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432B1 -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432B1
KR102011432B1 KR1020180080665A KR20180080665A KR102011432B1 KR 102011432 B1 KR102011432 B1 KR 102011432B1 KR 1020180080665 A KR1020180080665 A KR 1020180080665A KR 20180080665 A KR20180080665 A KR 20180080665A KR 102011432 B1 KR102011432 B1 KR 10201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reservoir
bypass
wat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순
황성주
류재은
김인철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두타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타아이티 filed Critical (주)두타아이티
Priority to KR102018008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상수도관 등의 수질검사장치의 수조 및 수조와 연결되는 배관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은 상수도관의 수질검사장치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으로서,물 유입관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수질검사장치의 저수조와, 일측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세척유체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서 분기되고 바이패스밸브에 의해 상기 유입관에 흐르는 물을 회수관으로 바이패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FLUSHING SYSTEM OF WATER QUALITY ANALYSIS EQUIPMENT}
개시된 내용은 상수도관 등에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수조 및 수조와 연결되는 배관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질검사장치는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도관의 수질이나 산업 공정에 사용되는 폐수 등의 수질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 전도도 등 다양한 항목을 측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737호의 상수도 수질측정장치가 있다.
상기 상수도 수질측정장치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배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의 전면에 체결되는 전면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배면케이스의 저부면에 안착되는 회로모듈과,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2 저장소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과 연결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2 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제1, 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 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제1 저장소에서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오랜기간 사용할 경우 수도물 속에 함유된 슬러지의 침전으로 인하여 장치의 수명이 감소되고 수질항목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따르게 된다.
KR 10-1621737 B1
개시된 내용의 목적은 수질검사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발생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줄임으로써 수질항목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은 상수도관의 수질검사장치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으로서,물 유입관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수질검사장치의 저수조와, 일측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세척유체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서 분기되고 바이패스밸브에 의해 상기 유입관에 흐르는 물을 회수관으로 바이패싱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유체 유입관은 물펌프에 의해 고압의 물이 유동되는 제1관과, 에어펌프에 의해 에어가 유동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연결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로 이어지는 제3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관과 제2관에는 각각 상기 물 또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구획칸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월판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관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상기 저수저의 각 구획칸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이패스관과 이어지며, 일측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조를 세척할 때, 상기 바이패스밸브는 수조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여 바이패스관으로 우회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각각의 드레인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에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쌓인 슬러지의 양를 측정하는 슬러지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 시스템은 상기 슬러지측정센서로부터 슬러지 측정값을 제공받아 그 값을 토대로 상기 각각의 드레인관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바이패스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수질검사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발생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줄임으로써 수질항목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의 구성 중 저수조의 종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의 구성 중 저수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은 상수도관(10)의 수질검사장치(20)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으로서, 저수조(22), 세척유체 유입관(53 ~ 55), 바이패스관(40), 드레인관(62), 제어부(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수도관(10)의 수질을 검사하는 수질검사장치(20)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산업공정에 사용되는 공업용배관 내의 폐수 등 기타 다양한 수질을 검사하는 수질검사장치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수조(22)는 수질검사장치(20)의 일부로서 수도물의 질소농도나 염소농도를 측정하기 이전에 물의 수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수질검사장치(20)의 경우 질소 측정장치(24)나 염소 측정장치(26) 등의 측정장치가 물유입관(12)에 의해 상수도관(1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측정장치들(24, 26)에 강한 수압이 가해졌고 이로 인해 측정장치(24, 26)의 연결관이나 부품 등에 무리가 가해져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의 저수조(22)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물 유입관(12)에 의해 상수도관(10)과 연결되며, 정육면체 형상의 하우징과(220), 하우징(220) 내부에 형성되어 다수의 구획칸(221-1 ~ 221-4)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월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면에는 물유입관(12)을 통해 상수도관(10)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24)와 연결관을 통해 측정장치(24, 26)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26)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후술할 드레인관(62)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회수공(228)이 형성된다.
저수조(22)는 하우징(222) 일측에 형성된 물유입관(224)을 통해 유입된 물을 다수의 수월판(222)을 거치도록 하여 물의 수압을 낮춘 다음 질소 등의 측정장치(24, 26)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수조(22)의 물을 측정장치(24, 26)를 보내는 방법으로는 물펌프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사이판의 원리에 의해 별도 구동력 없이 자연법칙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내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수조는 측정장치들(24, 26)보다는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수조(22)에는 저수조(22) 내부에 쌓인 슬러지의 양을 측정하는 초음파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슬러지측정센서(7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질검사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저수조(22)나 저수조(22)와 연결되는 배관 등에 슬러지가 쌓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플러싱 시스템은 저수조(2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바닥이나 측면에 슬러지측정센서(70)를 설치하고 쌓인 슬러지의 양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세척유체에 의해 플러싱되도록 하여 수질검사장치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기 슬러지측정센서(70)로부터 슬러지 측정값을 제공받아 그 값을 토대로 각각의 드레인관(62)에 설치된 개폐밸브(64)와, 바이패스밸브(42)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80)는 바람직하게는 수질검사장치(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소의 관리서버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유입관(12)의 일측에는 물유입관(12)에서 분기되어 물유입관(12)에 흐르는 물을 회수관(30)로 바이패싱하는 바이패스관(4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관(40)의 일측에는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바이패스밸브(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수관(30)은 수질 검사장치(20)의 일측에 마련된 드레인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관(62)은 저수조(22)에 수용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관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드레인관(62)은 저수조의 각 구획칸(221-1 ~ 221-4)에서 연장되어 바이패스관(40)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때 드레인관(62)의 일측에는 밸브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밸브(64)가 구비된다.
세척유체 유입관(53 ~ 55)은 저수조(22)와 연결되어 세척유체를 유입하는 관으로서 그 일측에 개폐밸브(56, 5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세척유체로는 물이나 공기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유체 유입관(53 ~ 55)은 물펌프에 의해 고압의 물이 유동되는 제1관(53)과, 에어펌프에 의해 에어가 유동되는 제2관(54)과, 제1관(53)과 제2관(54)의 연결지점에서 분기되어 저수조로 이어지는 제3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53)과 제2관(54)에는 각각 물 또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56, 57)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수질검사장치(20)의 저수조 세척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물펌프(51)와 에어펌프(52)를 작동시키기 전에 저수조(22)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키는 동시에 저수조(22)에 수용된 물을 회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바이패스밸브(42)를 작동시켜 저수조(22)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동시에 바이패스관(40)을 개방시켜 바이패스관(40)으로 우회하도록 한다.
또한, 저수조(22)의 각 구획칸(221-1 ~ 221-4)의 하부와 연결된 각각의 드레인(62)관 일측에 설치된 개폐밸브들(64)을 개방시켜 저수조(22)의 물을 회수관(30)측으로 이동하게 한다. 또한 저수조(22)의 배면의 배출구(226)를 폐쇄함으로써 저수조(22)에 세척유체가 수용되었을 때 수용된 세척유체가 질소 측정장치(24)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다음, 제1관(53) 또는 제2관(54)에 설치된 개폐밸브(56, 57)를 개방한 다음 물펌프(51)나 에어펌프(52)를 작동시켜 고압의 물이 제1관(53) 및 제3관(55)을 통해 저수조(22)로 유입되게 하거나, 고압의 에어가 제2관(54) 및 제3관(55)을 통해 저수조(22)로 유입되게 한다.
여기서, 제1관(53) 또는 제2관(54)에 설치된 개폐밸브(56, 57) 및 상술한 바이패스밸브(42)와 각각의 드레인(62)관의 개폐밸브들(64)은 슬러지측정센서(70)에 의해 측정된 값들을 토대로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나 슬러지측정센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수조(22)에 유입된 고압의 물 또는 에어는 저수조(22)를 플러싱하게 되고 이때 수용된 물 또는 에어는 고압의 상태에서 드레인관(62) 및 회수관(30)을 거쳐 드레인탱크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저수조(22)에 쌓인 슬러지 또는 저수조(22)와 연결된 드레인관(40) 등에 쌓인 슬러지가 말끔하게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에 의하면, 측정장치(24, 26) 전단계에 저수조(22)를 설치하고 저수조(22)의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여 저수조(22)나 저수조(22)와 연결되는 배관을 세척함으로써, 수질검사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발생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줄임으로써 질소나 염소 농도 등의 수질항목들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상수도관 12: 물 유입관
20: 수질 검사장치 22: 저수조
30: 회수관 40: 바이패스관
51: 물펌프 52: 에어펌프
53: 제1관 54: 제2관
55: 제3관 62: 드레인관
70: 슬러지측정센서 80: 제어부

Claims (6)

  1. 상수도관의 수질검사장치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으로서,
    물 유입관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수질검사장치의 저수조;
    일측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세척유체 유입관;
    상기 물 유입관의 일측에서 분기되고 바이패스밸브에 의해 상기 유입관에 흐르는 물을 회수관으로 바이패싱하는 바이패스관;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체 유입관은 물펌프에 의해 고압의 물이 유동되는 제1관과, 에어펌프에 의해 에어가 유동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연결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수조로 이어지는 제3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관과 제2관에는 각각 상기 물 또는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구획칸을 형성하도록 하는 다수의 수월판을 포함하되,
    상기 수월판은 하우징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관은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상기 저수조의 각 구획칸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이패스관과 이어지며, 일측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에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쌓인 슬러지의 양을 측정하는 슬러지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측정센서로부터 슬러지 측정값을 제공받아 그 값을 토대로 상기 각각의 드레인관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바이패스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수조를 세척할 때, 물펌프와 에어펌프를 작동시키기 전에 저수조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저수조에 수용된 물을 회수시키기 위하여, 바이패스밸브를 작동시켜 저수조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동시에 바이패스관을 개방시켜 바이패스관으로 우회하도록 하고,
    상기 저수조의 각 구획칸의 하부와 연결된 각각의 드레인관 일측에 설치된 개폐밸브들을 개방시켜 저수조의 물을 회수관측으로 이동시키고, 저수조에 수용된 세척유체가 측정장치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배면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0665A 2018-07-11 2018-07-11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10201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65A KR102011432B1 (ko) 2018-07-11 2018-07-11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65A KR102011432B1 (ko) 2018-07-11 2018-07-11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432B1 true KR102011432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65A KR102011432B1 (ko) 2018-07-11 2018-07-11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237A (zh) * 2022-02-15 2022-05-27 长春工程学院 一种环境科学污水实验仪器
KR102564900B1 (ko) 2022-06-08 2023-08-09 김승진 휴대용 상수 필터 테스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616A (ko) * 1993-02-09 1994-09-14 성기장 폐수 및 폐유처리장치
KR20100021389A (ko) * 2009-10-01 2010-02-24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JP4744289B2 (ja) * 2005-12-22 201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水質測定装置
KR101105678B1 (ko) * 2011-09-19 2012-01-18 (주)신우에프에이 수질측정센서 크리닝 장치
JP2012055791A (ja) * 2010-09-06 2012-03-22 Dkk Toa Corp 水質検出器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1621737B1 (ko) 2014-04-30 2016-06-01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20170100366A (ko) * 2016-02-25 2017-09-04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9616A (ko) * 1993-02-09 1994-09-14 성기장 폐수 및 폐유처리장치
JP4744289B2 (ja) * 2005-12-22 201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水質測定装置
KR20100021389A (ko) * 2009-10-01 2010-02-24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JP2012055791A (ja) * 2010-09-06 2012-03-22 Dkk Toa Corp 水質検出器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
KR101105678B1 (ko) * 2011-09-19 2012-01-18 (주)신우에프에이 수질측정센서 크리닝 장치
KR101621737B1 (ko) 2014-04-30 2016-06-01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20170100366A (ko) * 2016-02-25 2017-09-04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 원격 관리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237A (zh) * 2022-02-15 2022-05-27 长春工程学院 一种环境科学污水实验仪器
CN114535237B (zh) * 2022-02-15 2023-03-14 长春工程学院 一种环境科学污水实验仪器
KR102564900B1 (ko) 2022-06-08 2023-08-09 김승진 휴대용 상수 필터 테스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935B1 (ko) 수질 오염 총량 분석용 통합장치
US6763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liquids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2011432B1 (ko)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RU2008140032A (ru) Контроль промывки компрессор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при продувке с отводом воды и определение завершения промывки
KR100817329B1 (ko) 수질측정용 수조
KR20160051324A (ko)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KR20180105187A (ko) 건물 또는 해양 선박용 진공 하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3690547B2 (ja)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CN206168250U (zh) 一种反渗透膜性能检测装置
CN111656185B (zh) 用于检测供应管中的液体质量的装置
US200402537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gulating a process solution
KR20130127830A (ko)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CN117106579A (zh) 一种流体检测系统、测序仪及其液路检测方法
KR20130127831A (ko) 유량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AU2012244628A1 (en) Metering system for corrosion inhibitors in a water-hydraulic hydraulic system
KR102636184B1 (ko) 수질 측정용 채수 장치
KR101962402B1 (ko) 수질측정기기 배관구조 및 설치방법
CN104020268B (zh) 水质安全在线自动监测系统伺服装置
CN107198903A (zh) 获知净水装置的主过滤模块状态的方法以及净水装置
WO2017150236A1 (ja) 液中粒子測定装置及び液中粒子測定方法
KR101195146B1 (ko) 오일 공급 장치
JP6449130B2 (ja) 浸漬型検出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2509559B1 (ko) 다지점 수질 연속 측정 시스템
KR20210085030A (ko) 고정밀 실시간 표층수온염분측정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