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704B1 -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704B1
KR101731704B1 KR1020150072658A KR20150072658A KR101731704B1 KR 101731704 B1 KR101731704 B1 KR 101731704B1 KR 1020150072658 A KR1020150072658 A KR 1020150072658A KR 20150072658 A KR20150072658 A KR 20150072658A KR 101731704 B1 KR101731704 B1 KR 10173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ipt
transportation
reservation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614A (ko
Inventor
김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7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7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기기와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물품을 수령하고, 물품 운송비를 지급하는 기능을 갖는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 제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부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부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he banking machin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금융기기와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물품을 수령하고, 물품 운송비를 지급하는 기능을 갖는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 제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 등의 집합건물에 공동으로 거주하는 거주자는 일정 주기로 집합건물 사용에 대한 관리비를 납부하였다. 또한, 택배 서비스와 같이 물품을 배달해주는 서비는 운송비를 착불 또는 선불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물품의 운송비를 착볼로 처리하는 경우에 물품 수령인이 운송비를 물품 수령과 동시에 지급해야 한다. 따라서, 물품 수령인은 물품 수령을 위해서 물품 수령지에서 장시간 기다리거나 물품 수령이 없을 때 물품이 배송되는 경우에 해당 물품을 수령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품 수령인이 물품 수령지에 없는 경우에 물품 수령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운송인은 운송비의 지급을 수령할 수 없어서 착불 서비스를 활용하는 데에 큰 문제점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물품 수령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부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부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단계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단계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단계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품 수령지에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물품 수령확인이 가능하고, 운송인은 운송비를 즉시 지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약 등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수령 확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비 지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금융기기를 이용한 물품수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금융기기를 이용한 물품수령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또는 금융기기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인 단말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인 단말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와 해당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금융기기는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정보를 제공하고, 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금융기기는 금융업무 처리가 가능한 키오스크 단말, 멀티미디어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금융기기 관리 서버는 금융기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매체는 동전, 지폐, 수표 및 유가증권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필요에 따라서 동전, 지폐, 수표 및 유가증권 각각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부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부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부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서 해당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부(110)를 포함한다. 인증부(11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 발생한 입력 신호 또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10)는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서 입력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정보는 입력장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주소 정보 또는 출입키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신호는 집합 건물에서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즉, 아파트의 경우에 사용자가 거주하는 동 또는 호수 정보가 입력 신호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동 또는 호수를 입력 장치의 인터페이스 조작으로 입력하고, 인증부(110)는 입력된 사용자 주소 정보에 따라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증부(110)는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 주소 정보가 저장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수신된 사용자 출입키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집합 건물의 공동현관을 열기 위한 스마트 키(Key) 또는 RF 칩을 탑재한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금융기기(100)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카드 리더기)에 전술한 스마트 키(출입키) 또는 스마트 폰을 접촉 또는 근거리로 이동시킴으로써 스마트 키 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인증부(110)는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를 더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인증부(110)는 인증을 수행하여 금융기기(100)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정보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사용자 개개인의 정보가 아닌 가구별 동일 정보를 사용하여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아파트의 특정 동 또는 호수는 해당 주소에 전입 및 전출이 발생하더라도 바뀌지 않는 정보로 개인의 주민등록번호 등의 고유한 개인 정보의 유출의 발생 가능성이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부(120)를 포함한다. 예약 등록부(120)는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 등록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는 사용자의 예약 신청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로 금융기기(100)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예약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금융기기(100)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등록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에 금융기기(100)는 예약신호를 생성하고, 예약 등록부(120)는 예약신호에 기초하여 예약등록을 수행한다.
예약 등록부(120)는 예약 등록을 위해서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 및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인증을 수행할 경우에 입력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주소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운송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수령하고자 하는 물품의 운송장에 포함된 정보와 같이 물품의 운송에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송식별정보는 운송장의 운송장 번호, 물품의 고유 번호, 운송인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생성되는 신호로 비밀번호와 같이 인증을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예약 등록부(120)는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물품 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약 등록부(120)의 보다 상세한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재차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부(130)를 포함한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예약 등록된 물품수령의 확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미리 저장된 예약정보를 비교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한다. 물품수령 확인신호 및 물품수령 확인정보는 키오스크의 입력 장치 또는 타 단말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으며, 예약정보는 예약등록 시에 저장된 정보이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약정보에 저장된 정보 중 일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물품수령 확인부(130)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재차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부(140)를 포함한다. 운송비 지급부(140)는 물품수령에 따라 미리 결정된 금액의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며, 해당 운송비 지급처리를 위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 및 운송비 요청정보와 예약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운송비 요청신호 및 운송비 요청정보는 금융기기(100) 또는 타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예약정보는 예약 등록시에 저장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인은 금융기기(100)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운송비 요청신호 및 운송비 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송인은 자신의 무선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운송비 요청신호 및 운송비 요청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금융기기(100)는 수신부를 통해서 해당 신호 및 정보를 수신하여 운송비 지급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운송비 지급부(140)의 상세한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재차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사용자의 물품수령 예약을 등록하였다가, 운송인이 물품을 운송하면 1차적으로 물품수령을 확인하고, 2차적으로 운송비 지급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가 부재중에도 물품수령에 따른 운송비의 지급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수령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운송인은 현장에서 운송비를 지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물품수령과 운송비 지급을 위하여 별도의 인증정보를 나누어 배포 및 관리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와 같이 시각적인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고, 스피커와 같은 음성적인 출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장치는 광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는 사용자 식별정보인 동 또는 호수 정보, 운송식별정보, 인증정보 등록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출력장치는 물품 운송비 지불방법 선택 정보, 관리비 및 누적 운송비 요금 조회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광고 정보는 사용자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표시될 수 있으며, 해당 광고 정보를 클릭하면 쿠폰 정보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쿠폰 정보는 금융기기(100)가 설치된 주변의 상점 등에서 발행하는 쿠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구성될 수 있는 출력장치를 통해서 쿠폰이 출력될 수도 있다.
입력장치는 키 패드, 터치 스크린, 스캐너, 카드 리더기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 카드 리더기는 집합건물의 카드 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단말의 키 태그(Key Tag)를 통해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정보(동 또는 호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바코드 스캐너는 물품운송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읽어올 수 있다. 물품 운송식별정보는 운송장 번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운송장에 있는 바코드의 스캔을 통해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융기기(100)는 매체를 입출금할 수 있는 매체 입출금 장치와 입금된 매체를 보관하는 화폐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매체 입출금 장치는 입금 또는 출급되는 매체를 권종에 따라서 구분하여 확인하여 해당 매체에 상응하는 금액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매체 입출금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 신호에 따라서 매체를 투입받기 위한 부재의 개폐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약 등록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약 등록부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각각을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 예약정보를 등록하고, 운송식별정보는 운송장 번호, 운송비 정보 및 운송예정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약 등록부(120)는 물품수령 예약신호에 기초하여 물품 수령을 위한 예약등록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약 등록부(120)는 인증부(110)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정보를 확인한다(S202). 예약 등록부(120)는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면, 예약신호에 기초하여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4). 예약 정보는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 등록부(120)는 예약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인증에 사용된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예약정보를 등록한다(S206). 예를 들어, 101동 101호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예약 등록부(120)는 101동 101호의 주소 정보로 인덱스를 생성하고, 해당 인덱스에 연결하여 예약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예약정보의 식별정보로 사용자 식별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약 등록부(120)는 예약정보에 사용자의 운송비 입금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약 등록부(120)는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에 의해서 운송비가 입금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8). 운송비는 전술한 매체 입출금부를 통해서 입금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 후에 운송비를 입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서 운송비가 입금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약 등록부(120)는 운송비 입금이 확인된 경우에 해당 운송비 입금 여부에 대한 정보를 예약정보에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S210). 운송비 입금 여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운송비 입금 여부 및 운송비 입금 금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등록부(120)는 사용자가 운송비를 미리 입금하는 경우에 해당 운송비의 선입금 여부와 입금 운송비 금액에 대한 정보를 예약정보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약 등록부(120)는 사용자가 운송비를 미리 입금하지 않고 후납 처리를 선택한 경우에 운송비를 후납 처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금융기기(100)에 미리 보관된 매체를 이용하여 운송비를 지급하고, 사용자에게는 관리비 등에 가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예약 등록부(120)는 예약정보를 등록하여 예약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S21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융기기(100)의 사용자는 금융기기(100)을 이용하여 물품 수령에 대한 예약을 미리 수행함으로써, 운송비가 착불로 신청된 물품에 대해서도 직접 물품을 수령할 필요성 없이 운송비 지급과 물품 수령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품 수령을 위해서 주거지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에게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송인은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운송비를 지급받을 수 있으므로 빠른 업무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수령 확인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수령 확인부는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포함된 수령식별정보와 운송식별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운송식별정보에 매핑되어 등록된 수령 인증정보와 물품수령 확인정보의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02). 물품수령 확인신호는 금융기기(100) 또는 관리인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물품수령 확인을 위한 인터페이스 선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수령 확인신호는 물품수령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신호로 물품수령 확인절차를 위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된 후에 물품수령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4). 물품수령 확인정보는 물품수령 확인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도 있고, 물품수령 확인신호와는 별도로 순차적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수신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포함되는 수령식별정보와 예약정보에 포함된 운송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예를 들어,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운송장 번호와 같이 물품수령을 식별하기 위한 수령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해당 수령식별정보와 예약등록된 운송식별정보의 동일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수령식별정보의 운송장 번호와 예약등록된 다수의 예약정보 중에서 동일한 운송장 번호(운송식별정보)를 갖는 운송식별정보를 찾아서 해당 운송식별정보를 갖는 예약정보에 대한 물품수령 확인정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수신된 수령식별정보와 동일한 운송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물품수령 확인절차를 종료한다. 따라서, 운송비 지급 및 물품수령 확인이 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예약되지 않은 물품 수령은 확인할 수 없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수령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운송식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수령 인증정보를 확인한다(S308). 아울러,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운송식별정보에 매핑되어 등록된 수령 인증정보와 물품수령 확인정보의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수령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예약정보를 등록할 때 저장한 정보로 비밀번호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확인정보의 수령 인증정보와 예약 등록 시에 저장된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서 해당 물품이 정확히 수령되었는지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술한 예약 등록 과정에서 임의의 수령 인증정보(비밀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운송인이 물품을 전달하면 물품을 수령한 관리인은 사용자가 등록한 수령 인증정보를 운송인에게 전달 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만약, 관리인이 관리인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가 등록한 수령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물품을 수령한 후에 수신된 수령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관리인이 단말을 통해서 입력한 수령 인증정보와 저장된 수령 인증정보가 일치되므로 물품 수령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송인이 관리인으로부터 수령 인증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 운송인은 금융기기(100)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예약정보의 수령 인증정보와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포함된 수령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S312). 만약, 수령 인증정보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품 수령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물품의 수령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비만 지급되고 물품이 수령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송인은 물품을 운송하고, 해당 물품의 운송장 번호를 단말 또는 금융기기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입력된 운송장 번호와 예약정보에 포함된 운송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운송식별정보를 선택한다. 운송인은 물품을 관리인에게 인도하고 관리인은 물품을 안전하게 인수하면 수령 인증번호를 금융기기 또는 관리인 단말을 통해서 입력한다. 물품수령 확인부(130)는 선택된 운송식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된 수령 인증정보와 입력된 수령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물품의 수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의 수령 여부를 수령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운송비의 지급이 물품 수령 이후에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비 지급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비 지급부는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되고, 운송비 요청정보와 지급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운송비를 지급처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송비 지급부(140)는 물품수령 확인부(130)의 물품수령 완료 결정 여부를 확인한다(S402). 예를 들어, 운송비 지급부(140)는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 운송에 대한 운송비의 지급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운송비 지급부(140)는 물품수령 여부를 우선 확인한다.
이후, 운송비 지급부(140)는 입력되는 운송비 요청정보와 예약 등록 시에 저장된 지급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404). 운송비 지급부(140)는 운송비 요청정보와 지급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운송비를 지급 처리한다(S406).
예를 들어, 금융기기(100)은 1차적으로 물품수령 여부를 수령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2차적으로 운송비 지급여부를 지급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운송비 지급부(140)는 운송인 단말 또는 금융기기를 통해서 입력되는 운송비 요청정보와 지급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운송비의 지급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운송비 지급부(140)는 물품수령 완료 결정이 된 경우에만 해당 운송비 지급을 위한 지급 인증정보의 확인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물품 수령에 따른 운송비 지급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운송비는 전술한 매체 입출금부를 통해서 지급 처리될 수 있으며, 지급되는 운송비의 금액은 예약정보 또는 운송비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운송식별정보는 운송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운송비 지급부(140)는 지급 인증정보가 일치하면 운송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지급처리할 수 있다. 지급되는 운송비는 사용자가 사전에 입금하였거나, 사용자가 추후 지급을 선택한 경우에 미리 저장된 매체(예를 들어, 화폐)를 이용하여 지급될 수 있다. 추후 지급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관리비 또는 추후 운송비 납부를 통해서 운송비를 입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융기기(100)은 물품수령 및 운송비의 지급을 확인 절차에 따라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물품 자동 수령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단계의 확인 과정을 통해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키오스크 관리 서버의 동작을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금융기기를 이용한 물품수령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기기(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 및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금융기기(100)는 예약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예약정보 또는 물품수령 확인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금융기기(100)는 송신부 또는 수신부를 필요에 따라서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금융기기(100)는 전술한 예약 정보를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로 전송하고,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금융기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예약정보를 저장하여 예약을 등록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로 예약정보를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510)가 해당 예약정보를 저장 및 등록할 수도 있다.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예약정보 및 운송비 지급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추후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 및 운송비의 지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운송비 거래 내역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가 미입금된 경우에, 운송비에 상응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관리비 산정 기간) 동안의 운송비 거래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입금하거나, 운송인에게 선지급된 운송비 총 금액을 산출하여 관리비를 산출함에 있어서 해당 총 금액을 가산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관리비 산출 시점 이전에 미입금된 운송비 내역을 조회하여 금융기기(100)를 통해서 입금한 경우에는 해당 금액은 관리비 산출시 가산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서, 금융기기(100)의 수신부는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로부터 운송비 거래 내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기기(100)를 이용하여 수신된 운송비 거래 내역정보를 확인하고, 미입금된 운송비를 입금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금융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예약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정보에 포함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관리인 단말(530) 및 운송인 단말(54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수령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된 관리인 단말(530)로 전송하고, 지급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된 운송인 단말(5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예약정보가 등록되면, 예약정보에 포함된 운송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수령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미리 저장된 관리인 단말(5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관리인 단말(530) 또는 금융기기(100)로부터 수령 인증정보가 수신되어 물품수령 확인이 결정되면, 운송인 단말(540)로 지급 인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운송인은 운송인 단말(540)로 수신되는 지급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수신된 지급 인증정보를 운송비 요청정보로 금융기기(100)로 입력하여 운송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 운송인 단말(540)에 대한 정보는 미리 저장되거나, 운송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금융기기(100)의 수신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로부터 예약정보 또는 물품수령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정보는 관리인 단말(530)의 입력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를 통해 금융기기(100)로 수신될 수 있다. 즉, 관리인은 물품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수령 인증정보를 관리인 단말(530)에 입력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입력된 정보를 금융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입력된 수령 인증정보와 예약정보의 수령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물품수령 확인을 결정하여 금융기기(1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 관리인 및 운송인의 단말을 이용한 물품수령 절차 및 예시적 화면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금융기기를 이용한 물품수령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금융기기(100) 또는 사용자 단말(600)을 이용하여 물품 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예약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는 네트워크와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를 통해서 운송인 단말(540) 또는 관리인 단말(530)로 전송된다. 이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예약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인 단말(530)은 예약정보의 운송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수령 인증정보를 수신 또는 조회할 수 있다. 관리인은 운송인으로부터 운송식별정보에 따라서 예약된 물품을 인수하고, 수령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관리인 단말(530)을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관리인 단말(530)로부터 예약정보에 포함된 수령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지급 인증정보를 운송인 단말(540)로 전송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는 수령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운송인 단말(540)이 지급 인증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운송인은 운송인 단말(540)을 통해서 지급 인증정보를 조회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운송인은 지급 인증정보를 확인하여 금융기기(100) 또는 운송인 단말(540)에 입력함으로써 운송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또는 금융기기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내지 706은 금융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에 출력되는 표시 내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금융기기의 출력부의 화면 구성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사용자 단말의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700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볼 수 있는 초기 화면의 일 예이다. 700을 참조하면, 금융기기는 택배 수령 예약, 택배 수령 확인 및 택배 요금 조회 탭을 출력한다. 택배 수령 예약은 사용자가 물품 수령을 위한 예약을 수행하기 위한 탭이며, 택배 수령 확인은 택배의 수령 여부 또는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탭이다. 또한, 택배 요금 조회는 물품 운송비 지급 거래 내역과 미지급 내역 및 관리비 내역을 조회하기 위한 탭이다.
사용자가 택배 수령 예약 탭을 클릭 또는 선택하면, 702 화면이 출력된다. 택배 수령 예약을 위한 화면(702)은 택배 정보 등록과 수령 인증정보, 지급 인증정보의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택배 정보 등록은 운송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수령 인증정보와 지급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임의의 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택배 정보 등록은 금융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 정보는 금융기기의 스캐너에 운송장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또는 택배 정보는 금융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의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등록될 수 있다.
택배 수령 확인화면(704)은 금융기기를 통해서 관리인 또는 운송인이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리인은 물품을 수령하여 금융기기를 이용하여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택배 요금 조회 화면(706)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된 일정 기간 동안의 운송비 총 요금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가 금융기기에 입금하지 않은 미납 요금 및 관리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서 납입해야할 운송비 요금과 관리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인 단말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인 단말의 출력부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관리인 단말은 초기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800의 화면을 통해서 택배 수령 예약조회 탭과 택배 수령 확인 탭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택배 수령 예약 조회 화면(802)를 통해서 관리인은 운송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및 수령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운송인으로부터 물품을 인수하면 택배 수령 확인 화면(804)를 통해서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수령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가 등록한 수령 인증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물품수령 확인 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관리인은 금융기기를 통해서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도 7의 704 화면의 인터페이스가 금융기기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송인 단말의 표시부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운송인 단말은 배송 목록 조회 탭을 포함하는 초기 인터페이스(900)를 출력할 수 있다. 운송인의 선택 신호에 따라서 배송 목록 조회가 선택되면, 배송 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배송 목록 조회 화면(950)이 출력된다.
배송 목록 조회 화면(950)은 운송식별정보로 운송장 번호와 해당 운송장 번호에 대응되는 배송지 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급 인증정보는 운송인이 물품 수령을 완료하고, 관리인이 수령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표시될 수 있다. 지급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예약등록 시에 등록한 지급 인증정보이다. 운송인은 조회된 지급 인증정보를 금융기기에 입력함으로써, 운송비를 지급받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금융기기(100), 운송인 단말(540) 및 관리인 단말(530)을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버 또는 다른 장치 등에 의해 사용될 목적으로 정보나 자료 등의 데이터가 구조화되어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집합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구조화 방식, 관리 방식, 종류 등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나 자료 등을 추가,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는 어플리케이션 서버(510)와 금융기기 관리 서버(520)와 금융기기(100) 또는 타 단말을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금융기기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금융기기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단계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단계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단계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를 포함한다(S1000). 인증단계는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로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단계는 금융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키 신호 또는 스마트 키 신호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단계를 포함한다(S1002). 예약 등록단계는 물품 수령 예약을 위해서 예약정보를 등록처리하고, 예약정보에는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 및 운송비 금액 정보 등이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약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정보 또는 운송식별번호는 인덱스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단계를 포함한다(S1004). 물품수령 확인단계는 물품수령 확인정보에 포함된 수령식별정보와 예약정보의 운송식별정보의 일치여부에 따라서 일치하는 운송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운송식별정보의 수령 인증정보와 물품수령 확인정보의 수령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물품수령 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물품수령 확인정보는 금융기기 또는 관리인 단말을 통해서 입력되며, 수령 인증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만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금융기기 제어방법은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단계를 포함한다(S1006). 운송비 지급단계는 금융기기 또는 운송인 단말을 통해서 입력되는 운송비 요청정보와 예약정보의 지급 인증정보의 매칭여부에 따라서 운송비 지급 여부를 결정하고, 운송비 요청정보와 지급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운송비를 지급처리한다. 운송비 정보는 전술한 운송식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금융기기금융기기송비 거래 내역 및 관리비 내역을 출력할 수 있고, 미지급 운송비 또는 관리비를 사용자가 입금하는 경우에 입금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송신부 및 수신부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품 수령지에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물품 수령확인이 가능하고, 운송인은 운송비를 즉시 지급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 수령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운송비가 자동으로 지급되도록하여 착불 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불 서비스로 지급된 운송비를 사용자가 추후에 관리비 등을 통해서 납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 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장치(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장치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부;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상기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부;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상기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품수령 확인부는,
    상기 예약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령 인증정보와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운송비 요청정보는 상기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된 후, 운송인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입력장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주소 정보 또는 출입키 정보인 금융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상기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 각각을 상호 매핑하여 저장한 상기 예약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운송식별정보는 운송장 번호, 운송비 정보 및 운송예정일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등록부는,
    상기 예약정보에 상기 사용자의 운송비 입금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등록하는 금융기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비 지급부는,
    상기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운송비 요청정보와 상기 지급 인증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금융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및
    상기 예약정보 또는 상기 물품수령 확인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예약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령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된 관리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지급 인증정보를 미리 저장된 운송인 단말로 전송하는 금융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사용자의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예약정보 및 상기 운송비의 지급정보를 금융기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기기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 및 상기 운송비의 지급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 거래 내역정보를 생성하는 금융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기 관리 서버는,
    상기 운송비 입금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비가 미입금된 경우에, 상기 운송비에 상응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관리비를 산출하는 금융기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금융기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운송비 거래 내역정보를 더 수신하는 금융기기.
  1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단계;
    물품수령 예약을 위한 예약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운송식별정보, 수령 인증정보 및 지급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예약정보를 등록하는 예약 등록단계;
    물품수령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입력된 물품수령 확인정보와 상기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물품수령 확인단계; 및
    운송비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물품수령 완료 여부, 운송비 요청정보 및 상기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운송비를 지급처리하는 운송비 지급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물품수령 확인단계는,
    상기 예약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령 인증정보와 입력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수령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물품수령 완료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운송비 요청정보는 상기 물품수령이 완료된 것으로 결정된 후, 운송인 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 제어방법.
KR1020150072658A 2015-05-26 2015-05-26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58A KR101731704B1 (ko) 2015-05-26 2015-05-26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658A KR101731704B1 (ko) 2015-05-26 2015-05-26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614A KR20160138614A (ko) 2016-12-06
KR101731704B1 true KR101731704B1 (ko) 2017-05-11

Family

ID=5757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658A KR101731704B1 (ko) 2015-05-26 2015-05-26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267A (ja) 2000-04-11 2001-10-26 Nec Corp 商品受け取り・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150426A (ja) 2000-11-16 2002-05-24 X Cube:Kk 受渡しボックス及び受渡しボックスの予約方法及び受渡しボックスの課金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267A (ja) 2000-04-11 2001-10-26 Nec Corp 商品受け取り・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150426A (ja) 2000-11-16 2002-05-24 X Cube:Kk 受渡しボックス及び受渡しボックスの予約方法及び受渡しボックスの課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614A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6795B (zh) 多方交易的令牌聚合系统
KR101628624B1 (ko) 비트코인을 기반으로 하는 이종국가간 송금시스템 및 방법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US10803454B2 (en) ATM network resource exchange system
US10657503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er with method of making a payment to a third party using a remote dispensing machine
US2018024748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managing after hours transactions at a retail banking location
US8583492B2 (en) Check processing and funds verification
CN104732597A (zh) 一种快递存取箱与存取方法
CN110910155A (zh) 信息处理装置、记录介质及信息处理方法
US116456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oreign currency exchange services based on net exchange demand between countries
US10963883B1 (en) Vehicle identifier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KR102107190B1 (ko) 인증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및 IoT 기기를 인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32692A1 (en) Simplified delivery of shipments with goods not yet paid for
KR101731704B1 (ko) 금융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03396A (ko)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554713B1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6476344B2 (ja) 現金取引システムおよび現金取引方法
KR101037707B1 (ko) 이동 가맹점 결제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1866549B1 (ko) 임대료 자동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1888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obile contactless payments
US20210304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rtual money order
KR100760648B1 (ko) 아파트 관리비 처리 시스템 및 아파트 관리비 처리 방법
KR20100103755A (ko) 매출금 선지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30088185A (ko) 수취인 요청 기반 안전거래를 위한 전자 자금 이체 방법
KR20230088181A (ko) 수취인 요청 기반 안전거래를 위한 전자 자금 이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