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193A -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193A
KR20210062193A KR1020190150097A KR20190150097A KR20210062193A KR 20210062193 A KR20210062193 A KR 20210062193A KR 1020190150097 A KR1020190150097 A KR 1020190150097A KR 20190150097 A KR20190150097 A KR 20190150097A KR 20210062193 A KR20210062193 A KR 2021006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deodorant
pest repellen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242B1 (ko
Inventor
김경성
김주용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김주용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인체에 독성을 야기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Solid deodorant included pest repell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인체에 위해성이 없는 천연식물성 추출물로 제조된 해충 기피제 성분을 포함하는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 유해한 해충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취제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 악취를 내는 화학 성분을 특정 반응물질로 분해하거나, 흡착해서 중화시키는 형태로 냄새를 제거하는 제품을 뜻한다.
최근 지카바이러스 등 해충들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해충기피제의 중요성 및 필요성이 대두되고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스프레이형 살충제에는 알레트린, 클로르피리포스라는 독소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화학물질 중 알레트린은, 비염, 두통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클로르피리포스는 인지능력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옷 등에 뿌리는 스프레이형 해충기피제에 포함된 페메트린이라는 성분은 유럽에서 환경호르몬으로 분류되어 금지되고 있으며, 내분비장애 등을 일으키는 등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35447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미생물을 배양하여 제조된 탈취제와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오일을 함침하고, 이를 겔화시켜 안정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젤란검과 베타코코인의 비율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오일이 편백 및 측백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는 페퍼민트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연오일이 라벤다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는 제라늄로즈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제조방법은, 70~80℃ 온도에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 2~5 중량부가 배합되어, 2시간 동안 교반되어지는 1차 교반단계와, 100~110℃온도에서 젤란검이 중탕되어 용해되는 젤란검용해단계와, 상기 1차 교반단계를 거쳐 제조된 혼합물과 상기 젤란검용해단계를 거쳐 용해된 액상상태의 젤란검이 교반되는 2차 교반단계와, 상기 2차 교반단계를 거친 탈취제가 -10℃ 온도의 냉각저장고에서 응고되는 응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에 독성을 야기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다습한 환경 및 여름철 차량내부나, 냉동고, 냉장고와 같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효율 및 해충기피효율이 우수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발급된 시험성적서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계면활성제 6~12 중량부, 휘산보조제인 에틸알코올 16~2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수는, 각종 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탈취제는 친환경 탈취제로, 상기 탈취제는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균주를 배양한 후,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에 재차 이종의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이다.
이러한 탈취제가 34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탈취력이 떨어지고, 38중량부를 초과하게되면, 비교적 해충 기피제가 소량 첨가되어지므로 해충기피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탈취제는, (a) 유기산 생성 미생물을 배양액의 pH가 3~5일 때까지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에서 균체를 제거한 다음,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pH를 9~10으로 조정한 후, 바실러스 속 (Bacillus sp), 아스페르기루스 속(Aspergillus sp) 및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c) 상기 배양액의 pH가 8~85일 때 배양액의 pH를 115~12로 조정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속 및 니트로소모나스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추가로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액의 pH가 10~105일 때 배양액의 pH를 135~14로 조정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고, 바실러스 속, 아스페르기루스 속 및 니트로소모나스 속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추가로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양액의 pH가 12~14일 때 배양을 멈추고 소취제를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젤란검은 식물성 겔화제로서, 본 발명의 탈취제를 고체화시키는 것으로, 상기 젤란검이 1.6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탈취제의 고형화가 불완전해지며, 2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탈취제의 증발속도가 느려서 탈취 및 해충기피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정제수에 다른 성분들이 용해되는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계면활성제가 6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용해도가 저하되고, 12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탈취력이 떨어지고 기포(거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서 베타코코인과 애플워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베타코코인 3~6중량부와 애플워시 3~6중량부가 포함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베타코코인은, 본 발명의 탈취제가 젤란검에 의해 겔화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젤란검은 고형화 과정에서 양이온 물질을 필요로하며, 이러한 베타코코인은 양이온 물질로써, 상기 젤란검과 베타코코인의 비율이 1:2일 경우 가장 안정적인 겔화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온고습한 환경에서도 적용가능한 고형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틸알코올(ethyl alcohol)은 휘산보조제의 역할을 하며, 상기 에틸알코올이 16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본 발명의 탈취제가 충분히 휘산되지 못하여 탈취 및 해충 기피 효과가 낮아지며, 2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알코올 향이 너무 강하여 사용자가 불쾌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천연오일은, 100%순도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탈취제에 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오일로는, 라벤다오일, 편백오일, 측백오일이 사용되며, 상기 천연오일을 8중량부 이하로 첨가하게 되면, 향이 약해지고, 1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필요 이상의 사용량을 사용하게 되므로 가격경쟁력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해충기피제는, 해충을 퇴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해충기피제를 3중량부 이하로 첨가하게 되면, 해충이 싫어하는 냄새가 약해져 해충 퇴치 효과가 감소되며, 7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겔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해충기피제로는 100% 순도를 가지는 제라늄로즈오일, 페퍼민트오일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해충기피제가 7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천연오일을 더 추가하여도 해충퇴치 효과가 상승하지 않으며, 제조 원가는 높아지게 되므로 제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천연오일의 종류에 따라 해충기피제로 사용되는 오일의 종류가 달리되며, 이하에서는 천연오일로서 라벤다오일, 편백오일, 측백오일이 사용됨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한다.
제1 제조 실시례로서, 상기 천연오일이 라벤다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로는 제라늄로즈오일이 사용되며, 상기 라벤다오일과 제라늄로즈오일의 향취가 잘 어울려 제품의 완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세하게, 제1 제조 실시례에 따른 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천연오일로서 라벤다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로서 제라늄로즈오일 3~7 중량부, 계면활성제인 베타코코인 3~6중량부, 계면활성제인 애플워시 3~6중량부, 휘산보조제인 에틸알코올 16~20중량부를 포함한다.
덧붙여, 제2 제조 실시례로서, 천연오일이 편백 및 측백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로는 페퍼민트오일이 사용되며, 상기 편백 및 측백오일은 페퍼민트오일과 향취가 잘 어울려 제품의 완성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상세하게, 제2 제조 실시례에 따른 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천연오일로서 편백오일 또는 측백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로서 페퍼민트오일 3~7 중량부, 계면활성제인 베타코코인 3~6중량부, 계면활성제인 애플워시 3~6중량부, 휘산보조제인 에틸알코올 16~2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조성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 탈취제는 암모니아 및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력을 90% 이상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 2~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의 카스번호(CAS no)는 4719-04-4이며, 상기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이 더 포함됨에 따라 본 발명의 탈취제는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에 대한 탈취력을 90% 이상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가 제조되는 고체탈취제 제조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체탈취제는, 1차 교반단계(S100), 젤란검용해단계(S200), 2차 교반단계(S300), 응고단계(S4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조된다.
먼저, 1차 교반단계(S100)란, 70~80℃ 온도에서, 정제수 100중량부, 탈취제 34~38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 2~5 중량부가 배합되어, 2시간 동안 교반되어지는 단계이다.
상기 1차교반단계에서 각각의 성분들이 교반되는 온도가 70℃ 이하일 경우에는 각각의 성분들이 정제수에 용해되는 용해도가 떨어지며, 8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젤란검용해단계(S200)는, 100~110℃온도에서 젤란검이 중탕되어 용해되는 단계이다.
상기 젤란검용해단계에서, 젤란검이 중탕되는 온도가 100℃ 이하일 경우에는 젤란검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1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2차 교반단계(S300)는, 상기 1차 교반단계(S100)를 거쳐 제조된 혼합물과 상기 젤란검용해단계(S200)를 거쳐 용해된 액상상태의 젤란검이 교반되는 단계이다.
상기 2차 교반단계에서, 상기 혼합물과 젤란검이 교반되면서 겔화가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응고단계(S400)는 2차 교반단계를 거친 탈취제가 -10℃ 온도의 냉각저장고에서 응고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상기 응고단계를 거쳐 완전하게 고체화되어 진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는 인체에 독성을 야기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고온다습한 환경 및 여름철 차량내부나, 냉동고, 냉장고와 같은 저온의 환경에서도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를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0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이 편백 및 측백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는 페퍼민트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오일이 라벤다오일인 경우, 상기 해충기피제는 제라늄로즈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4. 70~80℃ 온도에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천연오일 8~10 중량부, 해충기피제 3~7 중량부, 베타코코인 3~6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 1,3,5-tris(2-hydroxyethyl)hexahydro-1,3,5-triazine 2~5 중량부가 배합되어, 2시간 동안 교반되어지는 1차 교반단계;
    100~110℃온도에서 젤란검이 중탕되어 용해되는 젤란검용해단계;
    상기 1차 교반단계를 거쳐 제조된 혼합물과 상기 젤란검용해단계를 거쳐 용해된 액상상태의 젤란검이 교반되는 2차 교반단계;
    상기 2차 교반단계를 거친 탈취제가 -10℃ 온도의 냉각저장고에서 응고되는 응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제조방법.
KR1020190150097A 2019-11-21 2019-11-21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97A KR102300242B1 (ko) 2019-11-21 2019-11-21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097A KR102300242B1 (ko) 2019-11-21 2019-11-21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93A true KR20210062193A (ko) 2021-05-31
KR102300242B1 KR102300242B1 (ko) 2021-09-09

Family

ID=7615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097A KR102300242B1 (ko) 2019-11-21 2019-11-21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24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764A (ko) * 2006-06-09 200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성겔 방향제 조성물
KR100803503B1 (ko) * 2001-01-23 2008-02-14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소취 방법
KR101319479B1 (ko) * 2011-08-01 2013-10-17 신광섭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KR20140129195A (ko) * 2012-02-20 2014-11-06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를 사용한 살생물제의 항미생물 활성의 증진
JP2015105245A (ja) * 2013-11-29 2015-06-08 白元アース株式会社 防虫消臭剤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70021592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942B1 (ko) * 2015-04-15 2017-05-30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108587A (ko) * 2016-03-18 2017-09-27 이종호 친환경 살균 및 탈취제의 조성물
KR101835447B1 (ko) 2016-04-27 2018-03-08 임정하 친환경 야생동물 기피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03B1 (ko) * 2001-01-23 2008-02-14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소취제 및 소취 방법
KR20070117764A (ko) * 2006-06-09 2007-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수성겔 방향제 조성물
KR101319479B1 (ko) * 2011-08-01 2013-10-17 신광섭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KR20140129195A (ko) * 2012-02-20 2014-11-06 바스프 에스이 중합체를 사용한 살생물제의 항미생물 활성의 증진
JP2015105245A (ja) * 2013-11-29 2015-06-08 白元アース株式会社 防虫消臭剤
KR101728942B1 (ko) * 2015-04-15 2017-05-30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21592A (ko) * 2015-08-18 2017-02-28 허진희 편백잎 추출물, 레몬잎 추출물 및 백차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70108587A (ko) * 2016-03-18 2017-09-27 이종호 친환경 살균 및 탈취제의 조성물
KR101835447B1 (ko) 2016-04-27 2018-03-08 임정하 친환경 야생동물 기피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242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33693C (en) Deodorant composition for abating the odor of organic refuse
EP0728021B2 (fr) Dispositif parfumant pour le parfumage et l'assainissement d'air ambiant
KR101728942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및 그의 제조방법
RU2019140600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бстрат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WO2021189987A1 (zh) 一种农药助剂及其应用
CN107372685A (zh) 一种植物精油固体驱蚊剂及其制备方法
CN106731768B (zh) 一种生物酶除臭剂及其制备方法
CA2584366A1 (en) Method of treating microbial plant diseases with a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ic acid and an anionic surfactant
KR20210062193A (ko)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243B1 (ko)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148A (ko)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EP1421849A4 (en) POWDER LIVING AGENTS FOR PLANTS
WO2022083085A1 (zh) 一种类植物液的环保高效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0833759A (zh) 一种复合酶与植物提取物二合一型除臭剂处方及制备方法
WO2019003413A1 (ja) ゲル状脱臭剤
CN110772957A (zh) 一种植物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20230063163A (ko) 비누베이스를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KR20230076457A (ko) 해충 기피 성분을 포함하는 향균탈취제
MX2010003875A (es) Composición para control de olores.
JP4718049B2 (ja) 消臭剤組成物および消臭方法
KR102058031B1 (ko) 악취제거제 제조 방법
KR102430140B1 (ko)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액상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73500A (ko) 거품성 방향 및 탈취 겔
JP4689092B2 (ja) 消臭用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01241A (zh) 硅酸盐细菌肥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