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177B1 -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177B1
KR101905177B1 KR1020180064874A KR20180064874A KR101905177B1 KR 101905177 B1 KR101905177 B1 KR 101905177B1 KR 1020180064874 A KR1020180064874 A KR 1020180064874A KR 20180064874 A KR20180064874 A KR 20180064874A KR 101905177 B1 KR101905177 B1 KR 10190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e
tube
filter
branch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기
노혜란
이보미
김갑순
정다솜
유순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6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질분석용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 홀더; 상기 시료 홀더 아래에 위치하여 공급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과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 아래에 위치하여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을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는, 소정의 기공을 갖는 필터 지지체, 상기 필터 지지체가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관이 구비된 여과기 몸체, 상기 메인관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내부가 비어 있는 분기관, 및 상기 분기관과 연결된 튜브를 포함하는 여과기; 및 상기 필터 지지체 상부에 안착되어 부유물질을 분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질분석용 여과장치{Filtration Device For Water Quality analysis}
본 발명은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 하천수 또는 댐저류수에 포함되어 있는 시료로부터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을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환경보전법에 의해 취수원, 댐 저류수나 하천수와 같은 각종 수계의 물 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이들 물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수질검사항목으로는 부유물질(SS ; Suspended Solid)과 용존성물질(용존성인, 용존성질소 등)을 들 수 있다.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상 유리섬유여과지(GF/C)를 이용하여 필터표면에 잔존하는 물질은 부유물질, 필터를 통과한 여과액은 용존성물질로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의 분리를 위하여 현재는 도 1과 같은 여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의 분리과정을 설명하면, 각종 현장에서 샘플링한 시료를 눈금이 새겨져 있는 메스실린더나 비이커에 옮겨 담아 수질분석에 사용할 시료의 정확한 양을 먼저 측정한다. 측정이 끝난 시료는 필터가 장착된 여과부 상부의 시료 홀더에 공급하고 챔버를 감압상태로 유지하여 흡입여과를 진행하며, 부유물질은 필터 상부, 용존성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챔버 내부에 장착된 여과액 저류용기에 모이도록 한다.
비이커에 담겨 있던 시료의 일정량을 여과한 이후, 또는 전부 여과한 이후에는 용존성물질의 분석을 위해 반드시 여과액 저류용기를 회수한다. 그리고 나서 새로운 여과액 저류용기를 위치시킨 후, 비이커에 남아 있는 시료의 전량을 여과하며, 증류수나 초순수를 사용하여 비이커의 헹굼과 헹굼수 여과를 수차례 반복한다. 이러한 과정은 비이커의 내부 벽면에 부착된 부유물질을 완벽하게 회수하여 수질분석의 정확도를 담보하기 위한 일련의 분석절차이기도 하다.
즉, 특정 시료에 포함된 부유물질이나 용존성물질은 시료 부피당 무게인 mg/L로 표현하고, 비이커에 부착된 채 회수하지 못하면 시료의 원래 농도보다 낮은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일정량 시료를 여과한 여과액을 미리 회수하는 이유는, 전술한 비이커 헹굼수 혼입에 따라 샘플링한 시료 자체에 포함되어 있던 용존성물질의 정확한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로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정량 시료를 여과한 이후에 감압상태의 챔버를 상압으로 회복시킨 후 챔버를 들어 올려 여과액 저류용기를 회수하고, 새로운 여과액 저류용기를 다시 설치한 후 챔버를 감압하여 시료의 여과와 비이커의 헹굼수 여과를 수행해야 하므로, 장치의 조작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료 여과시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660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강물, 하천수 또는 음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과 용존성물질을 분리 여과함에 있어, 장치의 조작이 간편하고 나아가 여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질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는, 수질분석용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 홀더(100); 상기 시료 홀더(100) 아래에 위치하여 공급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과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여과부(200); 및 상기 여과부(200) 아래에 위치하여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을 수용하는 챔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200)는, 소정의 기공을 갖는 필터 지지체(211), 상기 필터 지지체(211)가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관(212′)이 구비된 여과기 몸체(212), 상기 메인관(212′)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내부가 비어 있는 분기관(213), 및 상기 분기관(213)과 연결된 튜브(214)를 포함하는 여과기(210); 및 상기 필터 지지체(211) 상부에 안착되어 부유물질을 분리하는 필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기 챔버(300)는,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310)는, 상기 메인관(212′)과 연결되는 상부 개구부(31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측면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315), 일측은 상기 공기 배출구(315)와 연결되고 타측은 감압펌프(P)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튜브(316),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여과액 유도관(3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320)는, 상기 상부 몸체(310)가 안착되는 턱부(321) 및 여과액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여과액 수용용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기 하부 몸체(320)의 측면에는 여과액 배출구(322) 및 일측이 상기 여과액 배출구(322)와 연결되고 소정 위치에 제3 밸브(324)가 장착된 여과액 배출튜브(3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기 분기관(213)은 메인관(212′)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 상기 튜브(214)는 제1 튜브(214′)와 제2 튜브(214″), 및 여과액 유도관(313)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여과액 제2 유도관(3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1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2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2 유도관(31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기 챔버(300)는,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310)는, 상기 메인관(212′)과 연결되는 상부 개구부(31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측면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315), 일측은 상기 공기 배출구(315)와 연결되고 타측은 감압펌프(P)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튜브(316), 및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여과액 제2 유도관(313″)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여과액 유도관(3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320)는, 상기 상부 몸체(310)가 안착되는 씰링부가 구비된 턱부(321) 및 여과액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여과액 수용용기가 구비되고, 상기 분기관(213)은 상기 메인관(212′)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 상기 튜브(214)는 제1 튜브(214′)와 제2 튜브(214″), 상기 여과액 유도관(313)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여과액 제2 유도관(313″), 및 상기 분기관(213)의 가상의 연장선과 일치하는 분기관(213)에는 홀(215)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1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2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2 유도관(313″)과 연결되고, 메인관(212′)을 통과하는 여과액이 제1 분기관(213′) 또는 제2 분기관(213″)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선택하거나,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 모두로의 흐름을 제한하는 소정 각도로 유로(216′)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밸브(216)가 상기 홀(215)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여과액이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분기관과 여과액의 흐름방향을 특정 분기관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너트를 구비하고 있어, 연속적인 여과조작에 의한 여과시간 단축과 장치의 조작이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여과액 유도관의 개폐가 가능한 캡이 챔버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종래의 시료 홀더와 여과부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부 몸체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는 수질분석이 요구되는 샘플링한 시료를 주입하는 시료 홀더(100), 시료를 여과하며 여과한 시료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는 여과부(200) 그리고 시료의 여과를 위해 감압을 부여함과 동시에 여과한 시료를 저류하는 챔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시료 홀더(100)에 관해 설명하면, 시료 홀더(10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고, 재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시료의 변질이나 오염물질이 용출되지 않도록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 홀더(100) 아래에 위치하는 여과부(200)는 후술할 필터(220)에 형성된 기공의 통과여부에 의해 시료에 포함된 부유물질과, 부유물질이 제거된 용존성물질 즉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료 홀더(100)로부터 공급되는 액상 시료에는 용존성물질 뿐만 아니라 비교적 크기가 큰 부유물질이 함께 포함되어 있으며, 필터(220)의 기공보다 큰 물질은 필터(220)를 통과하지 못하여 필터(220) 표면에 축적되지만 크기가 작은 물질인 용존성물질은 필터(220)를 통과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여과부(200)는 여과기(210)와 필터(220)로 이루어진다.
여과기(210)는 대략 깔때기와 유사한 외형을 가지며 추가적으로 소정각도로 벌어져 있는 분기관(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필터(220)를 안착시키고 챔버(300)가 소정의 진공압력이 되더라도 필터(22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필터를 받혀 주기 위한 필터 지지체(211)가 상측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 지지체(211)는 필터(220)를 통과한 용존성물질이 아래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필터(220)의 기공보다 큰 다공성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료 홀더(100)와 마찬가지로 시료의 변질이나 오염물질의 용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 지지체(211)는, 하부는 수직으로 하방 연장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관(212′)이 구비되고 상부는 상광하협 구조인 여과기 몸체(212)의 상부 턱부에 안착된다. 그리고 메인관(212′)의 소정 위치에는 소정 각도를 이루며 하향 경사지도록 분기관(213)이 구비되는 한편, 분기관(213) 일측에는 튜브(214)가 연결된다. 이들 구성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기관(213)은 수직한 메인관(212′)과 연통하는 한편 여과액의 흐름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메인관(212′)과 동일한 각도로 벌어져 있는 한 쌍의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으로 이루어져 있다. 튜브(214)의 경우에도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에 대응되도록 2개의 제1 튜브(214′)와 제2 튜브(214″)로 구성되어, 제1 튜브(214′) 일측은 제1 분기관(213′), 제2 튜브(214″) 일측은 제2 분기관(213″)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메인관(212′)을 통과한 여과액을 제1 분기관(213′)으로 유도할지, 제2 분기관(213″)으로 유도할지, 또는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 어디로도 흐르지 못하도록 여과액의 흐름방향을 변경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제1 밸브(216)가 수용되는 홀(215)이 메인관(212′)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관(212′)에 형성된 홀(215)은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의 가상으로 연장된 선과 중첩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밸브(216)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관(212′)과 제1 분기관(213′)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한 형상의 유로(216′)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밸브(216)가 홀(215)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너트(217)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 부호 218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패킹으로 메인관(212′)과 챔버(310)와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즉, 제1 패킹(218) 내부 공간부에 메인관(212′)이 수용된 채, 상부 몸체(310)의 상부 개구부(311)에 강제 압입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필터 지지체(211)가 안착되는 여과기 몸체(212)의 상부 턱부에는 필터 지지체(211)와 여과기 몸체(212)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패킹(2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지지체(211) 상면에 안착되는 필터(22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기공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여과지이고, 일예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상 기준인 1.2㎛ 크기의 기공을 갖는 유리섬유여과지(GF/C)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분석하고자 하는 수질분석항목에 따라 여과지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 부호 C는 시료 홀더(100)와 여과부(200)를 서로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이다.
한편, 전술한 여과부(200) 아래에는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로 이루어진 챔버(300)가 위치한다.
먼저 상부 몸체(310)에 관해 설명하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상부로 돌출한 형상으로 메인관(212′)을 수용한 제1 패킹(218)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개구부(311)가 구비되어 있고, 하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에는 시료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챔버(300) 내부를 소정의 진공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315)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구(315)는 공기 배출튜브(316)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감압펌프(P)와 연결되어 감압펌프(P)의 작동에 따라 챔버(3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소정의 진공압이 형성된다. 한편 공기 배출튜브(316)의 소정 위치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2 밸브(317)가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분석용 여과장치에서 상부 몸체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310) 상면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2개의 요홈부(312)가 구비되고, 이들 요홈부(312) 각각에는 일측은 소정높이로 돌출되고 타측은 상부 몸체(310)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액 유도관(313)이 구비되고, 돌출부에는 전술한 튜브(214)의 타측이 연결된다. 즉, 여과액 제1 유도관(313′)에는 제1 튜브(214′)가 연결되고, 여과액 제2 유도관(313″)에는 제2 튜브(214″)의 타측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요홈부(312)에 삽입될 수 있는 캡(31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료에 포함된 부유물질만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분기관(213)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요홈부(312)에 캡(314)을 체결함으로써 챔버(3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시료 홀더와 여과부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요홈부(312)와 캡(313)의 체결방식은 강제 압입식, 또는 요홈부(312) 내측 벽면에는 암나사산을 형성시키는 한편 캡(314) 외측 표면에는 수나사산을 구비시켜 암수체결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 모양의 유로가 형성된 제1 밸브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분기관(213)과 여과액 유도관(313)을 튜브(214)로 연결하지 않고 요홈부(312)에 캡(314)만 체결함으로써 시료로부터 부유물질을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몸체(310) 아래에는 하부 몸체(32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320)는 상부가 개방되는 한편, 하부와 측부은 밀폐되어 있다. 또 하부 몸체(320)의 상부 주연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몸체(310)와 상호 결합되는 상부 주연부에는 상부 몸체(310)가 안착되는 턱부(321)가 형성되고 있으며,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제3 패킹(325)이 턱부(321)에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320)의 공간부, 즉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여과액 제2 유도관(313″) 아래에는 각각의 여과액을 수용하는 2개의 여과액 수용용기(B, B′)가 내장된다.
한편, 상기 하부 몸체(320)의 측면에는 1개 이상의 여과액 배출구(322)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액 배출구(322)는 제3 밸브(324)가 장착되어 있는 여과액 배출튜브(323)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액 배출튜브(323)는 하부 몸체(320)에 고여 있는 여과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감압상태의 챔버(300) 내부를 상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질분석용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액상 시료로부터 부유물질 그리고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으로 시료를 분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에 여과액 저류용기를 넣어 둔 채 턱부에 상부 몸체의 하단부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여과기의 메인관을 상부 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시키고, 필터 지지체 상면에 필터를 위치시킨다. 이후 필터가 장착된 필터 지지체 위에 시료 홀더를 올려두고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으로 여과기와 시료 홀더를 고정한다.
감압펌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챔버 내부가 소정의 진공압에 도달하면, 시료가 담겨 있는 비이커를 기울여 시료 홀더에 천천히 붓는다. 이때, 진공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밸브는 열려 있어야 하며, 제3 밸브는 닫혀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또 제1 밸브는 필터를 통과한 여과액이 제1 분기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 있어야 한다.
소정 시간 여과하여 여과액 저류용기에 담긴 여과액이 수질분석에 필요한 충분한 양이라고 판단되면 제1 밸브를 회전시켜 여과액이 제2 분기관으로 흐르도록 유도한 후, 비이커의 시료를 시료 홀더에 계속해서 공급한다. 채수용기에 보관하고 있던 시료를 모두 공급한 이후에는 소정량의 증류수나 초순수로 비이커를 헹구고, 그 헹굼수를 시료 홀더에 공급하여 여과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한다.
상기 과정들이 모두 끝나면, 부유물질이 포획되어 있는 필터와, 제1 분기관을 경유한 여과액이 수용된 여과액 저류용기를 조심스럽게 회수하여, 정하여진 시험방법에 따라 시료의 부유물질량과 수질분석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시료 홀더
200 : 여과부
210 : 여과기
211 : 필터 지지체
212 여과기 몸체 212′ : 메인관
213 : 분기관
213′ : 제1 분기관 213″ : 제2 분기관
214 : 튜브
214′ : 제1 튜브 214″ : 제2 튜브
215 : 홀
216 : 제1 밸브 216′ : 유로
217 : 너트 218 : 제1 패킹
219 : 제2 패킹
220 : 필터
300 : 챔버
310 : 상부 몸체
311 : 상부 개구부 312 : 요홈부
313 : 여과액 유도관
313′ : 여과액 제1 유도관 313″ : 여과액 제2 유도관
314 : 캡
315 : 공기 배출구 316 : 공기 배출튜브
317 : 제2 밸브
320 : 하부 몸체
321 : 턱부 322 : 여과액 배출구
323 : 여과액 배출튜브 324 : 제3 밸브
325 : 제3 패킹
B, B′ : 여과액 저류용기 C : 클램프
P : 감압펌프

Claims (5)

  1. 수질분석용 시료를 수용하는 시료 홀더(100);
    상기 시료 홀더(100) 아래에 위치하여 공급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과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여과부(200); 및
    상기 여과부(200) 아래에 위치하여 부유물질이 제거된 여과액을 수용하는 챔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200)는, 소정의 기공을 갖는 필터 지지체(211), 상기 필터 지지체(211)가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는 하방으로 연장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메인관(212′)이 구비된 여과기 몸체(212), 상기 메인관(212′)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내부가 비어 있는 분기관(213), 및 상기 분기관(213)과 연결된 튜브(214)를 포함하는 여과기(210); 및 상기 필터 지지체(211) 상부에 안착되어 부유물질을 분리하는 필터(220)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300)는, 상부 몸체(310)와 하부 몸체(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몸체(310)는, 상기 메인관(212′)과 연결되는 상부 개구부(311),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측면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구(315), 일측은 상기 공기 배출구(315)와 연결되고 타측은 감압펌프(P)와 연결되는 공기 배출튜브(316),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여과액 유도관(3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320)는, 상기 상부 몸체(310)가 안착되는 턱부(321) 및 여과액을 수용하는 1개 이상의 여과액 수용용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320)의 측면에는 여과액 배출구(322) 및 일측이 상기 여과액 배출구(322)와 연결되고 소정 위치에 제3 밸브(324)가 장착된 여과액 배출튜브(32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13)은 메인관(212′)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제1 분기관(213′)과 제2 분기관(213″), 상기 튜브(214)는 제1 튜브(214′)와 제2 튜브(214″), 및 여과액 유도관(313)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여과액 제2 유도관(3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1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1 유도관(313′)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튜브(214″) 일측은 상기 제2 분기관(213″)과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액 제2 유도관(313″)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5. 삭제
KR1020180064874A 2018-06-05 2018-06-05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KR10190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74A KR101905177B1 (ko) 2018-06-05 2018-06-05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74A KR101905177B1 (ko) 2018-06-05 2018-06-05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177B1 true KR101905177B1 (ko) 2018-10-08

Family

ID=6386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74A KR101905177B1 (ko) 2018-06-05 2018-06-05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1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357A (zh) * 2018-11-29 2019-04-2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可自动更换滤纸的土壤过滤装置
KR20200070938A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포스코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KR102211346B1 (ko) * 2020-12-10 2021-02-03 중앙생명연구원 주식회사 수질 측정용 혼합용기
CN113069808A (zh) * 2021-05-10 2021-07-06 安徽理工大学环境友好材料与职业健康研究院(芜湖) 一种浮游生物样品采集浓缩过滤装置
CN113797625A (zh) * 2021-10-19 2021-12-17 江苏海洋大学 一种环境工程水质检测用污水过滤装置
CN114279799A (zh) * 2021-12-29 2022-04-05 湖南吉大检验检测有限公司 一种水质分析仪的过滤机构
KR102427025B1 (ko) * 2021-02-19 2022-07-29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817B1 (ja) 2007-04-12 2008-01-09 株式会社石川鉄工所 分析用試料液の自動濾過方法及び分析用試料液の自動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817B1 (ja) 2007-04-12 2008-01-09 株式会社石川鉄工所 分析用試料液の自動濾過方法及び分析用試料液の自動濾過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357A (zh) * 2018-11-29 2019-04-26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可自动更换滤纸的土壤过滤装置
CN109675357B (zh) * 2018-11-29 2024-05-31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可自动更换滤纸的土壤过滤装置
KR20200070938A (ko)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포스코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KR102168831B1 (ko) * 2018-12-10 2020-10-22 주식회사 포스코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KR102211346B1 (ko) * 2020-12-10 2021-02-03 중앙생명연구원 주식회사 수질 측정용 혼합용기
KR102427025B1 (ko) * 2021-02-19 2022-07-29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수질진단 장치 및 수질진단 방법
CN113069808A (zh) * 2021-05-10 2021-07-06 安徽理工大学环境友好材料与职业健康研究院(芜湖) 一种浮游生物样品采集浓缩过滤装置
CN113797625A (zh) * 2021-10-19 2021-12-17 江苏海洋大学 一种环境工程水质检测用污水过滤装置
CN114279799A (zh) * 2021-12-29 2022-04-05 湖南吉大检验检测有限公司 一种水质分析仪的过滤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77B1 (ko) 수질분석용 여과장치
US5837203A (en) Device to alternately supply a fluid to an analyzer
KR101035427B1 (ko) 솔루션 용기
EP1230028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SAMPLING OF A FLUID FOR MICROFILTRATION
CA2864757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measuring asphaltene content of crude oil
FR2919729A1 (fr) Dispositif de preparation et de distribution fractionnee d'echantillons d'un fluide, systeme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associe
US5370005A (en) Method and a sampling assembly for taking a representative fluid sample from a pressurized fluid system
KR100411946B1 (ko) 여과수 및 여과지 동시 채집장치
US7430043B1 (en) Turbidimeter improvements
US6418799B1 (en) Sampling apparatus
KR102075304B1 (ko) 피측정수 채취용 휴대용 필터
KR102356555B1 (ko) 미세플라스틱 전처리 필터장치
EP3417333B1 (en) Rack for a filtration device
KR102530818B1 (ko) 미세플라스틱 전처리 통합 모듈 장치, 이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추출 방법 및 미세플라스틱 밀도분리 방법
CN218916917U (zh) 一种多腔室废水取样装置
RU2006105679A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бора, подготовки и доставки проб фильтратов
JP2023534148A (ja) サンプル前処理チューブ
JPS5953827B2 (ja) 自動サンプリ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US3956130A (en) Filtering apparatus
FI109482B (fi) Näytteenottolaite, näytteenottomenetelmä ja näytteenottolaitteen puhdi stusmenetelmä
KR20200070938A (ko) 폐액 자동배출 여과장치
RU2244281C2 (ru) Система отбора и доставки проб фильтрата для ионометрии
US20190301981A1 (en) Sampling Device for Taking Beverage Samples from a Beverage Line Containing a Gaseous Beverage Under Pressure
CN112999743B (zh) 一种高压过滤阀
KR100380043B1 (ko) 미생물 검출용 중공사막 채집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