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696B1 -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696B1
KR101729696B1 KR1020110020350A KR20110020350A KR101729696B1 KR 101729696 B1 KR101729696 B1 KR 101729696B1 KR 1020110020350 A KR1020110020350 A KR 1020110020350A KR 20110020350 A KR20110020350 A KR 20110020350A KR 101729696 B1 KR101729696 B1 KR 10172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case
reel
circuit board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276A (ko
Inventor
유조 카와베
요스케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1010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에 있어서, 대용량의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를 사용하여도,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카운터 케이스(4)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감기용의 스풀(10)을 브러시리스 모터(12)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이다. 카운터 케이스(4)는, 케이스 본체(19)와 회로 기판(20)과 복수의 콘덴서(21)와 액정 표시부(22)와 릴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9)는, 제1 탑재부와, 제1 탑재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탑재부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제이며, 릴 본체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은, 제1 탑재부에 탑재된다. 복수의 콘덴서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2 탑재부에 탑재된다. 액정 표시부는, 회로 기판에 탑재되고, 릴 제어부는,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브러시리스 모터 및 액정 표시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COUNTER CASE FOR MOTOR DRIVE REEL}
본 발명은, 카운터 케이스,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감기용의 스풀을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 특히 전동 릴에는,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 케이스가 릴 본체의 상부(上部)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릴은, 모터에 의하여 스풀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낚싯줄을 감는다. 이와 같은 종류의 전동 릴에 있어서, 스풀 구동용의 모터로서, 브러시리스 모터를 채용한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브러시리스 모터는, 고정자 측에 자석이 배치되고, 회전자 측에 복수의 코일이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복수의 코일을 순차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하도록, 스위칭 소자로 스위칭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브러시와의 마찰이 생기지 않게 되어, 회전 시의 소음을 억제하여 모터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에 의한 노이즈가 생기지 않게 되어, 노이즈에 의한 제어계의 폭주를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 제3178621호 명세서
종래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채용한 전동 릴에서는, 소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경우는, 브러시가 없기 때문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대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의 경우, 코일의 선 직경이 굵어져, 자석의 자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코일에 흐르게 하는 전류의 스위칭에 의하여 고주파의 스파이크상(狀)의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에 있어서, 대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여도,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감기용의 스풀을 브러시리스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이다. 카운터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와, 회로 기판과, 복수의 콘덴서와, 수심 표시부와, 릴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는, 제1 탑재부와, 제1 탑재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탑재부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제이며, 릴 본체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은, 제1 탑재부에 탑재된다. 복수의 콘덴서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탑재부에 탑재된다. 수심 표시부는, 회로 기판에 탑재되고, 릴 제어부는, 회로 기판에 탑재되며, 브러시리스 모터 및 수심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 카운터 케이스에서는, 제2 탑재부에 노이즈를 제거 가능한 복수의 콘덴서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 구동용의 모터로서 대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여도, 복수의 콘덴서에 의하여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거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발명 1에 기재된 케이스에 있어서, 제2 탑재부는, 제1 탑재부보다 깊이가 깊다. 이 경우에, 콘덴서의 용량이 커져, 용적이 커져도, 카운터 케이스 내에 콘덴서를 탑재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발명 2에 기재된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제1 탑재부에 제2 탑재부의 외측면보다 오목한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핀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로 기판이 탑재되는 제1 탑재부에 제2 탑재부보다 오목한 위치까지 핀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코일 전류의 스위칭용의 구동 소자 및 모터 구동용의 구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 본체의 외부로 효율 좋게 배출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발명 3에 기재된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는, 합성 수지제의 상(上) 케이스 부재와, 릴 본체에 고정되고 상 케이스 부재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 가능한 금속제 하(下) 케이스 부재를 가지고, 제1 탑재부, 제2 탑재부 및 핀은, 하 케이스 부재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하는 상 케이스 부재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또한 의장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하 케이스 부재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스에 있어서, 릴 제어부는, 브러시리스 모터의 역기전류를 정류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하여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 위상을 검출한다. 이 경우에는, 코일 전류의 스위칭을 위한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센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어계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는, 발명 5에 기재된 케이스에 있어서, 콘덴서는, 역기전류를 정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노이즈의 제거뿐만 아니라 역기전류를 정류하기 위해서도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탑재부에 노이즈를 제거 가능한 복수의 콘덴서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 구동용의 모터로서 대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여도, 복수의 콘덴서에 의하여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거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 단면도.
도 3은 카운터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카운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카운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전동 릴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모터 구동되는 대형의 릴이다. 또한, 전동 릴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지는 릴이다.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10)의 회전용의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랙 조정용의 스타 드랙(3)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 케이스(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프레임(7)과, 프레임(7)의 좌우를 덮는 제1 측커버(8a) 및 제2 측커버(8b)와, 프레임(7)의 전부(前部)를 덮는 전 커버(9, 도 2)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7)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를 함침한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이며,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과, 그들 하부(下部), 후부(後部) 및 앞쪽 상부(上部)의 3개소에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7c)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모터(12) 및 핸들(2)에 연결된 줄 감기용의 스풀(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10)의 내부에, 스풀(10)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12)는, 예를 들어, 매입 자석형의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전동 릴에 이용하는 것으로서는 비교적 대용량의 것이다. 모터(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12a)와, 모터 케이스(12a)의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코일(12e)을 포함하는 고정자(12b)와, 고정자(12b)의 내주 측에 배치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자석(12f)을 포함하는 회전자(12c)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자(12c)에 모터(12)의 출력축(12d)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스풀(1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레벨 와인드 기구(13, 도 2)나 핸들(2) 및 모터(12)의 회전을 스풀(10)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유성(遊星) 톱니바퀴 기구에 모터(12)의 출력축(12d)이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 측의 제2 측커버(8b)의 중앙 하부에는, 핸들(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핸들(2)의 지지 부분의 상방 전부에는, 모터(12)를 복수 단계로 제어하기 위한 조정 레버(5)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정 레버(5)의 후방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1)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1)는, 핸들(2) 및 모터(12)와 스풀(10)과의 구동 전달을 온 오프하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온 오프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클러치를 온하면, 채비의 자중에 의한 줄 방출 중에, 줄 방출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핸들(2)과 반대 쪽의 제1 측커버(8a)에는, 전원 케이블 접속용의 도시하지 않는 코드 연결기(14)가 하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 커버(9)에는, 낚싯줄 통과용의 가로로 긴 개구(9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의 연결 부재(7c)에는, 전동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 다리부(7d)가 형성되어 있다.
릴 본체(1)의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상부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의 끝에 장착된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카운터 케이스(4)가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 구성>
카운터 케이스(4)는,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앞쪽 상부에 재치(載置, 물건의 위에 다른 것을 올리는 것)된 케이스 본체(19)와, 회로 기판(20)과, 복수의 콘덴서(21)와,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수심 표시부(22)와, 릴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9)는, 릴 본체(1)의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9)는, 외부에 노출하는 합성 수지제의 상 케이스 부재(30)와, 상 케이스 부재(30)에 고정되는 하 케이스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상 케이스 부재의 구성>
상 케이스 부재(30)는, 예를 들어, 유리 단섬유로 강화된 폴리아미드 수지제이다. 상 케이스 부재(30)는, 표시 부분이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 케이스 부재(30)는, 상면부(33)와, 상면부(33)의 하면에 하방으로 돌출하여 사방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벽부(34)를 가지고 있다. 상 케이스 부재(30)는, 내부에 하 케이스 부재(32)로 수납 공간(SA, 도 4)을 가지고 있다. 상 케이스 부재(30)의 수납 공간(SA)은, 상면부(33) 및 상벽부(34)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 케이스 부재(30)의 전부는, 전 커버(9)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벽부(34)의 하부에, 예를 들어 대체로 사다리꼴로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 케이스 부재(30)의 후부의 양 단부(端部)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내측면에 연결되도록 만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면부(3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부분으로부터 좌우에 약간 오목하게 판상(板狀)으로 형성된 제1 능선부(33a) 및 제2 능선부(33b)를 가지고 있다. 제1 능선부(33a)는, 제1 측커버(8a)에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하게 접속되어 있고, 제2 능선부(33b)는, 제2 측커버(8b)에 면일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면부(33)의 표시 부분에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의 표시용에 개구하는 표시 테두리(33c)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테두리(33c)는, 약간 상방으로 돌출하여 테두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테두리(33c)의 주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약간 오목한 장착 오목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33d)는, 사다리꼴의 각 편(片)이 약간 볼록하게 만곡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 장착 오목부(33d)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경질의 합성 수지제의 명판(銘板, 36)이 양면 테이프(38)에 의하여 붙여져 있다. 표시 테두리(33c)의 개구는, 상 케이스 부재(30)에 용착된 투명 커버(37)에 의하여 막혀 있다.
또한, 표시 테두리(33c)의 후방에는, 메뉴 스위치(SW1), 결정 스위치(SW2), 및 메모 스위치(SW3)를 노출하기 위한 원형의 제1 스위치 개구(33e), 제2 스위치 개구(33f) 및 제3 스위치 개구(33g)가 형성되어 있다. 메뉴 스위치(SW1)는, 예를 들어, 선택 조작을 행하기 위한 메뉴 조작용의 스위치이다. 결정 스위치(SW2)는, 예를 들어, 메뉴 스위치(SW1)로 선택된 조작을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메모 스위치(SW3)는, 예를 들어, 물고기 서식층 메모용의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 개구(33e), 제2 스위치 개구(33f) 및 제3 스위치 개구(33g)는, 표시 테두리(33c)의 후방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놓아 배치되어 있다. 제1 스위치 개구(33e), 제2 스위치 개구(33f) 및 제3 스위치 개구(33g)의 내주면의 하부에는, 상부보다 대경의 스위치 벽부(33h, 도 4)가 각각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뉴 스위치(SW1)는, 수심 표시부(22) 내의 표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튼이다. 예를 들어, 메뉴 스위치(SW1)를 조작할 때마다 위로부터 모드(채비의 수심을 수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표시하는 모드)와 바닥으로부터 모드(채비의 수심을 물 바닥으로부터의 수심으로 표시하는 모드)로 전환한다. 또 메뉴 스위치(SW1)를 3초 이상 길게 누름하면, 길게 누를 때마다, 모터(12)의 제어 모드를 속도 모드와 장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속도 모드는, 조정 레버(5)의 요동 각도에 따라 스풀(10)의 회전 속도의 상한 속도를 31단계로 다단 속도 제어 가능한 모드이다. 장력 모드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의 상한 장력을 31단계로 다단 장력 제어 가능한 모드이다. 덧붙여, 양 모드 모두, 최고 단계의 31단계는, 100% 듀티로 모터(12)를 동작시키는 빨리 감기 속도이며, 전류 제한은 행하지만, 속도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하 케이스 부재의 구성>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 케이스 부재(32)는, 앞쪽 상부의 연결 부재(7c)에 위치 결정하여 재치된다. 하 케이스 부재(32)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내측면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의 나사(31)에 의하여 고정된다. 하 케이스 부재(32)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량이고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제의 테두리상의 부재이다. 하 케이스 부재(32)는, 복수개(예를 들어 4개)의 고정 나사(50, 도 5)에 의하여 상 케이스 부재(30)를 고정하고 있다. 하 케이스 부재(32)는, 제1 탑재부(40)와, 제1 탑재부(40)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탑재부(42)와, 방열용의 핀(44)과, 하벽부(46)를 가지고 있다.
제1 탑재부(40)는, 하 케이스 부재(32)의 후부에 형성되어 있고, 평탄한 상면(40a)과, 평탄하지 않은 하면(40b)을 가지고 있다. 제1 탑재부(40)에는, 회로 기판(20)이 탑재되어 있다. 제1 탑재부(40)의 상면(40a)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판 등의 열전달 성능이 높은 금속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제의 열전달 시트(45)가 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로 기판(20)에 탑재된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핀(44)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탑재부(40)의 후부의 양측에는, 2개의 나사(31)가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40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탑재부(42)는, 평탄한 상면(42a) 및 하면(42b)을 가지고 있다. 제2 탑재부(42)의 하면(42b)이 앞쪽 상부의 연결 부재(7c)에 재치되어 있다. 제2 탑재부(42)는, 하 케이스 부재(32)의 전부에 제1 탑재부(40)보다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탑재부(42)에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콘덴서(21)가 탑재되어 있다. 제2 탑재부(42)의 상면(42a)에는, 각종의 보지(報知)에 이용하는 버저(47)를 장착하기 위한 버저 장착부(42c)가 다른 부분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버저(47)는 박육 원판 형상의 부재이며, 양면 테이프(43)에 의하여 버저 장착부(42c)에 고정되어 있다. 버저(47)와 콘덴서(21)의 사이에는, 절연 시트(48)가 절연 양면 테이프(49)에 의하여 붙여져 있다. 제2 탑재부(42)의 하면(42b)은, 제1 탑재부(40)의 하면(40b)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탑재부(42)의 두께는 제1 탑재부(40)의 두께보다 얇다. 이것에 의하여, 버저(47)에 의하여 제2 탑재부(42)가 진동하기 쉬워져, 버저(47)의 소리가 명료하게 된다.
핀(44)은, 도 4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풀(10)에 의하여 생기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하 케이스 부재(32)를 냉각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44)은, 스풀(10)에 가까운 제1 탑재부(40)에 설치되어 있다. 핀(44)은, 제1 탑재부(40)의 하면(40b)에 복수의 오목부(40d)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하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핀(44)의 돌출단은 하면(40b)과 같은 위치이며, 제2 탑재부(42)보다 오목한 위치에 있다. 핀(44)은,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어 4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핀(44)은, 좌우 방향(도 4 깊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핀(44)의 좌우 방향의 양단은 하면(42b)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핀(44)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제1 탑재부(40)의 하면은, 오목부(40d)의 바닥의 위치까지여도 무방하다.
하벽부(46)는, 제1 탑재부(40) 및 제2 탑재부(4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벽부(46)는, 상벽부(34)와 대체로 동일 형상이며 상벽부(34)보다 후육(厚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하벽부(46)는, 상벽부(34)와 실(seal)제에 의하여 실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수납 공간(SA)을 봉지(封止, 개구를 폐쇄하는 것)하고 있다.
<회로 기판의 구성>
회로 기판(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20a)과, 제1 회로 기판(20a)의 하방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20b)을 가지고 있다. 제1 회로 기판(20a)과 제2 회로 기판(20b)은 기판 커넥터(5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20a)은, 수심 표시부(22)가 탑재되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의 기판이다. 제2 회로 기판(20b)은, 릴 제어부(23)가 탑재되는 대체로 사다리꼴의 합성 수지제의 기판이다. 제1 회로 기판(20a)은, 복수 라인(예를 들어 4개)의 제1 기판 고정 나사(52)에 의하여 하 케이스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회로 기판(20b)은, 복수 라인(예를 들어 4개)의 제2 기판 고정 나사(53)에 의하여 하 케이스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20a)은, 상면에 수심 표시부(22)가 탑재된다. 수심 표시부(2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20a)의 상면에 재치되는 확산 시트(22a)와, 확산 시트(22a)에 재치되는 도광판(22b)과, 도광판(22b)에 재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22c), 확산 시트(22a), 도광판(22b) 및 액정 디스플레이(22c)를 제1 회로 기판(20a)의 상면에 고정하는 LCD 케이스(22d)를 가지고 있다. LCD 케이스(22d)는, 액정 디스플레이(22c)를 노출 가능한 테두리 형상의 부재이다. LCD 케이스(22d)는, 제1 회로 기판(20a)에 형성된 슬릿(20c)에 걸기 위한 복수가 멈춤쇠(22e)를 가지고 있다. 도광판(22b)은, 제1 회로 기판(20a)에 탑재된 도시하지 않는 LED로부터의 빛을 액정 디스플레이(22c)의 배면(하면)에 전체에 조사한다. 제1 회로 기판(20a)과 액정 디스플레이(22c)는, 도시하지 않는 플렉서블 기판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회로 기판(20b)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제어부(23)를 구성하는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24)가 탑재된다. 제2 회로 기판(20b)의 하면에는, 모터(12)를 구동하는 복수의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25)가 탑재된다. FET(25)는, 모터(12)를 PWM(펄스폭 변조)할 때에 듀티비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치 소자로서 기능한다. 또한, FET(25)는, 예를 들어, 모터(12)의 고정자(12b)의 코일(12e)을 순으로 여자 및 소자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로서 기능한다. FET(25)는, 열전달 시트(45)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열전달 시트(45)는,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발열하는 FET(25)의 열을 효율 좋게 카운터 케이스(4)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덧붙여, 모터(12)의 코일(12e)을 여자하는 전자 회로는, 모터(12) 내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 회로 기판(20b)에, 콘덴서(21)가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21)는, FET(25)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평활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12)의 역기전류를 정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역기전류를 정류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12)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고 있다. 이 검출된 회전 위상에 의하여 FET(25)가 제어되어 코일(12e)을 순으로 여자 및 소자하여, 모터(12)를 회전시킨다.
릴 제어부(23)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구성으로서 모터(12)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60)와, 수심 표시부(22)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1)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부(60)는, 모터(12)를 PWM 제어하는 것과 함께, 모터(12)의 고정자(12b)의 복수의 코일(12e)을 여자 및 소자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여자 및 소자 제어 시에는, 모터 제어부(60)는, 콘덴서(21)로 모터(12)의 역기전류를 정류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하여 모터(12)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위상에 따라 복수의 코일(12e)을 순차 여자 및 소자한다.
릴 제어부(23)에는, 메뉴 스위치(SW1), 결정 스위치(SW2), 및 메모 스위치(SW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풀(10)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64)와, 코일(12e)로의 통전을 온 오프하는 것과 함께 모터(12)를 PWM 구동하는 5개의 FET(25) 및 콘덴서(21)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회로(66)와, 버저(47)와, 수심 표시부(22)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 구동 회로(66)는, 제2 회로 기판(20b)에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동 릴에서는, 낚싯줄을 방출할 때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1)를 가장 앞쪽(후방)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클러치를 오프한다. 클러치 오프하면, 스풀(10)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되어, 낚싯줄에 장착된 추의 자중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0)로부터 방출된다. 낚싯줄이 방출되면 스풀(10)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풀 센서(64)의 검출 펄스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22c)의 수심 표시가 방출량에 따라 변화한다.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에 도달하면, 핸들(2)을 줄 감기 방향으로 돌려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반환 기구에 의하여 클러치를 온하여 낚싯줄의 방출을 정지한다.
물고기의 입질이 있으면, 조정 레버(5)를 조작하여 낚싯줄을 감아올린다. 조정 레버(5)를 도 1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그 요동 각도에 따라 스풀(10)의 회전 속도 또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의 최대값을 단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모터(12)는, 조정 레버(5)의 요동 각도에 따라 회전한다. 이 감아올림 때에 작용하는 부하에 따라 FET(25) 및 콘덴서(21)의 발열량이 많아진다. 그러나, 제1 탑재부(40)의 외측에 형성된 냉각용의 핀(44) 및 열전달 시트(45)에 의하여 FET(25)의 열이 효율 좋게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금속제의 하 케이스 부재(32)의 깊이가 깊은 제2 탑재부(42)에 콘덴서(21)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콘덴서(21)로부터 발생하는 열도 외부로 방출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제1 탑재부(40)에 탑재된 FET(25) 및 제2 탑재부(42)에 탑재된 콘덴서(21)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히 냉각된다.
또한, 콘덴서(21)를 탑재하는 제2 탑재부(42)의 바닥을 깊게 하여 용적을 크게 하였기 때문에, 대용량의 콘덴서(21)를 탑재 가능하다. 이 때문에, 대용량의 모터(12)를 사용하여도, 스위칭 잡음이 콘덴서(21)에 의하여 필터링되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A) 카운터 케이스(4)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감기용의 스풀(10)을 브러시리스의 모터(12)로 구동하는 전동 릴에 장착된다. 카운터 케이스(4)는, 케이스 본체(19)와, 회로 기판(20)과, 복수의 콘덴서(21)와, 수심 표시부(22)와, 릴 제어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9)는, 제1 탑재부(40)와, 제1 탑재부(40)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탑재부(42)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제이며, 릴 본체(1)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20)은, 제1 탑재부(40)에 탑재된다. 복수의 콘덴서(21)는, 회로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탑재부(42)에 탑재된다. 수심 표시부(22)는, 회로 기판(20)에 탑재되고, 릴 제어부(23)는, 회로 기판에 탑재되며, 모터(12) 및 수심 표시부(22)를 제어한다.
이 카운터 케이스(4)에서는, 제2 탑재부(42)에 노이즈를 제거 가능한 복수의 콘덴서(21)가 탑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풀 구동용의 모터(12)로서 대용량의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여도, 복수의 콘덴서(21)에 의하여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거해,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B) 카운터 케이스(4)에 있어서, 제2 탑재부(42)는, 제1 탑재부(40)보다 깊이가 깊다. 이 경우에, 콘덴서(21)의 용량이 커지고 용적이 커져도, 카운터 케이스(4) 내에 콘덴서(21)를 탑재할 수 있다.
(C) 카운터 케이스(4)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9)는, 제1 탑재부(40)에 제2 탑재부(42)의 외측면보다 오목한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핀(44)을 더 가진다. 이 경우에는, 회로 기판(20)이 탑재되는 제1 탑재부(40)에 제2 탑재부(42)보다 오목한 위치까지 핀(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 기판(20)에 탑재되는 코일 전류의 스위칭용의 FET(25) 및 모터 구동용의 FET(25)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 본체(19)의 외부에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D) 카운터 케이스(4)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9)는, 합성 수지제의 상 케이스 부재(30)와, 릴 본체(1)에 고정되고 상 케이스 부재(30)로 내부에 수납 공간(SA)을 형성 가능한 금속제의 하 케이스 부재(32)를 가지고, 제1 탑재부(40), 제2 탑재부(42) 및 핀(44)은, 하 케이스 부재(32)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하는 상 케이스 부재(30)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또한 의장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하 케이스 부재(32)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E) 카운터 케이스(4)에 있어서, 릴 제어부(23)는, 모터(12)의 역기전류를 정류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하여 모터(12)의 회전 위상을 검출한다. 이 경우에는, 코일 전류의 스위칭을 위한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센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어계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F) 카운터 케이스(4)에 있어서, 콘덴서(21)는, 역기전류를 정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노이즈의 제거뿐만 아니라 역기전류를 정류하기 위해서도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오목부(40d)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핀(44)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핀을 제1 탑재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12)를 스풀의 내부에 수납하였지만, 모터를 스풀 외에 장착한 전동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운터 케이스(4)의 하 케이스 부재(32)만을 금속제로 하였지만, 상 케이스 부재도 금속제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하 케이스 부재를 금속과 합성 수지를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성형한 것도 무방하다.
1: 릴 본체 4: 카운터 케이스
10: 스풀 12: 모터
12a: 모터 케이스 19: 케이스 본체
20: 회로 기판 20a: 제1 회로 기판
20b: 제2 회로 기판 21: 콘덴서
22: 수심 표시부 23: 릴 제어부
30: 상 케이스 부재 32: 하 케이스 부재
40: 제1 탑재부 42: 제2 탑재부
44: 핀

Claims (6)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낚싯줄 감기용의 스풀을 브러시리스(brushless)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이고,
    제1 탑재부와, 상기 제1 탑재부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탑재부를 가지고, 적어도 일부가 금속제이며,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제1 탑재부에 탑재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탑재부에 탑재되는 복수의 콘덴서와,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된 수심 표시용의 액정 표시부와,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 및 상기 액정 표시부를 제어하는 릴 제어부
    를 구비한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탑재부는, 상기 제1 탑재부보다 깊이가 깊은,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제1 탑재부에 상기 제2 탑재부의 외측면보다 오목한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된 복수의 핀을 더 가지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합성 수지제의 상(上) 케이스 부재와, 상기 릴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상 케이스 부재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 가능한 금속제의 하(下) 케이스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탑재부, 상기 제2 탑재부 및 상기 핀은, 상기 하 케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 제어부는,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의 역기전류를 정류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상기 역기전류를 정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KR1020110020350A 2010-03-24 2011-03-08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KR101729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7811 2010-03-24
JP2010067811A JP5460404B2 (ja) 2010-03-24 2010-03-24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276A KR20110107276A (ko) 2011-09-30
KR101729696B1 true KR101729696B1 (ko) 2017-04-24

Family

ID=4465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350A KR101729696B1 (ko) 2010-03-24 2011-03-08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60404B2 (ko)
KR (1) KR101729696B1 (ko)
CN (1) CN102197794B (ko)
TW (1) TWI5261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8238A (ja) * 2012-12-28 2014-07-10 Shimano Inc 釣用リールの表示ケース、及び釣用リール
JP6166063B2 (ja) * 2013-03-01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CN105815291B (zh) * 2016-05-18 2018-05-08 陆佳伟 一种便于使用的鱼线盒
JP7198711B2 (ja) * 2019-03-08 2023-01-04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電動リールのスプール駆動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電動リール、スプール駆動制御方法、及びスプール駆動制御プログラム
JP2024039438A (ja) 2022-09-09 2024-03-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御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る魚釣用電動リール
CN116973091B (zh) * 2023-09-21 2023-12-12 天祥(天津)质量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鱼线轮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673A (ja) 2000-05-31 2001-12-0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2005185047A (ja) 2003-12-22 2005-07-07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304430A (ja) 2004-04-23 2005-11-0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2009178119A (ja) 2008-01-31 2009-08-13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621B2 (ja) * 1992-05-26 2001-06-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3526593B2 (ja) * 1993-08-02 2004-05-1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H10262524A (ja) * 1997-01-23 1998-10-0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駆動装置及び制御装置
JP2000217480A (ja) * 1999-01-28 2000-08-08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0245317A (ja) * 1999-03-04 2000-09-12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3228255A (ja) * 2002-02-06 2003-08-15 Sharp Corp 画像記録装置
JP2004324552A (ja) * 2003-04-25 2004-11-18 Matsushita Refrig Co Ltd 電動圧縮機
JP2004357529A (ja) * 2003-06-02 2004-12-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KR101114296B1 (ko) * 2003-12-04 2012-03-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 정보 표시 장치
JP2006180643A (ja) * 2004-12-24 2006-07-06 Aichi Electric Co Ltd 電動機
JP2009022222A (ja) * 2007-07-20 2009-02-05 Sousei Denshi:Kk 魚釣リール
CN201145875Y (zh) * 2007-11-28 2008-11-05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散热片
JP5054553B2 (ja) * 2008-01-31 2012-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673A (ja) 2000-05-31 2001-12-0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2005185047A (ja) 2003-12-22 2005-07-07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304430A (ja) 2004-04-23 2005-11-0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ーケース
JP2009178119A (ja) 2008-01-31 2009-08-13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0404B2 (ja) 2014-04-02
CN102197794A (zh) 2011-09-28
JP2011200124A (ja) 2011-10-13
KR20110107276A (ko) 2011-09-30
CN102197794B (zh) 2014-08-06
TWI526155B (zh) 2016-03-21
TW201138618A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696B1 (ko)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JP6655402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TWI595833B (zh) 電動捲線器之控制裝置
TWI311043B (ko)
CN1806540A (zh) 双轴承渔线轮的卷线筒制动装置
JP2017127284A5 (ko)
US20040227029A1 (en) 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TW201400011A (zh) 雙軸承捲線器的均勻捲線機構、雙軸承捲線器及電動捲線器
TWI523402B (zh) Motor reducer motor control device
KR20100123597A (ko) 전동 릴의 카운터 케이스
TWI622348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JP6046385B2 (ja) 電動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JP414489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4000029A5 (ko)
US7614575B2 (en) Electric reel for fishing
JPH10262524A (ja) 電動リールの駆動装置及び制御装置
TWI580351B (zh) 釣魚用捲線器的顯示盒及釣魚用捲線器
JP2014239665A (ja)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JP2014239665A5 (ko)
JP414489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2200164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冷却装置
US20230133436A1 (en) Fishing reel
JP2014128238A5 (ko)
JP2008178354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020889A (ja) マグネット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