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12B1 - 상수도 센싱모듈 - Google Patents

상수도 센싱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412B1
KR101569412B1 KR1020140052671A KR20140052671A KR101569412B1 KR 101569412 B1 KR101569412 B1 KR 101569412B1 KR 1020140052671 A KR1020140052671 A KR 1020140052671A KR 20140052671 A KR20140052671 A KR 20140052671A KR 101569412 B1 KR101569412 B1 KR 101569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accommodation space
housing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831A (ko
Inventor
이익재
이기목
강창익
양우진
이진영
서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4005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41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6Systems measuring a particular property of an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센싱모듈에 관한 것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 제2저장소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과 연결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저장소와 제2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도 센싱모듈{SENSING MODULE FOR TAP WATER}
본 발명은 환경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을 분할하여 분할된 공간에서 각각 상수도의 수질을 형성하게 되는 질소농도, 염소농도, 수소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이 측정되도록 하여 다항목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상수도 센싱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수 등은 어류 등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하천이나 호수 등에 있는 물을 정화시켜 음용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천이나 호수에 있는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물을 깨끗하게 정화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정화단계는 취수, 약품처리, 응고와 응집, 침전, 여과, 소독 과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또한,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수질센서는 물의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 센서와 수소 이온에 감응하는 유리막형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리막형 센서로는 pH센서가 있다.
또한, 탁도센서는 광학적으로 물의 오염 정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측정방법에 따라 시각 탁도, 투과광 탁도, 산란광 탁도, 적분구 탁도로 구분된다.
아울러, 유리막형 센서인 pH센서는 유리 전극 지지관으로 불리는 유리관 선단에 반구상의 pH에 응답하는 특수 유리로 된 박막의 (-) 전극막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유리 전극 내부액과 내부 전극이 있다. 내부 전극으로는 리드선이 뻗어 있고, 그 선단은 계기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 되어 있으며, 대단히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물의 오염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천이나 호수의 물을 용기에 담아서 수질을 검사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오염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하천이나 호수의 수면으로부터 채집된 물은 하천이나 호수의 바닥면과 인접한 깊이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없으며, 물을 채집하기 위해 검수원이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비가 오거나 하천 또는 호수의 유량이 많을 경우에는 수질의 오염 정도 측정시 오염 정도가 낮게 측정되고, 건조기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수질의 오염 정도가 높게 나타나게 되어 수질의 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수질 오염 정도의 측정값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위, 수압, 수량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수질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농어촌의 작은 마을에 구비되어 주민들의 식수를 해결하기 위한 우물이나 저수지, 하천 등의 상수도 시설에 존재하는 물은 주민들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수질의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상수도원의 수질 검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채집한 물의 수질을 측정시에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염소 농도 등의 여러 요인들을 개별적으로 측정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측정하게 때문에 이들 요인들 사이의 간섭으로 인하여 정확한 수질의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 센싱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수도 센싱모듈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 제2저장소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과 연결된 수용공간 및 상기 제1저장소와 제2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저장소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분할된 상기 복수의 공간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상기 복수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상기 제1저장소 및 제2저장소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저장소 및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2저장소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저장소, 제2저장소 및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부커버가 체결되고, 상기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상기 통공에는 챔버커버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에는 각각 폐쇄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은 하단폐쇄마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수도 센싱모듈은, 일정하게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수질을 형성하는 질소 농도, 염소 농도, 수소 농도, 전기전도도 등의 항목을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의 측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킴과 동시에 체적을 컴팩트화 함으로써 수질 측정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센싱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수도 센싱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며,
도 3은 도 1의 상수도 센싱모듈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센싱모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센싱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수도 센싱모듈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며, 도 3은 도 1의 상수도 센싱모듈을 상측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센싱모듈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101)과 연결된 수용공간(130) 및 제1저장소(110)와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14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며 유입공(101)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이 구비된 챔버(200)와,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직육면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그 내부에는 일측면에서부터 일정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의 공간은 각각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140)가 마련됨으로써 하우징(100)의 일측 하면에 형성된 유입공(101)을 통하여 수용공간(130)으로 유입되는 물이 제1저장소(110) 및 제2저장소(120) 측으로도 충진될 수 있다.
유입공(101)에는 흐르는 물과 연결되는 별도의 파이프와 연통되어 수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물이 수용공간(130)과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에 충진됨으로써 수질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수질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수용공간(130)과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에 충진된 물을 유출공(10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유출공(103)은 수용공간(130)의 일측과 연통되며 하우징(100)의 하면으로 연장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유출공(103)에는 하단폐쇄마개(190)가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탈됨으로써 유출공(103)을 필요에 따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수용공간(130)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제1저장소(110) 및 제2저장소(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0)과 제1저장소(110) 및 수용공간(130)과 제2저장소(1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160)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류수로(160)는 수용공간(130)과 제1저장소(110) 및 수용공간(130)과 제2저장소(120)를 연결하는 하우징(100)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함몰되도록 형성한 홈으로써 수용공간(130)에서 물이 넘쳐 흐르게 될 경우에 넘친 물이 제1저장소(110) 및 제2저장소(120)로 유입되도록 하여 수용공간(130)과 제1저장소(110) 및 제2저장소(120)에 균일하게 물이 충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00)에는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복수의 공간(210, 22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측정부(150)에 의하여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복수의 공간(210, 220)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복수의 공간(210, 220)에 물이 완전히 충진되면 더 이상 유입공(101)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171, 172, 173)이 형성된 상부커버(170)가 체결되고, 수용공간(130)과 대응되는 통공(173)에는 챔버커버(230)가 체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하면에는 챔버(200)가 수용공간(13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하부커버(175)가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챔버(2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210, 220)을 상호 연결하는 유로(140)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102)에는 각각 폐쇄마개(180)가 결합됨으로써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챔버(20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210, 220)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흐르는 물이 상기 파이프에 의하여 유입공(101)을 통하여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수용공간(130)으로 각각 유입되어 충진이 완료되면 제1저장소(110)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120)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는 챔버(20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챔버(20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 일측에는 각각 질소 농도, 전기전도도,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300)를 이용하여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챔버(200)에 형성된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에서 수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각각의 다른 인자들에 대하여 센서 특성에 따른 측정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항목 측정의 신뢰도를 높여서 물에 대한 정확한 수질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유입공
102 : 가공홀 103 : 유출공
110 : 제1저장소 120 : 제2저장소
130 : 수용공간 140 : 유로
150 : 수위측정부 160 : 월류수로
170 : 상부커버 171, 172, 173 : 통공
180 : 폐쇄마개 190 : 하단폐쇄마개
200 : 챔버 210, 220 : 분할된 복수의 공간
230 : 챔버커버 300 : 센서

Claims (7)

  1.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와 외면 일측에 구비된 유입공(101)과 연결된 수용공간(130) 및 상기 제1저장소(110)와 제2저장소(120) 및 상기 수용공간(130)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유로(14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수용공간(130)에 수용되며 상기 유입공(101)과 연통되는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이 구비된 챔버(200)와;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으로 유입된 물의 각각 다른 인자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공간(210, 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3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140)는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으로 상수도 물을 하측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충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의 하부 일측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소(110)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질소 농도를 측정하고, 제2저장소(120)에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며, 분할된 상기 복수의 공간(210, 220)에서는 각각 유입된 물의 수소 농도 및 염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상기 복수의 공간(210, 220)으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수위측정부(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130)에 충진된 물이 넘칠 경우에 각각 상기 제1저장소(110) 및 제2저장소(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30)과 상기 제1저장소(110) 및 상기 수용공간(130)과 상기 제2저장소(120)를 연결하는 복수의 월류수로(160)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저장소(110), 제2저장소(120) 및 수용공간(130)과 대응되는 복수의 통공(171, 172, 173)이 형성된 상부커버(170)가 체결되고, 상기 수용공간(130)과 대응되는 상기 통공(173)에는 챔버커버(230)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14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가공홀(102)에는 각각 폐쇄마개(18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130)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으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출공(10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출공(103)은 하단폐쇄마개(19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센싱모듈.
KR1020140052671A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센싱모듈 KR101569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71A KR101569412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센싱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671A KR101569412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센싱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31A KR20150125831A (ko) 2015-11-10
KR101569412B1 true KR101569412B1 (ko) 2015-11-17

Family

ID=5460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671A KR101569412B1 (ko) 2014-04-30 2014-04-30 상수도 센싱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29B1 (ko) * 2007-09-20 2008-03-27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수질측정용 수조
KR101221880B1 (ko) * 2012-04-30 2013-01-16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센서용 보호캡 및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장치
JP5148415B2 (ja) * 2008-09-02 2013-02-2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溶存酸素センサ等の液センサ用フローセル及び水質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329B1 (ko) * 2007-09-20 2008-03-27 주식회사 엠비에스엔지니어링 수질측정용 수조
JP5148415B2 (ja) * 2008-09-02 2013-02-2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溶存酸素センサ等の液センサ用フローセル及び水質分析装置
KR101221880B1 (ko) * 2012-04-30 2013-01-16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센서용 보호캡 및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31A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737B1 (ko)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US10451455B2 (en) Wireless sensor for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properties in liquids over an internet-based network
CN102183564A (zh) 电化学的测量探针、装填装置以及维护系统
CN209327328U (zh) 一体化水质监测设备
CN106290515B (zh) 微流控可置换腔体结构的自校准海洋多参数化学传感器
US8608925B2 (en) Multiple-electrode ionic probe
JP2017133999A (ja) 水質分析装置及び水質分析方法
KR101621449B1 (ko) 연속측정이 가능한 통합형 수질측정기
JP6857237B2 (ja) ハイブリッドモード刺激を伴う電圧モードを用いたナノポアベースの配列決定
CN203941128U (zh) 一种在线测量自来水中余氯含量的装置
CN209979615U (zh) 水质质控流路及质控仪
CN102177432B (zh) 传感器系统
KR101569412B1 (ko) 상수도 센싱모듈
KR100768340B1 (ko) 샘플링 방식의 잔류염소량 측정기
CN204925005U (zh) 一种流通池
CN102520048B (zh) 一种ph计的标定方法
JP5148415B2 (ja) 溶存酸素センサ等の液センサ用フローセル及び水質分析装置
CN206583897U (zh) 一种余氯检测流通池
CN202631478U (zh) 一种pH计
CN201464462U (zh) 水质多参数测量装置
CN103091376A (zh) 一种液体恒流速在线分析监测装置
CN105258761B (zh) 一种气泡式水位计以及一种水体内含沙量检测方法
CN111044412B (zh) 沉积硫源判别系统
CN203053910U (zh) 一种液体恒流速在线分析监测装置
JP6136570B2 (ja) 水質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