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42B1 -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42B1
KR101728942B1 KR1020150053167A KR20150053167A KR101728942B1 KR 101728942 B1 KR101728942 B1 KR 101728942B1 KR 1020150053167 A KR1020150053167 A KR 1020150053167A KR 20150053167 A KR20150053167 A KR 20150053167A KR 101728942 B1 KR101728942 B1 KR 10172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eodorant
calcium
present
orga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084A (ko
Inventor
김주용
김동수
이형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김주용 filed Critica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5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9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피톤치드액 2~5 중량% , 고형화 형성 물질 7~10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DEODORIZING AGENT USING BACTERI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에 고이온화칼슘을 교반하여 산성계 악취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발생되는 일반 쓰레기, 제조공장, 수산물가공공장, 가축우리, 요식업소, 냉장고, 화장실, 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등과 같은 가정 및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악취 발생원이 있으며, 이러한 악취를 발생하는 물질로서는 암모니아, 메르캅탄, 황화수소, 아민류, 아세트 알데히드 등이 알려져 있으나 실제적인 악취의 원인은 그보다 더 복합적이며 다양한 성분에 의해서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분해방법, 마스킹법, 흡착법, 중화법, 살균법 등이 있다. 화학적인 분해방법은 비용이 비싸고, 속효성은 있으나 지속성이 없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마스킹법은 악취보다 강한 별도의 냄새를 발산시켜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지만, 고가의 항료를 필요로 하고 근본적인 제거가 어렵다. 흡착법은 악취를 배기 장치에 의해 옥외로 배출시키면서 활성탄 등에 흡착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서, 많은 건설비가 소요되고 고가의 활성탄을 주기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중화법은 악취를 산성이나 알칼리성의 물질로 중화시켜 처리하는 화학적인 방법으로서, 사용시 일시적으로 악취가 소멸하지만 지속성이 없고, 산성기와 알칼리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 화학 처리가 곤란하며, 악취 발생 물질이 중성일 경우 전혀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살균법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균 자체를 사멸시켜 부패를 막고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장시간 무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살균제 또는 방부제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살균법은 유기물의 부패 또는 발효 자체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또는 발효에 의한 악취가 아니면 소정의 목적물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생물학적 방법이 경제적,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여, 이에 미생물을 이용한 소취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편, 선행문헌(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허, 10-2008-0111341)에서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에 이종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소취제의 경우에는 기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에 대해서 높은 탈취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산성계 악취(황화수소, 메르캅탄)를 탈취하는 효율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에 대해서 높은 탈취효과 나타내었던 부분을 보완하여 황화수소, 메틸머캅탄등을 포함한 4대악취에 대해서 탈취효율 90%이상을 보이는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피톤치드액 2~5 중량% , 고형화 형성 물질 7~10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산화칼슘을 액상화 시킨 것으로,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EDTA 킬레이트 칼슘인 것이 특징이다.
[화학식1]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형화 물질은 한천, 젤라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배양액에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1 내지 2 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이후에 피톤 치드액 2~5 중량% 및 고형화 물질 7~10 중량%를 첨가하여 고형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산화칼슘을 액상화 시킨 것으로, EDTA 킬레이트 칼슘이며, 상기 고형화 물질은 한천, 젤라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고형화 단계는 80 내지 100 ℃의 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제를 제조하는데 있어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등을 포함하는 산성계 악취제거에 탁월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의 피부 자극 시험 결과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 뿐만 아니라 산성계 악취(황화수소, 메르캅탄)를 탈취하는 효율을 향상시킨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피톤치드액 2~5 중량% , 고형화 형성 물질 7~10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를 제공하며, 특히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산성계 악취제거 효율 향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액상화 시킨 킬레이트-칼슘제(chelate-Ca, 약산성)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제조방법의 단계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배양액에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1 내지 2 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이후에 피톤 치드액 2~5 중량% 및 고형화 물질 7~10 중량%를 첨가하여 고형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은 배양액은 유기산 생성능이 뛰어난 미생물의 배양액에 공생 관계가 양호한 이종의 미생물을 배양하여 수득된 미생물 배양액을 말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산 생성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및 스트렙토코카스 페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KCCM 41836)를 배양하여 pH 3.5~5.0인 배양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여 균체를 제거하였다.
상기 배양액에 염화 암모늄 또는 황산 암모늄, 글루코오스, 유기산(초산), 탈지 미강, 목초액, 미량 무기물인 인산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칼륨염, 동염, 망간염 및 당밀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pH를 9~10으로 조정한 후, 이종의 미생물인 바실러스 속(Bacillus sp., ATCC 21989),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ATCC 22788)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Nitrosomonas europaea KCCM 41939)를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의 pH가 8~8.5일 때 탄산칼슘을 넣어 배양액의 pH를 11.5~12로 조정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를 추가로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의 pH가 10~10.5에 이르면 배양액의 pH를 재차 탄산칼슘을 넣어 13.5~14로 조정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상기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를 추가로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배양액의 pH가 13에 이르면 배양을 멈추고 미생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되는 배양 배지의 성분 중 초산은 미생물의 증식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탄소원으로 사용되었고, 목초액은 안정적인 배양 및 증식을 위해 사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및 스트렙토코카스 페칼리스 배양액에서 균체를 제거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를 접종하여 pH를 4.5~5.0으로 조절하면서 배양한 다음, 배양 배지를 재투입하고, 배양액의 pH가 3.5~4.2에 이르면 배양을 멈추고 미생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및 스트렙토코카스 페칼리스를 배양하여 pH3.5~5.0인 배양액을 수득한 후, 여과하여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의 pH를 12 이상으로 조정한 다음,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를 접종하여 배양하고, 상기 배양액의 pH가 3.5~4.2에 이르면 배양을 멈추고 미생물 배양액을 수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에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제품의 경우 염기성 강화제품으로서 염기성 계통의 악취제거율은 높으나 산성계열 악취제거율은 다소 낮은 제품 이였다, 이를 보완하여 산성계열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물질을 찾게 되었고 EDTA 칼슘을 첨가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산화칼슘을 액상화 시킨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EDTA 킬레이트 칼슘인 것이 특징이다.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에서, 상기 피톤치드는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물질"이란 뜻으로 피톤치드를 첨가 함으로써 각종 해충, 병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게는 기피제 및 살충의 역할을 하지만 인간에게는 도리어 이롭게 작용한다. 피톤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이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없이 빠르게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하므로, 이를 통해 가정용 겔탈취제에 피톤치드를 첨가 함으로서 항균작용, 소취작용, 진정작용, 스트레스 해소 작용 등 수많은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피톤치드액은 피톤치드 8 ~ 12 중량부와, 에틸알콜 7~ 1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34℃ ~ 52℃의 온도범위 내에서 30 ~ 50분 정도 에센스화시켜 피톤치드액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용매로 사용되는 알카리 활성수는 pH가 7.5 내지 8.0 정도 이며, 엠티사의 알카리볼 복합블록필터를 통과하게 하여 약 알카리수로 변화 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각종 탈취 및 항균 작용 메커니즘의 변형을 유발하지 않는 고형화 물질을 첨가함으로써 유동성 고체(겔)화 하였다. 단순 방향제가 아니라 탈취제이므로 탈취매커니즘의 유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형화 물질은 한천, 젤라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화 시키는 물질의 경우에는 함량이 낮으면 겔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쉐이크처럼 함수율이 높아 상온에서 액체화 될 경우가 높아 적정량 이상의 첨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전체 중량 대비 7 ~ 10 중량%인것이 바람직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탈취제의 제조
1. 유기산 생성 미생물의 배양 및 배양액 수득
1% 글루코오스, 0.1~2% 황산암모늄 및 미량 무기물인 0.01~0.05% 인산염, 0.01~0.05% 마그네슘염, 0.01~0.05% 칼슘염, 0.01~0.05% 칼륨염, 0.01~0.05% 동염, 0.01~0.05% 망간염을 포함하는 배지(pH 7.0)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56) 미생물 및 스트렙토코카스 페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KCCM 41836) 미생물을 3~5%로 접종한 후, 40℃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하여 pH 3.5~5.0인 배양액을 수득한 다음, 상기 배양액을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배양 균체가 제거된 미생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배양액을 0.1~1.0% 염화 암모늄 또는 황산 암모늄, 0.3~2.0% 글루코오스, 0.5~1.0% 유기산(초산), 5.0~13.0% 탈지 미강, 1.0~2.0% 목초액, 미량 무기물인 0.01~0.05% 인산염, 0.01~0.05% 마그네슘염, 0.01~0.05% 칼슘염, 0.01~0.05% 칼륨염, 0.01~0.05% 동염, 0.01~0.05% 망간염 및 0.5~3.0% 당밀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pH 7.0)를 첨가하고, 바실러스 속(Bacillus sp., ATCC 21989) 0.2%,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ATCC 22788) 0.3%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Nitrosomonas europaea KCCM 41939) 0.3%를 접종한 후, 탄산칼슘으로 pH를 9~10으로 조정하여 48~9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가 낮아지므로, 일차적으로 pH 8~8.5인 시점에서 재차 탄산칼슘을 넣어 배양액의 pH를 11.5~12로 조정한 후, 상기 균체(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속 및 니트로소모나스 속) 및 배양 배지를 재투입하였다.
상기 배양액이 pH 10~10.5에 이르면, 탄산칼슘을 넣어 pH를 13.5~14로 조정하고, 상기 균체 및 배양 배지를 재투입한 후, 배양액이 pH 13에 이르는 시점에서 배양을 멈추고 미생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2. 전체 중량 1000kg을 100%로 했을 경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수득된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에 음이온 필터여과를 통한 알카리 활성수를 제조하고 그 알카리 활성수 48~61 중량%와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를 첨가하고 1 시간 교반을 진행하였다. 그 후 피톤치드액 2~5 중량% 및 고형화를 위한 젤라틴 7 ~ 10 중량%를 첨가 한 후 80~100 ℃에서 증기로 쪄 겔화시켰다.
증기로 쪄 겔화시키는 과정에서 온도의 설정이 중요한데, 낮은온도에서는 겔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액체 잔유물이 많이 발생하고, 너무 고온에서는 겔이 말랑말랑 해지지 않고 딱딱하게 된다. 그러므로 80~100 ℃에서 증기로 쪄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탈취효과
탈취성능 실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시료 250g 및 냄새 성분이 흡착되거나 방출되지 않는 유리로 제작된 시료 분사구와 가스 채취구가 구비된 반응기 10L를 준비하였다. 한편 냄새 성분으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및 메틸머캅탄은 아세톤을 용매로 사용하여 일정 농도로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황화수소는 황화수소 발생용 시약을 사용하여 황화수소만의 가스상 황화물을 발생시킨 황화수소 함유 가스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 용액을 반응기의 분사구를 통하여 분사 주입한 후 검지관법에 의하여 냄새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아래 표 1은 상기 실험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3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에 대해서 높은 탈취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산성계 즉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를 포함한 4대악취에 대해서 90 %이상의 탈취 효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금속 실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 250g을 고주파 유도결합 플라스마 방출 분광분석방법에 의하여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검출여부를 파악하였고 그에 대한결과를 아래의 표2 에 나타나있다.
표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는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을 포함하는 중금속의 검출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4
피부자극 테스트
(1) 시험방법
본 시험은 뉴질랜드 화이트계 토끼의 찰과와 비찰과 피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시험군)와 대조군 시료의 접촉을 통한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24시간 전에 토끼 등 부위의 털을 제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2.5 g을 6마리 토끼의 찰과와 비찰과 피부에 직접 적용하고 비자극성 테이프로 고정 후 2시간 폐쇄첩포 시켰다. 적용 부위의 관찰은 시료 적용 후 24, 72시간째에 홍반과 가피형성 및 부종 등의 피부자극성 유무를 관찰 하였고, 피부 반응 평가표에 따라 점수화로 산출하였다.
(2) 시험결과
이상의 시험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제를 시험한 결과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4시간째, 72시간째 모든 적용부위에서 홍반과 가피형성 및 부종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피부반응평가표에 따라 점수화로 산출한 결과 일차 피부 자극지수(P.I.I. Primary Irritation Index)값이 "0.4"로 비자극성 물질로 평가되었다.
표 3 피부반응평가표
표 4 피부반응 점수체계를 나타낸다.
표 5 토끼의 자극반응 범주를 나타내는 표이다 .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5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6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7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피톤치드액 2~5 중량%, 고형화 형성 물질 7~10 중량% 및 잔부의 pH 7.5~8.0의 알카리 활성수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ATCC 22788)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Nitrosomonas europaea KCCM 41939)를 포함하는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산화칼슘을 액상화 시킨 것으로,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EDTA 킬레이트 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화학식 1]
    Figure 112015036720143-pat00008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 물질은 한천, 젤라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4.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 생성 미생물 배양액 25~30 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배양액에 고이온화 칼슘 5~7 중량% 및 잔부의 알카리 활성수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용액을 1 내지 2 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이후에 피톤 치드액 2~5 중량% 및 고형화 물질 7~10 중량%를 첨가하여 고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생물 배양액은 아스페르기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ATCC 22788) 및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패아(Nitrosomonas europaea KCCM 41939)를 포함하는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이온화 칼슘은 산화칼슘을 액상화 시킨 것으로, EDTA 킬레이트 칼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 물질은 한천, 젤라검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 단계는 80 내지 100 ℃의 증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탈취제.
KR1020150053167A 2015-04-15 2015-04-15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67A KR101728942B1 (ko) 2015-04-15 2015-04-15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167A KR101728942B1 (ko) 2015-04-15 2015-04-15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84A KR20160123084A (ko) 2016-10-25
KR101728942B1 true KR101728942B1 (ko) 2017-05-30

Family

ID=5744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167A KR101728942B1 (ko) 2015-04-15 2015-04-15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9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62B1 (ko) 2018-08-07 2019-07-01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친환경 융합 발효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 탈취제
KR102035097B1 (ko) 2019-04-29 2019-10-23 주식회사 리뉴바이오 복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155264B1 (ko) 2019-05-07 2020-09-11 조유나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20210062195A (ko) * 2019-11-21 2021-05-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2193A (ko) * 2019-11-21 2021-05-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148A (ko) * 2020-09-17 2022-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150A (ko) * 2020-09-17 2022-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731B1 (ko) * 2021-07-09 2023-10-16 (주)미산이앤씨 악취 저감제 및 악취 저감제 분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56B1 (ko) 2003-04-18 2004-08-05 에코바이오젠주식회사 악취제거용 에멀젼 액상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56B1 (ko) 2003-04-18 2004-08-05 에코바이오젠주식회사 악취제거용 에멀젼 액상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762B1 (ko) 2018-08-07 2019-07-01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친환경 융합 발효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 탈취제
KR102035097B1 (ko) 2019-04-29 2019-10-23 주식회사 리뉴바이오 복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155264B1 (ko) 2019-05-07 2020-09-11 조유나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20210062195A (ko) * 2019-11-21 2021-05-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2193A (ko) * 2019-11-21 2021-05-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242B1 (ko) * 2019-11-21 2021-09-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243B1 (ko) 2019-11-21 2021-09-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148A (ko) * 2020-09-17 2022-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150A (ko) * 2020-09-17 2022-03-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38B1 (ko)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30140B1 (ko) 2020-09-17 2022-08-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84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942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5264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CN106282038A (zh) 一种复合型高效微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734140B1 (ko) 항균 효과를 갖는 탈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796B1 (ko) 악취 제거 또는 저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KR102244422B1 (ko) 복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천연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천연탈취제
CN106731768B (zh) 一种生物酶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1954105A (zh) 一种氧化去除畜禽粪尿臭气的方法
JP2014204955A (ja) 独立栄養微生物を用いる脱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52159A (zh) 一种新型安全高效生物除臭剂及其制作方法
CN103977704A (zh) 一种利用复合微生物菌剂对垃圾进行除臭的方法
KR102086608B1 (ko) 축산 분뇨 악취제거용 탈취제
WO2015093566A1 (ja) 消臭剤とその製造方法
CN105457065A (zh) 一种植物型杀菌增香剂
CN103961735A (zh) 一种微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671577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1662834B (zh) 一种生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993762B1 (ko) 친환경 융합 발효 액상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액상 탈취제
KR20140016115A (ko) 미생물 발효물 및 레몬즙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JP2005130820A (ja) 高温菌を含有する生菌剤
KR102249167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KR101639660B1 (ko) 미네럴과 유황을 이용한 소독 및 탈취제
CN105963745A (zh) 一种猪场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2522159A (zh) 一种用于垃圾投放点异味治理的微生物复配菌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