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025B1 -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025B1
KR102427025B1 KR1020210022329A KR20210022329A KR102427025B1 KR 102427025 B1 KR102427025 B1 KR 102427025B1 KR 1020210022329 A KR1020210022329 A KR 1020210022329A KR 20210022329 A KR20210022329 A KR 20210022329A KR 102427025 B1 KR102427025 B1 KR 10242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network
filter
analys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오병근
배철호
김진환
문희근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1002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62Comparing before/after passage through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는 수납공간부가 마련되고 소정의 외형을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수질 진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110)에는 상수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수 또는 호소수의 유동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동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Wate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and Method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관망 내를 흐르는 상수에 철(녹), 망간 및 유충이 포함되었는지를 함께 측정하고 나아가 휴대가 쉬운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먹는 물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수관로의 노후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적수현상이나 흑수현상 등 수질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적수는 철의 부식으로 발생하는 녹이 원인물질로서 먹는 물이 적색을 띄며, 흑수는 과량의 망간으로 인해 물이 검은 색을 띈다.
특히 최근에는 서울, 제주 등 일부 지역 상수도에서 유충이 발생하는 등 먹는 물에 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물론 각 정수장에서는 법에서 규정한 수질 지표에 대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배수지에서부터 최종 수요자를 연결하는 모든 관로를 검사 진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9470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8382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과 이동이 용이한 상수관망의 수질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수관망 내의 상수에 부식된 물질, 철, 망간 및 유충이 존재하는지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는, 내부에는 수납공간부가 마련되고 소정의 외형을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수질 진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110)에는 상수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수관망 내부의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입자상 물질은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분석부는 제1 분석부(200)이고,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1 유입배관(210); 상기 제1 유입배관(2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1 여과부(2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출배관(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제1 유입배관(210)에는 제1 여과부(220)로의 상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개폐밸브(212)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출배관(230)에는 제1 유량계(23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제1 여과부(220)는, 여과된 상수가 배출되는 제1 홀(221′)이 구비된 하부 홀더(221), 상기 하부 홀더(221)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모양으로 절개된 제1 지지부(222), 상기 제1 지지부(222)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부(223), 상기 제2 지지부(223) 상부에 안착되어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필터(F1), 상기 필터(F1) 상부에 위치하면서 관망의 상수가 유입되는 제2 홀(226′)이 구비된 상부 홀더(226), 및 유입된 상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2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입자상 물질은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분석부는 제2 분석부(300)이고,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2 유입배관(310); 상기 제2 유입배관(3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제2 여과부(320); 및 상기 제2 여과부(3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출배관(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제2 유입배관(310)에는 제2 유입배관(310)로의 상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개폐밸브(312)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출배관(330)에는 제2 유량계(33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제2 여과부(320)는, 양측 단부가 개구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외부 용기(321), 양측 단부에는 제1 플랜지(322′)와 제2 플랜지(322″)가 각각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개구공이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외부 용기(321)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되는 내부 용기(322), 상기 내부 용기(322) 내측 공간부에 수납되어 상수에 포함된 유충을 포집하기 위한 여과망(F2), 및 관망의 상수를 유입하면서 상기 여과망(F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용기(321) 일측 단부와 암수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캡부(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원통 형상의 외부 용기(321)는 밀폐된 측면이 상기 제1 몸체(11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하되, 사각형 모양의 외형을 갖는 지지부(325)가 상기 외부 용기(321) 외측을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지지부(325)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하부 지지부(325′)와 상부 지지부(3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함(4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수관망에 함유된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제1 분석부(200)와 유충을 분석하기 위한 제2 분석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석부(200)는,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1 유입배관(210); 여과된 상수가 배출되는 제1 홀(221′)이 구비된 하부 홀더(221), 상기 하부 홀더(221)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모양으로 절개된 제1 지지부(222), 상기 제1 지지부(222)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부(223), 상기 제2 지지부(223) 상부에 안착되어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필터(F1), 상기 필터(F1) 상부에 위치하면서 관망의 상수가 유입되는 제2 홀(226′)이 구비된 상부 홀더(226), 및 유입된 상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227)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유입배관(2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1 여과부(2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출배관(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석부(300)는,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2 유입배관(310); 양측 단부가 개구된 채 내부가 비어 있어 있으며 밀폐된 측면이 상기 제1 몸체(11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 용기(321), 양측 단부에는 제1 플랜지(322′)와 제2 플랜지(322″)가 각각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개구공이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외부 용기(321)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되는 내부 용기(322), 상기 내부 용기(322) 내측 공간부에 수납되어 상수에 포함된 유충을 포집하기 위한 여과망(F2), 관망의 상수를 유입하면서 상기 여과망(F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용기(321) 일측 단부와 암수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캡부(324), 및 상기 외부 용기(32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사각형 모양의 외형을 갖는 지지부(325)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유입배관(3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제2 여과부(320); 및 상기 제2 여과부(3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출배관(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방법은, 상수관망과 분석부를 연결하는 단계; 소정 시간 상기 분석부로 상수관망의 상수를 통과시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단계; 및 상수관망과 분석부와의 연결을 차단한 뒤,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의하면, 수질을 진단할 수 있는 분석부가 케이스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어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의하면, 적수와 흑수를 포함하여 유충의 존재 여부를 함께 진단할 수 있어 기능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의 외형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제1 여과부의 외형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제2 여과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2 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2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의 외형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의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제1 여과부의 외형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1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는 케이스(100), 수질 진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분석부, 및 하나 이상의 수납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소정의 외형, 예를 들어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개폐가 용이하도록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 그리고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 타입의 손잡이가 제1 몸체(110) 외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1 몸체(110) 및/또는 제2 몸체(120) 외측에는 바퀴(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나 이상의 분석부와 하나 이상의 수납함(400)이 위치하는 제1 몸체(110)에는 상수관망을 흐르는 상수를 유입하는 한편 분석부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몸체(110)와 결합하는 제2 몸체(120) 내측에는 농도별 색상이 상이한 다수개의 농도 표시부(121)가 마련되어 있다.
분석부는 상수관망을 흐르는 상수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의 종류와 함유량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분석부(200)와 제2 분석부(300)로 구성된다. 입자상 물질로는 예를 들어 부식에 의한 녹 등의 적수 유발물질, 망간 등 흑수 유발물질 그리고 유충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의 제1 분석부(200)는 적수 유발물질 및/또는 흑수 유발물질, 그리고 제2 분석부(300)는 유충 분석에 최적화되어 있다.
적수 및/또는 흑수 유발물질 검출을 위한 제1 분석부(200)는 제1 유입배관(210), 하나 이상의 제1 여과부(220) 및 제1 유출배관(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수관망의 상수가 제1 여과부(2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유입배관(210)의 일측은 상수관망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1 여과부(220)와 이어져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 여과부(220)가 복수개일 시, 제1 유입배관(210)은 하나의 메인관과 제1 여과부(220)와 동일한 개수만큼의 분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메인관에는 제1 여과부(220)로의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입펌프(211),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개폐밸브(212), 그리고 공급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압력계(213)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분기관에는 각 제1 여과부(220)로의 상수 유입 제어를 위한 별도의 개폐밸브(미도시) 및 감압밸브(미도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수관망에서의 수압이 충분한 경우라면 제1 유입펌프(211)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1 유입배관(210)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에 적수 및/또는 흑수 유발물질의 존재 여부와 해당 물질들이 얼마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제1 여과부(220)는 하부 홀더(221), 제1 지지부(222), 제2 지지부(223), 필터(F1), 제1 오링(224), 패킹(225), 상부 홀더(226) 및 체결부재(2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홀더(221)는 필터(F1)를 통과한 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1 홀(221′)이 구비되어 있다. 외형이 대략 평판 형상인 제1 지지부(222)는 하부 홀더(221) 상부에 안착되며, 내측 소정 영역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절개되어 있는데, 이는 하부 홀더(221) 상면과 제2 지지부(223)를 소정 거리 이격시킴으로써 필터(F1)를 통과한 상수가 제1 홀(221′)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제2 지지부(223)는 제1 지지부(222)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지며, 필터(F1)를 지지함과 동시에 필터(F1)를 통과한 상수가 아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필터(F1)는 배수관망에 있는 상수에 함유된 적수 유발물질과 흑수 유발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지지부(223)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이러한 필터(F1)는 소정 기공, 예를 들어 0.45μm~10μm 범위의 기공을 갖는 유리섬유필터일 수 있으나, 기공과 재질은 변경이 가능하다.
제1 오링(224)은 유입된 상수 모두가 필터(F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필터(F1)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패킹(225)은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가 상호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상부 홀더(226)는 필터(F1) 상부에 안착되며, 상수관망의 상수가 필터(F1) 상면에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제2 홀(2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제1 여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227)는 제1 지지부(222), 제2 지지부(223), 필터(F1), 제1 오링(224) 및 패킹(225)이 하부 홀더(221)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유입된 상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과 체결이 용이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클램프 구조의 체결구일 수 있다.
제1 유출배관(230)은 제1 여과부(2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제1 여과부(220)와 연통되는 구조이고, 타측은 제1 몸체(110)의 구멍과 이어져 있다.
제1 유입배관(210)과 유사하게 제1 유출배관(230)도 각각의 제1 여과부(220)와 연통된 다수개의 분기관과 이들 분기관을 서로 연결하는 메인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메인관에는 제1 여과부(220)를 통과한 상수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유량계(231)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유량계(231)의 누적 유량을 통해 적수 유발물질 및/또는 흑수 유발물질의 농도까지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에서 제2 여과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2 여과부의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제2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5 내지 7을 함께 참조하면서 유충을 검출하기 위한 제2 분석부(300)에 관해 설명하면, 제2 분석부(300)는 제2 유입배관(310), 제2 여과부(320) 및 제3 유출배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수관망의 상수가 제2 여과부(3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유입배관(310)의 일측은 상수관망과 연결되며 타측은 제3 여과부(320)와 이어져 있다.
이때 제2 유입배관(310)에는 제2 여과부(320)로의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유입펌프(311),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개폐밸브(312), 그리고 공급 수압을 측정하기 위한 제2 압력계(313)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수관망에서의 수압이 충분한 경우라면 제2 유입펌프(311)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제2 유입배관(310)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에 유충의 존재 여부와 해당 유충이 얼마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제2 여과부(320)는 원통 형상의 외부 용기(321), 내부 용기(322), 여과망(F2), 캡부(324) 및 지지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용기(321)는 양측 단부가 개구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일측 단부 외측에는 캡부(324)가 암수나사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외측 소정 부분에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있고, 타측 단부 개구된 부분에는 여과망(F2)을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니플(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타측 단부에도 니플 등이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뚫려 있는 캡부를 별도로 장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여기서, 외부 용기(321)는 투명한 아크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내부 용기(322)는 복수개의 개구공이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외부 용기(321)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한다.
개구공들은 여과망(F2)을 통과한 상수를 외부 용기(321)와 내부 용기(322) 사이 공간부로 유도한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내부 용기(322) 양측 단부에는 상수관망의 상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외측면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322′)가 마련되는 한편, 여과된 상수가 배출되는 방향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제2 플랜지(322″)가 외측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제1 플랜지(322′)와 제2 플랜지(322″)의 외경은 외부 용기(321)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플랜지(322″)와 외부 용기(321) 타측 단부와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여과망(F2)을 통과한 상수가 외부 용기(321) 타측 단부의 개구된 부분, 즉 출구부근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과망(F2)은 내부 용기(322) 내측 공간부에 수납되어 상수에 포함된 유충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으로 하는 유충의 크기에 따라 기공의 크기는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0.45μm~10μm 범위의 기공을 가지면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여과망일 수 있다.
도면부호 323은 제1 플랜지(322′), 여과망(F2) 및 캡부(324)를 서로 밀착 고정하기 위한 제2 오링이다.
암수나사 결합방식으로 외부 용기(321) 일측 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부(324)는 상수관망의 상수를 유입하는 한편, 제2 오링(332)을 통해 여과망(F2)을 고정하고 나아가 상수관망 지점별로 여과망(F2)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내부 용기(322)는 투명한 아크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내부 상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지지부(325)는 외부 용기(32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사각형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부 지지부(325′)와 상부 지지부(325″)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용기(321)는 원통 형상으로 제1 몸체(110) 내부에 눕혀진 상태, 즉 외부 용기(321)의 밀폐된 측면이 제1 몸체(110)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사각형 모양의 지지부(325)가 외부 용기(321) 외측면에 구비되면 안정적으로 외부 용기(321)를 지지할 수 있고, 특히 하부 지지부(325′)가 제1 몸체(110) 바닥면에 고정되는 한편, 상부 지지부(325″)가 나사 체결방식을 통해 하부 지지부(325′)에 결합되는 구조일 시에는 외부 용기(321)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부(325″)의 분리가 용이하여 여과망(F2) 교체도 훨씬 편리하다.
제2 유출배관(330)은 제2 여과부(3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제2 여과부(320)와 연통되는 구조이고, 타측은 제1 몸체(110)의 구멍과 이어져 있다.
그리고 제2 유출배관(330)에는 제2 여과부(320)를 통과한 상수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2 유량계(331)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유량계(331)의 누적 유량을 통해 유충의 농도까지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수의 유입과 배출을 목적으로 구비된 제1 몸체(110)의 구멍에는 양방향 원터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배관(210)의 일측 단부와 상수관망과 연결된 배관(미도시)이 각각 원터치 밸브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하나 이상의 수납함(400)은 제1 수납함(410)과 제2 수납함(420)으로 구성되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400)에는 필터(F1), 여과망(F2), 및 여분의 체결부재(227) 등 각종 부품과 장비가 수납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들을 갖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수질진단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질진단이 필요한 상수관망과 분석부를 연결하는 단계이다(S1).
구체적으로 S1 단계에서는 상수관망에 함유된 입자상 물질, 즉, 적수 유발물질, 흑수 유발물질 및 유충 중 어떠한 물질의 함유여부를 진단할 것인지 결정한 후, 제1 유입배관(210) 및/또는 제2 유입배관(320)을 상수관망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물론 상수관망과 연결시키기 전에 제1 여과부(220) 및/또는 제2 여과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되어 있어야 함은 자명하고, 제1 여과부(220)가 복수개일 시 하나의 제1 여과부(220)로만 통수시킬지 아니면 복수개의 제1 여과부(220) 모두로 통수시킬지에 따라 분기관에 구비된 개폐밸브(미도시)을 조작한다.
다음으로 소정 시간 분석부로 상수관망의 상수를 통과시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단계이다(S2).
이어서, 상수관망과 분석부와의 연결을 차단한 뒤,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는 단계이다(S3).
적수 유발물질이나 흑수 유발물질을 진단한 경우에는 제1 여과부(220)에 장착된 필터(F1) 표면에 이들 물질이 포집되고, 이로 인해 붉은색이나 검은색을 띄게 되므로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특히 제2 몸체(120)에 구비되며 농도별 색상이 상이한 다수개의 농도 표시부(121)와 대비함으로써 함유량을 대략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구체적인 함유량, 성분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필터(F1)를 수거 및 수납함(400)에 보관해 두었다가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함과 동시에 유량계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또 유충을 진단한 경우에는 제2 여과부(320)에 장착된 여과망(F2) 내부에 유충이 포집되고, 이때 제2 분석부(300)의 외부 용기(321)와 내부 용기(322)는 투명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유충의 종류와 함유량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여과망(F2)을 수거 및 수납함(400)에 보관해 두었다가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함과 동시에 유량계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별도 지점에 위치하는 상수관망을 진단할 시에는 해당 지점까지 이동한 후 전술한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케이스
110 : 제1 몸체
120 : 제2 몸체 121 : 농도 표시부
130 : 손잡이
200 : 제1 분석부
210 : 제1 유입배관
211 : 제1 유입펌프 212 : 제1 개폐밸브
213 : 제1 압력계
220 : 제1 여과부
221 : 하부 홀더 221′ : 제1 홀
222 : 제1 지지부 223 : 제2 지지부
224 : 제1 오링 225 : 패킹
226 : 상부 홀더 226′ : 제2 홀
227 : 체결부재
230 : 제1 유출배관 231 : 제1 유량계
300 : 제2 분석부
310 : 제2 유입배관
311 : 제2 유입펌프 312 : 제2 개폐밸브
313 : 제2 압력계
320 : 제2 여과부 321 : 외부 용기
322 : 내부 용기
322′ : 제1 플랜지 322″ : 제2 플랜지
323 : 제2 오링
324 : 캡부 324′ : 제3 홀
325 : 지지부
325′ : 하부 지지부 325″ : 상부 지지부
330 : 제2 유출배관 331 : 제2 유량계
400 : 수납함
410 : 제1 수납함 420 : 제2 수납함
F1 : 필터
F2 : 여과망

Claims (14)

  1. 내부에는 수납공간부가 마련되고 소정의 외형을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 수납되어 있으며 수질 진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110)에는 상수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복수개의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 공간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함(4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분석부는 상수관망에 함유된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제1 분석부(200)와 유충을 분석하기 위한 제2 분석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석부(200)는,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1 유입배관(210); 여과된 상수가 배출되는 제1 홀(221′)이 구비된 하부 홀더(221), 상기 하부 홀더(221) 상부에 안착되며 소정 모양으로 절개된 제1 지지부(222), 상기 제1 지지부(222) 상부에 안착되는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부(223), 상기 제2 지지부(223) 상부에 안착되어 적수 유발물질 및 흑수 유발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필터(F1), 상기 필터(F1) 상부에 위치하면서 관망의 상수가 유입되는 제2 홀(226′)이 구비된 상부 홀더(226), 및 유입된 상수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홀더(221)와 상부 홀더(226)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227)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유입배관(2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여과부(220); 및 상기 제1 여과부(2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유출배관(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분석부(300)는, 일측이 상수관망과 연결되는 제2 유입배관(310); 양측 단부가 개구된 채 내부가 비어 있어 있으며 밀폐된 측면이 상기 제1 몸체(11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외부 용기(321), 양측 단부에는 제1 플랜지(322′)와 제2 플랜지(322″)가 각각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개구공이 마련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외부 용기(321)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수납되는 내부 용기(322), 상기 내부 용기(322) 내측 공간부에 수납되어 상수에 포함된 유충을 포집하기 위한 여과망(F2), 관망의 상수를 유입하면서 상기 여과망(F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용기(321) 일측 단부와 암수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캡부(324), 및 상기 외부 용기(321)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사각형 모양의 외형을 갖는 지지부(325)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유입배관(3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수관망의 상수를 여과하는 제2 여과부(320); 및 상기 제2 여과부(320)를 통과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출배관(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배관(210)에는 제1 여과부(220)로의 상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개폐밸브(212)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출배관(230)에는 제1 유량계(23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배관(310)에는 제2 유입배관(310)로의 상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 개폐밸브(312)가 연결되고, 상기 제2 유출배관(330)에는 제2 유량계(33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25)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하부 지지부(325′)와 상부 지지부(3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13. 삭제
  14. 제1항, 제5항, 제9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수질진단 방법으로서,
    상수관망과 분석부를 연결하는 단계;
    소정 시간 상기 분석부로 상수관망의 상수를 통과시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단계; 및
    상수관망과 분석부와의 연결을 차단한 뒤, 포집된 입자상 물질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수질진단 방법.
KR1020210022329A 2021-02-19 2021-02-19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KR10242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29A KR102427025B1 (ko) 2021-02-19 2021-02-19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29A KR102427025B1 (ko) 2021-02-19 2021-02-19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025B1 true KR102427025B1 (ko) 2022-07-29

Family

ID=8260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29A KR102427025B1 (ko) 2021-02-19 2021-02-19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02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900A (ja) * 2009-11-16 2011-06-02 Nippon Denshoku Kogyo Kk 水質連続計測装置
KR20120034924A (ko) * 2010-10-04 2012-04-13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로 이동형 수질 측정 및 입자포집장치
KR101277458B1 (ko) * 2011-12-02 2013-06-20 조준범 교육용 실험 장치
KR101283828B1 (ko)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JP2014521051A (ja) * 2011-06-27 2014-08-25 イー・エム・デイー・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ヨン 液体サンプルを濾過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50125832A (ko) * 2014-04-30 2015-11-10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101596410B1 (ko) * 2014-08-19 2016-02-23 주식회사 화영 요소 농도 측정 장치를 구비하는 요소수 센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요소수 탱크
KR101694700B1 (ko) 2016-07-08 2017-01-11 한국유체기술(주) 상수관망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진단시스템
KR101721190B1 (ko) * 2015-11-09 2017-03-30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101905177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900A (ja) * 2009-11-16 2011-06-02 Nippon Denshoku Kogyo Kk 水質連続計測装置
KR20120034924A (ko) * 2010-10-04 2012-04-13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로 이동형 수질 측정 및 입자포집장치
KR101138579B1 (ko) * 2010-10-04 2012-05-10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로 이동형 수질 측정 및 입자포집장치
JP2014521051A (ja) * 2011-06-27 2014-08-25 イー・エム・デイー・ミリポア・コーポレイシヨン 液体サンプルを濾過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277458B1 (ko) * 2011-12-02 2013-06-20 조준범 교육용 실험 장치
KR101283828B1 (ko)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20150125832A (ko) * 2014-04-30 2015-11-10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상수도 수질 측정장치
KR101596410B1 (ko) * 2014-08-19 2016-02-23 주식회사 화영 요소 농도 측정 장치를 구비하는 요소수 센더 및 이를 구비하는 요소수 탱크
KR101721190B1 (ko) * 2015-11-09 2017-03-30 재단법인경북테크노파크 미생물 필터 테스트 장치
KR101694700B1 (ko) 2016-07-08 2017-01-11 한국유체기술(주) 상수관망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진단시스템
KR101905177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8792A1 (en) Horizontal soil permeability testing device
KR100817329B1 (ko) 수질측정용 수조
CN107843460B (zh) 海水中微塑料采样系统及方法
KR101905177B1 (ko)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EP3814772B1 (en) Method for online monitoring of water quality and particle sampling in a drinking water distribution network
KR101138579B1 (ko) 상수관로 이동형 수질 측정 및 입자포집장치
CN110320070A (zh) 一种水质监测预处理装置及水质监测系统
CN108872081A (zh) 一种检测重金属离子的多层微流控芯片
KR102427025B1 (ko)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KR100837837B1 (ko) 수질 오염 총량 분석 통합장치용 시료수 탱크
CN208902598U (zh) 检测重金属离子的多层微流控芯片
JP2005513435A6 (ja) 濾過水及び濾紙の同時採集装置
CN101317081A (zh) 液体取样台
JP5016864B2 (ja) 汚水枡用水質検査装置
CN106706371A (zh) 水质检测采样系统
CN103808530B (zh) 保持生物活性的船舶压载水取样装置
KR20130127830A (ko)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2-bed type 여과필터
CN214373587U (zh) 一种高原水化学监测装置
CN214004213U (zh) 一种水质监测设备
RU2015111499A (ru) Проточная кювет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ницаемости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коэффициента проницаемости
CN209624559U (zh) “三气一体”沥青混合料拌和气体污染物检测系统
KR100855447B1 (ko) 펌프의 성능검사장치
CN113274786A (zh) 一种船舶压载水取样装置
CN220231651U (zh) 一种受限空间内可燃或有毒气体在线分析系统
US6006612A (en) Waste water effluent test method 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