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228B1 -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228B1
KR101731228B1 KR1020150078874A KR20150078874A KR101731228B1 KR 101731228 B1 KR101731228 B1 KR 101731228B1 KR 1020150078874 A KR1020150078874 A KR 1020150078874A KR 20150078874 A KR20150078874 A KR 20150078874A KR 101731228 B1 KR101731228 B1 KR 10173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dy housing
airbag
water qua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959A (ko
Inventor
이재수
신희정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7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2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잠기도록 위치되며, 원반형상의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수질측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측정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센서,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몸체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에어백, 및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유속 이상 측정될 경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팽창시키는 에어백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수중에 위치되어 물을 다방향으로 유입시켜 측정함에 따라, 다변화는 물의 흐름에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부유하는 물체와 직접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Automatic water measuring devices with airbag}
본 발명은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에 위치되어 변화되는 물의 흐름방향에 무관하게 유입시켜 수질측정을 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함은 물론, 측정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측정을 할 수 없는 유속이 발생될 경우, 외관을 보호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이 폐수나 다른 오염물질들에 의해 오염되면 사람이나 생태계 및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강이나 하천 등은 수질오염 측정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물의 오염도 등을 체크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수질오염 측정장치로 수질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 물을 체취하여 별도의 연구소에 설치되는 수질오염 측정장치로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과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에 직접 수질오염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에 직접 수질오염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측정장치의 경우 외부의 강이나 하천 등의 오염된 측정수를 측정수 펌프에 의해 측정수라인을 통해 수질자동 측정소에 설치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 측정수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순환형 저장수조에 저장된 측정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서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을 측정하고 저장된 측정수를 샘플링라인을 통해 채취하여 수질측정기에 측정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측정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른 물질이 더욱 오염될 수 있어 검사하고자 하는 측정수에 대한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공개특허 제2002-0089065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시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도어가 구비된 시료채취기를 물속에 위치시켜 시료를 채취하게 된다.
그러나 시료채취기는 일정 위치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됨에 따라, 환경에 따라 다변화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시료채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풍이나 장마 등의 기후에 의해 유속이 불규칙하고, 빠를 경우, 부유하는 다른 물체가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중에서 변화되는 물의 흐름에 무관하게 용이하게 유입시킴은 물론, 경우에 따라, 외관을 보호하며, 실시간으로 각종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물속에 잠기도록 위치된 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와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수질측정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수질측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측정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로 구성되어 측정하고자 하는 수중에 위치되어 물을 다방향으로 유입시켜 측정함에 따라, 다변화는 물의 흐름에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센서,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몸체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에어백, 및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유속 이상 측정될 경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팽창시키는 에어백제어부가 구비되어 빠른 속도로 부유하는 물체로부터 보호 및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방지하는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물속에 잠기도록 위치되며, 원반형상의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상기 수질측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측정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하우징은, 상기 수질측정부가 위치된 중앙부와 상기 유입부가 형성된 가장자리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하우징은, 상기 수질측정부가 위치된 중앙부에서 상기 유입부가 형성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유입격벽에 의해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유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를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수질을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입격벽은,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질측정부를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되어 각 구획된 각 유입공간부의 단면적이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질측정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물의 유입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상기 유입격벽은,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질측정부를 향하여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구획된 각 유입공간부의 단면적이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질측정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물의 유입속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각 유입공간부의 유입단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중앙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한다.
그리고 개폐도어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배출팬의 작동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시킴에 따라 물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어 수질측정부를 거친 후, 배출된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센서,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에어백, 및 상기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유속 이상 측정될 경우, 상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팽창시키는 에어백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진공부는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에어백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층은 상기 에어백제어부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에 의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수중에 위치되어 물을 다방향으로 유입시켜 측정함에 따라, 다변화는 물의 흐름에 관계없이 측정이 가능함에 따라,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부유하는 물체와 직접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의 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몸체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에 걸림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자동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자동 측정장치의 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몸체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부에 걸림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10)는 몸체하우징(100)와 수질측정부(200), 유입부(300) 및 배출부(40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100)은 물속에 잠기도록 위치되며, 원반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질측정부(200)는 몸체하우징(10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수질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유입부(300)는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수질측정부(200)로 물을 유입시키며, 배출부(400)는 수질측정부(2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측정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수질측정부(200)는 수질의 온도와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염도, 총용존고형물량, ORP, 탁도, 암모늄함유량, PH, 질산염 수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센서가 구비됨이 당연하며, 측정 항목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변경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이러한 수질 자동 측정장치(10)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속에 위치되어 유입부(300)로 유입되는 물을 수질측정부(200)를 거쳐 자동으로 수질 측정 후, 배출부(400)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유속센서(500)와 에어백(510) 및 에어백제어부(520)가 더 구비된다.
유속센서(500)는 몸체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에어백(510)은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몸체하우징(100)을 감싸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에어백제어부(520)는 유속센서(5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유속 이상 측정될 경우, 에어백(510)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몸체하우징(100)을 감싸도록 팽창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질 측정이 불가능한 유속이 발생될 경우, 부유하는 다른 물체가 몸체하우징(100)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완화시켜 보호는 물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격벽(310)에 의해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유입공간부(320)가 형성되어 수질측정부(200)를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수질을 유입시킨다.
이러한 유입격벽(310)은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서 수질측정부(200)를 향하여 직선으로 형성된다.
이 직선형의 유입격벽(310)에 의해 구획된 각 유입공간부(320)의 단면적이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서 수질측정부(20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됨에 따라, 물의 유입속도가 증가되어 수질측정부(200)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유입격벽(310')은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서 수질측정부(200)를 향하여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호형상의 유입격벽(310')은 구획된 각 유입공간부(320)의 단면적이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수질측정부(20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물의 유입속도가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유입격벽(310')의 호형상은 몸체하우징(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동일한 방향과 반대방향이 교번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하우징(1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질측정부(200)가 위치된 중앙부와 유입부(300)가 형성된 가장자리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00)은 수질측정부(200)가 위치된 중앙부에서 유입부(300)가 형성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유입부(300)는 몸체하우징(100)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단면적의 변화가 더욱 증가되어 유입되는 속도가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300)는 각 유입공간부(320)의 유입단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330)가 더 구비된다.
이 걸림부(33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공판이나 망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시(mesh)일 수도 있다.
또한 배출부(4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410)와 배출팬(420)으로 구성된다.
배출구(410)는 몸체하우징(100)의 중앙부 하측으로 형성되고, 배출팬(420)은 배출구(410)에 형성되어 수질측정부(200)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 배출팬(420)은 수질측정부(200)에 사용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사용하거나 별도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430)가 더 구비되어 배출팬(420)의 작동시, 배출구(410)를 개방시킴에 따라 물이 유입부(300)로 유입되어 수질측정부(200)를 거친 후, 배출된다.
이러한 개폐도어(430)는 배출부(40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배출팬(420)의 작동시에만, 개방되어 물이 유입부(300)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부(400)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51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부(530)가 더 구비되고, 진공부(530)는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에어백제어부(520)에 의해 제어된다.
다시 말해, 에어백제어부(520)는 유속센서(500)의 신호를 수신하여 평균 유속이 일정 유속 이하일 경우, 진공부(530)를 제어하여 팽창된 에어백 내부 기체를 흡입하여 팽창되기 전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에, 수질 자동 측정장치(10)는 수질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에어백(510)은 몸체하우징(100)을 감싸도록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층은 에어백제어부(520)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 제어된다.
또한 에어백(510)에는 공급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체밸브(512)가 더 구비되어 진공부(530)와 별도로 내부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10 : 수질 자동 측정장치 100 : 몸체하우징
200 : 수질측정부 300 : 유입부
310 : 유입격벽 320 : 유입공간부
330 : 걸림부 400 : 배출부
410 : 배출구 420 : 배출팬
430 : 개폐도어 500 : 유속센서
510 : 에어백 520 : 에어백제어부
530 : 진공부

Claims (3)

  1. 물속에 잠기도록 위치되며, 원반형상의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부; 및
    상기 수질측정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측정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하우징은,
    상기 수질측정부가 위치된 중앙부와 상기 유입부가 형성된 가장자리의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수질측정부가 위치된 중앙부에서 상기 유입부가 형성된 가장자리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는,
    유입격벽에 의해 상기 몸체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유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를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수질을 유입시키고,
    상기 각 유입공간부의 유입단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중앙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에 형성되어 상기 수질측정부를 통과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팬;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센서;
    공급되는 기체에 의해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기 위한 에어백; 및
    상기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일정 유속 이상 측정될 경우, 상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팽창시키되, 상기 에어백이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팽창시키는 에어백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진공부는 유속센서의 신호를 수신한 에어백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상기 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두 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층은 상기 에어백제어부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 제어되는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20150078874A 2015-06-03 2015-06-03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173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74A KR101731228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874A KR101731228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59A KR20160142959A (ko) 2016-12-14
KR101731228B1 true KR101731228B1 (ko) 2017-04-28

Family

ID=5757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874A KR101731228B1 (ko) 2015-06-03 2015-06-03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0351A (zh) * 2020-07-27 2020-09-11 江苏华谱联测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便携式的河道用水质检测装置
CN112114108A (zh) * 2020-09-15 2020-12-22 安徽新宇生态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水体水质安全在线监测预警与污染溯源装置
CN114200096A (zh) * 2021-11-15 2022-03-18 佛山市南海区苏科大环境研究院 一种水体污染评估装置
CN115214857B (zh) * 2022-07-12 2023-06-27 江苏科技大学 一种中大型船舶防撞气囊的动态展开装置
CN117589519A (zh) * 2024-01-19 2024-02-23 四川盈和佳瑞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市政用分层式水质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18B1 (ko) 2014-09-11 2014-12-22 (주)대지이엔지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18B1 (ko) 2014-09-11 2014-12-22 (주)대지이엔지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959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28B1 (ko) 에어백을 갖는 수질 자동 측정장치
EP2969109B1 (en) Automatic drain for fuel processor
KR101698204B1 (ko) 수질 자동 측정기의 위치조절장치
KR101698202B1 (ko)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0817329B1 (ko) 수질측정용 수조
KR101793550B1 (ko)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및 배기가스 성분 분석 방법
KR101698205B1 (ko)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US109354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flow of water into battery system, and vehicle system
US201800950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ollution Loc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679144B1 (ko) Plc를 이용한 가스검출 방법
KR102011432B1 (ko)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101698203B1 (ko) 수질 자동 측정기의 청소장치
KR20130127830A (ko)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20130127831A (ko) 유량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KR101631086B1 (ko) 평형수의 유입 및 유출에 대한 종합테스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6393B1 (ko)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장치의 수분 분리기 구조
KR101672011B1 (ko) 가스 센싱 장치
CN215866630U (zh) 一种水质监测用仪表水箱
CN211292803U (zh) 一种VOCs气体检测装置
KR101264835B1 (ko)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전처리용 여과기
CN210953900U (zh) 管路堵塞检测件及具有其的样本分析仪
KR20190047405A (ko)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KR102093424B1 (ko) 오염원 모니터링이 가능한 와류형 여과 장치
CN215984733U (zh) 一种含泥量计量装置
CN218917657U (zh) 一种测氡仪的防进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