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324A -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Google Patents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51324A KR20160051324A KR1020140151137A KR20140151137A KR20160051324A KR 20160051324 A KR20160051324 A KR 20160051324A KR 1020140151137 A KR1020140151137 A KR 1020140151137A KR 20140151137 A KR20140151137 A KR 20140151137A KR 20160051324 A KR20160051324 A KR 20160051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unit
- central control
- water quality
- constan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수도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상수 수질을 측정하여 저유속관로 내부를 플러싱하는 플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장치는, 상수가 유통되는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와; 상기 수질측정감시부에서 측정된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 및 검사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측정치 데이터를 중앙통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수질측정값에 이상치가 발견되면 저유속구간에 해당하는 관로 내부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상수가 흐르는 관로상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질측정값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혹은 기준치 이하의 탁도를 발생할 경우, 중앙제어부에서 감지되어 측정된 측정값의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통제센터로 전송되고, 중앙통제센터에서는 다시 통신부를 통해 중앙제어부를 거쳐 플러싱장치를 구동하여 현재 저유속구간의 관로 내부에 정체되어 있거나 저속 흐름으로 유통되는 상수를 퇴수부측으로 유도시켜 상수를 외부로 플러싱하여 수질악화로 인한 유,무형의 각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줌으로써, 음용수로도 사용하는 상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무인화하여 상수 관로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의 수질감시 및 관로 내부를 자동으로 플러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가 흐르는 관로의 말단과 같이 저유속 구간 및 정체 구간에 설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 및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분석하여 오염된 상수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자동 플러싱부, 수질데이터를 중앙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로 집약하여 필요시 설치장소를 변경하며, 상습 수질 오염구간을 파악하여 플러싱이 실시되도록 하여 전체 상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수도라 함은 보건위생 및 소화가 주요 목적인 계통적인 급수설비로서 관로를 통하여 음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까다로운 수질관리가 요구되며, 수질관리는 상수생산시설에서의 수질검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소비처로서의 이송 도중 관로의 녹물로 인한 피해 혹은 잔류염소의 소멸로 인한 미생물 번식의 피행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경로까지 세심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관로의 말단이나 관저유속구간(상습정체구간) 등에서는 항상 상술한 바와와 같은 피해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인력에 의한 단순세척, 특정구간만의 세척은 주로 수질악화로 인한 민원 발생 후 해결이 되는 것과 더불어 시간과 경비상승 등의 요인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방안은 상수도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질측정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2687호(명칭: 상수도관로 복합세척 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및 공개특허 제10-2012-0046363호(명칭: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이하 '선행기술 2'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상수도관로 특히 송배수관의 내부 스케일(scale) 및 각종 이물질을 폴리피그와 산성세척제에 의해 세척하고 개량된 런처를 이용하여 통수 전까지 관 내부 부식방지를 위해 부식억제제를 주입함과 동시에 관 내부를 염소 소독한 후 발생된 세척 배출수를 사이클론 원리와 부직포 및 이온교환 수지를 결합한 세척수 처리장치를 통해 완벽히 처리하는 기술이고, 상기 선행기술 2는 기존 밸브가 설치된 부분에 디스크용 볼이 설치된 플러싱밸브를 설치하여 평소에는 유체를 단속하고, 상수도관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플러싱밸브를 통해 피크를 투입하여 상수도관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플러싱처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수의 채수가 이루어져 수질 외에 각종 검사가 수행되고 난 다음 결정된다.
상수의 채수관련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126841호(명칭: 상수도용 토탈 채수장치, 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3은 상수도 관망의 맨홀 내에 설치하여 수질, 누수, 압력조사 등 여러 업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상수를 샌플링하는 채수부를 통해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부와, 수질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수질측정값을 전송하는 통신부, 필요에 다라서는 경보부를 설치하여 수질측정값에 이상 값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질측정장치는 상수의 수질, 측정 및 감시를 위한 목적으로만 개발된 것이어서 수질 측정값에 이상 값이 발생할 경우 경보를 울려주는 수준으로 그치고 있으며, 경보가 울리더라도 여러 상황으로 인해 그 대응이 늦을 수도 있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고정식 수질측정장치로는 광대한 구역의 관의 말단 혹은 저유속 구간에 대한 상습 수질 악화 구역인지 정확한 판단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높은 수압으로 빠른 이송 속도를 가지는 상수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수의 문제점이 감지되는 즉시 신속한 대응이 요청되나,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해 볼때 상수의 수질이 오염되거나 잔류염소가 소멸된 상수의 이동에 대해 신속하게 자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광대한 범위의 수도 관망에 전부 수질측정장치를 설치하게 될 경우 발생되는 설치비용을 고려하면, 소형화와 이전 설치가 용이한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상수가 흐르는 관로의 말단과 같이 저유속 구간 및 정체 구간에 설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 및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분석하여 오염된 상수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자동 플러싱부, 수질데이터를 중앙감시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하나의 장치로 집약하여 필요시 설치장소를 변경하며, 상습 수질 오염구간을 파악하여 플러싱이 실시되도록 하여 전체 상수의 수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도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상수 수질을 측정하여 저유속관로 내부를 플러싱하는 플러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장치는, 상수가 유통되는 관로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와; 상기 수질측정감시부에서 측정된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 및 검사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추출된 측정치 데이터를 중앙통제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중앙제어부와 연결되어 수질측정값에 이상치가 발견되면 저유속구간에 해당하는 관로 내부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질측정감시부는, 관로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상수를 유입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전자변 유입밸브와, 상기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유입된 상수에 포함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와,상기 기포제거부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와, 상기 탁도센서를 거쳐 흐르는 상수를 안정시켜 정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흐르는 상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센서와, 잔류염소센서를 거친 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로와 수질측정감시부의 사이에는 관로로부터 수질측정감시부로 상수시료샘플을 유입시키는 시료유입관이 마련되고, 상기 시료유입관에는 비례제어밸브 및 감압밸브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질측정감시부의 기포제거부, 탁도센서, 잔류염소센서측과 순차적으로 연결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퇴수부는, 관로로부터 상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밸브와, 상수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유량계와, 유량계를 거친 상수를 세척하는 세척밸브 및 세척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와, 세척밸브와 연결되어 세척된 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퇴수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척밸브와 퇴수구 사이에는 세척밸브를 통해 퇴수구로 배출되는 상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지역별 중앙통제센터와 연계되어 수질에 대한 민원발생시 상수를 강제퇴수시키는 명령을 전달받고,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로서 퇴수부를 통해 관로 내부의 상수를 일정시간 동안 플러싱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는, 상수가 흐르는 관로상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질측정값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혹은 기준치 이하의 탁도를 발생할 경우, 중앙제어부에서 감지되어 측정된 측정값의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중앙통제센터로 전송되고, 중앙통제센터에서는 다시 통신부를 통해 중앙제어부를 거쳐 플러싱장치를 구동하여 현재 저유속구간의 관로 내부에 정체되어 있거나 저속 흐름으로 유통되는 상수를 퇴수부측으로 유도시켜 상수를 외부로 플러싱하여 수질악화로 인한 유,무형의 각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줌으로써, 음용수로도 사용하는 상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러한 무인화하여 상수 관로의 유지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플러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싱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수도관의 관로(1)상에 설치되어 상수 수질을 측정하여 저유속관로 내부를 플러싱하는 플러싱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장치(100)는, 상수가 유통되는 관로(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110)와;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00)에서 측정된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 및 검사하는 중앙제어부(120)와; 상기 중앙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추출된 측정치 데이터를 중앙통제센터(A)로 전송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중앙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수질측정값에 이상치가 발견되면 저유속구간에 해당하는 관로(1) 내부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는, 관로(1)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상수를 유입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전자변 유입밸브(111)(112)와, 상기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유입된 상수에 포함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113)와, 상기 기포제거부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114)와, 상기 탁도센서(114)를 거쳐 흐르는 상수를 안정시켜 정류시키는 정류부(115)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흐르는 상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센서(116)와, 상기 잔류염소센서(116)를 거친 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포제거부(113)는 정확한 수질측정을 위해 상수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탁도센서(114)로서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관로(1)와 수질측정감시부(110)의 사이에는 관로로부터 수질측정감시부로 상수시료샘플을 유입시키는 시료유입관(118)이 마련되고, 상기 시료유입관(117)에는 비례제어밸브(V1) 및 감압밸브(V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의 기포제거부(113), 탁도센서(114), 잔류염소센서(116)측과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수시료샘플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퇴수부(140)는 관로(1)로부터 상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41)와, 상수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유량계(142)와, 유량계(142)를 거친 상수를 세척하는 세척밸브(143) 및 세척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144)와, 세척밸브(143)와 연결되어 세척된 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퇴수구(14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제어부(144)에는 각종 콘트롤 노브가 배열 설치되어 각부를 수동제어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잔류 염소센서 측정에 의한 측정치 표시 및 탁도센서(114)에 의한 측정치가 각각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된다.
상기 세척밸브(143)와 퇴수구(145) 사이에는 세척밸브를 통해 퇴수구로 배출되는 상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부(146)가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부(130)는 지역별 중앙통제센터(A)와 연계되어 수질에 대한 민원발생시 상수를 강제퇴수시키는 명령을 전달받고, 상기 중앙제어부(120)의 제어로서 퇴수부(140)를 통해 관로(1) 내부의 상수를 일정시간 동안 플러싱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의 운영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장으로부터 수돗물(상수)이 공급되어 관로(1)를 통해 흐름에 있어, 상수는 지역별 수도권의 도심지역 외에 광범위하게 공급되어 음용수인 수돗물로 급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반대로 대부분 상수의 급수사용빈도가 낮은 농촌지역의 상수도관의 관로 혹은 상수의 정체지역이, 잔류염소의 미달지역에 해당하는 관로 또는 그외에 취약한 관로를 대상으로 본 발명의 상수도관 플러싱장치(100)를 설치하여 플러싱장치(100)의 수질측정감시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질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수질측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플러싱장치의 중앙제어부(120)를 기반으로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는 관로(1)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전자변 유입밸브를 통해 상수를 기포제거부(113)측으로 1차 유입시키고, 기포제거부(113)에서는 압력차이로 인해 발생한 기포를 최대한 제거한 상태에서 탁도센서(114)를 통해 수질의 현탁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수의 탁도 측정이 이루어지고 난 상태에서의 상수는 정류부(115)를 통해 안정화시키고, 분기관측에 설치된 잔류염소센서(116)를 통해 상수에 포함된 염소를 측정하며, 염소 측정되고 난 이후의 상수는 배수구(117)를 통해 배출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수의 탁도에 대한 측정치가 0.5NTU 이하, 잔류염소의 측정치는 0,1mg/L이상의 수질검사기준으로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 측정치는 다시 중앙제어부(120)로 전송되어 탁도와 잔류염소 측정치 데이터(농도)가 수치로 표시된다.
대부분 상수도관리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수질검사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상수 수질에 대한 민원발생이 접수되면, 중앙통제센터(A)를 통해 통신부(130)에 전달된 신호는 플러싱장치를 가동하게 되는데, 이때의 플러싱장치(100)의 가동은 중앙제어부(120)를 기반으로 제어되어 해당지역의 관로(1) 내부를 플러싱한다.
즉, 상기와 같은 민원발생지역이나 저유속구간의 관로(1) 내부의 상수 수질 개선은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를 통해 실시간 수질을 측정하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플러싱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시료유입관(118)을 통해서 샘플링으로 유입한 상수는 감압밸브(V2)를 통해 비례제어밸브(V1)로 유입되며, 상기 비례제어밸브는 시료유입관(118)의 일정한 유출수량을 확보한다.
한편, 관로(1) 내부의 수돗물 수질의 모니터링에 따른 측정치는 중앙통제센터(A)에서 관리하에 플러싱장치(100)의 중앙제어부(120)를 통해 관로(1) 내부의 상수가 설정된 수질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하고, 여기서 수질기준을 초과한 경우 강제 퇴수 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강제 퇴수는 지역관리자가 직접 플러싱장치를 통해 수작업으로도 퇴수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퇴수부(140)를 제어하여 퇴수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퇴수부(140)를 구성하는 밸브제어부(144)를 제어함으로써, 관로(1)와 분기된 분기관상의 개폐밸브(141)를 개방시켜 관로(1) 내부의 상수를 강제로 퇴수시킨다. 여기서 상기 개폐밸브(1)를 통하는 상수는 유량계(142)를 통해 퇴수유량이 측정되고, 이러한 퇴수유량의 측정은 상수의 퇴수가 이루어지면서, 퇴수된 유량은 수질측정치에 따라 설정된 시간만큼 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질이 떨어진 상수를 플러싱함으로써, 관로 내부를 세척하는 효과로서 퇴수가 이루어지고 난 이후의 관로를 통해 흐르는 상수의 수질을 대폭 개선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퇴수 처리되는 상수는 유량계(142)를 거쳐 세척밸브(143)를 통해 퇴수가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수에 포함된 염소는 상기 세철밸브(143)와 퇴수구(145)사이에 마련된 염소제거부(146)를 통해 제거가 이루어져 퇴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악화된 수질의 상수를 수작업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인으로 플러싱장치(100)를 가동하여 저유속구간 혹은 상수의 사용이 저조하여 정체됨으로써, 수질에 대한 접수신고가 상습적으로 이루어지는 민원지역의 상수도관 관로(1)의 내부를 자동으로 플러싱시켜 줌으로써, 수질에 대한 민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상수도관 관리유지에 따른 시설관리의 용이성 향상과 이와 관계된 관리 인건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관로
100: 플러싱장치
110: 수질측정감시부 111: 제1전자변 유입밸브
112: 제2전자변 유입밸브 113: 기포제거부
114: 탁도센서 115: 정류부
116: 잔류염소센서 117: 배수구
118: 시료유입관 120: 중앙제어부
130: 통신부 140: 퇴수부
141: 개폐밸브 142: 유량계
143: 세척밸브 144: 밸브제어부
145: 퇴수구 146: 염소제거부
A: 중앙통제센터 V1: 비례제어밸브
V2: 감압밸브
110: 수질측정감시부 111: 제1전자변 유입밸브
112: 제2전자변 유입밸브 113: 기포제거부
114: 탁도센서 115: 정류부
116: 잔류염소센서 117: 배수구
118: 시료유입관 120: 중앙제어부
130: 통신부 140: 퇴수부
141: 개폐밸브 142: 유량계
143: 세척밸브 144: 밸브제어부
145: 퇴수구 146: 염소제거부
A: 중앙통제센터 V1: 비례제어밸브
V2: 감압밸브
Claims (6)
- 상수도관의 관로(1)상에 설치되어 상수 수질을 측정하여 저유속관로 내부를 플러싱하는 플러싱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장치(100)는,
상수가 유통되는 관로(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측정감시부(110)와;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00)에서 측정된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 및 검사하는 중앙제어부(120)와;
상기 중앙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추출된 측정치 데이터를 중앙통제센터(A)로 전송하는 통신부(130)와;
상기 중앙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수질측정값에 이상치가 발견되면 저유속구간에 해당하는 관로(1) 내부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퇴수부(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는,
관로(1)측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상수를 유입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전자변 유입밸브(111)(112)와,
상기 분기관상에 설치되어 유입된 상수에 포함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제거부(113)와,
상기 기포제거부를 통해 기포가 제거된 상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114)와,
상기 탁도센서(114)를 거쳐 흐르는 상수를 안정시켜 정류시키는 정류부(115)와,
상기 정류부를 거쳐 흐르는 상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센서(116)와,
상기 잔류염소센서(116)를 거친 상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1)와 수질측정감시부(110)의 사이에는 관로로부터 수질측정감시부로 상수시료샘플을 유입시키는 시료유입관(118)이 마련되고, 상기 시료유입관(118)에는 비례제어밸브(V1) 및 감압밸브(V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수질측정감시부(110)의 기포제거부(113), 탁도센서(114), 잔류염소센서(116)측과 순차적으로 연결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부(140)는 관로(1)로부터 상수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밸브(141)와,
상수의 유입량을 체크하는 유량계(142)와,
유량계(142)를 거친 상수를 세척하는 세척밸브(143) 및 세척밸브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144)와,
세척밸브(143)와 연결되어 세척된 상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퇴수구(1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밸브(143)와 퇴수구(145) 사이에는 세척밸브를 통해 퇴수구로 배출되는 상수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부(14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30)는 지역별 중앙통제센터(A)와 연계되어 수질에 대한 민원발생시 상수를 강제퇴수시키는 명령을 전달받고, 상기 중앙제어부(120)의 제어로서 퇴수부(140)를 통해 관로(1) 내부의 상수를 일정시간 동안 플러싱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137A KR101638098B1 (ko) | 2014-11-03 | 2014-11-03 |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1137A KR101638098B1 (ko) | 2014-11-03 | 2014-11-03 |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1324A true KR20160051324A (ko) | 2016-05-11 |
KR101638098B1 KR101638098B1 (ko) | 2016-07-20 |
Family
ID=5602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1137A KR101638098B1 (ko) | 2014-11-03 | 2014-11-03 |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809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685261A1 (es) * | 2017-03-31 | 2018-10-08 | Universidade De Vigo | Sistema y método de adquisición de muestras a distinta profundidad para la monitorización automática y a tiempo real de la calidad de aguas en un medio acuático |
KR102062035B1 (ko) * | 2019-02-21 | 2020-01-03 | 이민재 |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
KR102259536B1 (ko) * | 2020-02-11 | 2021-06-02 | (주)썬텍엔지니어링 | 지능형 상수도 관로 자동 플러싱 시스템 및 방법 |
KR102271690B1 (ko) * | 2020-12-29 | 2021-07-01 | 청정테크주식회사 | 염소 농도 자동 교정 기능이 구비된 수질 계측기 |
KR102330556B1 (ko) * | 2020-09-24 | 2021-11-23 | 한국토지주택공사 | 스마트 시티 물관리 시스템 |
KR102643359B1 (ko) * | 2023-08-09 | 2024-03-05 | 서울특별시 | 상수도 관로의 자동 드레인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1908B1 (ko) | 2021-05-28 | 2022-02-14 | 청정테크주식회사 | 수질계측용 판넬이 결합된 벤치 |
KR102524681B1 (ko) * | 2021-07-19 | 2023-04-24 |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 아이스클리닝 배관 세척 배출수 제어방법 및 제어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4928A (ko) * | 2010-10-04 | 2012-04-13 | 한국수자원공사 | 상수관로 수질 측정 및 대응시스템 |
-
2014
- 2014-11-03 KR KR1020140151137A patent/KR1016380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34928A (ko) * | 2010-10-04 | 2012-04-13 | 한국수자원공사 | 상수관로 수질 측정 및 대응시스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685261A1 (es) * | 2017-03-31 | 2018-10-08 | Universidade De Vigo | Sistema y método de adquisición de muestras a distinta profundidad para la monitorización automática y a tiempo real de la calidad de aguas en un medio acuático |
KR102062035B1 (ko) * | 2019-02-21 | 2020-01-03 | 이민재 | 상수관망 최적 관리 시스템 |
KR102259536B1 (ko) * | 2020-02-11 | 2021-06-02 | (주)썬텍엔지니어링 | 지능형 상수도 관로 자동 플러싱 시스템 및 방법 |
KR102330556B1 (ko) * | 2020-09-24 | 2021-11-23 | 한국토지주택공사 | 스마트 시티 물관리 시스템 |
KR102271690B1 (ko) * | 2020-12-29 | 2021-07-01 | 청정테크주식회사 | 염소 농도 자동 교정 기능이 구비된 수질 계측기 |
KR102643359B1 (ko) * | 2023-08-09 | 2024-03-05 | 서울특별시 | 상수도 관로의 자동 드레인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8098B1 (ko) | 201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8098B1 (ko) |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 |
KR102313700B1 (ko) |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 |
KR100964219B1 (ko) |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 |
WO2018179494A1 (ja) | 水質測定装置 | |
CN109072597A (zh) | 用于控制用于建筑物或用于船舶的真空污水系统的方法 | |
JP6493441B2 (ja) | 水質測定方法 | |
JP5272429B2 (ja) | 水質測定装置 | |
JP2003305454A (ja) | 取水水質管理装置 | |
JP3690547B2 (ja) | 下水管作業用循環排水装置 | |
KR101707282B1 (ko) | 다용도 제수밸브를 이용한 비굴착형 부단수 측정장치 | |
KR20070060948A (ko) | 3-way 수질 제어 밸브 | |
CN208553782U (zh) | 一种mbr膜破损自检装置及膜出水管路系统 | |
CN213455585U (zh) | 水质在线自动监控装置 | |
KR20150061425A (ko) |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 |
KR100544491B1 (ko) |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 |
KR101659422B1 (ko) | 급수관 정체수역 자동퇴수시스템 및 방법 | |
JP5475076B2 (ja) | 水位変化検出機能付残留塩素計 | |
KR102509559B1 (ko) | 다지점 수질 연속 측정 시스템 | |
JP2004177354A (ja) | 水質検査システムおよび水質検査方法 | |
KR102641798B1 (ko) | 밸브실용 탁도계시스템, 이를 구비한 스마트밸브실 및 스마트밸브실의 제어방법 | |
KR102684399B1 (ko) | 상수도 관로의 탁도 센서와 무해 기체를 이용한 관세척 및 누수 탐지 방법 | |
CN205099479U (zh) | 一种水质多参数在线检测的传感器药剂自动维护系统 | |
KR200420293Y1 (ko) | 역류를 이용한 필터 자동 세척 및 유체 온도 유지 장치 | |
JP3875545B2 (ja) | 下水道設備の運用装置及びその運用方法 | |
JP3612491B2 (ja) | 上水道原水の取水自動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