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737B1 -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737B1
KR101621737B1 KR1020140052672A KR20140052672A KR101621737B1 KR 101621737 B1 KR101621737 B1 KR 101621737B1 KR 1020140052672 A KR1020140052672 A KR 1020140052672A KR 20140052672 A KR20140052672 A KR 20140052672A KR 101621737 B1 KR101621737 B1 KR 10162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space
housing
turb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832A (ko
Inventor
이익재
이기목
강창익
양우진
이진영
서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4005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73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배면케이스와, 상기 배면케이스의 전면에 체결되는 전면케이스와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배면케이스의 저부면에 안착되는 회로모듈과; 상기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 제2저장소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과 연결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저장소와 제2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QUALITY OF TAP WATER}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에서 각각 상수도의 수질을 형성하게 되는 질소농도, 염소농도, 수소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이 측정되도록 하여 다항목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상수도 센싱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등은 어류 등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하천이나 호수 등에 있는 물을 정화시켜 음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천이나 호수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물을 깨끗하게 정화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정화단계는 취수, 약품처리, 응고와 응집, 침전, 여과, 소독 과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또한,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는 물의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 센서와 수소 이온에 감응하는 유리막형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리막형 센서로는 pH센서가 있다.
또한, 탁도센서는 광학적으로 물의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측정방법에 따라 시각 탁도, 투과광 탁도, 산란광 탁도, 적분구 탁도로 구분된다.
아울러, 유리막형 센서인 pH센서는 유리 전극 지지관으로 불리는 유리관 선단에 반구상의 pH에 응답하는 특수 유리로 된 박막의 (-) 전극막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유리 전극 내부액과 내부 전극이 있다. 내부 전극으로는 리드선이 뻗어 있고, 그 선단은 계기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 되어 있으며, 대단히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물의 오염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천이나 호수의 물을 용기에 담아서 수질을 검사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오염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으로부터 채집된 물은 하천이나 호수의 바닥면과 인접한 깊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물을 채집하기 위해 검수원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비가 오거나 하천 또는 호수의 유량이 많을 경우에는 수질의 오염 정도 측정시 오염 정도가 낮게 측정되고, 건조기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수질의 오염 정도가 높게 나타나게 되어 수질의 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수질 오염 정도의 측정값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수압, 수량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수질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농어촌의 작은 마을에 구비되어 주민들의 식수를 해결하기 위한 우물이나 저수지, 하천 등의 상수도 시설에 존재하는 물은 주민들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상수도원의 수질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채집한 물의 수질을 측정시에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염소 농도 등의 여러 요인들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측정하게 때문에 이들 요인들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정확한 수질의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배면케이스와, 상기 배면케이스의 전면에 체결되는 전면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와; 상기 배면케이스의 저부면에 안착되는 회로모듈과; 상기 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 제2저장소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과 연결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저장소와 제2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싱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저장소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분할된 상기 복수의 공간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상기 제1저장소 및 제2저장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2저장소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부커버가 체결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통공에는 챔버커버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에는 각각 폐쇄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은 하단폐쇄마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싱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센싱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측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탁도측정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부 일측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기배출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센싱모듈은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회로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케이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케이스와 상기 전면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전면과 배면이 절개 형성된 사각형상의 확장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는,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며,
도 3은 도 1의 센서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센서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센서모듈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8은 탁도측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탁도측정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며, 도 3은 도 1의 센서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센서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센서모듈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Ⅶ-Ⅶ'선에 따른 선단면도이고, 도 8은 탁도측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탁도측정부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는,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배면케이스(110)와, 배면케이스(110)의 전면에 체결되는 전면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100)와, 배면케이스(110)의 저부면에 안착되는 회로모듈(200)과, 회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310a)과 연결된 수용공간(313) 및 제1저장소(311)와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314)가 형성된 하우징(310)과, 수용공간(313)에 수용되며 유입공(310a)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이 구비된 챔버(320)와,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330)로 이루어지는 센싱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부(100)는 각종 부품들을 설치할 수 있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직육면 형상의 부재로서 전면이 개구 형성된 배면케이스(110)와, 배면케이스(110)의 전면에 체결되어 내구공간에 설치된 부품들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며 배면이 개구 형성된 전면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전면케이스(100)는 센싱모듈(300) 및 후술할 탁도측정부(400)가 결합되는 회로기판(34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341)에 표시되는 정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케이스(110)와 전면케이스(120) 사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전면과 배면에 개구 형성되고 일정한 폭을 갖는 둘레면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별도의 확장프레임(101)이 추가로 체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배면케이스(110)와 전면케이스(120) 및 확장프레임(101)의 체결구조는 일정 길이를 갖는 체결볼트를 배면케이스(110)의 배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삽입함으로써 체결볼트가 배면케이스(110), 확장프레임(101)을 통과하여 전면케이스(12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회로모듈(200)은 센싱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된 상태로 배면케이스(110)의 저부면에 체결되는 부재로서, 센싱모듈(300)의 복수의 센서(330)에서 측정된 정보들에 대한 신호 처리를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41)에 상기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센싱모듈(300)은 유입된 물의 수질을 실질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측정된 정보가 회로모듈(200)에 의하여 신호 처리될 수 있도록 회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회로모듈(200)의 전방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센싱모듈(300)은 크게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수용되는 챔버(320)와, 하우징(310) 및 챔버(200)에 형성된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복수의 공간(321, 322)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33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10)은 직육면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일측면에서부터 일정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의 공간은 각각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314)가 마련됨으로써 하우징(310)의 일측 하면에 형성된 유입공(310a)을 통하여 수용공간(313)으로 유입되는 물이 제1저장소(311) 및 제2저장소(312) 측으로도 충진될 수 있다.
유입공(310a)에는 흐르는 물과 연결되는 별도의 파이프와 연통되어 수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이 수용공간(313)과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에 충진됨으로써 수질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수질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수용공간(313)과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에 충진된 물을 유출공(310c)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유출공(310c)은 수용공간(313)의 일측과 연통되며 하우징(310)의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유출공(310c)에는 하단폐쇄마개(319)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됨으로써 유출공(310c)을 필요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수용공간(313)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제1저장소(311) 및 제2저장소(3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313)과 제1저장소(311) 및 수용공간(313)과 제2저장소(3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316)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류수로(316)는 수용공간(313)과 제1저장소(311) 및 수용공간(313)과 제2저장소(312)를 연결하는 하우징(310)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함몰되도록 형성한 홈으로써 수용공간(313)에서 물이 넘쳐 흐르게 될 경우에 넘친 물이 제1저장소(311) 및 제2저장소(312)로 유입되도록 하여 수용공간(313)과 제1저장소(311) 및 제2저장소(312)에 균일하게 물이 충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310)에는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복수의 공간(321, 322)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3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측정부(315)에 의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복수의 공간(321, 322)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복수의 공간(321, 322)에 물이 완전히 충진되면 더 이상 유입공(310a)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317a, 317b, 317c)이 형성된 상부커버(317)가 체결되고, 수용공간(313)과 대응되는 통공(317c)에는 챔버커버(323)가 체결되어 있다.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챔버(320)가 수용공간(313)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하부커버(317')가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321, 322)을 상호 연결하는 유로(314)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310)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310b)에는 각각 폐쇄마개(318)가 결합됨으로써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321, 322)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흐르는 물이 상기 파이프에 의하여 유입공(310a)을 통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수용공간(313)으로 각각 유입되어 충진이 완료되면 제1저장소(311)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312)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수용공간(313)에 수용되는 챔버(32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 일측에는 각각 질소 농도, 전기전도도,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330)를 이용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서 수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각각의 다른 인자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측정하게 되므로 수질 측정의 대상이 되는 물에 대한 정확한 수질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센싱모듈(300)을 구성하는 하우징(310)은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341)이 구비된 회로기판(340)에 설치되며, 회로기판(3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센싱모듈(300)의 하측에는 센싱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측정부(40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탁도측정부(400)의 유출구(402)는 센싱모듈(300)의 하우징(310)에 구비된 유입공(310a)과 연통되어 탁도측정부(400)를 통하여 탁도가 측정된 물이 센싱모듈(300)의 하우징(31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탁도측정부(400)에서 유입된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투과산란광 측정방식이 사용되며 투과산란과 측정방식은 다음과 같다.
측정액의 한쪽면에 광을 주사하여 액을 통과한 투과광과 입자에 부딪쳐 산란되는 90°산란관을 측정하여 이 두가지 광신호의 비율이 액중의 현탁 물질의 농도에 따라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두 신호의 비율에 따라 측정되므로 전원변동, 발광램프의 노화, 온도 변화 등의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또한 측정액의 색도의 영향에 대해서도 두 광신호의 상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쇄되어 영향이 극히 작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기기의 안정성 등을 높이기 위하여 세정기구 등을 설치하여 작은 오차까지 제거하며, 시료의 오버플러우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액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투과산란광 측정 방식이 사용되는 탁도측정부(400)는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01)가 마련되고 상부 일측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402)가 구비되고, 일정한 내부공간(403)이 형성된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내부공간(403)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420)와, 하우징(410)의 전방에 체결되어 내부공간(403)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커버(4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410)은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공간(403)에는 탁도센서(420)가 설치되며 내부공간(403)으로 측정 대상이 되는 물이 유입된 후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의 일측에는 유입구(40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출구(4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10)의 유출구(402) 일측에는 내부공간(403)으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기배출노즐(41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공간(403)으로 유입된 물의 탁도를 측정시에 물에 포함된 기포에 의하여 조사되는 광원이 산란됨으로 인하여 탁도 측정의 정확도가 저하됨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탁도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수도원의 일측에 설치된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의 회로모듈(200)과 회로기판(3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별도의 스위치를 ON 시키면 회로모듈(200)과 회로기판(340)이 리셋되면서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그 후, 탁도측정부(400)의 일측에 구비된 유입구(401)를 통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상수도원의 물을 유입시키고 공기배출노즐(41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 후에 탁도를 측정하게 된다.
탁도 측정이 완료된 물은 센서 모듈(300)에 구비된 유입공(301)을 통하여 유입되어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 충진된다.
이때, 물이 충진되는 정도는 수위측정부(315)를 이용하여 판단하게 되며, 물의 충진이 완료되면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챔버(3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 물의 충진이 완료되면 복수의 센서(330)에 의하여 질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염소 농도가 각각 측정이 되며, 측정된 결과는 회로기판(340)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341)에 표시됨으로서 상수도원의 수질에 대한 측정이 완료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케이스부 101 : 확장프레임
110 : 배면케이스 120 : 전면케이스
200 : 회로모듈 300 : 센싱모듈
310 : 하우징 310a : 유입공
310b : 가공홀 310c : 유출공
311 : 제1저장소 312 : 제2저장소
313 : 수용공간 314 : 유로
315 : 수위측정부 316 : 월류수로
317 : 상부커버 317a, 317b, 317c : 통공
318 : 폐쇄마개 319 : 하단폐쇄마개
320 : 챔버 321, 322 : 분할된 복수의 공간
323 : 챔버커버 330 : 센서
340 : 회로기판 341 : 디스플레이 패널
400 : 탁도측정부 410 : 하우징
411 : 공기배출노즐 420 : 탁도센서
430 : 차폐커버

Claims (12)

  1. 일정한 내부공간을 구비한 배면케이스(110)와, 상기 배면케이스(110)의 전면에 체결되는 전면케이스(120)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100)와;
    상기 배면케이스(110)의 저부면에 안착되는 회로모듈(200)과;
    상기 회로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물의 수질을 측정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310a)과 연결된 수용공간(313) 및 상기 제1저장소(311)와 제2저장소(312) 및 상기 수용공간(313)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314)가 형성된 하우징(310)과, 상기 수용공간(313)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310a)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이 구비된 챔버(320)와,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321, 322)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330)로 이루어지는 센싱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314)는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으로 상수도 물을 하측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의 하부 일측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소(311)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312)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분할된 상기 복수의 공간(321, 322)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에는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상기 복수의 공간(321, 322)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3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313)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상기 제1저장소(311) 및 제2저장소(3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313)과 상기 제1저장소(311) 및 상기 수용공간(313)과 상기 제2저장소(3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316)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저장소(311), 제2저장소(312) 및 수용공간(313)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317a, 317b, 317c)이 형성된 상부커버가 체결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통공(317c)에는 챔버커버(320a)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314)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310b)에는 각각 폐쇄마개(318)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313)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313)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출공(310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310c)은 하단폐쇄마개(319)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300)의 일측에는 상기 센싱모듈(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탁도측정부(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탁도측정부(400)는 외관을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01)가 마련되고 상부 일측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402)가 구비되고, 일정한 내부공간(403)이 형성된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센서(420)와, 상기 하우징(410)의 전방에 체결되어 상기 내부공간(403)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차폐커버(43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10)의 유출구(402)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403)으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공기배출노즐(4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모듈(300)은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341)이 구비된 회로기판(340)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41)에 표시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케이스(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케이스(110)와 상기 전면케이스(120)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부(100)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전면과 배면이 절개 형성된 사각형상의 확장프레임(10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1020140052672A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10162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72A KR101621737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72A KR101621737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32A KR20150125832A (ko) 2015-11-10
KR101621737B1 true KR101621737B1 (ko) 2016-06-01

Family

ID=5460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672A KR101621737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432B1 (ko) 2018-07-11 2019-10-21 (주)두타아이티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20230087246A (ko) 2021-12-09 2023-06-16 (주) 지오그리드 수돗물의 수질 및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91841A (ko) 2023-06-06 2023-06-23 정갑중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도꼭지 연결형 저전력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상수도 수질측정 및 정보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1438B (zh) * 2019-07-15 2023-12-26 张家港万众一芯生物科技有限公司 水管式在线水质检测装置
KR102365366B1 (ko) * 2020-04-06 2022-02-21 한국수자원공사 관로통수 시 수압 탁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27025B1 (ko) * 2021-02-19 2022-07-29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KR102378542B1 (ko) * 2021-12-06 2022-03-24 주식회사 엠에스텍 수질 측정용 플로우셀 및 이를 이용한 수질 측정 시스템
CN117890552B (zh) * 2024-03-13 2024-05-28 深圳市朗石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水质检测装置及其试剂贮存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29B1 (ko) * 2007-09-20 2008-03-27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수질측정용 수조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29B1 (ko) * 2007-09-20 2008-03-27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수질측정용 수조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432B1 (ko) 2018-07-11 2019-10-21 (주)두타아이티 수질검사장치의 플러싱시스템
KR20230087246A (ko) 2021-12-09 2023-06-16 (주) 지오그리드 수돗물의 수질 및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91841A (ko) 2023-06-06 2023-06-23 정갑중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도꼭지 연결형 저전력 수질센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상수도 수질측정 및 정보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32A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737B1 (ko)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US20110308645A1 (en) Flow cell assembly for fluid sensors
ES2316376T3 (es) Aparato de caracterizacion de particulas.
PT95709B (pt) Aparelho para a contagem e a determinacao de pelo menos uma subpopulacao leucocitaria
EP1980838A1 (en) Optical cell, optical sample measurement device,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device
CN105738287B (zh) 水质分析仪
CN106290515B (zh) 微流控可置换腔体结构的自校准海洋多参数化学传感器
GB2295232A (en) Continuous multi-parameter monitoring of liquids with a novel sensor cleaning and calibration system
KR101621449B1 (ko)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JPH08506903A (ja) 分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ポーネント
CN102177432B (zh) 传感器系统
CN205749258U (zh) 一种多参数水质在线检测笔
GB2312278A (en) Organic and/or biological pollution monitor
CN105115913B (zh) 一种高精度吸光度检测装置
US10190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urbidity, color and chlorine content of a sample of a liquid
CN102520048B (zh) 一种ph计的标定方法
CN208313792U (zh) 一种流通式超低量程浊度检测装置
CN206146676U (zh) 一种用于水质有效氯在线检测设备中的定量装置
CN217112100U (zh) 一种散射式浊度传感器
CN202631478U (zh) 一种pH计
KR101569412B1 (ko) 상수도 센싱모듈
CN103091376A (zh) 一种液体恒流速在线分析监测装置
CN103591901A (zh) 一种气液两相流气泡直径检测方法
CN2499825Y (zh) 在线测量石油产品吸收光谱的分析池
CN203053910U (zh) 一种液体恒流速在线分析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