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813B1 -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 Google Patents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813B1
KR101728813B1 KR1020150117098A KR20150117098A KR101728813B1 KR 101728813 B1 KR101728813 B1 KR 101728813B1 KR 1020150117098 A KR1020150117098 A KR 1020150117098A KR 20150117098 A KR20150117098 A KR 20150117098A KR 101728813 B1 KR101728813 B1 KR 10172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walker
frame
lower frame
cast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308A (ko
Inventor
정종락
Original Assignee
정종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락 filed Critical 정종락
Priority to KR102015011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8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진행시 뿐만아니라 측면 진행시에도 문턱을 넘어가거나 계단에 진입하는 경우에 전복이나 추락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를 수용하는 상부 안착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부 안착부와 상호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휠, 및 하부 프레임에 구비되며, 복수의 캐스터 휠 중 일측의 캐스터 휠이 경사면을 내려가려고 할 때에 바닥과 마찰에 의해 전복 또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Baby walker}
본 발명은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진행시 뿐만아니라 측면 진행시에도 문턱을 넘어가거나 계단에 진입하는 경우에 전복이나 추락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EP 0875185에는 유아용 보행기가 문턱을 넘어가거나 계단에 진입하는 경우 전복 또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때 선행기술문헌의 캐스터 휠은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만 전진하도록 하며, 측면 방향으로 유아용 보행기가 진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문헌에 공개된 안전장치는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행시에 계단에서 추락 또는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에 비해 유아용 보행기는 각 나라의 규제에 따라 전혀 다른 법규가 규제되며, 따라서 유아용 보행기의 캐스터 휠이 어느 일방향으로 고정되지 않고 전방향으로 움직일 때도 있다. 이때,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진하지 않고 측면으로 전진하는 경우에는 계단에서 추락하거나 전복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럽 공개공보 EP 0875185(1998.11.04) 일본 등록공보 JP 3002924(1994.07.27) 미국 등록공보 US 5813681(1998.09.29) 미국 등록공보 US 4579359(1986,04.0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진시 뿐만아니라 측면 방향으로 전진시에도 계단에서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수용하는 상부 안착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부 안착부와 상호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휠, 및 하부 프레임에 구비되며, 복수의 캐스터 휠 중 일측의 캐스터 휠이 경사면을 내려가려고 할 때에 바닥과 마찰에 의해 전복 또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으로 진행시 유아용 보행기의 움직임을 마찰에 의해 방지하도록 하부 프레임의 밑면에 구비되는 프레임 스토퍼, 및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 유아용 보행기의 움직임을 마찰에 의해 방지하도록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내측 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는, 경사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캐스터 휠 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또한, 프레임 스토퍼는, 캐스터 휠이 구비된 양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내측 스토퍼는,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양측으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며,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 전방에 위치한 프레임 스토퍼보다 후측 중앙영역에 위치하여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스토퍼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밀착부, 및 밀착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스토퍼의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부로 구성된다.
또한, 밀착부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높이부는, 하부 프레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2,3 지지부, 및 제1,2,3 지지부의 끼움 결합시에 끼움 결합의 깊이 정도를 결정하는 제1,2,3 위치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2,3 지지부 중 가운데 위치한 제2 지지부는 끼움 결합시 유격 없이 끼움 결합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1,3 지지부는 끼움 결합시 유격이 있도록 끼움 결합되며, 제1,2,3 위치 고정부 중 가운데 위치한 제2 위치 고정부는 끼움 결합시에 제1,3 지지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지지부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제2 지지부를 축으로 스토퍼가 시소식으로 움직여 바닥면과 밀착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용 보행기에 있어서,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에 경사면과 가까운 캐스트 휠을 기준으로 가상선을 형성하는 경우 가상선을 기준으로 후측에 위치하여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유아용 보행기가 경사면으로 진입하여 전복 또는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또한, 가상선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 캐스터 휠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설정되는 수평 가상선이며, 스토퍼는, 유아용 보행기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수직 가상선을 설정하는 경우 수직 가상선상에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진시 뿐만아니라 측면 방향으로 전진시에도 계단에서 추락하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 부재를 돌출되거나 들어가게 할 수 있어 미관상 유려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보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부 및 위치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는 생후 1년 미만(또는 2년 미만)의 유아가 보행기를 타고 높이가 있는 문턱을 지나거나 계단을 향하여 진행하는 경우 전복이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보행기(1)(또는 유아용 보조기)는 대략 상부 안착부(100), 하부 프레임(200), 캐스터 휠(300), 및 지지 프레임(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구성요소는 이미 종래에 공지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간단히 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참조될 수 있다. 먼저, 상부 안착부(100)는 유아를 수용하는 안착부(120)와 상부 프레임(110)으로 구성된다. 상부 안착부(100)는 하부 프레임(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며, 안착부(120)에 수용된 유아의 다리가 지면에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한다. 상부 프레임(110)에는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기 위한 음악 또는 놀이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 휠(30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안착부(100)와 하부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400)에 의해 서로 지지되며, 지지 프레임(400)은 크로스 형태로 상부 안착부(100)와 하부 프레임(200)을 서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200)은 상부 프레임(110)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며, 대략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200), 및 지지 프레임(400)의 재료 및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채택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00)의 하면에는 유아용 보행기가 전복되거나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30)가 구비되며 이하에서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200)의 하면에는 4개의 캐스터 휠(300)이 결합되며, 제1 캐스터 휠(310)은 좌측 상단, 제2 캐스터 휠(320)은 우측 상단, 제3 캐스터 휠(330)은 좌측 하단, 제4 캐스터 휠(340)은 우측 하단에 위치한다. 다만, 좌측 및 우측, 상단 및 하단은 기준점에 대해 상대적인 것으로서 그 기준점 설정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때, 도 2에는 캐스터 휠(300)이 4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많거나 적게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캐스터 휠(300)의 근방에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진 스토퍼(230)가 각각 구비된다. 즉, 제1 캐스터 휠(310) 부근에는 제1,5 프레임 스토퍼(210,215)가 구비되며, 제2 캐스터 휠(320) 부근에는 제2,7 프레임 스토퍼(212,217)가 구비되며, 제3 캐스터 휠(330) 부근에는 제3,6 프레임 스토퍼(213,216)가 구비되며, 제4 캐스터 휠(340) 부근에는 제4,8 프레임 스토퍼(214,218)가 구비된다. 제1,2,3,4 프레임 스토퍼(211,212,213,2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5,6,7,8 프레임 스토퍼(215,216,217,218)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 또는 후방 진행시 전복 또는 추락 방지)
여기서 도 2와 같이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으로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제1,3 캐스터 휠(310,330)이 문턱이나 경사면의 에지를 넘어갈 때 제1,3 프레임 스토퍼(211,213)가 바닥면과 밀착되어(마찰력 또는 밀착력에 의해)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방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용 보행기가 전복되거나 계단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유아용 보행기가 후방으로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제2,4 캐스터 휠(320,340)이 문턱이나 경사면의 에지를 넘어갈 때 제2,4 프레임 스토퍼(212,214)가 바닥면과 밀착되어(마찰력 또는 밀착력에 의해)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용 보행기가 전복되거나 계단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진행시에는 일정 각도(0~90도)를 가지는 방향도 포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 진행시 전복 또는 추락 방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스터 휠(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유아용 보행기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아가 탑승하여 자신의 다리를 이용하여 유아용 보행기를 움직일 때 도 2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또는 도 3과 같이 측면 방향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이때, 측면 방향은 일정 각도(0~90도)를 가지는 방향도 포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유아용 보행기가 도 3과 같이 측면 방향으로 진행시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제5,6,7,8 프레임 스토퍼(215,216,217,218)에 의해서는 계단으로 진입하는 유아용 보행기의 전복 또는 추락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유아용 보행기의 측면 진행시 계단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수많은 실험을 시행한 결과 도 3과 같이 내측 스토퍼(220)를 구비함으로써 추락 또는 전복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스토퍼(220)는 하부 프레임(200)의 내측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프레임 스토퍼(210)는 하부 프레임(200)의 하면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내측 스토퍼(220)는 하부 프레임(200)의 상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결합된다. 이때, 하부 프레임(200)의 내측 가장자리면은 하부 프레임의 중심점에 가까운 면이며, 하부 프레임(200)의 외측 가장자리면은 하부 프레임의 중심점에서 먼 면으로 가정한다.
내측 스토퍼의 일예로서, 도 3과 같이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제1 캐스트 휠(310)과 제2 캐스트 휠(320) 사이에 하부 프레임(200)의 상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구비되며, 제2 내측 스토퍼(222)는 제3 캐스트 휠(330)과 제4 캐스트 휠(340) 사이에 제1 내측 스토퍼(221)와 서로 대응되도록 하부 프레임(200)의 하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결합된다. 제1,2 내측 스토퍼(221,222)는 유아용 보행기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수직 가상선(30)을 설정한 경우 수직 가상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직 가상선은 유아용 보행기를 2등분한 가상의 선이며, 이 수직 가상선상에 제1,2 내측 스토퍼(221,222)의 중앙점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중앙점을 기준으로 제1,2 내측 스토퍼(221,222)가 횡방향으로 구비되게 된다. 또한,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상단 양 측면에 위치한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수평 가상선(20)을 설정한 경우 수평 가상선(20)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수평면상에 제1 내측 스토퍼(221)가 위치하는 경우 계단에서 전복 또는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제1 내측 스토퍼(221)와 마찬가지로 제2 내측 스토퍼(222)도 제3,4 캐스터 휠(330,34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수평 가상선(도면 미도시)을 설정한 경우 수평 가상선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2 내측 스토퍼(222)는 제3,4 캐스터 휠(330,340)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측 스토퍼(221)는 도 3과 같이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방향으로 진행하는 계단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내측 스토퍼(222)는 도 3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유아용 보행기기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수평 가상선(20)은 캐스터 휠(300)이 좀 더 전방으로 당겨져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더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캐스터 휠(300)이 좀 더 후방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더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스토퍼(220)의 구비 위치는 캐스터 휠(300)의 구비 위치에 따라 대응되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제1,2 내측 스토퍼(221,222)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단 내측 가장자리 면과 하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각각 구비되는 내측 스토퍼가 복수개일 수 있다.
내측 스토퍼의 다른 예로서, 도 4와 같이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제1 캐스트 휠(310)과 제2 캐스트 휠(320) 사이에 하부 프레임(200)의 상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가깝게 구비되며, 제2 내측 스토퍼(222)는 제3 캐스트 휠(330)과 제4 캐스트 휠(340) 사이에 제1 내측 스토퍼(221)와 서로 대응되도록 하부 프레임(200)의 하단 내측 가장자리 면에 가깝게 결합된다. 제1,2 내측 스토퍼(221,222)는 유아용 보행기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수직 가상선(30)을 설정한 경우 수직 가상선상을 비껴나 오른쪽 또는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다만, 도 4는 오른쪽으로 치우쳐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왼쪽으로 치우쳐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1,2 내측 스토퍼(221,222)는 수직 가상선과 만나지 않도록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치우쳐저 구비될 수 있다. 수직 가상선은 유아용 보행기를 2등분한 가상의 선이며, 이 수직 가상선상에 제1,2 내측 스토퍼(221,222)가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중앙점을 기준으로 제1,2 내측 스토퍼(221,222)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치우쳐저 횡방향으로 구비되게 된다. 또한,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상단 양 측면에 위치한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수평 가상선(20)을 설정한 경우 수평 가상선(20)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1 내측 스토퍼(221)는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캐스터 휠(310,320)을 기준으로 전방 또는 수평면상에 제1 내측 스토퍼(221)가 위치하는 경우 계단에서 전복 또는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다. 제1 내측 스토퍼(221)와 마찬가지로 제2 내측 스토퍼(222)도 제3,4 캐스터 휠(330,340)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수평 가상선(도면 미도시)을 설정한 경우 수평 가상선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제2 내측 스토퍼(222)는 제3,4 캐스터 휠(330,340)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측 스토퍼(221)는 도 3과 같이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방향으로 진행하는 계단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내측 스토퍼(222)는 도 3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유아용 보행기기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제2 및 제4 프레임 스토퍼(212,214)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스토퍼 부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스토퍼(210) 및 내측 스토퍼(220)는 도 5와 같은 하나의 스토퍼 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230)는 상단에 고무로 이루어지는 밀착부(231)가 구비되고, 밀착부(231) 하부에 스토퍼(230)의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부(232)가 구비된다. 밀착부(231)는 유아용 보행기가 계단 또는 문턱을 넘어가는 경우 바닥면과 마찰을 일으켜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예로서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착부(2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모양으로 주름지게 형성하거나 울퉁불퉁하게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밀착이 더 잘되도록 할 수 있다. 높이부(232)는 기 설정된 스토퍼(230)의 높이를 맞추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이에 준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재작될 수 있다.
스토퍼(230)의 높이(H)는 캐스터 휠(300)의 높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캐스터 휠(300)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지면과의 접촉을 위하여 스토퍼(230)의 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길이(L)는 유아용 보행기의 하부 프레임(200)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대응되어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 스토퍼(210) 및 내측 스토퍼(220)는 동일한 높이와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230) 부재의 길이, 폭, 높이는 대략 14cm, 3,2cm, 4cm가 바람직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터 휠의 높이 및 유아용 보행기의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및 폭에 따라 대응되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스토퍼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d) 떨어진 내측 가장자리 면에 가까운 곳에 구비된다. 이때, 일정 거리(d)는 대략 20 ~ 30c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 부재(230)의 높이부(232)의 내측에는 도 6와 같이 제1 지지부(233a), 제2 지지부(233b), 제3 지지부(233c), 제1 위치 고정부(234a), 제2 위치 고정부(234b), 제3 위치 고정부(234c)가 마련된다. 제1,2,3 지지부(233a,233b,233c)는 높이부(232)의 하측 방향으로 단면이 원으로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플라스틱 등 이에 준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1,2,3 지지부(233a,233b,233c)는 하부 프레임(200)에 형성된 3개의 개구홀(도면 미도시)에 끼움 맞춤 결합된다. 이때, 제1,3 지지부(233a,233c)는 개구홀에 끼움 맞춤 될 때 유격이 있도록 끼움 맞춤 되고, 제2 지지부(233b)는 유격이 없도록 따라서 딱 맞게 끼움 맞춤 결합된다. 또한, 제1,2,3 위치 고정부(234a,234b,234c)는 제1,2,3 지지부(233a,233b,233c)가 개구홀에 끼움 맞춤 될 때 그 높이를 설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제1,2,3 지지부(233a,233b,233c)가 끼움 맞춤 될 때 제2 지지부(233b) 측의 높이가 제1,3 지지부(233a,233c) 측의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며, 제1,3 지지부(233a,233c) 측의 높이는 서로 같도록 한다. 제2 지지부(233b)가 유격 없이 끼움 맞춤 되고, 제1,3 지지부(233a,233c)가 유격 있게 끼움 맞춤 되며, 제2 지지부(233b) 측의 높이가 나머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됨으로써 제2 지지부(233b)를 축으로 스토퍼 부재(230)는 시소식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지면과의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2,3 지지부(233a,233b,233c)는 높이부(23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각각 위치하여 형성되며, 중앙에 위치한 제1,2,3 지지부(233a,233b,233c)의 양측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1,2,3 위치 고정부(234a,234b,234c)가 형성된다. 이때 위치 고정부(234)는 지지부(233)보다 덜 돌출되며, 특히 제2 위치 고정부(234b)는 제1,3 위치 고정부(234a,234c),에 비해 더 돌출됨으로써 끼움 맞춤시 제2 지지부(233b) 측이 더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스토퍼 부재(230)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누름 방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거나 들어가게 할 수 있다. 특히, 내측 스토퍼는 폴딩방식에 의해 수직 상방으로 90도 접을 수 있다. 폴딩이나 누름 방식에 의해 스토퍼 부재를 접거나 들어가게 함으로써 미관을 유려하게 하고 스토퍼 부재가 불필요하게 경계면에 밀착되어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누름 방식 또는 폴딩 방식은 유아용 보행기에 기울기 센서를 설치하고, 유아용 보행기가 기울어지는 경우 기울기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가 스토퍼를 누름 또는 폴딩되도록 구동시킬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유아용 보행기
20 : 수평 가상선
30 : 수직 가상선
100 : 상부 안착부
110 : 상부 프레임
120 : 안착부
200 : 하부 프레임
210 : 프레임 스토퍼
211 : 제1 프레임 스토퍼
212 : 제2 프레임 스토퍼
213 : 제3 프레임 스토퍼
214 : 제4 프레임 스토퍼
215 : 제5 프레임 스토퍼
216 : 제6 프레임 스토퍼
217 : 제7 프레임 스토퍼
218 : 제8 프레임 스토퍼
220 : 내측 스토퍼
221 : 제1 내측 스토퍼
222 : 제2 내측 스토퍼
230 : 스토퍼
231 : 밀착부(고무)
232 : 높이부
233 : 지지부
233a : 제1 지지부
233b : 제2 지지부
233c : 제3 지지부
234 : 위치 고정부
234a : 제1 위치 고정부
234b : 제2 위치 고정부
234c : 제3 위치 고정부
300 캐스터 휠
310 : 제1 캐스터 휠
320 : 제2 캐스터 휠
330 : 제3 캐스터 휠
340 : 제4 캐스터 휠
400 : 지지 프레임

Claims (10)

  1. 유아용 보행기에 있어서,
    유아를 수용하는 상부 안착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상기 상부 안착부와 상호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며, 전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 휠,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캐스터 휠 중 일측의 캐스터 휠이 경사면을 내려가려고 할 때에 바닥과 마찰에 의해 전복 또는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밑면에 구비되는 프레임 스토퍼,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내측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진행시 상기 전방에 위치한 프레임 스토퍼보다 후측 중앙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후측 중앙영역을 비껴나 구비되어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스토퍼는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전방으로 진행시 상기 유아용 보행기의 움직임을 마찰에 의해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밑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 상기 유아용 보행기의 움직임을 마찰에 의해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경사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한 캐스터 휠 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스토퍼는,
    상기 캐스터 휠이 구비된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토퍼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양측으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 상기 전방에 위치한 프레임 스토퍼보다 후측 중앙영역에 위치하거나 상기 후측 중앙영역을 비껴나 구비되어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바닥면과 밀착되어 마찰력을 제공하는 밀착부, 및
    상기 밀착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의 높이를 결정하는 높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고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1,2,3 지지부, 및
    제1,2,3 지지부의 끼움 결합시에 끼움 결합의 깊이 정도를 결정하는 제1,2,3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지지부 중 가운데 위치한 제2 지지부는 끼움 결합시 유격 없이 끼움 결합되고, 양측에 위치한 제1,3 지지부는 끼움 결합시 유격이 있도록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2,3 위치 고정부 중 가운데 위치한 제2 위치 고정부는 끼움 결합시에 상기 제1,3 지지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 지지부측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지지부를 축으로 상기 스토퍼가 시소식으로 움직여 바닥면과 밀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9. 유아용 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측면으로 진행시에 경사면과 가까운 캐스트 휠을 기준으로 가상선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가상선을 기준으로 후측에 위치하여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유아용 보행기가 상기 경사면으로 진입하여 전복 또는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가상선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한 캐스터 휠을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설정되는 수평 가상선이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유아용 보행기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수직 가상선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수직 가상선상에 구비되거나 상기 수직 가상선상을 벗어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10. 삭제
KR1020150117098A 2015-08-20 2015-08-20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KR10172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98A KR101728813B1 (ko) 2015-08-20 2015-08-20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98A KR101728813B1 (ko) 2015-08-20 2015-08-20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24A Division KR20170040160A (ko) 2017-04-03 2017-04-03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08A KR20170022308A (ko) 2017-03-02
KR101728813B1 true KR101728813B1 (ko) 2017-04-20

Family

ID=5842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098A KR101728813B1 (ko) 2015-08-20 2015-08-20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173A (zh) * 2018-10-18 2019-01-04 李良杰 智能学步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48702Y (zh) * 1998-08-07 1999-11-17 卢立伟 学步车可控制安全轮座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359A (en) 1984-07-27 1986-04-01 Dorel Co. Ltd. Baby walker with safety brake
JP3002924B2 (ja) 1992-04-08 2000-01-24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US5813681A (en) 1996-04-17 1998-09-29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walker
GB9708550D0 (en) 1997-04-28 1997-06-18 Petite Star Products Ltd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48702Y (zh) * 1998-08-07 1999-11-17 卢立伟 学步车可控制安全轮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308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219B2 (en) Footrest for car seat
US8727191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having a tray mounted with a cup holder
KR101728813B1 (ko)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TW201336549A (zh) 可揚升及收折的跑步機
KR101814504B1 (ko) 전복 방지 기능을 강화한 유아용 보행기
KR20170040160A (ko) 스토퍼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KR101896189B1 (ko)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KR101783202B1 (ko) 스토퍼 어셈블리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KR101435508B1 (ko) 유아용 이동기구
TWI598064B (zh) 具有刹車裝置的嬰兒學步車
KR20100013891A (ko) 경사면 및 계단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KR200291404Y1 (ko) 의자가 장착된 미끄럼틀
KR102308399B1 (ko) 유모차
JP3709546B2 (ja) 自転車用サドル
JP2005296606A (ja) 車椅子
KR20220110934A (ko) 보행기의 추락방지장치
JP2000197536A (ja) ロビ―チェアにおけるフットレスト装置
JP4915790B2 (ja) スライドステップ用キャスター構造
CN106805577A (zh) 具有刹车装置的婴儿学步车
KR101619368B1 (ko) 어린이용 승용 장치
CN201911705U (zh) 儿童增高座
JP2005040560A (ja) 歩行器兼椅子
FI125294B (fi) Ajoneuvon istuin
KR101758015B1 (ko) 스텝자전거
JP2832889B2 (ja) スクーターのフートプレ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