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219B1 -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219B1
KR100964219B1 KR1020090094062A KR20090094062A KR100964219B1 KR 100964219 B1 KR100964219 B1 KR 100964219B1 KR 1020090094062 A KR1020090094062 A KR 1020090094062A KR 20090094062 A KR20090094062 A KR 20090094062A KR 100964219 B1 KR100964219 B1 KR 10096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asurement
automatic
line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389A (ko
Inventor
박승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그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9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2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법에 의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강이나 하천, 공장 방류수 등으로 부터 측정에 필요한 측정수를 측정수라인을 통해 수거하여 순환형 저장수조에 저장한 후, 수조에서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을 측정하고 저장된 측정수를 샘플링하여 수질 오염의 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측정수를 공급하는 장치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측정수 저장수조 및 측정수라인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수에 의해 순환형 저장수조가 샘플링 측정수 성분에 의한 부유 물질이 쌓이게 되어 측정에 필요한 실시간 공급되는 샘플링 측정수를 보관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 오염으로 인한 신뢰성 있는 수질측정을 할 수 없고, 또한 측정장치의 순환형 저장수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번거로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공장 방류수 등으로 부터 오염된 측정수를 제1측정수라인(110)을 통해 펌핑 공급하는 측정수 펌프(100);와 제1측정수라인(110)과 연결된 제2측정수라인(120)을 통해 측정수가 일정 수위만큼 유입되는 측정수 저장수조(200);와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의 측정수에 일단이 잠긴 상태에서 오염측정기로 측정수를 공급하는 측정기 샘플링라인(21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측정수를 강이나 하천으로 내보내는 배수라인(220);으로 이루어진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측정 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에 각각 설치되며, 개폐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제1자동밸브(130) 및 제2자동밸브(140);와 배수라인(220)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수자동밸브(230);와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깨끗한 세정수를 확산 분사하여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노즐(300);로 개폐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세정수자동밸브(310)와 노즐용자동밸브(320)가 설치되어 세정수를 세정노즐(300)에 공급하는 세정수유입라인(340);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각의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자동측정장치, 세정장치, 저장수조, 샘플링라인, 밸브, 펌프, 세정노즐

Description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automatic cleaning device of automatic measure for the quality of water for Monitoring Water Pollution}
본 발명은 환경법에 의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측정수가 유입되는 제1,제2측정수라인과 유입된 측정수가 저장되는 측정수 저장수조를 외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깨끗한 세정수로 세정하고, 또한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세정수를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별도의 세정수수조를 구비하여 동일한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이 폐수나 다른 오염물질들에 의해 오염되면 사람이나 생태계 및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강이나 하천 등은 수질오염 측정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물의 오염도 등을 체크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수질오염 측정장치로 수질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 물을 체취하여 별도의 연구소에 설치되는 수질오염 측정장치로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과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에 직접 수질오염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환경법에 의하여 설비에 의해 실시간으로 수질오염을 측정하여 환경부에 전송하는 실시간 관리하는 방법이 있다.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에 직접 수질오염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측정장치의 경우 외부의 강이나 하천 등의 오염된 측정수를 측정수 펌프에 의해 측정수라인을 통해 수질자동 측정소에 설치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 측정수를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순환형 저장수조에 저장된 측정수는, 순환형 저장수조에서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을 측정하고 저장된 측정수를 샘플링라인을 통해 채취하여 수질측정기에 측정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순환형 저장수조에 저장된 측정수를 수질측정기로 측정한 후, 순환형 저장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수라인을 통해 다시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종래의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오염된 측정수를 측정수펌프(10)가 제1측정수라인(11)으로 펌핑하면, 측정수는 제1측정수라인(11)과 제1밸브(13)를 통해 제2측정수라인(12)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제2측정수라인(12)을 통과한 측정수는 제2측정수밸브(14)를 통해 순환형 저장수조(2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입된 측정수는 샘플링라인(21)을 통해 채취되어 수질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수질측정을 마친 후 순환형 저장수조(20)에 남아있는 측정수는, 배수밸브가 열리면 다음 측정을 위해 순환형 저장수조(20)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라인(22)을 통해 다시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0)과(90)은 각각 SS 센서와 PH 센서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측정수는 세균이나 미생물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있고 또한 각종 이물질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러한 측정수를 장시간 채취하여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제1,제2측정수라인과 샘플링라인 및 배수라인과 같은 배관과 순환형 저장수조 내부에 세균 및 미생물이 쌓여 배관 및 순환형 저장수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수조에서 직접 측정하는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의 데이터의 신뢰성의 문제와, 이물질에 의해 배관 내부와 순환형 저장수조의 바닥에 쌓여 배관이 막혀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균과 미생물 및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제1,제2측정수라인과 샘플링라인 및 배수라인과 같은 배관과 순환형 저장수조로 측정수가 유입되어 수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의 센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시간으로 수질측정이 계속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측정값을 측정할 수 없어서 주기적으로 순환형 저장수조를 작업자가 직접 세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순환형 저장수조가 세균 및 미생물로부터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오염되어 있어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제1,제2측정수라인과 샘플링라인 및 배수라인과 같은 배관은 세정작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순환형 저장수조의 세정작업을 수행하여도 측정수가 계속 오염되어 있는 배관을 통해 순환형 저장수조로 유입되므로, 샘플링라인을 통해 채취되는 측정수로 수질검사를 수행하였을 때 정확한 측정값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유입되는 측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측정수 저장수조 내부에 깨끗한 세정수를 360° 확산 분사하여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는 세정노즐을 설치하여, 측정수 저장수조 내부에 세균 및 미생물이 쌓여 측정수 저장수조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이물질이 측정수 저장수조의 바닥에 쌓여 배수라인이 막힘으로써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오염된 측정수가 유입되는 제1,제2측정수라인에 깨끗한 세정수를 역주 입하여 제1,제2측정수라인을 세정함으로써, 제1,제2측정수라인 내부에 세균 및 미생물이 쌓여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이물질에 의해 배관이 막혀서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세정수에 의해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측정수 저장수조에서 샘플링라인을 통해 채취되는 측정수가 강이나 하천에서 채취되는 물이 더이상의 세균과 미생물 및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안정적인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자동세정장치에서 환경법에 의한 수질자동 오염 감시 장치 시스템인 자료수집장치와 연결되어 세정시에 세정중, 점검중 등의 통신에 의해 실시간으로 저장수조를 자동 및 수동으로 감시 제어할 수 있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오염된 측정수를 제1측정수라인을 통해 펌핑 공급하는 측정수 펌프;와 제1측정수라인과 연결된 제2측정수라인을 통해 측정수가 일정 수위만큼 유입되는 측정수 저장수조;와 측정수 저장수조 내의 측정수에 일단이 잠긴 상태에서 오염측정기로 측정수를 공급하는 측정기 샘플링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측정수를 강이나 하천으로 내보내는 배 수라인;으로 이루어진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측정수라인과 제2측정수라인에 각각 설치되며, 개폐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제1자동밸브 및 제2자동밸브;과 배수라인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수자동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측정수 저장수조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깨끗한 세정수를 확산 분사하여 측정수 저장수조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노즐;과 개폐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세정수자동밸브와 노즐용자동밸브가 설치되어 세정수를 세정노즐에 공급하는 세정수유입라인;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각의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세정수유입라인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또는 지하수의 직수관에 직접 연결되고,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 일측에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수조를 구비하고, 세정수수조에는 세정수수조 내부의 세정수를 펌프로 펌핑하여 세정수유입라인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부로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보조라인자동밸브가 구비된 세정수공급 보조라인을 설치하며, 세정수수조 저면에는 배수라인과 별도로 또는 결합된 상태로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배수용 밸브가 구비된 세정수배수라인을 설치하여 세정수용 직수관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1자동밸브로 개폐 제어되는 제1측정수라인과 제2자동밸브로 개폐 제어되는 제2측정수라인 사이에는 세정수유입라인의 세정수를 제1측정수라인과 제2측정수라인으로 공급하는 배관세정라인을 설치하고, 배관세정라인에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관세정자동밸브를 구비하여 제1,제2 측정수라인의 각 배관 이 세정수에 의해 자동 역세정되게 하고, 측정수 저장수조 내부에는 측정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입되면 측정수를 배수라인으로 내보내는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세정장치에서 환경법에 의한 수질자동 오염 감시 장치 시스템인 자료수집장치와 연결되어 세정시에 세정중, 점검중 등의 통신에 의해 실시간으로 저장수조를 자동 및 수동으로 감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조라인에 설치되는 펌프는, 수중펌프 또는 컴프레셔용 펌프로 이루어지며, 측정수 저장수조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세정노즐은, 수압에 의해 360°회전하는 회전노즐로 형성하고, 자동 세척장치 동작 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자료수집장치의 오염측정기와 상호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게 하여 자동 세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제어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를 깨끗한 세정수에 의해 주기적으로 세정함으로써, 오염된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측정수가 장시간 유입되면서 강이나 하천에 포함되는 세균이나 미생물 및 이물질에 의해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가 오염되고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를 깨끗한 세정수에 의해 주기적으로 세정함으로써,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으로 부터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와 샘플링라인을 통해 채취되는 측정수가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의 물과 같은 상태 그대로 채취되기 때문에 언제나 정확한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측정수 저장수조를 작업자가 직접 세정하지 않고 깨끗한 세정수에 의해 자동으로 세정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수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의 물과 같은 상태 그대로 채취하기 때문에 언제나 정확한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질오염 감시장치 시스템인 자료수집장치와 연결되어 세정시에 세정중, 정검중 등의 통신에 의해 실시간으로 저장수조를 자동 및 수동으로 감시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측정수를 채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제1,제2측정수라인을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세정수수조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 11,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세정수수조가 구비되어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으로부터 오염된 측정수를 제1측정수라인(110)을 통해 펌핑 공급하는 측정수 펌프(100);와 제1측정수라인(110)과 연결된 제2측정수라인(120)을 통해 측정수가 일정 수위만큼 유입되는 측정수 저장수조(200);와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의 측정수에 일단이 잠긴 상태에서 오염측정기로 측정수를 공급하는 측정기 샘플링라인(21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측정수를 강이나 하천으로 내보내는 배수라인(220);으로 이루어진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에 각각 설치되며, 개폐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제1자동밸브(130) 및 제2자동밸브(140);와 배수라인(220)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수자동밸브(230);와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깨끗한 세정 수를 확산 분사하여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노즐(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세정수자동밸브(310)와 노즐용자동밸브(320)가 설치되어 세정수를 세정노즐(300)에 공급하는 세정수유입라인(340);과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각의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구비되며, 세정수유입라인(340)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또는 지하수의 직수관(500)에 직접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 일측에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수조(600)를 구비하고, 세정수수조(600)에는 세정수수조(600) 내부의 세정수를 펌프(610)로 펌핑하여 세정수유입라인(340)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부(400)로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보조라인자동밸브(620)가 구비된 세정수공급 보조라인(630)을 설치하며, 세정수수조(600) 저면에는 배수라인(220)과 별도로 또는 결합된 상태로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배수용 밸브(640)가 구비된 세정수배수라인(650)을 설치하여 세정수용 직수관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자동밸브(130)로 개폐 제어되는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자동밸브(140)로 개폐 제어되는 제2측정수라인(120) 사이에는 세정수유입라인(340)의 세정수를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으로 공급하는 배관세정라인(700)을 설치하고, 배관세정라인(700)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관세정자동밸브(710)를 구비하여 제1,제2 측정수라인(110)(120)의 각 배관이 세정수에 의해 자동 역세정되게 하며,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에는 측정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입되면 측정수를 배수라인(220)으로 내보내는 오버플로우관(280)을 설치하고, 보조라인(630)에 설치되는 펌프(610)는, 수중펌프 또는 컴프레셔용 펌프로 형성하고, 특히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세정노즐(300)은, 수압에 의해 360°회전하는 회전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자동 세척장치 동작 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는, 자료수집장치의 오염측정기와 상호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게 하여 자동 세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제어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질오염 자동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부(40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400)가 작동되면, 강이나 하천의 물이 강이나 하천 및 공장 방류수 등에 설치되는 측정수펌프(100)에 의해 제1측정수라인(11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제1측정수라인(110)으로 유입되는 측정수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제1자동밸브(130)를 통과하여 제2측정수라인(12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측정수라인(120)으로 유입되는 측정수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제2자동밸브(140)를 통해 측정수 저장수조(20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수 저장수조(200)로 유입되는 측정수는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에 설치되는 샘플링라인(210)을 통해 채취되어 수질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측정을 마친 후 사용자가 수질오염 자동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부(40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400)가 작동되면, 측정수는 측정수 저장수조(200) 하부의 배수자동밸브(230)가 개방되면서 배수라인(220)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에는 측정수가 일정높이만큼 채워지면 측정수 저장수조(200) 외부로 넘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오버플로우관(280)을 형성하여, 일정높이 이상으로 측정수가 유입되면 오버플로우관(280)과 연결되는 배수라인(220)을 통해 측정수가 자동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수질오염 자동 측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강이나 하천의 측정수에 포함되는 세균이나 미생물이 함께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로 유입되면서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를 오염시키고, 이물질들이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에서 부패하고 축적되면서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 및 배수라인(220) 등의 배관 막고 측정수 저장수조(200)에 쌓여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균괴 미생물 및 이물질 등으로 오염된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과 측정수 저장수조(200)를 거쳐 샘플링라인(210)으로 채취되는 측정수도, 강이나 하천에서 측정수펌프(100)에 의해 유입되는 상태가 아닌 오염물질로 오염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측정수 저장수조(200)가 오염되지 않도록 측정수 저장수조(200)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질오염 자동 측정장치의 세정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부(40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400)가 작동되면, 수돗물 또는 지하수와 같이 깨끗한 물이 유입되 는 직수관(500)과 세정수유입라인(240) 사이의 세정수자동밸브(310)가 개방되면서 세정수가 세정수유입라인(24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세정수유입라인(340)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노즐용자동밸브(320)를 통해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에 설치되는 세정노즐(300)을 통해 확산 분사되면서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를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세정노즐(300)은 360°회전 가능한 회전노즐이기 때문에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정노즐(300)이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세정작업을 수행하기 전이나 수행함과 동시에, 측정수 저장수조(200)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배수자동밸브(230)가 개방되면서 측정수 저장수조(200)에 유입되어 있는 측정수와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이 오염되지 않도록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질오염 자동 측정장치의 세정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부(400)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미리 셋팅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400)가 작동되면, 세정수자동밸브(310)가 개방되어 세정수가 세정수유입라인(340)으로 유입되고, 이때 세정수유입라인(340)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세정라인(700)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것이다.
배관세정라인(700)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배관세정자동밸브(710)를 통해 제2측정수라인(120)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세정수유입라인(340)에 구비되는 노즐용자동밸브(320)와 제2측정수라인(120)에 구비되는 제2자동밸브(140)는 폐쇄되어 있어서, 세정수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제1자동밸브(130)와 제1측정수라인(110)을 통해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되면서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을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의 세정작업과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세정작업은 제어부(400)에 전기적 신호에 따라 별도로 수행되기도 하고 함께 수행되기도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산지대와 같이 수돗물이나 지하수가 없어서 직수관(500)의 설치가 불가능 할 경우, 별도의 세정수수조(600)를 구비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세정수수조(600)의 상부에 세정수유입라인(340)과 연결되는 보조라인(630)을 설치하고, 보조라인(630)에 보조라인자동밸브(620)와 펌프(610)를 각각 설치하여, 제어부(400)의 신호에 따라 펌프(610)가 작동되면, 세정수수조(600) 내부에 미리 구비되는 세정수를 펌프(610)가 펌핑하여 보조라인(630)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보조라인(630)과 세정수유입라인(340)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라인자동밸브(620)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세정수가 세정수유입라인(340)으로 유입되어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이나 측정수 저장수조(200), 또는 제1,제2측정수라인(110)(120)이나 측정수 저장수조(200)를 동시에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보조라인(630)에 설치되는 펌프(610)는 수중펌프나 컴프레셔용 펌프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정수수조(600) 내부에 구비되는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제어부(400)가 신호를 보내면, 세정수는 세정수수조(600)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용밸브(640)가 개방되면서 세정수배수라인(6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 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측정수 저장수조(200)에 저장되는 측정수의 pH(물의 산의 정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PH 센서(900)와 탁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SS 센서(8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실시간으로 수온, 전기전도도, 삼소 등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종 센서를 통해 저장수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수온, pH(물의 산의 정도), 전기전도도, 산소 및 탁도 등은 물과 같은 상태 그대로 측정되어 제어부(400)로 수집되기 때문에 언제나 정확한 측정값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 세정장치 동작 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수질 자동 오염 감시장치 시스템인 자료수집장치의 오염측정기와 상호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게 하여 본 발명의 자동 세정장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자동 세정장치가 세정중이거나 점검중 등의 상태일 때는 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 통신으로 확인하여 측정기 샘플링라인(210)을 통한 측정수의 측정값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 감시토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감시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측정수를 채취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제1,제2측정수라인을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가 제1,제2측정수라인과 측정수 저장수조를 세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세정수수조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0, 11,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에 세정수수조가 구비되어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정수펌프 110 : 제1측정수라인
120 : 제2측정수라인 130 : 제1자동밸브
140 : 제2자동밸브 200 : 측정수 저장수조
210 : 샘플링라인 220 : 배수라인
230 : 배수자동밸브 280 : 오버플로우관
300 : 세정노즐 310 : 세정수자동밸브
320 : 노즐용자동밸브 400 : 제어부
500 : 직수관 600 : 세정수수조
610 : 펌프 620 : 보조라인자동밸브
630 : 보조라인 640 : 배수용밸브
650 : 세정수배수라인 700 : 배관세정라인
710 : 배관세정자동밸브

Claims (8)

  1. 강이나 하천, 공장 방류수 등으로 부터 오염된 측정수를 제1측정수라인(110)을 통해 펌핑 공급하는 측정수 펌프(100);
    제1측정수라인(110)과 연결된 제2측정수라인(120)을 통해 측정수가 일정 수위만큼 유입되는 측정수 저장수조(200);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의 측정수에 일단이 잠긴 상태에서 오염측정기로 측정수를 공급하는 측정기 샘플링라인(210);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측정수를 강이나 하천으로 내보내는 배수라인(220);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에 각각 설치되며, 개폐 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제1자동밸브(130) 및 제2자동밸브(140);
    배수라인(220)에 설치되며,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수자동밸브(230);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깨끗한 세정수를 확산 분사하여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노즐(300);
    개폐동작이 자동 제어되는 세정수자동밸브(310)와 노즐용자동밸브(320)가 설치되어 세정수를 세정노즐(300)에 공급하는 세정수유입라인(340);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각의 자동밸브를 제어하는 자동 제어하는 제어부(400);
    으로 이루어진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에 있어서,
    제1자동밸브(130)로 개폐 제어되는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자동밸브(140)로 개폐 제어되는 제2측정수라인(120) 사이에는 세정수유입라인(340)의 세정수를 제1측정수라인(110)과 제2측정수라인(120)으로 공급하는 배관세정라인(700)을 설치하고,
    배관세정라인(700)에는 제어부(400)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배관세정자동밸브(710)를 구비하여
    제1,제2 측정수라인(110)(120)의 각 배관이 세정수에 의해 자동 역세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세정수유입라인(340)은,
    상수도 또는 지하수의 직수관(500)에 직접 연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 일측에는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수조(600)를 구비하고,
    세정수수조(600)와 세정수유입라인(340) 사이에는 세정수수조(600) 내부의 세정수를 펌프(610)로 펌핑하여 세정수유입라인(340)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부(400)로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보조라인자동밸브(620)가 구비된 세정수공급 보조라인(630)을 설치하며,
    세정수수조(600) 저면에는 배수라인(220)과 별도로 또는 결합된 상태로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배수용 밸브(640)가 구비된 세정수배수라인(650)을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수 저장수조(200) 내부에는
    측정수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입되면 측정수를 배수라인(220)으로 내보내는 오버플로우관(28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세정수공급 보조라인(630)에 설치되는 펌프(610)는,
    수중펌프 또는 컴프레셔용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정수 저장수조(2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세정노즐(300)은,
    수압에 의해 360°회전하는 회전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 세척장치 동작 상황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는,
    샘플링라인(210)을 통해 측정수가 공급되는 오염측정기와 상호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게 하여 자동 세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송 및 제어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20090094062A 2009-10-01 2009-10-01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096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62A KR100964219B1 (ko) 2009-10-01 2009-10-01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062A KR100964219B1 (ko) 2009-10-01 2009-10-01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89A KR20100021389A (ko) 2010-02-24
KR100964219B1 true KR100964219B1 (ko) 2010-06-17

Family

ID=4209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062A KR100964219B1 (ko) 2009-10-01 2009-10-01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2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367B1 (ko) * 2011-05-20 2011-12-15 박혜인 수질 측정시스템
KR101292969B1 (ko) 2011-05-02 2013-08-02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수 모니터링장치
KR101943947B1 (ko) * 2018-07-20 2019-01-31 주식회사 효림 오염토양 또는 오염지하수의 오염물질 실시간 오염도 자동 측정 센서 시스템
KR101962402B1 (ko) * 2018-07-11 2019-03-26 (주)두타아이티 수질측정기기 배관구조 및 설치방법
KR20220104527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KR20220143420A (ko) * 2021-04-16 2022-10-25 정의봉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743B (zh) * 2013-08-07 2015-12-23 广州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分所 移动水质监测装置、系统及方法
KR101507019B1 (ko) * 2014-09-30 2015-03-31 대한민국 실시간 spme-gc 또는 spme-gc/ms 분석시스템을 이용한 유기오염물질의 실시간 자동분석 방법
JP6717625B2 (ja) * 2016-03-17 2020-07-01 Jx金属株式会社 水中の弗化物イオンおよび水銀の濃度を並列かつ自動で測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973645A (zh) * 2016-06-20 2016-09-2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应用于水质污染检测无人船的取样装置
KR101647622B1 (ko) * 2016-06-24 2016-08-1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샘플링을 통한 액체 원료들의 모니터링 장치
KR102011432B1 (ko) * 2018-07-11 2019-10-21 (주)두타아이티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102278458B1 (ko) * 2019-10-24 2021-07-16 주식회사 엠에이티 자동환경 측정시스템
KR102317056B1 (ko) * 2021-03-29 2021-10-25 (주)제이엠이엔비 단속적 침지형 조류 측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25885B1 (ko) * 2021-12-24 2024-01-18 주식회사 위코테크 일체형 색도 모니터링 시스템
CN115825192A (zh) * 2022-11-09 2023-03-21 华能重庆珞璜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脱硫浆液参数测量电极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6859010B (zh) * 2023-06-07 2024-01-26 吴正虎 一种水利水电施工用水质采样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70Y1 (ko) 2001-12-04 2002-06-15 (주) 이스텍 수질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970Y1 (ko) 2001-12-04 2002-06-15 (주) 이스텍 수질측정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969B1 (ko) 2011-05-02 2013-08-02 한국원자력연구원 지하수 모니터링장치
KR101094367B1 (ko) * 2011-05-20 2011-12-15 박혜인 수질 측정시스템
KR101962402B1 (ko) * 2018-07-11 2019-03-26 (주)두타아이티 수질측정기기 배관구조 및 설치방법
KR101943947B1 (ko) * 2018-07-20 2019-01-31 주식회사 효림 오염토양 또는 오염지하수의 오염물질 실시간 오염도 자동 측정 센서 시스템
KR20220104527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KR102517957B1 (ko) * 2021-01-18 2023-04-04 주식회사 승원 상수도 정밀여과장치 스마트 유지관리 시스템
KR20220143420A (ko) * 2021-04-16 2022-10-25 정의봉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KR102510065B1 (ko) 2021-04-16 2023-03-15 정의봉 통합 수질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389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0584935B1 (ko) 수질 오염 총량 분석용 통합장치
KR101638098B1 (ko) It기반 상수도관 자동 플러싱장치
CN106525905A (zh) 具有电极自动清洗和标定的水质在线监测系统
JP2003305454A (ja) 取水水質管理装置
KR100679691B1 (ko) 오토 샘플러 및 스케일 제거장치를 구비한 수질 오염 총량분석용 통합장치
KR101698205B1 (ko)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WO2006043900A1 (en) A water quality testing system
JP2007101420A (ja) 洗浄装置、水質測定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1814743B1 (ko) 하수관거의 모니터링 데이터 구축 시스템
KR20100122793A (ko) 세차기 폐수 자동관리 시스템 및 방법
RU2507156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от объект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 быто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и робот-пробоотборник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RU2604171C2 (ru) Дози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в водно-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KR101742274B1 (ko) 소규모 상수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의 수질 측정 장치
JPH0894608A (ja) 取水水質管理装置
JP5855778B2 (ja) 自己洗浄槽保有型膜ろ過装置
JP4637560B2 (ja) 下水道の水質監視装置
JP4537962B2 (ja) 可搬型捨水検査装置
JP5370231B2 (ja) pH計洗浄装置およびpH計の洗浄方法
KR20110005582A (ko) 관로에 흐르는 수질을 계측하기 위한 안정적인 장치
KR101495678B1 (ko) Plc 기술을 활용한 공정진단 기반의 지능형 수처리 원격제어시스템
KR100544491B1 (ko)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CN208270553U (zh) 一种自动化污水水质检测设备
KR102563943B1 (ko) 생물반응조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