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396A -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396A
KR20210003396A KR1020190079126A KR20190079126A KR20210003396A KR 20210003396 A KR20210003396 A KR 20210003396A KR 1020190079126 A KR1020190079126 A KR 1020190079126A KR 20190079126 A KR20190079126 A KR 20190079126A KR 20210003396 A KR20210003396 A KR 20210003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user
kiosk
curr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디
Priority to KR102019007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396A/ko
Priority to PCT/KR2019/017667 priority patent/WO2021002548A1/ko
Publication of KR2021000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96A/ko
Priority to KR1020210053771A priority patent/KR10255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kios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환전 요청을 접수 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편리하게 외화를 환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 예약한 환전 외화 종류와 권종을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 배치하여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외화를 수령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외화를 용이하게 환전 가능한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exchange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환전 요청을 접수 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편리하게 외화를 환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전 예약한 환전 외화 종류와 권종을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 배치하여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외화를 수령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외화를 용이하게 환전 가능한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 해외 여행객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모바일 간편결제를 통해 해외에서 간편하게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해외에서 간편하게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외 신용카드 수수료, 환전 수수료, 현금 보유에 따른 불편함 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결제할 때마다 1.5% 정도의 수수료를 내야 하지만 모바일에서는 이보다 더 적은 수수료를 내거나 아예 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에서는 구매와 동시에 실시간 환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환율 변동의 리스크가 적다
한편, 환전 업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다양한 온라인 환전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동안 환전 업무는 은행의 고유 업무로 여겨졌지만 2018년부터 외국환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법 개정으로 외국환 업무를 할 수 있는 업종 범위에 핀테크 업체가 추가되었으며, 새로운 환전서비스 방식 도입으로 핀테크 창업이 활성화되며 동시에 소비자 편의가 제고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 온라인 환전 방식의 일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 환전을 신청하고 확인 번호가 문자 또는 메신저로 오면 신분증을 들고 지정한 날짜에 지점으로 방문 후 수령한다. 수령 장소를 공항 지점으로 설정하는 경우 출국하는 날 공항의 지점에서 수령도 가능하다.
종래 온라인 환전 방식의 다른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환전 업체에 환전 비용을 입금하고 수령을 원하는 장소와 시간을 예약하면, 환전 업체에서 직접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외환을 배달해준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종래 온라인 환전 방식의 경우, 온라인으로 환전을 신청하여 원하는 장소와 시각에서 외환을 수령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대면 방식으로 사용자가 수령 장소를 방문하거나 환전 업체를 만나 외환을 수령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종래 온라인 환전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비대면으로 환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키오스크를 통한 비대면 환전 서비스의 경우 아직 구체적으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온라인 환전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환전 요청을 접수 후,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비대면 방식으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전 예약한 환전 외화 종류와 권종을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 배치하여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외화를 수령할 수 있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사용자가 실수로 또는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비할당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요청시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거나 비할당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비할당 키오스크를 통해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환전 요청 시각에 기초하여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도록 환전 요청을 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회수하며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 환전 요청시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환전 불능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출국 터미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국 터미널에 가장 인접한 키오스크를 외화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거나 출국 터미널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키오스크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으로 외화 수령할 키오스크를 할당할 수 있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키오스크로 외화를 수령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포인트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환전 완료 후 환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유도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비대면 환전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버를 통한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환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환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와 수령 시간 정보를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키오스크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와 신분증 정보를 비교하여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키오스크에서 환전 명령을 수신할 때부터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의 외화 수령 과정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환전 완료시 촬영한 외화 수령 영상을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환전 명령은 온라인 환전 서버에서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키오스크를 통해 판독되는 환전 코드를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하거나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수신한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온라인 환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한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가 입력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동일한 키오스크인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크스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와,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키오스크에서 가용 외화로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의 환전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환전 키오스크에서 가용 외화로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의 환전이 가능한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요청 정보를 환전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완료로 정보 변경하는 단계와,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점과 수령 시간 정보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수령 시간 범위인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령 시간 범위는 사용자가 요청한 수령 요청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1 임계 시간 이전부터 설정된 제2 임계 시간 이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요청한 수령 요청 시각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출국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을 지급 불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의 회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와,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회수한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외화 회수 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국 터미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출국 터미널 정보에 기초하여 출국 터미널에 가장 근접한 키오스크를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국 터미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 출국 터미널을 포함하여 출국장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키오스크의 배치 정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키오스크 중 1개의 키오스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오스크를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수신한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환전 요청 정보 중 전체 환전 금액, 외화 종류, 외화 권종별 환전 금액을 구비하는 환전 지급 정보를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 제어하는 단계와,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지급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서명을 수신 후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 후, 사용자 단말기로 환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환전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 포인트를 지급하여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온라인 환전 요청을 접수 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편리하게 외화를 환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사전 예약한 환전 외화 종류와 권종을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 배치하여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외화를 수령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외화를 용이하게 환전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사용자가 실수로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비할당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요청시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하도록 함으로써,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서비스를 제공시 또는 키오스크를 관리시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비할당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요청시 비할당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비할당 키오스크에서 환전 가능한 경우 비할당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또는 요청에 의해 비할당 키오스크에서도 편리하게 환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환전 요청 시각에 기초하여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도록 환전 요청을 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회수하며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 환전 요청시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환전 불능 정보를 사용자에 안내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출국 터미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출국 터미널에 가장 인접한 키오스크를 외화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거나 출국 터미널에 배치되어 있는 키오스크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으로 외화 수령할 키오스크를 할당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할 수 있다.
일곱번째,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키오스크로 외화를 수령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포인트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환전 완료 후 환전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키오스크를 통해 비대면 환전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외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예약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환전 서버에서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에 키오스크를 할당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전 명령을 송신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의 일치 여부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인지 여부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에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외환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외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환전 키오스크(10), 사용자 단말기(50) 및 환전 서버(10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기(50)와 환전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환전 키오스크(10)와 환전 서버(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환전 키오스크(10)와 사용자 단말기(5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5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환전 서버(100)에 접속하며, 환전 서버(100)가 제공하는 환전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50)는 환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보 또는 환전 요청 정보를 환전 서버(100)로 송신하며, 환전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또는 환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환전 예약을 접수한다.
사용자가 환전 서비스를 받는 키오스크는 비행기, 여객선 등의 출국장, 역사, 백화점 등 사용자가 환전 서비스를 받기 편리한 다양한 장소에 배치되는데, 환전 서버(100)는 환전 예약을 접수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10)를 할당하고 할당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 수령 시간 정보, 환전 요청한 외환 종류, 권종, 환전 요청 금액 등을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50)로 제공한다. 한편 환전 서비스의 제공자는 사용자에 할당한 키오스크에 그리고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시각에 사용자가 환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환전 요청한 외화와 권종을 할당한 키오스크에 사전 배치한다.
사용자는 할당받은 키오스크에 수령 시간에 도착하여 할당받은 키오스크를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할당받은 키오스크(10)를 통해 환전 요청시, 사용자는 외환 서버(100)에서 사용자에 제공된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자를 키오스크(10)에 입력하거나 외환 서버(100)에서 사용자에 제공한 환전 코드를 키오스크(10)에서 판독하도록 하는데, 환전 서버(100)는 키오스크(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할당받은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요청하는지 또는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시각에 환전 요청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원 관리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원 요청을 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사진 등을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하여 사용자를 회원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회원 관리부(130)는 외환 거래의 특성상 회원 등록시 여권이나 주민등록증 등의 사용자 신분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여 회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환전 예약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환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환전 요청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한다. 한편, 환전 예약부(170)는 수신한 환전 요청 정보, 예를 들어 환전을 원하는 외화의 종류, 환전 금액, 환전을 원하는 외화의 권종별 액수, 외환 수령 시각, 수령 장소,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 등의 정보를 수신하며, 환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환전에 따른 환전 비용을 결제 처리한다. 환전 비용의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환전 예약부(170)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환전 서비스부(190)는 통신부(110)를 통해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키오스크를 통해 요청한 외화를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는데, 환전 서비스부(190)는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 등을 구비하는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점부터 해당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환전 서비스를 받는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환전 서비스의 종료시 촬영한 영상을 환전 서버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환전 서비스부(190)는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에서 그리고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 시각에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키오스크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예약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약 접수부(171)는 환전을 요청한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확인 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환전 요청 정보 중 외환 종류에 기초하여 환전 가능한 외환인지 판단한다. 환전 가능한 외환인 경우 현재 환율과 수신한 환전 요청 정보 중 환전 금액 또는 권종별 액수에 기초하여 환전 결제 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예약 접수부(171)는 사용자로부터 환전 결제 비용이 입금되는지 판단하며, 설정된 기한까지 환전 결제 비용이 입금되지 않는 경우 환전 예약을 취소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환전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환전 예약이 접수되는 경우, 키오스크 할당부(173)는 수신한 환전 요청 정보 중 수령 장소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를 할당한다. 여기서 키오스크 할당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수령 장소에 기초하여 수령 장소에 가장 인접한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할 수 있다.
수령 정보 생성부(175)는 환전 요청 정보 및 사용자에 할당한 키오스크 정보에 기초하여 수령 요청 시각,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 환전 금액, 환전 외환 종류, 권종별 액수 등을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수령 정보 생성부(175)는 수령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식의 환전 코드를 생성하고 환전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전 서비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령 정보 검색부(191)는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를 구비하는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수령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
사용자 확인부(192)는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의 여권 또는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을 스캔하도록 요청 제어하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스캔한 신분증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한 신분증과 검색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동일한지 확인한다.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동일한 경우, 수령 정보 검색부(191)는 검색한 수령 정보 중 사용자에 할당한 키오스크 정보를 키오스크 판단부(193)로 제공하며, 검색한 수령 정보 중 수령 시간 정보를 수령 시간 판단부(195)로 제공한다.
키오스크 판단부(193)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동일한지 판단하며, 수령 시간 판단부(195)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점이 사용자가 외화를 수령할 수 있는 수령 시간 범위에 있는지 판단한다.
환전 제공부(197)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환전 키오스크이고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점이 수령 시간 범위에 있는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하도록 제어한다. 즉, 환전 키오스크의 지급 도어를 오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환전 명령을 수신한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환전 키오스크가 아닌 경우, 환전 제공부(197)는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님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동시에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송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할당된 키오스크를 확인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경우, 가용 환전 판단부(194)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에 배치되어 있는 가용 외화의 정보를 조회하고,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에서 직접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에서 직접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이 가능한 경우, 환전 제공부(197)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회수 정보 판단부(196)는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 서비스의 제공자가 회수하였는지 회수 정보를 판단한다.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났지만 아직 환전 서비스의 제공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회수하지 않은 경우, 환전 제공부(197)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사용자에 지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서비스의 제공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회수 완료한 경우, 환전 제공부(197)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환전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하지 못함을 통보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환전 서버에서 온라인 환전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환전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110).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아이디,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환전 요청 정보는 환전을 원하는 외화의 종류, 환전 금액, 환전을 원하는 외화의 권종별 액수, 외화 수령 시각, 수령 장소,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전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된 회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S120), 수신한 환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키의 위치 정보 및 외화 수령 시각 정보, 환전 금액, 환전 외환 종류, 권종별 액수 등을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령 정보를 사용자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하고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30). 바람직하게, 환전 서버는 수령 정보를 생성시 수령 정보를 구비하는 환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환전 코드를 수령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환전 서버는 수령 정보를 생성시 환전 서버에 접속하여 환전을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예를 들어 접속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수령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출국장, 역사, 백화점 등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키오스크 중 1개의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지 판단하여(S140),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신분증과 환전 요청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신분증의 사용자와 환전 요청한 사용자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150). 여기서 환전 명령은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데이터베이스부에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환전 요청한 사용자 정보와 신분증의 사용자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신분증을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여권, 주민등록증, 자동차면허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신분증은 환전 키오스크에서 스캔되어 수신되는데, 스캔한 신분증을 판독하여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신분증의 사용자와 환전 요청한 사용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인지 또는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사용자의 수령 시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환전 키오스크를 제어한다(S170).
바람직하게, 환전 서버는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외화를 수령하는 과정을 촬영하도록 하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외화를 수령 완료하는 시점까지 촬영한 영상을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S190).
외화를 수령하는 키오스크는 사용자의 출국장 터미널 정보에 기초하여 출국장 터미널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된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자동 할당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할 수 있는데, 도 6은 사용자에 키오스크를 할당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출국장 터미널 정보 및 출국시각을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환전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데, 환전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국장 터미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출국장에 배치되어 있는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할 수 있다.
도 6(b)와 같이 사용자에 키오스크가 할당된 경우 할당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와 수령 시각 그리고 환전 코드를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국장에 배치된 키오스크의 이용 상태를 고려하여 출국장에 배치된 키오스크 중 이미 처리 용량을 초과한 키오스크, 즉 환전 예약이 처리 용량을 초과한 키오스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처리 용량을 초과한 키오스크가 존재하는 경우, 처리 용량을 초과한 키오스크를 제외하고 사용자의 출국장 터미널에 가장 가까운 키오스크를 사용자에 할당하거나, 출국장에 배치되어 있는 키오스크 중 처리 용량을 초과한 키오스크를 제외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환전 명령의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를 검색한다(S210). 수령 정보 중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수령 정보 중 수령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이고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인 경우, 수령 정보 중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 금액, 환전 외환 종류, 권종별 액수에 기초하여 환전 지급 정보를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40). 출력한 환전 지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지급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지 판단하여(S250),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환전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를 사용자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260).
외화 지급이 완료된 후,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환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환전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270).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에 포인트를 지급하여 사용자의 회원 정보에서 적립 포인트를 갱신한다(S290).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환전 업무라는 특성에 기초하여 외화를 지급 전 환전 지급 정보가 요청한 환전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여 확인하며, 포인트를 지급을 통해 외화를 지급 후 환전 완료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유도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환전 업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전 명령을 송신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키오스크의 화면에는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자를 입력하거나 환전 코드를 입력하여 환전 명령을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된다.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서버는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환전 명령의 사용자 식별자 또는 환전 코드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 중 사용자가 요청한 환전 지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환전 지급 정보를 환전 키오스크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9는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의 일치 여부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송신하여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21).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조회하여 환전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3). 키오스크에는 환전 예약을 기준으로 환전 예약된 외화만을 보관하지만 추가적으로 환전 예약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요청되는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가용 외화를 보관할 수 있으며, 환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는 각 키오스크별로 가용 외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가용 외화 정보는 환전 키오스크에 배치된 외화 중 예약된 환전을 위해 필요한 외화를 제외하고 지급 가능한 외화의 종류와 권종별 액수 등이다.
환전 키오스크에 보관된 가용 외화로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여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문의하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받기를 요청받는 경우(S225)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하도록 제어한다(S226).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 요청한 외화의 지급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요청 정보를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완료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부의 수령 정보를 변경하여 등록한다(S227).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를 통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한 경우, 환전 서버는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갱신하여 등록한다(S229).
도 10은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환전 서버는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님을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환전 서버는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0(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키오스크에서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지급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가 아닌 환전 명령을 수신한 환전 키오스크에서 직접 환전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인지 여부에 따라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환전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각이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서비스 제공자가 회수하였는지 회수 정보를 조회한다(S231). 서비스 제공자가 환전 키오스크에서 사용자의 환전 요청 외화를 회수한 경우 환전 서버에는 회수 정보가 갱신되어 저장된다. 환전 키오스크에는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 시간 범위에만 배치하며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회수하여 다른 사용자가 환전 예약한 외화를 배치하는데, 여기서 수령 시간 범위는 사용자가 요청한 수령 요청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1 임계 시간 이전부터 설정된 제2 임계 시간 이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수령 요청 시각은 사용자의 출국 시각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수령 요청 시각인 2019년 7월 1일 오후 1시인 경우 수령 시간 범위는 2019년 7월 1일 오전10시부터 오후 3시로 설정될 수 있다.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회수 완료하였는지 판단하여(S233),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서비스 제공자가 회수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로 환전 요청한 외화를 환전 키오스크에서 수령하지 못함을 안내하기 위한 회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37).
그러나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아직 회수하지 않은 경우, 즉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가 아직 환전 키오스크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사용자에 지급하도록 환전 키오스크를 제어한다(S23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 환전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의 회수 여부에 기초하여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났지만 아직 회수하지 않은 외화의 경우 사용자에 요청에 의해 사용자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외화를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에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명령을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 수신하고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이미 서비스 제공자가 회수 완료한 경우, 사용자에 외화를 지급할 수 없으며 안내 전화를 연결하여 수령하도록 유도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전 명령을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나 수신하고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아직 서비스 제공자가 회수하지 않은 경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것인지 문의하는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키오스크 30: 네트워크
50: 사용자 단말기 100: 환전 서버
110: 통신부 130: 회원 관리부
150: 데이터베이스부 170: 환전 예약부
190: 환전 서비스부

Claims (17)

  1. 온라인 환전 서버를 통해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환전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의 위치 정보와 수령 시간 정보를 구비하는 수령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수령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키오스크로부터 환전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의 신분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신분증 정보를 비교하여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환전 요청한 사용자와 신분증의 환전 주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키오스크에서 상기 사용자의 외화 수령 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명령은
    상기 온라인 환전 서버에서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출력된, 키오스크를 통해 판독되는 환전 코드를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수신한 환전 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상기 온라인 환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가 입력된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동일한 키오스크인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크스 위치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전 키오스크가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와 상이한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가용 외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 키오스크에서 가용 외화로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의 환전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환전 키오스크에서 가용 외화로 사용자가 요청한 외화의 환전이 가능한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요청 정보를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 완료로 정보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환전 키오스크의 가용 외화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수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 명령을 수신한 시점과 상기 수령 시간 정보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수령 시간 범위인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령 시간 범위는
    사용자가 요청한 수령 요청 시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1 임계 시간 이전부터 설정된 제2 임계 시간 이후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수령 요청 시각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출국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상기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한 환전을 지급 불능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환전 명령의 수신 시점이 상기 수령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의 회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회수한 경우,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외화 회수 정보를 출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국 터미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국 터미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국 터미널에 가장 근접한 키오스크를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국 터미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출국 터미널을 포함하여 출국장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키오스크의 배치 정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키오스크 중 1개의 키오스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오스크를 사용자가 환전 요청한 외화를 수령할 키오스크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수신한 상기 환전 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자에 매핑되어 환전 요청 정보 중 전체 환전 금액, 외화 종류, 외화 권종별 환전 금액을 구비하는 환전 지급 정보를 상기 환전 키오스크에 출력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환전 지급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수신 후,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상기 환전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자에 환전 요청한 외화를 제공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환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환전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여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환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포인트를 지급하여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0190079126A 2019-07-02 2019-07-02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20210003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26A KR20210003396A (ko) 2019-07-02 2019-07-02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PCT/KR2019/017667 WO2021002548A1 (ko) 2019-07-02 2019-12-13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0210053771A KR102551238B1 (ko) 2019-07-02 2021-04-26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126A KR20210003396A (ko) 2019-07-02 2019-07-02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771A Division KR102551238B1 (ko) 2019-07-02 2021-04-26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96A true KR20210003396A (ko) 2021-01-12

Family

ID=7410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126A KR20210003396A (ko) 2019-07-02 2019-07-02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03396A (ko)
WO (1) WO20210025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20B1 (ko) 2021-01-28 2022-02-08 주식회사 콰라소프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외화 환전 방법
WO2022215922A1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우디 현지 환전 키오스크를 이용한 환전 예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786A (ja) * 2000-07-24 2002-02-08 Miki Systems Co Ltd 現金自動支払システムおよび現金自動支払機
KR20020070173A (ko) * 2002-05-28 2002-09-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안전 금융 거래 방법
KR100617534B1 (ko) * 2004-05-21 2006-09-01 누리링크시스템 주식회사 외화 환전이 가능한 다기능 금융 단말기 및 그 시스템
KR20060092030A (ko) * 2005-02-17 2006-08-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환전신청 및 환전금액 지급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환전처리 서버와 아이씨 카드와 무선단말기와 환전단말과 기록매체와 저장매체
KR20170041094A (ko) * 2015-10-06 2017-04-14 마이뱅크주식회사 특정 시점에서 환전소에 의해 공시된 환율로 환전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서버, 사용자 단말 및 환전소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120B1 (ko) 2021-01-28 2022-02-08 주식회사 콰라소프트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외화 환전 방법
WO2022215922A1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우디 현지 환전 키오스크를 이용한 환전 예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548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7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to-person payments
WO2018006716A1 (zh) 订单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10043165B2 (en) Cloud service integration pay trading system
US8676701B2 (en) Credit card usage management system, credit card usage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10827014A (zh) 基于企业账户的乘车支付方法、系统及一种企业端、用户终端
CN109409548A (zh) 外币预约取现方法、客户端、服务器、外币预约柜及系统
KR20200056648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카드 결제의 중개 방법
KR20210003396A (ko)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187419B1 (ko) 문화예술공연 및 이벤트 참여자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TWI668661B (zh) A reservation method, a reservation syste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oring a reservation method, and an operator terminal device used in the method
KR102426990B1 (ko) 환전 예약의 관리 방법
KR102551238B1 (ko)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EP33401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easing of unattended assets
KR20190033373A (ko) 자동 납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14229B1 (ko) 온라인 환전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171550B1 (ko) 경호 업체 통합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46009A (ko) 해외송금방식을 이용한 환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84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Funds to a Pre-Paid Account
KR102242275B1 (ko) 가용 환전 정보의 제공 방법
RU2666235C1 (ru) Способ оплаты услуг,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ранспортных услуг, и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365715B1 (ko) 해외 방문자를 위한 금융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7291A (ko) 해외점포와 제휴된 현지 여행사를 통한 카드 발급방법 및 기록매체
KR20100077294A (ko) 해외점포와 제휴된 현지 여행사를 통한 선불카드 정산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40075156A (ko) 예약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8381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및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