주 펀딩의 진행상황을 SNS 메시지로 표출하는 진행사항 표출과정(S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펀딩진행 등록과정(S510)은 다수의 창업기업들에서 이루어지는 신주 인수와 같은 펀딩뿐만 아니라, 이미 창업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들 간의 구주 인수와 같은 거래의 진행 상황들을 통합하여 홈페이지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창업기업의 펀딩이 시작됨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 자주 방문하지 않던 일반투자자들고 홈페이지에 표출된 SNS 메시지에 의해 신주 펀딩이 진행 중임을 인식한 후,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그 창업기업의 마일스톤의 달성 상황 등을 검토하면서 경영 히스토리를 파악하여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신주를 인수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펀딩이 시작됨을 알리는 SNS 메시지는 펀딩기간과 펀딩 금액 등으로 이루어진 펀딩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에는 펀딩에 참여하기 위한 투자자들이 참여의사를 입력할 수 있는 바이(Buy) 버튼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참여의사 통합과정(S520)은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에 의해 모집된 금액을 누적하여 총 투자금액을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행사항 표출과정(S530)은 신주 펀딩이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통합되는 투자자들의 투자금액을 누적하여 총 모집금액과 비교한 후, 모집금액에 도달하기 까지 남은 잔여금액을 연산한 후 표출시켜 투자자들의 투자가 가능한 금액을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은 상기 신주인수단계(S500)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펀딩의사 누적단계(S600)는 서브 홈페이지 등에서 표출되는 마일스톤의 달성정도 또는 비즈니스 모델 등을 통하여 파악한 창업기업의 발전가능성을 토대로 투자자들이 신주를 획득하고자 입력하는 바이(Buy) 선택신호에 의해 해당 투자자들을 신주 취득 예정자로 미리 등록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신규 펀딩이 이루어질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투자자들에게 우선적인 펀딩 참여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비상장기업인 창업기업과, 비상장기업의 신주를 취득하려는 투자자 간에 SNS 메시지를 통하여 회사의 발전상황에 대한 정보의 공유와 그로 인한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게 되므로, 투자자로서는 창업기업의 발전가능성을 경영 히스토리와 함께 안정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창업기업으로서는 회사의 경영실적을 보다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되어 주식 거래의 활성화 및 신주 펀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스타트업 등록부 110 - 항목 관리부
120 - 가중치 설정부 130 - 갱신저장부
200 - 마일스톤 관리부 210 - 마일스톤 설정부
220 - 마일스톤 표출부 300 - SNS 등록부
400 - SNS 표출부 500 - 신주 인수 관리부
510 - 펀딩등록부 520 - 참여의사 통합부
530 - 변환 표출부 540 - 펀딩의사 누적부

Claims (8)

  1.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상에서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와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상장 창업기업들과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SNS 메시지를 입력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창업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카테고리 항목별로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부;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투자자들이 접속하여 검색하는 시점에서의 목표달성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부;
    상기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한 공지사항들을 등록 저장하는 SNS 등록부;
    다수의 창업기업들이 등록한 SNS 메시지 형태의 공지사항들을 함께 표출시키거나 특정 창업기업만의 SNS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표출시켜 투자정보로 제공하는 SNS 표출부; 및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 또는 종료와 같은 신주 펀딩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고, 투자자들이 직접 신주 펀딩에 참여할 수 있게 관리하는 신주 인수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주 인수 관리부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표출하는 펀딩등록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회원 가입한 투자자들이 로그인하여 해당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로 이동한 후 바이(Buy) 버튼을 선택하여 참여의사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신주인수 참여의사가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고, 상기 신주인수 참여의사가 등록되면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부;
    투자자들의 통합된 신주인수 참여의사에 의해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목표금액에 도달하기 위한 변경된 잔액을 SNS 메시지로 표출시키는 변환 표출부; 및
    펀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투자자들이 각 창업기업의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되,
    창업기업의 사업모델이나 재무상황 또는 지적재산권과 같은 현황정보를 상기 스타트업 등록부를 통하여 카테고리 항목별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타트업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에서 사업을 수행하면서 달성하게 되는 여러 목표를 상기 마일스톤 관리부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설정하고 목표달성정도를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출시키는 마일스톤 관리단계;
    상기 창업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공지사항들을 각 창업기업에서 SNS 메시지로 작성하여 상기 SNS 등록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하는 SNS 등록단계;
    상기 창업기업들이 서버시스템에 등록한 SNS 메시지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한 투자자들에게 상기 SNS 표출부를 통하여 표출시키는 SNS 표출단계;
    상기 창업기업에서 진행하는 신주 펀딩의 시작, 진행상황과 같은 신주 펀딩정보, 즉 신주 인수정보를 SNS 메시지 형태로 표출시키면서 창업기업이 투자자들을 직접 모집하는 신주인수단계; 및
    상기 신주인수단계가 진행되지 않는 동안에도 상기 펀딩의사 누적부를 통하여 신주 인수의사를 등록하는 펀딩의사 누적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주인수단계는,
    상기 창업기업에서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작성하여 서버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홈페이지와 서브 홈페이지에 표출시키기 위해 상기 펀딩등록부를 통하여 등록하는 펀딩진행 등록과정;
    신주 펀딩의 시작을 알리는 SNS 메시지를 보고 신주 펀딩에 참여하여 바이(Buy)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의 신주인수 참여의사를 상기 참여의사 통합부를 통하여 통합하여 누적 금액을 연산하는 참여의사 통합과정; 및
    상기 참여의사 통합과정에서 누적된 금액을 반영하여 잔여금액을 연산한 후 신주 펀딩의 진행상황을 상기 변환 표출부를 통하여 SNS 메시지로 표출하는 진행사항 표출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6896A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KR10137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96A KR101376253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896A KR101376253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481A KR20130114481A (ko) 2013-10-18
KR101376253B1 true KR101376253B1 (ko) 2014-03-25

Family

ID=4963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896A KR101376253B1 (ko) 2012-04-09 2012-04-09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807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다중 sns 플랫폼 연동형 사업자 포트폴리오 자동 생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83B1 (ko) * 2014-07-28 2016-12-21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온라인 창업경진 콘테스트를 통한 창업 정보 운영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ss2009. "소셜펀딩 투자의 새로운 창구가 되다!". 금융감독원 공식 블로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807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다중 sns 플랫폼 연동형 사업자 포트폴리오 자동 생성 시스템
KR102394913B1 (ko) * 2020-05-15 2022-05-09 주식회사 비다스테크 다중 sns 플랫폼 연동형 사업자 포트폴리오 자동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481A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23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8346614B2 (en) Promoting a web technology through a virtual service marketplace
KR101722425B1 (ko) 오픈 플랫폼을 이용한 펀딩운영 및 사후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EP2950262A1 (en) Funding management and post management system using open platform and method therefor
KR102170253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제작 및 유통 참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TW201007602A (en) Automated commission program with static titled room assignment
US20090043661A1 (en) Client-server system for managing an item database and item transactions with user-item associations
Sharam et al. The uberisation of housing markets: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KR101376253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신주 관리시스템 및 신주 관리방법
JP2006215841A (ja) 証券取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証券発注プログラム
Van Der Heijden Ubiquitous computing, user control, and user performance: conceptual model and preliminary experimental design
JP7403037B2 (ja) 経済的な豊かさと精神的な豊かさの両立を支援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0081707A (ko) 사이버 선물주 개념을 도입한 연예인 펀드 조성 방법 및시스템
JP2011150406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
KR101949034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업무진행 방법
JP20060043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共同出資型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共同入札方法、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14479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투자정보 제공방법
Toh et al. Productivity in Singapore's Retail and Food Services Sectors: Contemporary Issues
Taylor et al. Navigating a new landscape: the third sector delivering contracted employment services
KR101376252B1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상장사의 구주 오픈트레이딩 시스템 및 구주 오픈트레이딩 방법
US20130325595A1 (en) Social media marketing and proceed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Hynes Something new under the sun? A case study of modern Italian barter systems
Lao Country Report
JP2019067052A (ja) ポイントシステムを用いた3者型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システム
KR102108715B1 (ko) 초기 코인 공개를 위한 시드 머니 대출 및 연동 가능한 평가 데이터 제공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