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230B1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230B1
KR101730230B1 KR1020150024954A KR20150024954A KR101730230B1 KR 101730230 B1 KR101730230 B1 KR 101730230B1 KR 1020150024954 A KR1020150024954 A KR 1020150024954A KR 20150024954 A KR20150024954 A KR 20150024954A KR 101730230 B1 KR101730230 B1 KR 101730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setting
dynamic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527A (ko
Inventor
요시카즈 하야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45Managing the interface to the data source, e.g. choosing an interface for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마스터 데이터로서 일반 설정과 개별 설정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와 통신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일반 설정에 대하여 유저로부터의 입력과 관련된 제1 명령어를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초기 처리를 지시하는 제2 명령어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유닛; 제1 명령어에 따라 관리 서버에 요구하는 제1 요구 유닛; 제2 명령어에 따라 관리 서버에 요구하는 제2 요구 유닛; 제2 명령어에 따라 초기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유닛; 관리 서버에 문의하는 문의 유닛; 및 문의에 따라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된, 일반 설정을 데이터 베이스에 반영하는 반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05039호 공보는 디지털 복사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재기동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함)을 실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주위의 네트워크 구성의 변경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라면, 어플리케이션은 임의의 설정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소켓을 만드는 어플리케이션이라면, 화상 형성 장치의 IP 어드레스의 변경에 따라 소켓을 다시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시에 네트워크 설정이 반영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기동 중에 네트워크 설정이 변경된 경우에는 재기동해야만 한다. 이때, 스스로 자동으로 재기동을 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한 항상 기동되어야만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어플리케이션은 스스로 자동적으로 재기동할 수 없다.
따라서, 일본 특허 공개 평6-10503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어플리케이션이 스스로 자동적으로 재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서는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시에,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것을 실현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이 스스로 자체를 재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 유닛; 어플리케이션이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 및 판정 유닛이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과 관련된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판정 유닛이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 변경시에,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이 스스로 자체를 재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계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의 역할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네트워크의 설정의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의 인스톨의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동적 갱신 플래그를 지정한 매니페스트(manifest)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변경에 관한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변경에 관한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변경에 관한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설정 변경의 확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설정 변경의 확인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로그인 관리 화면의 UI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시에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설정 변경 버튼이 눌려졌을 때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기동으로부터 설정 변경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은 기동으로부터 설정 변경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동적 갱신 플래그를 지정한 매니페스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설정 변경 버튼이 눌려졌을 때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설정 변경 버튼이 눌려졌을 때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JAVA(등록 상표) 환경으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동작 환경을 탑재함으로써, 이 환경이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이식성(portability)을 이용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 및 유용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환경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인스톨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피, 스캔, 프린팅 등과 같은 내장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트 기능, 스캔 기능, 네트워크 통신 기능 등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컨트롤러(100)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컨트롤러이다. 컨트롤러(100)는 스캐너 유닛(113) 및 프린터 유닛(11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LAN(Local Area Network)(116)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된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는 ROM(Read Only Memory)(10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등에 기초하여 접속된 동안 각종 하드웨어에 대한 액세스를 중심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PU(101)는 컨트롤러(100) 내부에서 수행되는 각종 처리에 대해서도 중심적으로 제어한다. ROM(102)은 판독 전용의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이며, 화상 형성 장치(130)의 부팅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103)는 CPU(101)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스템 작업 메모리이며,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이 RAM(103)은 콘텐츠를 전원 오프후에도 유지할 수 있는 SRAM, 전원 오프후에 콘텐츠가 소거되는 DRAM 등으로 구성된다.
HDD(Hard Disk Drive)(104)는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이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한다.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인스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펌웨어는 HDD(104)에 저장된다. 조작 유닛 I/F(105)는 시스템 버스(119)와 조작 유닛(118)을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유닛 I/F(105)는 조작 유닛(118)에 표시되는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119)로부터 수신하여 그 데이터를 표시하고, 조작 유닛(118)으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시스템 버스(119)에 출력한다. 화상 형성 장치(130)에 대한 유저의 지시 및 정보 제시는 조작 유닛(118)을 통해 수행한다.
네트워크 I/F(106)는 LAN(116), WAN(Wide Area Network)(117) 및 시스템 버스(119)에 접속되며, 외부와의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스캐너 I/F(108)는 스캐너 유닛(113)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처리(treatment) 및 편집을 행한다. 화상 형성 유닛(109)은 화상 데이터의 방향 변환, 화상 압축, 확장 등을 행한다. 프린터 I/F(110)는 화상 형성 유닛(109)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 형성 후에 프린터 유닛(114)에서 인쇄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30)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계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이후에 나타낸 각각의 소프트웨어는 ROM(102) 또는 HDD(104)에 저장되고, CPU(101)에서 실행된다는 것에 유의하라. 또한, 실행하는 동안 사용하는 각종 정보는, RAM(103) 또는 HDD(104)에 보유되고 소프트웨어 기능들간에 교환된다. 또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은 네트워크 I/F(106)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각각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소프트웨어(20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플랫폼(201)을 포함한다.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은 설정이 변경될 때, 적절한 갱신을 어떻게 행할지를 판정하고 제어하는 모듈이다. 설정 데이터베이스(204)는 네트워크 설정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설정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의 콘텐츠에 대해서,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에게 문의함으로써 그 콘텐츠를 취득한다.
UI(205)는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이며, 오퍼레이터가 화상 형성 장치(130)에 대한 각종 조작 및 설정을 행할 때에 장치와 유저 조작간의 중개를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모듈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모듈에 입력 정보를 전송하여 처리를 요구하거나, 데이터 설정의 변경 등을 행한다. 재기동 제어 유닛(206)은 재기동에 대한 명령어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재기동을 행하는 모듈이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Java(등록 상표) 런타임 환경 VM(207)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프린터로서의 Java(등록 상표) VM(207), 라이브러리(208) 및 프레임워크 그룹(209)으로 구성된다. 라이브러리(208)는 표준 API 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프레임워크 그룹(209)은 OSGi(210)로 구성되고, OSGi(210)는 단일 Java(등록 상표) VM(207)상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다. 또한, OSGi(210)는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관리 기능, 어플리케이션들간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OSGi(210) 상에는 복수의 시스템 서비스가 미리 인스톨된다.
시스템 서비스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관리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추가, 갱신 및 삭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갱신 및 삭제를 행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어플리케이션과 화상 형성 장치(130)간에 정보 교환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로부터의 요구에 관련하여,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예를 들어, 설정의 변경과 같은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거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기기에 대하여 LED 또는 버저의 제어를 요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 OSGi(210)는 HDD(104)에 저장된 기동 순서 리스트에 따라, 후술하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 인스톨 제어 서비스(212),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 등을 순차적으로 기동한다.
일반 어플리케이션(제2 어플리케이션)(215)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시 임의의 타이밍에서 정지될 수 있는 인스톨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다. 화상 형성 장치(130)에서, 어플리케이션(215)은 각종 처리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일반 어플리케이션(215)은 네트워크 설정의 갱신 타이밍에 따라 재기동될 필요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함으로써, 그 기동 초기화 처리시 설정의 반영이 도입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로그인 유저를 관리하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다.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제1 어플리케이션)(214)은 로그인중에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로그인 정보를 문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지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만일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이 정지된 경우, 로그인 정보가 취득될 수 없기 때문에, 로그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의 취득에 실패하여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현재 화상 형성 장치(130)에 로그인하고 있는 유저의 로그인명, 메일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가리킨다. 임의의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반드시 기동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 경우, 다른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톨되고 있다고 가정되며,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은 정지될 수 없다. 따라서,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은 일반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재기동될 수 없기 때문에,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은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술한 특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30)를 기동하고 있는 동안, 로그인 어플리케이션(214)은 항상 동작된다.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일반 어플리케이션(215)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의 관리하에서 동작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관리하에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라이센스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30) 내의 어플리케이션 언인스톨 명령어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일반 어플리케이션(215)을 관리 대상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외시킨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낸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의 본 실시 형태에서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 동적 갱신 대상인 설정 데이터를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으로부터 취득하여(301), RAM(103)상의 설정 데이터(302)에 그 값을 초기 설정 데이터값으로서 보유한다. 설정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라.
또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 어플리케이션(300)으로부터 동적 갱신 이벤트에 대한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을 수신한다(303). 이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300)은 시스템 서비스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 또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214), 일반 어플리케이션(215) 등과 같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리스트로서 관리한다. 또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콜백 함수 등록을 행한다(305). 본 등록에 의해, 동적 갱신이 행해진 경우, 등록된 함수(콜 함수)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으로부터 호출된다(306).
콜백 함수가 호출되면,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으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기동시 이 설정 데이터를 RAM(103)에 보유하고 있었던 설정 데이터인 설정 데이터(302)와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로서, 설정 데이터가 서로 상이한 경우, 설정 데이터가 갱신되었다고 간주하고, 설정 데이터(302)도 갱신한다. 만일 설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갱신되었다면,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303)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모두는 설정 갱신 이벤트에 대해 통지된다(304). 이 이벤트를 통지할 때, 갱신된 설정 데이터 정보가 추가된다. 추가된 정보는 후술하는 도 4에서 나타낸, 갱신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 상수명 및 상수값이다. 하나의 통지에 복수의 항목이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도 4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가 설정 데이터(302)에 보유하고 있는 네트워크 설정의 항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목명은 설정마다 항목을 나타내고,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 상수명 및 상수값이 항목명에 할당된다. 이 문자열 상수명 및 상수값은 동적 갱신 이벤트가 연계되어 있는 정보이다.
도 5는 PC(50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30)에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도 13의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UI(130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웹 페이지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 관리 UI(501)는 PC(500)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가 수행되고, 인스톨될 어플리케이션이 지정되고 인스톨된다. UI(501)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정보를 인스톨 제어 서비스(212)에 송신한다.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인스톨 제어 서비스(212)는 OSGi(210)에 인스톨을 요구한다. OSGi(210)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사용하여 인스톨을 행한다.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관리된다.
도 6은 로그인 어플리케이션(214) 또는 일반 어플리케이션(215)에서의 매니페스트 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매니페스트 파일(600)은 버전, jar 파일의 특성값, 매니페스트 항목 및 대응값의 형식으로 기술된다. 동적 갱신 플래그("Dynamic-Update")(601)는 매니페스트 파일 중 하나이며,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할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TRUE"가 지정된다.
여기서,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로부터 설정 변경 이벤트를 뽑고, 설정 변경을 반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칭한다. 즉, 동적 갱신 이벤트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은 갱신된 설정값을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으로부터 취득하고, 동적으로 그 설정을 자신의 설정에 반영시키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매니페스트 파일(600)에서의 동적 갱신 플래그에는 "FALSE"가 지정되거나, 동적 플래그가 개시되지 않는다.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은 설정을 변경하는 동안 화상 형성 장치(130)를 재기동하거나,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자신을 재기동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30)의 조작 유닛(118)으로부터 설정의 변경 수순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도 7에서의 조작 유닛 화면(700)은 화상 형성 장치(130)의 조작 유닛(118)을 나타낸다. 리스트(701)는 설정의 계층 구조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위치는 현재 도 7에서의 톱(top)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의 우측에는, 설정 항목의 버튼이 설정 항목의 종류마다 배열되어 있다. 톱에 설정된 항목으로서는, 환경 설정 버튼(702), 조정/유지 버튼(703), 펑션 설정 버튼(704), 관리 설정 버튼(705) 등이 있다. 도 8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 반영 버튼(706)은 설정 항목의 콘텐츠가 변경될 때 눌려진다. 이 버튼은 설정의 변경과 링크되어 있으며, 설정의 변경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버튼은 예를 들어, 그레이 아웃되어, 누를 수 없다.
도 8에서, 화면(800)은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동안의 UI를 나타낸다. 리스트(801)는 톱으로부터, 환경 설정 > 네트워크 > TCP/IP 설정의 순서로 표시되며, 도 8에서는, 현재 TCP/IP 설정이 수행되고 있다. 이 TCP/IP 설정에는 예를 들어, IPv4를 사용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IPv4 설정 버튼(802), IP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IP 어드레스 설정 버튼(803)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버튼을 누르면, 각각의 항목의 콘텐츠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는 각각의 설정 항목의 설정을 변경한 후에, 톱 화면으로 되돌아 온 것을 나타낸다. 이때, 설정 반영 버튼(706)은 설정의 변경을 행한 후이기 때문에, 도 8에서, 그레이 아웃이 아니며, 누를 수 있다. 이 설정 반영 버튼(706)을 누르면, 그때의 조건에 따라 후술하는 도 10 또는 도 11에 나타낸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도 10은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이 불필요한 경우의 설정 변경 확인UI(1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에게 설정 변경을 반영할지의 여부를 문의하고 유저가 "예" 버튼(1001)을 누르면, 화상 형성 장치(130)를 재기동하지 않고 설정이 반영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저가 "아니요" 버튼(1002)을 누르면, 설정 변경은 캔슬된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이 필요한 경우의 설정 변경 확인 UI(1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저에게 설정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을 할지의 여부를 문의하고, 유저가 "예" 버튼(1101)을 누르면,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이 시작되고, 재기동후에 설정이 반영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저가 "아니요" 버튼(1102)을 누르면, 설정 변경은 캔슬된다.
도 12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 S1200에서,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은 도 7에 나타낸 설정 반영 버튼(706)이 눌러진 이벤트를 트리거로 하여, UI(205)로부터, 설정 변경 반영 버튼 이벤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스텝 S1201에서,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의 상태를 체크(판정)한다.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의해 관리되는 값이며, 값으로서 "TRUE"/"FALSE"를 가지고, HDD(104)에 보유된다.
플래그에는 후술하는 도 14의 흐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에 의해 "TRUE"/"FALSE"가 설정된다. 기동시의 디폴트값은 "FALSE"라는 것에 유의하라. 스텝 S1201에서, 플래그의 상태가 "FALSE"일 경우, 본 처리는 스텝 S1203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낸 설정 변경 확인 UI(1000)을 표시하고, 단계 S1205에서, UI(205)의 요구를 대기한다. 유저가 "예" 버튼(1001)을 선택한 경우(예), 스텝 S1207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의 콜백 함수를 호출하고, 설정 변경의 반영을 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텝 S1205에서, 유저가 "아니요" 버튼(1002)을 선택한 경우, 본 처리는 스텝 S1208로 진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플래그의 상태가 "TRUE"일 경우, 본 처리는 스텝 S1202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 재기동 확인 UI(110)는 UI(205)상에 표시되고, 스텝 S1204에서, UI(205)의 요구를 대기한다. 유저가 "예" 버튼(1101)을 선택한 경우(예), 재기동 제어 유닛(206)의 재기동 처리를 호출하고, 화상 형성 장치(130)를 재기동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텝 S1204에서, 유저가 "아니요" 버튼(1102)을 선택한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1208로 진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어플리케이션 관리 UI(501)의 관리 형태 중 하나인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관리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스트(1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톨된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의 일람과 각각의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다"라고 표시된 체크 박스(1302)가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화상 형성 장치(130)를 재기동하지 않는 경우에 체크 박스를 이용한다. 이 체크 박스의 값은 HDD(104)에 보유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관리된다. 그 값은 HDD(104)에 보유되기 때문에, 그 값은 보유된 채로 유지된다는 것에 유의하라. 체크 박스(1302)를 "온(ON)"으로 설정하면,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FALSE"로 설정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체크 박스(1302)를 "오프(OFF)"로 설정하면,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TRUE"로 설정된다.
도 14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에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 S1400에서,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에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4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개시중인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값을 취득하고, 본 처리는 스텝 S1402로 진행한다. 스텝 S1402에서, "Dynamic-Update"의 값이 "FALSE"인지, 또는 "Dynamic-Update"의 항목(선언)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ynamic-Update"의 값이 "FALSE"인지, 또는 "Dynamic-Update"의 항목(선언)이 없는 경우(예),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 설정의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처리는 스텝 S14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03에서, "네트워크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다"가 표시된 체크 박스(1302)가 "온(ON)"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체크 박스(1302)가 "오프(OFF)"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1404로 진행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본 처리는 스텝 S1405로 진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네트워크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다"가 표시된 체크 박스(1302)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체크 박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스텝 S1403에서의 판정은 행하여지지 않고, 스텝 S1402에서의 판정이 예인 경우에는, 본 처리는 스텝 S1404로 진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Dynamic-Update"의 값이 "TRUE"인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스텝 S1405로 진행하고, 종료한다. 또한, 체크 박스(1302)가 "온(ON)"일 경우(예),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스텝 S1405로 진행하고, 종료한다. 이 경우,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FALSE"를 유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의 설정이 변경되어도,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다"가 표시된 체크 박스(1302)가 제공되었지만, 이 체크 박스(1302)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이 체크 박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스텝 S1403에서의 판정은 행하여지지 않고, 스텝 S1402에서의 판정이 예인 경우에, 본 처리는 스텝 S1404로 진행한다.
도 15는 설정 반영 버튼(706)이 눌려졌을 때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도 10에서 설정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유저가 "예" 버튼(1001)을 눌렀을 때의 처리에 상당한다. 먼저, 스텝 S150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5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1502에서, 스텝 S1501에서 취득한 최초의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값을 취득하고, "Dynamic-Update"의 값이 "FALSE"인지, 또는 "Dynamic-Update"의 항목(선언)이 없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ynamic-Update"의 값이 "FALSE"인지, 또는 "Dynamic-Update"의 항목(선언)이 없을 경우(예), 본 처리는 스텝 S1503으로 진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일단 정지하고나서 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Dynamic-Update"의 값이 "TRUE"인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스텝 S150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1504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판정)를 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1502로 복귀되며, 다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했을 경우(예), 스텝 S1505에서, 처리를 종료한다.
도 16은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으로부터 설정의 변경까지 수행되는 각각의 서비스의 처리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리 전체의 상황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6의 좌측의 UI(205)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까지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각각의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215-1) 내지 (215-4)의 구성에는 이하 4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고, 각각 이하의 상태라고 한다.
· 일반 어플리케이션 A(215-1): "Dynamic-Update": "FALSE", 개시중
· 일반 어플리케이션 B(215-2): "Dynamic-Update"에 비대응, 개시중
· 일반 어플리케이션 C(215-3): "Dynamic-Update": "TRUE", 개시중
· 일반 어플리케이션 D(215-4): "Dynamic-Update"에 비대응, 정지중
또한,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에 따르면,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A(214)("Dynamic-Update": "true")는 개시중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시, 스텝 S1600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으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RAM(103)에 설정값의 값을 보유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A(215-1), B(215-2), C(215-3) 및 D(215-4)과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A(214)의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602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대하여 콜백 함수 등록을 행한다. 따라서, 설정의 변경이 있는 경우, 등록된 콜백 함수가 호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603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에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을 행한다. 따라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설정 변경시에 동적 갱신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04에서, 도 14의 흐름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값을 체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A(214)가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Dynamic-Update":"TRUE")이기 때문에,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상술한 처리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에 수행되는 처리이다.
게다가, 상술한 상태에서, 스텝 S1605에서, UI(205)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유닛 화면(700)상에서 설정 반영 버튼(706)이 눌러졌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이때, 스텝 S1606에서, UI(205)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설정 버튼 누름 이벤트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07에서,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은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를 체크한다. 이때,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디폴트 "오프(OFF)"이기 때문에, 스텝 S1608에서, 도 10에 나타낸 설정 변경 확인 UI(1000)가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609에서, 유저가 "예" 버튼(1001)을 누르면, 스텝 S1610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로부터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의해 등록된 콜백 함수가 호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611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설정 데이터 관리 유닛(203)으로부터 설정 데이터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12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그 설정 데이터를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에 의해 보유하고 있었던 설정 데이터와 비교한다. 여기서, 1개 이상의 데이터가 상이할 경우, 설정 데이터에 갱신이 있었다고 간주하고, 스텝 S1613에서,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동적 갱신 이벤트를 통지한다. 스텝 S1614에서, 동적 갱신 이벤트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도 15의 플로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니페스트를 체크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15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재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30)를 재기동하지 않고, 일반 어플리케이션 스스로 재기동됨으로써, 일반 어플리케이션의 초기화 처리시에 갱신된 설정 콘텐츠가 적용되게 된다.
도 17은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으로부터 설정 변경까지의 각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처리 전체의 상황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7의 좌측에 있는 재기동 제어 유닛(206)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까지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각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 어플리케이션 E(215)에 대해서는, 이하의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고 있다고 가정된다.
·일반 어플리케이션 E(215): "Dynamic-Update": "FALSE" 및 개시중
또한,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B(216)는 개시중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스텝 S1600 내지 스텝 S1603의 처리는 도 16에서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603에서, 도 14의 플로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B(216)의 매니페스트 값을 체크한다. 여기서,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B(216)는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1700 및 스텝 S17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재기동 플래그를 "TRUE"로 설정한다.
게다가, 상술한 상태에서, 스텝 S1605에서, UI(205)에 의해 네트워크의 갱신을 행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조작 유닛 화면(700)에서, 설정 반영 버튼(706)이 눌러졌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이때, 스텝 S1606에서, UI(205)는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에 설정 버튼 누름 이벤트를 통지한다. 다음으로, 스텝 S1607에서,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은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를 체크한다. 이때, 디바이스 재기동 플래그는 스텝 S1701에서 "TRUE"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1702에서, 동적 갱신 제어 유닛(202)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재기동을 유도하는 UI 표시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변경시에,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할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할지의 여부를 나누어 처리하고, 설정 변경한 화상 형성 장치의 재기동을 필요 최소한으로 수행하며, 설정의 반영을 효율적으로 행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상황에서, 설정 변경 버튼이 눌려졌을 때, 설정 변경한 항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재기동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18은 로그인 어플리케이션(214) 또는 일반 어플리케이션(215)에서의 매니페스트 파일(18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적 갱신 플래그("Dynamic-Update-Item")(1801)는 매니페스트 항목 중 하나이다. 각각의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수명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항목에 대해 지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동적 갱신에 대응하지 않는 항목인 것으로 간주됨에 유의하라.
본 실시 형태에서, IPv4 어드레스 및 DHCP의 사용의 변경과 ON/OFF의 변경은 항목이 동적 갱신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항목에 관한 설정 변경의 반영은 스스로 수행한다. 따라서, 이들 항목 이외의 항목은 동적 갱신에 대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는 화상 형성 장치(130)의 재기동 또는 어플리케이션 자신의 재기동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자신의 재기동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라는 것에 유의하라.
다음으로, 도 19는 설정 반영 버튼(706)을 눌렀을 때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도 10에서 설정 변경을 반영할지의 여부를 판정시, 유저가 "예" 버튼(1001)을 눌렀을 때의 처리에 대응한다는 것에 유의하라. 먼저, 스텝 S1900에서, 설정 갱신하는 동안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9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관리되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1902에서, 스텝 S1901에서 취득한 최초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값을 취득하고, 설정 변경 이벤트에 포함되는 변경된 설정 항목이, 모두 Dynamic-Update-Item(1801)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항목들 중 어느 것도 Dynamic-Update-Item(1801)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1903으로 진행하고, 항목들 모두가 Dynamic-Update-Item(1801)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예), 본 처리는 스텝 S1904로 진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매니페스트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변경된 설정 항목이 "IP_V4_ADDRESS"와 "IP_V6_ADDRESS"일 경우, "IP_V4_ADDRESS"는 도 18의 매니페스트에 포함되지만, "IP_V6_ADDRESS"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라. 따라서, 이 경우, 스텝 S1902에서의 판정은 "아니오"가 되고, 본 처리는 스텝 S19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903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일단 정지하고나서 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변경된 설정 항목이 "IP_V4_ADDRESS"와 "DHCP_ON_OFF"일 경우, 설정 항목 둘다 도 18의 매니페스트에 포함된다. 따라서, 이 경우, 스텝 S1902에서의 판정은, "예"가 되고,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본 처리는 스텝 S190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1904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1902로 되돌아가서, 다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체크했을 경우(예), 스텝 S1905에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설정 변경 이벤트에 포함되는 변경된 설정 항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상황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에 따라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20은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에 대한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30)의 기동시에, 동적 갱신 이벤트를 수신하는 각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001), 일반 어플리케이션 A(2002) 및 로그인 어플리케이션 A(2003))은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2005)을 행한다.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는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 리스트(20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록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리스트로서 RAM(103)에 보유한다. 이 리스트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은 동적 갱신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벤트를 수신한다는 것은, 본 실시 형태에서, 이벤트를 수신하고 동적 갱신에 응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리스트에 포함되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및 로그인 어플리케이션은 동적 갱신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도 21은 설정 반영 버튼(706)이 눌려졌을 때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도 10에서, 설정 변경을 반영할지의 판정시, 유저가 "예" 버튼(1001)을 눌렀을 때의 처리에 대응한다는 것에 유의하라. 먼저, 스텝 S2100에서, 설정을 갱신하는 동안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2101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비스(213)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일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스텝 S2102에서, 스텝 S2101에서 취득한 최초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 리스트(2004)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첫번째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 리스트(2004)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아니오), 어플리케이션을 일단 정지하고나서 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재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첫번째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 리스트(2004)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예), 본 처리는 수행되지 않고 스텝 S2104로 진행한다. 스텝 S2104에서, 개시중인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체크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본 처리는 스텝 S2102로 되돌아가서, 다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체크했을 경우(예), 스텝 S2105에서,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이 시스템 인터페이스 서비스(211)의 동적 갱신 리스너 등록 리스트(2004)에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 형태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은 또한 1개 이상의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억 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칭하여 질 수도 있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및/또는 1개 이상의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기억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및/또는 하나 이상의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개별적인 컴퓨터들 또는 개별적인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소, 광디스크(예를 들면,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BDTM(Blu-ray Disc)), 플래쉬 메모리 장치,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청구범위는 변형 그리고 등가 구조 및 기능들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른다.
본 출원은 2014년 2월 24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3298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결합된다.

Claims (15)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수단;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한 동적 갱신을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한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과 관련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상기 판정 수단이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정지할 수 없는 제1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정지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미리 재기동할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 수단을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항목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모든 상기 항목이 미리 지정된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경 수단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 스텝;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한 동적 갱신을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한다고 상기 판정 스텝에서 판정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과 관련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상기 판정 스텝에서 판정된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정지할 수 없는 제1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정지할 수 있는 제2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미리 재기동할지의 여부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스텝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제어 스텝에서 재기동하지 않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변경에 의해 변경된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항목에 따라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상기 변경에 의해 변경된 모든 상기 항목이 미리 지정된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변경에 의해 변경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동적 갱신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재기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5.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변경 스텝;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한 동적 갱신을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스텝;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한다고 상기 판정 스텝에서 판정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과 관련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지 않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네트워크 설정의 변경에 대하여 동적 갱신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상기 판정 스텝에서 판정된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재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스텝
    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매체.
KR1020150024954A 2014-02-24 2015-02-23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0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32980A JP6104194B2 (ja) 2014-02-24 2014-02-24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032980 201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527A KR20150100527A (ko) 2015-09-02
KR101730230B1 true KR101730230B1 (ko) 2017-04-25

Family

ID=5388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54A KR101730230B1 (ko) 2014-02-24 2015-02-23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00751B2 (ko)
JP (1) JP6104194B2 (ko)
KR (1) KR101730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8754B2 (ja) * 2014-02-25 2018-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7004114A (ja) 2015-06-05 2017-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の削除方法
JP6838907B2 (ja) * 2016-09-23 2021-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9775B2 (ja) * 2016-11-18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7037615B2 (ja) * 2020-10-30 2022-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379A (ja) * 2006-07-25 2008-02-0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ホ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039A (ja) 1992-09-24 1994-04-15 Ricoh Co Ltd デジタル複写機
US7068383B1 (en) * 2000-09-28 2006-06-27 Xerox Corporation Smart front end for a print communication protocol
JP4076011B2 (ja) * 2002-03-14 2008-04-16 Kddi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構成情報の自動設定方法
JP2007018330A (ja) * 2005-07-08 2007-01-25 Brother Ind Ltd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BRPI0615231A2 (pt) 2005-08-26 2011-05-10 Thomson Licensing mÉtodo e aparelho para configurar um dispositivo a partir de uma rede
JP2008078815A (ja) * 2006-09-19 2008-04-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状態取得方法、機器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379A (ja) * 2006-07-25 2008-02-07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ホ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2721A1 (en) 2015-08-27
JP6104194B2 (ja) 2017-03-29
US9600751B2 (en) 2017-03-21
KR20150100527A (ko) 2015-09-02
JP2015158783A (ja)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230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06400B2 (en) Management system, control method in the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10809993B2 (en) System,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90171443A1 (en) Method of Updating Application and Recording Medium
US9525796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US9063686B2 (en) Distributing setting values from a client device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940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client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652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0753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6648915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689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update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06159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491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management method
JP61233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0675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10438021B2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9403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057740B2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973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set value synchronization process,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8045307A (ja) 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614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2015049862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0852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0678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
JP2023081550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