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579B1 -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579B1
KR100802579B1 KR1020070061149A KR20070061149A KR100802579B1 KR 100802579 B1 KR100802579 B1 KR 100802579B1 KR 1020070061149 A KR1020070061149 A KR 1020070061149A KR 20070061149 A KR20070061149 A KR 20070061149A KR 100802579 B1 KR100802579 B1 KR 10080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information
web server
projec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동명
박찬혁
이훈
신설우
김지용
문현만
Original Assignee
(주) 에코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코센스 filed Critical (주) 에코센스
Priority to KR102007006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구개발 과제 발주기관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공고한 연구개발 및 기술 개발 과제에 대해 인터넷을 통해 과제 신청 업체가 신청 시 단일화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 DB 및 평가프로그램을 가진 인터넷 상의 연구개발과제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을 통해 과제신청 업체의 과제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사전에 타당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검증된 과제 수행업체에 한하여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토록 하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과;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사전타당성, 인터넷, 발주기관, 과제신청업체, 평가시스템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Pre-feasibility assessment system for R&D project commercialization by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처리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 평가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제신청 업체의 신청 내용에 대한 평가점수계산단계의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를 수행하는 유효성 검사 단계의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2를 수행하는 평가항목가중치DB를 불러와 참조하는 단계의 평가항목가중치DB를 생성하는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를 수행하는 평가항목 도출 단계의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를 수행하는 타당성검증을 통한 최종평가항목 모델 확정 단계에 따라 도출된 최종평가항목이고,
도 7은 도 1의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제신청/접수 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이고,
도 8a,b는 도 1의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평가내용생성 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이고,
도 9는 도 1의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평가결과 단계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
(2) :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
(3) :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21) : 웹서버
(22) : 평가서버
(23) : DB서버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단일화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 DB 및 평가프로그램을 가진 연구개발과제 평가기관을 통해 과제 발주기관의 평가를 대행하여 과제신청 업체의 과제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사전에 타당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검증된 과제 수행업체에 한하여 연구를 추진토록 하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연구개발사업의 처리 흐름을 살펴보면 연구개발사업 주체인 발주기관이 오프라인 또는 매스컴을 통해 사업시행을 공고하면 다수의 과제신청 업체들이 과제를 오프라인상의 양식으로 신청하고, 발주기관은 신청된 과제신청 업체를 비자동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중에서 적합한 업체를 선정하여 과제를 수행토록 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구개발사업 처리 흐름은 발주기관 마다의 평가기준이 상이하여 과제신청 업체들이 발주기관에 따라 각각의 보고서를 작성 후 신청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발주기관 역시 다수의 과제신청 업체들이 각기 다른 주관에 따른 과제신청용 보고서를 제출함으로 인해, 제출된 보고서의 작성 기준이 주관적이어서 명확한 평가 기준이 없다는 문제점과,
또한 과제신청 업체가 제출한 자료(보고서)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평자가 간에 평가 오차가 발생하여 평가결과의 객관성이 미비하다는 문제점과,
또한 평가위원 선정 시 사업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적절한 평가위원이 부재하여 과제수행능력이 없는 과제신청업체가 확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구개발 과제 발주기관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공고한 연구개발 및 기술 개발 과제에 대해 인터넷을 통해 과제 신청 업체가 신청 시 단일화되고 객관적인 평가기준 DB 및 평가프로그램을 가진 인터넷 상의 연구개발과제 평가기관을 통해 과제신청 업체의 과제수행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사전에 타당성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가 검증된 과제 수행업체에 한하여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토록 하는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과;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방법은 ,
발주기관이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을 통해 사업기획정보생성단계를 거친 후,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를 전달받은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는 사업시행공고수단을 이용하여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열람토록 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를 통해 연구과제 공고를 확인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는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로 과제신청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는 과제신청/접수수단을 이용하여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평가내용생성수단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웹서버의 평가내용생성수단에서는 클라이언트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평가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서버는 웹서버로부터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전달받아 평가점수 계산수단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 그 평가점수 정보를 DB서버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DB서버는 평가점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웹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는 DB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평가점수 정보를 평가결과생성수단을 이용하여 과제신청업체 및 발주기관에 공고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의 웹서버로부터 공고된 평가점수 정보를 전달받은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평가결과를 사전검토정보생성수단, 평가결과 전문가평가정보생성수단, 평가결과 전문기관조정정보생성수단, 평가결과 총괄조정정보생성수단을 순차적으로 거쳐 확정된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과제신청업체로 확정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제신청업체 확정 및 통보수단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처리흐름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과;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 및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와 연결되고, 사업시행공고수단(211), 과제신청/접수 수단(212), 평가내용생성 수단(213), 평가결과생성수단(214)을 구비하여 처리하는 웹서버(21)와;
상기 웹서버(21)와 연결되어 평가점수 계산 수단(221)을 구비하여 처리하는 평가서버(22)와;
상기 웹서버(21) 및 평가서버(22)와 연결되어 평가결과DB를 저장하는 DB서버(23)로 구성된다.
상기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는 평가시스템의 웹서버(21)로 사업기획 정보를 전달토록 사업기획정보생성수단(11), 웹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평가결과를 처리하는 평가결과 사전검토정보생성수단(12), 평가결과 전문가평가정보생성수단(13), 평가결과 전문기관조정정보생성수단(14), 평가결과 총괄조정정보생성수단(15), 과제신청업체 확정 및 통보수단(16)을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토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평가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웹서버, 평가서버, DB서버,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성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구동 소프트웨어 구성 및 각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구동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은 통상의 구성을 사용하면 되고, 이러한 통상의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구동 소프트웨어 구성 자체가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웹서버, 평가서버, DB서버,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수단들은 컴퓨터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역할을 하도록 작동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언어 등은 사용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처리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주기관이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의 사업기획정보생성수단(11)을 통해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 정보를 전송한다.
정보를 전달받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사업시행공고수단(211)을 이용하여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들이 인터넷을 통해 열람토록 한다.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를 통해 연구과제 공고를 확인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는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 과제신청 정보를 전달한다.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과제신청/접수수단(212)을 이용하여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평가내용생성수단(213)으로 전달한다.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에서는 클라이언트단말기(3)로부터 전달받은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평가서버(22)로 전달한다.
평가서버(22)는 웹서버(21)로부터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전달받은 정보를 평가점수 계산수단(221)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 그 평가점수 정보를 DB서버(23)로 전달하여 저장한다.
DB서버(23)는 평가점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웹서버(21)로 전달한다.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DB서버(23)로부터 전달받은 평가점수 정보를 평가결과생성수단(214)을 이용하여 처리한 후 과제신청업체 및 발주기관에 공고한다.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부터 공고된 정보를 전달받은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는 평가결과 사전검토정보생성수단(12), 평가결과 전문가평가정보생성수단(13), 평가결과 전문기관조정정보생성수단(14), 평가결과 총괄조정정보생성수단(15)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확정된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로 통보하는 과제신청업체 확정 및 통보수단(16)을 이용하여 처리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 평가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제신청 업체의 신청 내용에 대한 평가점수계산수단의 내부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점수 계산수단(221)은,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로부터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전달받은 후, 평가내용이 유효하게 입력되어 생성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유효하면 다음 단계를, 유효하지 않을 경우 에러출력단계(2215)를 거쳐 다시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을 거치게 하는 유효성 검사단계(2211)와;
이후 유효성 검사단계(2211)에서 평가내용이 유효할 경우, DB서버(23)에 저장된 평가항목가중치DB를 불러와 참조하는 단계(2212)와;
이후 평가항목가중치DB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평가점수를 계산하는 단계(2213)와;
이후 계산된 평가점수를 종합하는 단계(2214)를 거쳐 그 정보를 DB서버(2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평가항목가중치DB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평가점수를 계산하는 단계(2213)는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된다.
(식)
Figure 112007045054065-pat00001
항목별 평가등급은 AㆍBㆍCㆍDㆍE의 등급을 사정한 후, 아래와 같은 점수를 반영한다.
A = 5, B = 4, C = 3, D = 2, E = 1
도 3은 도 2를 수행하는 유효성 검사 단계의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성 검사 단계(2211)는,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항목 중 미 입력 문항이 없는지를 체크하여 없으면 다음단계로, 있으면 에러출력단계(2215)로 진행하는 미입력문항 확인단계(22111)와;
이후 미입력문항이 없으면 숫자를 생성하는 부분에 숫자를 생성했는지, 입력정보생성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수치를 생성했는지와 같이 해당 항목을 적절하게 생성했는가를 체크하여 입력하지 않았으면 에러출력단계(2215)로, 정보를 생성했으면 유효성 검사를 마무리하는 입력여부 확인단계(22112);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2를 수행하는 평가항목가중치DB를 불러와 참조하는 단계(2212)의 평가항목가중치DB를 생성하는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항목가중치DB는,
평가 기준의 공정성과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22121)와;
이후 도출된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사전타당도 변수 확인요인을 분석하는 단계(22122)와;
이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평가항목별로 가중치를 도출하는 단계(22123)를 거쳐 생성된다.
상기 절차에 따라 생성된 정보는 DB서버(23)에 저장되어 평가점수 계산수단(221)에서 참조되게 된다.
상기 도출된 평가항목을 기준으로 사전타당도 변수 확인요인을 분석하는 단계(22122)에 따른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사전타당도 변수 확인요인 분석결과
Figure 112007045054065-pat00002
Figure 112007045054065-pat00003
: 카이자승 통계량
p : 전반적 접합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수
RMR : 원소간 평균제곱 잔차
GFI : 기초적합지수
AGFI : 조정적합지수
NFI : 표준적합지수
상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평가항목별로 가중치를 도출하는 단계(22123)에 의한 결과 값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2) 사전타당도 분석결과 도출된 가중치
Figure 112007045054065-pat00004
도 5는 도 4를 수행하는 평가항목 도출 단계의 처리 흐름을 보인 흐름도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항목도출단계(22121)는,
타당성, 유효성,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의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221211)와;
이후 국내/외 평가 항목 사례 분석을 통해 세부적인 분석 항목을 도출하는 단계와(221212);
이후 평가항목과 연관성을 검토하는 단계(221213)와;
이후 1차 분석 항목을 선정하는 단계(221214)와;
이후 세부 평가항목의 합리성, 유용성, 타당성 검증을 위해 관련 전문가의 설문조사에 의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221215)와;
이후 설문조사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항목을 확정하는 단계(221216)와;
이후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의 타당성을 검증처리하는 단계(221217)와;
이후 최종 평가항목 모델을 확정하는 단계(221218)로 구성된다.
도 6은 도 5를 수행하는 타당성검증을 통한 최종평가항목 모델 확정 단계에 따라 도출된 최종평가항목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항목은 크게 전략 및 인프라; 환경·기술성; 시장성; 기술사업성항목;으로 분류된다.
상기 전략 및 인프라 항목은,
경험수준, 신뢰성 항목으로 이루어진 경영관리능력항목과;
연구개발인력, 연구개발인력 경력, 교육훈련시간항목으로 이루어진 인적자원능력항목과;
기술장비보유, 연구개발 투자비율, 연구실적 항목으로 이루어진 연구개발능 력항목과;
기업의 신용상태, 경영기반의 안정성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업안정성항목으로 분류된다.
상기 환경·기술성 항목은,
해당기술 연구실적, 핵심기술, 인증획득, 국내·외 기술수준대비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우수성 항목과;
대체기술 출현가능성, 기술응용 및 확장가능성, 수입대체효과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경쟁성 항목과;
환경정책과의 부합성, 환경규제와 연관성, 환경친화성 항목으로 이루어진 환경친화성 항목으로 분류된다.
상기 시장성 항목은,
시장규모, 시장 예상성장률, 관련산업과의 연계성, 수요의 지속성 항목으로 이루어진 시장특성 항목과;
경쟁정도, 시장점유율 항목으로 이루어진 시장경쟁성 항목으로 분류된다.
상기 기술사업성 항목은,
기술사업화 전략, 기술 및 정보관리, 기술사업화 협력도 항목으로 이루어진 사업화전략 항목과;
마케팅 전문인력, 판로 다양성 및 구축, 판매전략 수립 항목으로 이루어진 기술마케팅항목과;
매출액 영업이익률, 매출액 투자 수익성, 매출액 순 이익률, 매출액 경상이익률, 기술활용률 항목으로 이루어진 성과관계 항목으로 분류된다.
도 7은 도 1의 평가기관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과제신청/접수 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이고, 도 8a,b는 도 1의 평가기관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평가내용생성 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이고, 도 9는 도 1의 평가기관의 웹서버에서 수행되는 평가결과 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모니터 화면으로, 이와 같은 화면 실예시는 단지 본원 발명의 한 실시를 위한 예시일 뿐 그래픽 디자인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연구개발사업 공고 및 선정시 연구개발과제 평가기관을 통해 단일의 평가기준으로 처리되어, 발주기관과 과제신청 업체들간의 자격시비 및 공정성 문제가 해결된다는 장점과,
연구개발사업 공고 및 선정시 인터넷을 통하여 모든 절차가 이루어짐으로써 선정절차가 간편하고 신속하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과;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과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2)은 다수의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 및 다수의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와 연결되어, 사업시행공고수단(211), 과제신청/접수 수단(212), 평가내용생성 수단(213), 평가결과생성수단(214)을 구비하여 처리하는 웹서버(21)와;
    상기 웹서버(21)와 연결되어 평가점수 계산 수단(221)을 구비하여 처리하는 평가서버(22)와;
    상기 웹서버(21) 및 평가서버(22)와 연결되어 평가결과DB를 저장하는 DB서버(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는 평가시스템의 웹서버(21)로 사업기획 정보를 전달하는 사업기획정보생성수단(11)과;
    웹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평가결과를 처리하는 평가결과 사전검토정보생성수단(12), 평가결과 전문가평가정보생성수단(13), 평가결과 전문기관조정정보생성수단(14), 평가결과 총괄조정정보생성수단(15), 과제신청업체 확정 및 통보수단(16)을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3. 발주기관이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을 통해 사업기획정보생성수단(11)을 거친 후,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정보를 전달받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사업시행공고수단(211)을 이용하여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들이 인터넷을 통해 열람토록 단계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를 통해 연구과제 공고를 확인한 다수의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는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 과제신청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과제신청/접수수단(212)을 이용하여 과제신청업체 클라이언트단말기(3)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평가내용생성수단(213)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에서는 클라이언트단말기(3)로부터 전달받은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평가점수 계산수단(221)을 이용 평가서버(22)로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서버(22)는 웹서버(21)로부터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전달받아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으로부터 과제신청업체의 정보를 연구과제별로 분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전달 받은 후, 평가내용이 유효하게 입력되어 생성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유효하면 다음단계를, 유효하지 않을 경우 에러출력단계(2215)를 거쳐 다시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을 거치게 하는 유효성 검사단계(2211)와; 이후 유효성 검사단계(2211)에서 평가내용이 유효할 경우, DB서버(23)에 저장된 평가항목가중치DB를 불러와 참조하는 단계(2212)와; 이후 평가항목가중치DB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평가점수를 계산하는 단계(2213)와; 이후 계산된 평가점수를 종합하는 단계(2214)를 순차적으로 거쳐 처리한 후, 그 평가점수 정보를 DB서버(23)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DB서버(23)는 평가점수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웹서버(21)로 전달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는 DB서버(23)로부터 전달받은 평가점수 정보를 평가결과생성수단(214)을 이용하여 과제신청업체 및 발주기관에 공고하는 단계와;
    평가시스템(2)의 웹서버(21)로부터 공고된 평가점수 정보를 전달받은 발주기관 클라이언트 단말기(1)는 사전검토정보생성수단(12), 평가결과 전문가평가정보생성수단(13), 평가결과 전문기관조정정보생성수단(14), 평가결과 총괄조정정보생성수단(15)을 순차적으로 거쳐 확정된 과제신청업체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로 과제신청업체로 확정되었다는 정보를 전달토록 과제신청업체 확정 및 통보수단(16)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사 단계(2211)는,
    웹서버(21)의 평가내용생성수단(213)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항목 중 미 입력 문항이 없는지를 체크하여 없으면 다음단계로, 있으면 에러출력단계(2215)로 진행하는 미입력문항 확인단계(22111)와;
    이후 미입력문항이 없으면 숫자를 생성하는 부분에 숫자를 생성했는지, 입력정보생성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수치를 생성했는지와 같이 해당 항목을 생성했는가를 체크하여 입력하지 않았으면 에러출력단계(2215)로, 정보를 생성했으면 유효성 검사를 마무리하는 입력여부 확인단계(22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61149A 2007-06-21 2007-06-21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80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49A KR100802579B1 (ko) 2007-06-21 2007-06-21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149A KR100802579B1 (ko) 2007-06-21 2007-06-21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579B1 true KR100802579B1 (ko) 2008-02-13

Family

ID=3934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149A KR100802579B1 (ko) 2007-06-21 2007-06-21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59660A1 (ko) *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엔돌핀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CN111461570A (zh) * 2020-04-20 2020-07-28 成都一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及相关智能设备的建筑施工评价系统
CN112258148A (zh) * 2020-10-14 2021-01-22 广东展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技术的项目可行性定量评估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97A (ko) * 2000-04-17 2000-07-05 박춘성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견적시스템
KR20010000515A (ko) * 2000-10-04 2001-01-05 박찬희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에 관한 입찰형역경매 방법
KR20050117976A (ko) * 2004-06-12 2005-12-15 한국원자력연구소 인터넷망을 이용한 과제 공모, 평가, 선정, 공고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060076650A (ko) * 2004-12-29 2006-07-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Irb 심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97A (ko) * 2000-04-17 2000-07-05 박춘성 인터넷을 이용한 구매자 중심의 견적시스템
KR20010000515A (ko) * 2000-10-04 2001-01-05 박찬희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및 건설기술용역에 관한 입찰형역경매 방법
KR20050117976A (ko) * 2004-06-12 2005-12-15 한국원자력연구소 인터넷망을 이용한 과제 공모, 평가, 선정, 공고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060076650A (ko) * 2004-12-29 2006-07-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Irb 심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59660A1 (ko) *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엔돌핀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CN111461570A (zh) * 2020-04-20 2020-07-28 成都一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及相关智能设备的建筑施工评价系统
CN112258148A (zh) * 2020-10-14 2021-01-22 广东展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技术的项目可行性定量评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dery et al. Supreme audit institutions and public value: Demonstrating relevance
Matisoff et al. Convergence in environmental reporting: Assessing the carbon disclosure project
Yuan et al.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CN109447648A (zh) 在区块链网络中记录数据区块的方法、记账节点和介质
US113282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objects for scheduling
US20200410583A1 (en) Financial regulatory compliance platform
Barnett et al. Measuring the Impact and Value for Money of Governance & Conflict Programmes
US8224866B2 (en) Idea tracking and management
CN108876113B (zh) 一种考核管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CN109472678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会计账本管理方法、电子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8830463B (zh) 一种评价记录的存储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CN108764723B (zh) 一种评价资格过滤方法、装置、终端设备及系统
CN109508825A (zh) 员工行为风险预警方法及相关装置
Michael et al. Executive perceptions of adopting an environmental certification program
KR100802579B1 (ko) 인터넷을 통한 연구개발사업화 사전타당성 평가 시스템 및그 방법
Bizimana E-government Readiness Assessment for Government institutions in Burundi
CN108717605B (zh) 一种考绩评价的存储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设备及系统
US906428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viewing file management
US10535022B1 (en) Sustainable busines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3216804A (ja) 定性データを使用した倒産確率予測システム
TW200844881A (en) System for matching transa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with self-searching, self-enlarge and amending classification characters and method of the same
JP5468212B2 (ja) 社外業者自動発注システム
CN110322116A (zh) 任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989040A (zh) 资产证券化管理方法及装置
Leonard et al.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implementation pitf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