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720B1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9720B1 KR101729720B1 KR1020137005891A KR20137005891A KR101729720B1 KR 101729720 B1 KR101729720 B1 KR 101729720B1 KR 1020137005891 A KR1020137005891 A KR 1020137005891A KR 20137005891 A KR20137005891 A KR 20137005891A KR 101729720 B1 KR101729720 B1 KR 101729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ase
- connector member
- inner shield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평판 절연판을 구비하고, 그 양 판면의 각각에 가늘고 긴 도전성 접편인 상측 터미널 및 하측 터미널이 평면형상으로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접속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 부재가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실드로서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커넥터 부재와 케이스를 가진다. 커넥터 부재는 프레스 가공 파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부를 포함하는 내측 실드 커버를 구비한다. 케이스에는 통형상 내부에 배치되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수지 스프링과, 수지 스프링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고정 발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면 수지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 퍼지고, 고정 발톱이 걸음부에 이를 때까지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면 수지 스프링이 복원하여 고정 발톱이 내측 실드 커버의 걸음부에 걸린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커넥터 및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가 종래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40)는 메인 하우징(1)과 커넥터 하우징(2)과 내측 실드 케이스(3)와 외측 실드 케이스(5)로 이루어진다. 내측 실드 케이스(3)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하우징(2)에 삽입되어 있다. 메인 하우징(1)에는 커넥터 하우징(2)이 삽입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에 형성된 돌기(19a 및 19b)가 각각 메인 하우징(1)의 홈(10a 및 10b)에 끼워맞춰지고, 커넥터 하우징(2)은 메인 하우징(1)에 대하여 고정된다. 메인 하우징(1)을 덮도록 외측 실드 케이스(5)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커넥터(40)는 2중 실드 구조를 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평판형상의 플러그 컨택트부(4)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부(4)의 양 판면에는 접속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양 판면의 접속부(4a)에는 각각 가늘고 긴 도전성 접편인 상측 터미널(12) 및 하측 터미널(13)이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평판 절연판을 구비하고, 그 양 판면에 각각 가늘고 긴 도전성 접편인 상측 터미널 및 하측 터미널이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접속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 컨택트부(4)를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없다. 이 경우,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와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측 터미널(12) 및 하측 터미널(13)은 각각 커넥터 하우징(2)의 내주 상벽면 및 하벽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터미널(12) 및 하측 터미널(13)과 접촉하지 않도록, 내측 실드 케이스(3)는 커넥터 하우징(2)의 외주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돌기(19a 및 19b)를 내측 실드 케이스(3)가 덮기 때문에, 돌기(19a 및 19b)가 각각 메인 하우징(1)의 홈(10a 및 10b)에 끼워맞춰질 수 없다. 그렇다고 하면, 커넥터 하우징(2)을 메인 하우징(1)에 대하여 고정할 수 없다. 또한 만일 내측 실드 케이스(3)에 큰 절기(切起)를 설치하고, 돌기(19a 및 19b) 대신에 절기가 홈(10a 및 10b)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으로 한 경우, 절기에 의해 실드로서의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만일 커넥터 하우징(2)의 돌기부(19a 및 19b)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내측 실드 케이스(3)에 대응하는 큰 구멍을 설치한 경우도 그 구멍에 의해 실드로서의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평판 절연판을 구비하고, 그 양 판면에 각각 가늘고 긴 도전성 접편인 상측 터미널 및 하측 터미널이 평면 상에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접속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 부재가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실드로서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커넥터는 커넥터 부재와 케이스를 가진다. 커넥터 부재는 바디와, 복수의 컨택트와, 내측 실드 커버를 구비한다. 바디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바디에는 전방에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삽입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는 바디의 삽입 공간의 내주벽면에 배열되고,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되는 제1 단자부와, 접촉부와 제1 단자부를 접속하는 동체부를 포함한다. 내측 실드 커버는 바디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부와,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되는 제2 단자부와, 프레스 가공 파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통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일부가 커넥터 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통형상 내부에 배치되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수지 스프링과, 수지 스프링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고정 발톱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고, 수지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 퍼지고, 고정 발톱이 걸음부에 이를 때까지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면, 수지 스프링이 복원하여, 고정 발톱이 내측 실드 커버의 걸음부에 걸린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케이스측의 고정 발톱이 내측 실드 커버측의 걸음부에 걸리기 때문에, 내측 실드 커버측에 큰 절기나, 큰 구멍을 설치하지 않고, 확실하게 커넥터 부재가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어, 높은 실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커넥터(40)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커넥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커넥터 부재(1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바디(140)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X-X'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Y-Y' 단면도.
도 5는 하측 컨택트(152)의 사시도.
도 6a는 상측 컨택트(151) 및 하측 컨택트(152)가 스페이서(170)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W-W' 단면도.
도 7은 내측 실드 커버(160)의 사시도.
도 8은 전자기기(200)의 기판(210)에 커넥터(100)를 배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커넥터(100)의 정면도.
도 10a는 커넥터(100)의 우측면도.
도 10b는 도 9의 U-U' 단면도.
도 11a는 외측 실드 케이스(110)를 붙이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0)의 배면도.
도 11b는 도 11a의 T-T' 단면도.
도 12는 도 11b의 영역(S)의 확대도.
도 13은 외측 실드 케이스(110)를 붙이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0)의 우측면, 배면 및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커넥터(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커넥터 부재(13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바디(140)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의 X-X'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Y-Y' 단면도.
도 5는 하측 컨택트(152)의 사시도.
도 6a는 상측 컨택트(151) 및 하측 컨택트(152)가 스페이서(170)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W-W' 단면도.
도 7은 내측 실드 커버(160)의 사시도.
도 8은 전자기기(200)의 기판(210)에 커넥터(100)를 배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커넥터(100)의 정면도.
도 10a는 커넥터(100)의 우측면도.
도 10b는 도 9의 U-U' 단면도.
도 11a는 외측 실드 케이스(110)를 붙이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0)의 배면도.
도 11b는 도 11a의 T-T' 단면도.
도 12는 도 11b의 영역(S)의 확대도.
도 13은 외측 실드 케이스(110)를 붙이고 있지 않은 상태의 커넥터(100)의 우측면, 배면 및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커넥터(100)>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외측 실드 케이스(110)와, 케이스(120)와, 커넥터 부재(130)를 가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부재(130)는 바디(140)와, 복수의 컨택트(151 및 152)와, 내측 실드 커버(160)와, 스페이서(170)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에는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 부재(130)가 구비하는 내측 실드 커버(160)에는 프레스 가공 파단면을 가지는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20)의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의 자유단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고정 발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부재(130)가 케이스(120)의 후방으로부터 케이스(120)에 삽입되면,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서 퍼지고, 커넥터 부재(130)가 소정의 위치에 진입한 후에 복원한다. 그리고, 고정 발톱이 내측 실드 커버(160)의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에 걸린다. 이하, 각 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삽입되는 면을 커넥터(100)의 정면으로 하고, 기판에 실장될 때에 실장면이 되는 면을 바닥면으로 하고, 커넥터(100)의 중심에서 보아 정면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바닥면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바디(140)>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14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사각형 상자형상이다. 바디(140)에는 삽입구(140a)와 삽입 공간(140b)과 복수의 구멍(140e)이 형성되어 있다(도 4b 참조). 삽입구(140a)는 바디(140)의 전방에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140b)은 삽입구(140a)로부터 후방벽(140f)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140e)은 후방벽(140f)에 각각 복수의 컨택트를 관통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b 중, 후술하는 상측 컨택트(151)용의 구멍(140e)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바디(140)의 삽입 공간(140b)의 내주면의 상측 벽면과 하측 벽면에는 후술하는 컨택트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140)의 내주면의 하측 벽면에는 후술하는 복수의 하측 컨택트(152)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접촉부용 홈(140c)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부용 홈(140c)은 일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삽입구(140a)로부터 후방벽(140f)까지 연장되어 있고, 각 구멍(140e)과 연통하고 있다.
<컨택트>
복수의 컨택트는 바디(140)의 삽입 공간의 내주면의 상측 벽면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상측 컨택트(151)와, 바디(140)의 삽입 공간의 내주면의 하측 벽면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하측 컨택트(152)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상측 컨택트(151) 및 하측 컨택트(152)는 평판형상의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각 부의 길이가 상이하지만, 동일한 구조이며, 도 5를 겸용하여 나타낸다. 하측 컨택트(152)는 접촉부(152a)와 제1 단자부(152b)와 동체부(152c)를 포함한다. 접촉부(152a)는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한다. 제1 단자부(152b)는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된다. 동체부(152c)는 접촉부(152a)와 제1 단자부(152b)를 접속한다. 또한, 동체부(152c)는 접촉부(152a)에 접속하는 압입부(152d)와 제1 단자부(152b)에 접속하는 가이드부(152e)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 중, 괄호 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컨택트(151)도 마찬가지로 151a, 151b, 151c, 151d, 151e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151, 152)의 접촉부(151a, 152a)가 각각 바디(140)의 삽입 공간(140b)의 내주면의 상측 벽면과 하측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용 홈(140c)에 배열된다.
하측 컨택트(152)의 접촉부(152a)는 바디(140)의 후방으로부터 구멍(140e)을 통과하여(도 4b 참조), 전방을 향하여(도 4c의 화살표 R의 방향) 압입된다(도 4c 참조. 단, 설명을 위해서 우측단의 하측 컨택트(152)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압입부(152d)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그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압입부(152d)가 구멍(140e)에 압입되고, 하측 컨택트(152)를 바디(140)에 삽입한 후에, 하측 컨택트(152)가 후방으로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152a)는 접촉부용 홈(140c)에 배치된다. 바디(140)의 내주면의 상측 벽면 및 상측 컨택트(151)도 마찬가지이다.
동체부(152c)는 바디(140)의 후방에 있어서 실장면 방향(도 3 중, 화살표 V의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열된 하부 컨택트(152)의 제1 단자부(152b)는 스페이서(170)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가이드된다. 하측 컨택트(152)의 가이드부(152e)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가진다(도 5). 한편, 스페이서(170)에는 평판형상의 구멍(170b)이 형성되어 있다(도 6b 참조. 단, 설명을 위해서 하단 우측단의 하측 컨택트(152)를 표시하지 않고 있다). 구멍(170b)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 폭이 작아지도록, 또한 단부에 있어서 제1 단자부(152b)와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컨택트(152)의 제1 단자부(152b)를 스페이서의 상방으로부터 구멍(170b)을 향하여 삽입하면, 제1 단자부(152b)는 가이드부(152e)와 구멍(170b)이 걸리는 위치로 가이드된다(도 6b 참조). 상측 컨택트(151)도 마찬가지이다.
<내측 실드 커버(160)>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드 커버(160)는 커버부(160a)와, 제2 단자부(160b)와,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를 포함한다. 커버부(160a)는 바디(140)의 외주면을 덮는다. 2개의 제2 단자부(160b)는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된다.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는 후방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단은 프레스 가공 파단면을 포함한다.
내측 실드 커버(160)는 바디(140)의 후방단에 있어서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서, 또한 실장면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즉, 도 3 중, 파선 부분(160d)을 따라 화살표 V의 방향으로 90도 접혀구부러진다.
내측 실드 커버(160)는 도체,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걸음부(130h 및 130i)가 되는 긴 구멍, 걸음부(130g 및 130j), 또한 160l, 160m, 160n 및 160f 등도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재료가 되는 금속판을 금형의 다이 위에 두고, 펀치를 밀어넣음으로써, 내측 실드 커버(160)가 금속판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금속판으로부터의 분리 부분에는 에지가 샤프한 파단면이 형성된다. 분리된 내측 실드 커버(160)는 소정의 위치에서 접혀구부러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측면, 상면 및 바닥면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 실드 커버(160)에 바디(140), 복수의 컨택트(151, 152), 스페이서(170)를 삽입한 상태에서, 내측 실드 커버(160)의 후방부는 바디(140)의 상면 후방단을 따라,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서, 또한 실장면 방향(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 접혀구부러지고,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페이서(170)>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17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제1 단자부(151b, 152b)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170b)과, 2개의 제2 단자부(160b)에 대응하는 2개의 구멍(170c)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170b와 170c)은 상하 방향으로 스페이서(170)를 관통한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돌출된 판부에 구멍(170c)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걸음부(130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7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제1 단자부(151b, 152b)와 제2 단자부(160b)를 삽입할 때에, 구멍(170b 및 170c)은 각각 제1 단자부(151b, 152b)와 제2 단자부(160b)를 소정의 위치로 가이드한다. 이렇게 하여, 스페이서(170)는 상측 컨택트(151)와 하측 컨택트(152)와 내측 실드 커버(160)가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한다.
<커넥터 부재(130)의 조립>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부재(130)는 바디(140)와, 복수의 컨택트(151, 152)와, 내측 실드 커버(160)와, 스페이서(170)를 구비한다(도 3 참조). 우선, 내측 실드 커버(160)의 커버부(160a)가 이루는 각통 부분에 바디(140)가 삽입된다. 또한, 바디(140)에 그 후방으로부터 컨택트(151, 152)가 압입된다. 컨택트(151, 152)의 동체부(151c, 152c)는 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서, 또한 실장면 방향)으로 접혀구부러진다. 스페이서(170)는 그 상방으로부터 컨택트(151, 152)의 제1 단자부(151b, 152b)와 내측 실드 커버(160)의 제2 단자부(160b)가 삽입되고,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160b)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내측 실드 커버(160)는 바디(130)의 후방단에 있어서, 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 접혀구부러져, 커넥터 부재(130)는 조립된다(도 2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디(140)의 전방단에는 복수의 날밑부(140k)가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측 실드 커버(160)의 전방단에는 복수의 날밑부(140k) 사이에 생기는 오목부에 각각 대응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160k)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디(140)의 상면에는 전방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2개의 홈(140l)이 형성되어 있다. 홈(140l)은 바디(140)의 후방단까지는 형성되지 않고, 그 단부를 바디(140)의 상면에 가진다. 한편, 내측 실드 커버(160)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절기된 2개의 절기부(160l)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실드 커버(160)의 커버부(160a)가 이루는 각통 부분에 바디(140)가 삽입되면, 날밑부(140k)와 볼록부(160k)가 치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바디(140)와 내측 실드 커버(160)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 바디(140)의 삽입시에 절기부(160l)가 탄성적으로 외측(상방)으로 밀려퍼진다. 절기부(160l)가 바디(140)의 상면의 홈(140l)에 이르면, 절기부(160l)는 복원한다. 바디(140)의 전방단에 설치된 날밑부(140k)와 내측 실드 커버(160)의 전방단이 걸어맞춰지고, 바디(140)의 상면에 설치된 홈(140l)의 단부와 내측 실드 커버의 절기부(160l)가 걸어맞춰지고, 바디(140)와 내측 실드 커버(160)가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드 커버(160)의 제2 단자부(160b)의 상방에는 끼워맞춤구멍(160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페이서(170)의 구멍(170c)의 내주면에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돌기(170f)가 형성되어 있다(도 6b 참조). 내측 실드 커버(160)의 제2 단자부(160b)가 스페이서(170)의 상방으로부터 구멍(170c)에 삽입되면, 돌기(170f)가 제2 단자부(160b)를 외측에 탄성적으로 밀어 퍼지게한다. 돌기(170f)가 끼워맞춤구멍(160f)에 이르면, 제2 단자부(160b)는 복원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페이서(170)가 하방으로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스페이서(170)의 상단은 바디(140) 및 내측 실드 커버(160)에 맞닿고, 내측 실드 커버(160)와 스페이서(170)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실드 커버(160)의 커버부(160a)의 측면에는 절기부(160m)가 형성되고, 후방 측면에는 구멍(160n)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실드 커버(160)의 후방부가 도 3의 화살표 V의 방향으로 접혀구부러지면, 절기부(160m)와 구멍(160n)이 끼워맞춰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측 실드 커버(160)를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고정한다.
<케이스(120)>
케이스(120)는 절연체이며 직사각형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20)에는 개구부(120e와 120d)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0e)는 케이스(120)의 전방에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개구부(120d)는 케이스(120)의 후방에 커넥터 부재(130)의 삽입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는 내주면의 일부가 커넥터 부재(130)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a, 도 11b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에는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과,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은 통형상 내부에 배치되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은 수지 스프링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두께가 증가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수지 스프링(120h) 및 고정 발톱(120h')의 형상만을 나타내고 있는데, 수지 스프링(120g, 120i 및 120j)도 수지 스프링(120h)과 마찬가지의 형상이며, 고정 발톱(120g', 120i' 및 120j')도 고정 발톱(120h')과 마찬가지의 형상이다.
또, 케이스 내주면의 수지 스프링(120g 및 120j) 아래에는 슬릿(120f)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케이스(120)의 후방으로부터 커넥터 부재(130)가 케이스(120)에 삽입되면(도 2 참조), 커넥터 부재(130)의 전면의 둘레가장자리가 케이스(120)의 고정 발톱(120g', 120i' 및 120j')도 고정 발톱(120h')과 걸어맞춰지고, 케이스(120)의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 퍼진다. 커넥터 부재(130)가 소정의 위치에 진입한 후에, 수지 스프링(120g, 120h, 120i 및 120j)은 복원한다(도 11a, 도 11b, 도 12 및 도 13 참조). 또한, 소정의 위치는 예를 들면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이 각각 내측 실드 커버(160)의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에 이를 때까지, 커넥터 부재(130)가 삽입되었을 때의 위치이다.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이 내측 실드 커버(160)의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에 걸어맞춰진다(도 12 참조). 또, 슬릿(120f)에 커넥터 부재(130)를 구성하는 스페이서(170)에 형성된 걸음부(130f)가 삽입된다(도 2 참조). 걸음부(130f)의 전측 가장자리가 슬릿(120f)이 이루는 단부에 맞닿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 부재(130)를 케이스(120)에 대하여, 전후 상하 좌우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케이스(120)의 배면과 슬릿(120f)과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과, 커넥터 부재(130)의 전면과 걸음부(130f)와 걸음부(130g, 130h, 130i 및 130j)에 의해, 커넥터 부재(130)를 케이스(1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고정한다. 또, 케이스(120)의 내주면과 커넥터 부재(130)의 외주면에 의해, 커넥터 부재(130)를 케이스(120)에 대하여, 상하 좌우 방향으로 고정한다.
프레스 가공 파단면은 거의 평탄하기 때문에,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의 걸림 부분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파단면이 아니라, 내측 실드 커버(160)의 후방단의 구부린 부분에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을 거는 경우에는, 구부린 부분에 있는 곡률반경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평탄한 프레스 가공 파단면에 고정 발톱을 거는 경우에 비해, 걸림 부분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부린 부분은 굽힘 위치나 굽힘 각도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그 불균일에 의해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을 걸었을 때에 덜컥거림이 생긴다. 한편, 프레스 가공 파단면은 정밀도 좋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 고정 발톱(120g', 120h', 120i' 및 120j')의 걸림 부분을 작게 함으로써, 커넥터 부재(13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여유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0)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다.
<외측 실드 케이스(110)>
도 2,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도체이며, 직사각형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케이스(120)의 정면 및 바닥면을 제외한 케이스(120)의 외주면을 덮는다. 외측 실드 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단차부(110b)와 복수의 제3 단자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10b)는 내측으로 접혀구부러지고, 측면과 평행하게 하방을 향하여 접혀구부러진다. 제3 단자부(110a)는 단차부(110)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3 단자부(110a)는 케이스(120)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홈(120a)을 하방을 향하여 슬라이드하고, 단차부(110b)와 지지부(120b)가 걸어맞춰진다. 제3 단자부(110a)가 가이드 홈(120a)에 끼워맞춰지고,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케이스(1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 제3 단자부(110a)와 지지부(120b)가 걸어맞춰지고,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케이스(12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고정된다.
외측 실드 케이스(110)의 걸음 발톱(110c)이 내측으로 접혀구부러진다. 걸음 발톱(110c)과 케이스(120)의 걸음부(120c)가 걸어맞춰져 조립은 완성된다.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케이스(12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2중 실드 구조로 할 수 있어, 실드 효과가 향상된다.
<커넥터(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200)>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200)의 기판(210) 상에는 커넥터(100)가 실장되어 있다. 전자기기(200)의 기판(210)에는 제1 단자부(151b, 152b)에 관통되는 제1 관통 구멍(210a)과, 제2 단자부(160b)에 관통되는 제2 관통 구멍(210b)과, 제3 단자부(110a)에 관통되는 제3 관통 구멍(210c)과, 프린트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은 적어도 대응하는 단자부의 수만큼 설치된다.
제1 단자부(151b, 152b) 및 제2 단자부(160b)는 각각 기판(210)에 대하여 납땜되고, 커넥터(100)는 기판(210)에 대하여 전후 좌우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2 단자부(160b)와 제3 단자부(110a)는 각각 제2 관통 구멍(210b)과 제3 관통 구멍(210c)을 통하여 접지된다. 제1 단자부(151b, 152b)는 제1 관통 구멍(210a)을 통하여 각 배선에 접속된다.
또, 케이스(120)의 전방 바닥면에는 돌출부(120p)가 형성되어 있다(도 10a 참조). 기판(210)에는 돌출부(120p)에 관통되는 제4 관통 구멍(210d)이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제4 관통 구멍(210d)에 돌출부(120p)를 삽입함으로써, 기판(210)에 대하여, 커넥터(10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착탈할 때에 각 단자부에 관련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실드 케이스(110)는 전방단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10d)를 구비한다. 플랜지(110d)는 그 중앙 부분에 나사 구멍(110e)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나사 구멍(110e)을 설치함으로써, 나사로 도시하지 않는 전자기기(200)의 광체(筐體)에 대하여 커넥터(100)을 체결할 수 있다. 또, 외측 실드 케이스(100)는 플랜지(110d)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광체와 접지된다.
<효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가 평판 절연판을 구비하고, 그 양 판면에 각각 가늘고 긴 도전성 접편인 상측 터미널 및 하측 터미널이 평면 상에 복수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접속부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와의 접촉 부분을 내측 실드 커버(160)로 덮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0)는 높은 실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케이스(120)의 고정 발톱과 내측 실드 커버(160)의 프레스 가공 파단면을 가지는 걸음부가 걸리고, 내포되는 커넥터 부재(13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 때문에 큰 절기나 큰 구멍을 내측 실드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바디(140)를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 또, 특허문헌 1의 내측 실드 케이스(3)의 경우에는, 상측 터미널 및 하측 터미널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후방단은 개구되어 있지만, 커넥터(100)의 내측 실드 커버(160)는 컨택트 전체를 외측으로부터 덮기 때문에, 내측 실드 커버(160)에는 그러한 후방단의 개구도 필요없어, 실드 효과가 높아진다.
<그 밖의 변형예>
케이스(120)에 설치되는 수지 스프링 및 고정 발톱은 적어도 케이스(120)의 내주면의 양측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1개 설치하고, 내주면의 상하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1개 설치하면 되며, 그 때 커넥터 부재(130)의 적어도 대응하는 부분에 걸음부를 설치하면 된다.
커넥터 부재(130)를 조립할 때, 컨택트의 동체부(151c, 152c)의 굽힘 가공 후에 컨택트를 바디(140)에 압입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기재는 예증과 기재의 목적에서 제시된 것이다. 망라적이라는 의도는 없고, 개시된 엄밀한 형식에 발명을 한정할 의도도 없다. 변형이나 배리에이션은 상기 서술한 교시로부터 가능하다.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를 가장 좋은 예증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분야의 당업자가 숙고된 실제의 사용에 적합하게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형태로, 또 다양한 변형을 부가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선택되어 표현된 것이다. 모든 이러한 변형이나 배리에이션은 공정하게 합법적으로 공평하게 주어지는 폭에 따라서 해석된 첨부의 청구항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Claims (5)
- 커넥터 부재와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부재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전방에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어, 삽입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삽입 공간의 내주벽면에 배열되고,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제1 단자부를 접속하는 동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택트와,
상기 바디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부와, 기판에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한 단자가 되는 제2 단자부와, 프레스 가공 파단면으로 이루어지는, 후방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부를 포함하는 내측 실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통형상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의 일부가 상기 커넥터 부재의 외주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통형상 내부에 배치되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수지 스프링과, 수지 스프링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고정 발톱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수지 스프링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려서 퍼지고, 상기 고정 발톱이 상기 걸음부에 이를 때까지 상기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수지 스프링이 복원하여, 상기 고정 발톱이 상기 내측 실드 커버의 걸음부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재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택트와 상기 내측 실드 커버가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바디에 압입되고, 상기 동체부는 상기 바디 후방에 있어서 실장면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가이드되고, 상기 내측 실드 커버는 바디 후방단에 있어서 상대측의 플러그형 커넥터의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서, 또한 실장면 방향으로 구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덮는 외측 실드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커넥터를 기판 상에 실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 3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커넥터를 기판 상에 실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217669 | 2010-09-28 | ||
JP2010217669A JP5524009B2 (ja) | 2010-09-28 | 2010-09-28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PCT/JP2011/072038 WO2012043542A1 (ja) | 2010-09-28 | 2011-09-27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3431A KR20130113431A (ko) | 2013-10-15 |
KR101729720B1 true KR101729720B1 (ko) | 2017-04-24 |
Family
ID=45892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5891A KR101729720B1 (ko) | 2010-09-28 | 2011-09-27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9004945B2 (ko) |
EP (1) | EP2624374B1 (ko) |
JP (1) | JP5524009B2 (ko) |
KR (1) | KR101729720B1 (ko) |
CN (1) | CN103140993B (ko) |
CA (1) | CA2809935C (ko) |
MX (1) | MX2013003172A (ko) |
TW (1) | TWI530034B (ko) |
WO (1) | WO201204354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22328B2 (ja) * | 2010-08-31 | 2015-11-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基板搭載型コネクタ |
JP5524009B2 (ja) * | 2010-09-28 | 2014-06-18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CN202422141U (zh) * | 2011-11-21 | 2012-09-05 | 深圳市新国都技术股份有限公司 | Ic卡读取设备及其ic卡座保护件 |
CN103427209B (zh) * | 2012-07-19 | 2015-06-24 |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电子卡连接器 |
JP5392931B1 (ja) | 2012-09-14 | 2014-01-2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03367606U (zh) * | 2013-06-18 | 2013-12-2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6150053B2 (ja) * | 2013-07-02 | 2017-06-21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9099814B2 (en) * | 2013-07-16 | 2015-08-04 | Delphi Technologies, Inc. | Shielded electrical header assembly |
JP6078919B2 (ja) * | 2013-07-18 | 2017-02-15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9912111B2 (en) * | 2013-07-19 | 2018-03-06 |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
US8974252B1 (en) * | 2013-09-04 | 2015-03-10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6319657B2 (ja) * | 2014-05-14 | 2018-05-09 | Smk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KR101583934B1 (ko) * | 2014-05-26 | 2016-0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폐형 커넥터 |
WO2015196913A1 (zh) * | 2014-06-27 | 2015-12-30 |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线缆连接器组件、板端连接器组件及其电连接器组合 |
KR102093434B1 (ko) * | 2015-01-08 | 2020-03-25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리셉터클 커넥터 |
JP6311937B2 (ja) * | 2015-02-12 | 2018-04-18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シェル |
JP6160844B2 (ja) * | 2015-04-08 | 2017-07-12 | Smk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6461898B (zh) * | 2015-05-08 | 2019-12-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光纤终端盒 |
US9425558B1 (en) * | 2015-10-22 | 2016-08-23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
JP6534917B2 (ja) * | 2015-11-26 | 2019-06-26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JP6819778B2 (ja) * | 2017-05-18 | 2021-01-2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携帯型電子機器 |
USD831572S1 (en) * | 2017-11-20 | 2018-10-23 | The Charles Machine Works, Inc. | Electrical connection cover |
CN109935996B (zh) * | 2017-12-15 | 2022-01-2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滑轨连接器 |
JP7432990B2 (ja) * | 2018-11-13 | 2024-02-1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電気機器 |
CN110474202A (zh) * | 2019-07-25 | 2019-11-19 | 深圳市亚力盛电子股份有限公司 | 连接器母座和连接器 |
JP7387407B2 (ja) * | 2019-11-27 | 2023-11-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3858A (ja) | 2008-02-15 | 2009-08-27 | Yazaki Corp | シールド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50682A (ja) | 1988-12-02 | 1990-06-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蔵庫 |
JPH02150682U (ko) | 1989-05-22 | 1990-12-27 | ||
JP3423786B2 (ja) * | 1994-10-04 | 2003-07-07 | Smk株式会社 | 2重シールドコネクタ |
TW323011U (en) * | 1997-02-18 | 1997-12-11 | Hon Hai Prec Ind Co Ltd | Connector of telecommunication slot |
US6368155B1 (en) * | 1999-07-16 | 2002-04-09 | Molex Incorporated | Intelligent sensing connectors |
TW517898U (en) * | 2001-12-21 | 2003-01-11 | Hon Hai Prec Ind Co Ltd | Combinational connector |
US6659806B2 (en) * | 2001-12-26 | 2003-12-09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Modular jack connector |
US6609929B2 (en) * | 2002-01-18 | 2003-08-26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TW549740U (en) * | 2002-07-26 | 2003-08-2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6743047B2 (en) * | 2002-10-23 | 2004-06-0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ground plate |
TW555209U (en) * | 2002-12-24 | 2003-09-21 | Molex Taiwan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232037B2 (ja) * | 2004-08-09 | 2009-03-0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シールドコネクタ |
CN201230038Y (zh) * | 2008-06-06 | 2009-04-2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7967631B2 (en) * | 2008-06-06 | 2011-06-28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insulators |
JP4785962B2 (ja) * | 2009-09-10 | 2011-10-0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5524009B2 (ja) * | 2010-09-28 | 2014-06-18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2010
- 2010-09-28 JP JP2010217669A patent/JP5524009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8-31 TW TW100131297A patent/TWI530034B/zh active
- 2011-09-27 WO PCT/JP2011/072038 patent/WO20120435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9-27 CA CA2809935A patent/CA2809935C/en active Active
- 2011-09-27 CN CN201180046746.0A patent/CN103140993B/zh active Active
- 2011-09-27 MX MX2013003172A patent/MX2013003172A/es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27 EP EP11829095.6A patent/EP2624374B1/en active Active
- 2011-09-27 KR KR1020137005891A patent/KR1017297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9-27 US US13/819,381 patent/US900494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93858A (ja) | 2008-02-15 | 2009-08-27 | Yazaki Corp | シールド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09935A1 (en) | 2012-04-05 |
EP2624374B1 (en) | 2016-11-16 |
CN103140993A (zh) | 2013-06-05 |
CA2809935C (en) | 2017-10-31 |
MX2013003172A (es) | 2013-07-29 |
EP2624374A1 (en) | 2013-08-07 |
CN103140993B (zh) | 2015-11-25 |
WO2012043542A1 (ja) | 2012-04-05 |
JP5524009B2 (ja) | 2014-06-18 |
US9004945B2 (en) | 2015-04-14 |
KR20130113431A (ko) | 2013-10-15 |
EP2624374A4 (en) | 2014-04-02 |
US20130178100A1 (en) | 2013-07-11 |
TW201230548A (en) | 2012-07-16 |
TWI530034B (zh) | 2016-04-11 |
JP2012074223A (ja) | 2012-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9720B1 (ko)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
KR101703461B1 (ko) | 헤더 어셈블리 | |
US7771232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portion retained in an insulative housing | |
CN109417251B (zh) | 屏蔽连接器 | |
US20180006408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ductive terminals | |
CN110226266B (zh) |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 |
US8905781B2 (en) |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aining arms an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CN111628325B (zh) | 外导体端子及屏蔽连接器 | |
US20090215315A1 (en) | Power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 |
US9419385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hell | |
US20100093215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spring member for abutting against a metal plate | |
US20190319406A1 (en) | Connector structure | |
US9793657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lical supporting member secured thereto | |
US20110143557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fastening device | |
JP2014032816A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US7241160B2 (en)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 |
CN110870143B (zh) | 端子零件 | |
US7867010B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atchs for locking with a complementary connector | |
CN111384608B (zh) | 基板用连接器 | |
US9054461B2 (en) | Electronic component | |
CN114731016B (zh) | 连接器 | |
TWI642240B (zh) | 電連接器 | |
US20110183545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lic shell firmly retained with the insulative housing | |
CN118630532A (zh) | 连接器 | |
US20090280686A1 (en) |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