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368B1 - 어린이용 승용 장치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승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368B1
KR101619368B1 KR1020140044263A KR20140044263A KR101619368B1 KR 101619368 B1 KR101619368 B1 KR 101619368B1 KR 1020140044263 A KR1020140044263 A KR 1020140044263A KR 20140044263 A KR20140044263 A KR 20140044263A KR 101619368 B1 KR101619368 B1 KR 10161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eat portion
guide
disp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640A (ko
Inventor
정병천
정진범
Original Assignee
(주)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디 filed Critical (주)이디
Priority to KR102014004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368B1/ko
Priority to PCT/KR2015/003737 priority patent/WO2015160174A1/ko
Publication of KR2015011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라 변형 가능한 유아용 승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승용 장치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서 변위되고,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구속되어 상기 상기 시트부가 전방 측과 후방 측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1 안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운동하는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일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이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는 측면 안내부; 및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변위될 때 상기 시트부가 상기 후방 측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동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승용 장치{Vehicle device for child}
본 발명은 어린이용 승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부터 어린이의 성장에 따라 변형 가능한 유아용 승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세에서 8 세 사이의 유아 또는 어린이(이하, 통칭하여 유아라 한다)들은 외출시 도보로 유아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유모차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유아에게 그 성장에 맞추어 다리의 근력을 기르는 운동을 시켜주기 위해서는, 세발 자전거 또는 모형 자동차와 같은 승용 완구들이 필요하다. 통상적으로 만 2 세 이상의 유아부터는 그 성장에 맞추어 안전한 이동 수단과 운동 효과라는 2 가지 요구가 동시에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2 가지 요구를 동시에 만족하는 승용 장치가 상용화된 예가 없다. 또한, 이동 수단과 운동 효과라는 2가지의 겸유 방식이 있다 하더라도 유아의 성장에 따른 신장 변화에 적응성이 없어 사용 연한이 짧거나 2 가지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모차 또는 승용 완구들은 유아들이 탑승시에 안전한 착석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유아가 잠을 자는 상황에 대비하여,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아이가 깨어 있거나 활동할 때에는 등받이가 세워져야 하고, 아이가 잘 때에는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가 뒤로 젖혀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발 자전거에 적용되는 자전거 시트에서는 시트의 등받이가 젖혀지는 것과 같은 구성이 상용화된 예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신장 변화에 적응성을 가짐으로써 사용 연한이 길고, 승용 완구로서뿐만 아니라 유모차와 같이 탑승시에 안전한 착석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유아가 잠을 자는 상황에 대비하여,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유아용 승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승용 장치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서 변위되고,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구속되어 상기 상기 시트부가 전방 측과 후방 측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1 안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운동하는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일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이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는 측면 안내부; 및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변위될 때 상기 시트부가 상기 후방 측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변위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단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편심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안내부의 상기 제 1 안내부 또는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결합되는 트렌치 레일 또는 관통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로드 부재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제 1 부분을 관통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가 제한된 길이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제 1 부분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로드부가 관통하는 깊이의 탄성적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2 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접촉하는 내부 영역에 요철 패턴, 물결 패턴 또는 홈 패턴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스토퍼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승용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동안 상기 회동축이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축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은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돌출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회동축 안내부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로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제 2 부분을 관통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가 제한된 길이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변위되는 상기 제 1 부분의 궤적과 상기 회동축 안내부를 따라 변위되는 상기 제 2 부분의 궤적은 상기 시트부가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내부는 직선형이고,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측면 안내부가 제공되고, 시트부의 제 1 부분이 상기 측면 안내부에 구속되어 변위되고 상기 시트부의 제 2 부분이 회동축에 의해 구속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시트부의 변위와 젖힘 동작이 가능한 유아용 승용 장치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상기 유아용 승용 장치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신장 변화에 적응성을 가짐으로써 사용 연한이 길고, 승용 완구로서뿐만 아니라 유모차와 같이 유아 탑승시에 안전한 착석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유아가 잠을 자는 상황에 대비하여, 시트부의 등받이 각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프레임 상에서 변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부를 갖는 유아용 승용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시트부의 배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측면 안내부와 회동축을 도시하고, 도 3b는 측면 안내부와 회동축의 상호 작용에 의한 시트부의 젖힘 동작을 도시하며, 도 3c 및 도 3d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안내부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측면 안내부와 회동축 안내부를 도시하며, 각각 시트부의 변위와 젖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프레임(10) 상에서 변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부(8)를 갖는 유아용 승용 장치(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된 프레임(10)을 갖는다. 프레임(10)에는 전륜(5_1)과 후륜(5_2)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륜(5_1)은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핸들 샤프트(6S)에 결합될 수 있다. 후륜(5_2)은 프레임(10)에 고정된 후륜 지지대(5S)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후륜 지지대(5S)는 프레임과 일체화되거나, 별개의 구성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륜(5_1)과 후륜(5_2)의 개수는 적절히 선택되어, 유아용 승용 장치(1)는 2륜 또는 3륜 자전거, 또는 3륜 또는 4륜 유모차가 될 수 있다. 전륜(5_1)은 페달(5P)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유아가 직접 페달(5P)을 구동하여 타는 것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뒤에서 손잡이(7)를 미는 것에 의해서도 운행이 가능하다. 손잡이(7)는 손잡이 샤프트(7S)에 의해 고정되고, 링크 부재 또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핸들 샤프트(6S)에 결합되어 보호자가 직접 유아용 승용 장치(1)를 조향할 수 있다.
프레임(10) 상에 유아의 승차를 위한 시트부(8)가 탑재된다. 시트부(8)는 프레임(10)에 구속되어,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측으로 이동하거나 다시 후퇴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부(8)의 운동에 대하여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시트부(8)는 전륜(5_1)과 최대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시트부(8)가 프레임(10) 상에서 후방 쪽으로 최대 이동한 상태에 있다.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8)는 프레임(10) 상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도 1b는 시트부(8)가 전방 쪽으로 최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시트부(8)의 이동은 시트부(8)와 프레임(10)을 분리시킨 후 프레임(10) 상에서 이동한 후 고정시키는 방식이 아니고, 시트부(8)가 프레임(1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부(8)는 전륜(5_1)과 후륜(5_2) 측 사이에서 변위됨으로써 시트부(8)와 페달(5P)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어,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시트부(8)에 탑승한 유아의 성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낸 위치에 시트부(8)가 있는 경우,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유아의 연령이 낮아 신장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고, 도 1a에 나타낸 위치에 시트부(8)가 있는 경우,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유아가 성장하여 신장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승용 장치(1)는 변위 가능한 시트부(8)에 의해 유아의 성장 주기에 따른 신장 변화에 대응하여 사용 연한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b의 화살표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8)는 프레임(10) 상의 소정 위치에서 회동하여, 시트부(8)가 후방 측으로 젖혀질 수 있다. 도 1c는 후방 측으로 젖혀진 시트부(8)를 도시한다. 유아가 잠을 자거나 어린 경우, 유아용 승용 장치(1)는 유아가 안정되고 편안한 자세로 쉴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부(8)가 후방 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이러한 휴식 자세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아용 승용 장치(1)는 발판(5S)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트부(8)와 함께 유아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한다. 시트부(8)의 회동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8)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시트부(8)의 배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시트부(8)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부(8)는 프레임(8) 상에 구속되는 하부 구조(8_1)와 하부 구조(8_1)에 지지되어 엉덩이 받침 및/또는 등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상부 구조(8_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면 시트부(8)는 단일 바디로 구성되거나 3 이상의 파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부(8)에는 차양막(9_1)과 안전 벨트(9_2)와 같은 편의 및 안전 시스템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시트부(8)는 점선으로 표시된 2 개의 부분, 즉, 제 1 부분(8_2a)과 제 1 부분(8_2a)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8_2b)을 포함한다. 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은 프레임(10) 상에서 시트부(8)의 변위와 회동을 위해 프레임(1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은 프레임(10)과 접하는 위치에 프레임(10)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시트부(8)의 일부인 제 1 부분(8_2a) 또는 제 2 부분(8_2b)이 상기 돌출부를 통하여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을 지칭한다.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시트부(8)의 일부인 제 1 부분(8_2a) 또는 제 2 부분(8_2b)에 별도의 부재가 적용되어 상기 돌출부가 제공되고, 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이 상기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을 지칭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시트부(8)는 상기 돌출부로서 로드 부재들(8R_1, 8R_2)을 개시하고, 시트부(8)가 로드 부재들(8R_1, 8R_2)에 의해 간접적으로 프레임(10)과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는, 제 1 부분(8_2a) 또는 제 2 부분(8_2b)이 프레임(1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돌출부를 개시하고 있지만, 반대로 프레임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시트부(8)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구속하는 상대적인 패턴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로드 부재들(8R_1, 8R_2)은 각각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 및 제 2 부분(8_2b)을 관통하여 프레임(10)과 접촉하여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을 프레임(10)에 결합시킨다. 도 2b를 참조하면, 로드 부재들(8R_1, 8R_2)은 볼트와 같이 각각 헤드부(H1, H2)와 로드부(R1, R2)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시트부(8)에 제한된 길이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들 로드 부재들(8R_1, 8R_2)은 예시적이며,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 및 제 2 부분(8_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체로 돌출되어 프레임(10)과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된 로드 부재들(8R_1, 8R_2)은 시트부(8)에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 부재들(8R_1, 8R_2)의 헤드부(H1, H2)를 잡아 당기면, 관통된 로드부(R1, R2)가 밖으로 후퇴하고, 다시 헤드부(H1, H2)를 놓으면 로드부(R1, R2)가 탄성적으로 전진하여 시트부(8)를 프레임(10)의 해당 부위에 고정시킨다. 또는, 로드부(R1, R2)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이의 후퇴와 전진을 헤드부(H1, H2)를 회전시킴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의 측면 안내부(11A)와 회동축(11S)을 도시하고, 도 3b는 측면 안내부(11A)와 회동축(11S)의 상호 작용에 의한 시트부(8)의 젖힘 동작을 도시하며, 도 3c 및 도 3d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측면 안내부(11B, 11C)를 도시한다.
도 3a와 함께 도 3b를 참조하면, 프레임(10)의 일 측부 상에 측면 안내부(11A)가 형성된다. 도 3a에서 보이지 않는 반대 측부에도 대칭 형상을 갖는 측면 안내부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측면 안내부(11A)는 제 1 안내부(11_1)와 제 1 안내부(11_1)에 연결된 제 2 안내부(11_2)를 포함한다. 제 1 안내부(11_1)와 제 2 안내부(11_2)는 시트부(도 2a의 8)의 제 1 부분(8R_1)을 구속하여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프레임(10) 상에서 변위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 1 안내부(11_1) 및 제 2 안내부(11_2)는 프레임(10)의 일 측부 상에 형성된 트렌치 레일 또는 관통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트렌치 레일 형의 안내부들(11_1, 11_2)을 개시한다. 상기 트렌치 레일은 프레임(10)의 측부 일부(11S)를 소정 깊이만큼 리세스시키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2 개의 댐 패턴들(11d_1, 11d_2)을 형성하거나, 이를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시트부(8)의 돌출부가 제 1 안내부(11_1)로 인입하기 위한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a는 제 1 안내부(11_1)에 형성된 유도부를 개시한다.
댐 패턴들(11d_1, 11d_2)에 의해 정의된 내부 영역(11S), 즉,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서만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구속되어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8R_1)에 결합된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도 2b의 R1 참조)는 댐 패턴들(11d_1, 11d_2)에 의해 내부 영역(11S)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속된다. 즉,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R1)가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서만 변위되고, 제 1 안내부(11_1) 밖으로는 벗어나지 못한다. 그에 따라,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점선 T1은 제 1 안내부(11_1)에 의한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변위시 궤적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8)가 후방측에 있는 경우에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에 결합된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R)는 점선 R1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것이다. 시트부(8)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R)는 점선 R2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것이다.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R)가 점선 R2 위치에 있을 때가 도 1b에 표시된 시트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페달(도 1a의 5P 참조)과 시트부(8)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며, 유아의 신장이 가장 작을 때 적용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변위시 궤적의 거리는, 예를 들면, 30 mm 내지 150 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유아용 승용 장치는 탑승하는 유아의 신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안내부(11_1)에 의해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변위하면, 시트부(8)의 제 2 부분(8R_1)도 변위할 것이다. 제 2 부분(8R_2)에 로드 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된 경우, 로드 부재(8R_2)의 일 단부(R2)는 점선 T2를 따라 변위할 수 있을 것이다. 점선 RS 및 RP는 각각 다른 로드 부재(8R_1)의 이동 위치인 Ra 및 Rb에 대응하는 로드 부재(8R_2)의 로드부(R2)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제 1 안내부(11_1)는 직선형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안내부(11_1)는 프레임(10)의 상부쪽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궤적 T1은 프레임(10)의 상부쪽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으며,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은 전방과 후방 사이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변위될 것이다.
제 2 안내부(11_2)는 제 1 안내부(11_1)의 전방 측 단부(11X)로부터 연장되며,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예를 들면, 로드 부재(8R_1)에 의해 구속되어 변위되도록 한다. 점선 T2는 제 2 안내부(11_2)에 의한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또 다른 궤적을 나타낸다. 점선 T2의 궤적은, 제 1 안내부(11_1)의 전방측 단부에서의 점선 T1의 접선(TL)의 방향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일 방향으로 진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점선 T2의 궤적은 회동축(11S)을 중심으로 각도 θ의 중심각과 반지름 r을 갖는 원호일 수도 있다. 각도 θ는 예를 들면, 10 ° 내지 35 °의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축(11S)은 시트부(8)의 제 2 부분(8R_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부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축(11S)은 시트부(8)의 제 2 부분(8_2b)에 관통 결합된 로드 부재(8R_2)의 로드부(R2)일 수도 있다.
회동축(11S)은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적합한 회전 안내 부재(11P)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고리형의 회전 안내 부재(11P)를 비제한적으로 예시한다.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제 2 안내부(11_2)를 따라 원호인 점선 T2를 따라 변위하면, 회동축(11S)에 의해 시트부(8)의 제 2 부분(8R_2)이 고정된 채로 회전하면서, 시트부(8)이 등판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점선 T2는 원호가 아닌 제한적 길이를 갖는 직선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선 T2의 궤적이 정의될 수 있도록 제 2 안내부(11_2)는 트렌치 패턴 또는 관통 슬릿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제 2 안내부(11_2)는 영역(11S)이 리세스된 트렌치 패턴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안내부(11_2)에는 표면에는 스토퍼 패턴으로서 요철 패턴 또는 물결 패턴을 두어 제 2 안내부(11_2)를 따라 움직이는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변위에 단계적인 스토핑을 제공하여 시트부(8)에 불연속적인 접힘 각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제 2 안내부(11_2)는 후술하는 제 1 안내부(11_1)의 홈 패턴과 유사하게 스토퍼 패턴으로서 홈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 안내부(11B)는 스토퍼 패턴으로서 제 1 안내부(11_1)의 내측 영역(11S)에 형성된 복수의 이격된 홈들(11H)을 포함할 수 있다. 홈들(11H)에는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에 결합된 로드 부재(8R_1)의 일 단부(R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로드 부재(8R_1)이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에 탄성 결합되어 로드 부재(8R_1)의 헤드(H1)를 시트부(8) 밖으로 잡아 당기면 로드 부재(8R_1)의 로드부(R1)일 단부가 홈들(11H)로부터 분리되고, 시트부(8)는 프레임(10) 상에서 제 1 안내부(11_1)에 구속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자유롭게 변위될 수 있다. 보호자는 유아의 신장을 고려하여 시트부(8)를 전륜(5_1)과 시트부(8) 사이의 거리가 적당하다고 여기는 위치에 시트부(8)를 위치시킨 후, 잡아 당긴 로드 부재(8R_1)를 다시 놓으면 로드 부재(8R_1)는 탄성적으로 복원되고 로드 부재(8R_1)의 로드부(R1)의 일 단부가 홈들(11H)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삽입되면서 시트부(8)는 그 위치에서 변위가 안되는 잠김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안내부(11_1)의 홈들과 같은 패턴 대신에 요철 패턴 또는 물결 패턴을 두어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 움직이는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의 변위에 단계적인 잠김 상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2 안내부(11_2)에도 홈들, 요철 패턴 또는 물결 패턴을 형성하여 불연속적인 접힘 각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안내부(11_1)의 전방 측 단부(11x)에 제 2 안내부(11_2)가 연장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안내부(11_2)는 하나가 아닌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변위되는 2 이상의 이산적인 지점들마다 제 2 안내부(11_2)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안내부(11_1)의 내측 영역(11S)에 형성된 복수의 이격된 홈들(11H)마다, 3 개의 제 2 안내부들(11_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3d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 변위하면서 각 지점, 예를 들면, 홈들(11H)에서각 제 2 안내부(11_2)를 따라 변위하면 각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동축(R2)에 의해 시트부(8)의 제 2 부분(8R_2)이 고정된 채로 회전하면서, 시트부(8)의 등판이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지점들에서 로드 부재(R2)가 변위 없이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축 안내부(12)의 내부 측벽에 홈들, 요철 패턴 또는 물결 패턴(미도시)을 형성하여 불연속적이고 단계적인 젖힘 각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의 측면 안내부(11C)와 회동축 안내부(12)를 도시하며, 각각 시트부(8)의 변위와 젖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와 함께 도 4b를 참조하면, 프레임(10)의 일 측부 상에 측면 안내부(11C)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안내부(11C)는 전술한 측면 안내부이다. 도 4a에서 보이지 않는 반대 측부에도 대칭적인 측면 안내부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측면 안내부(11C)는 제 1 안내부(도 3a의 11_1)와 제 1 안내부(11_1)에 연결된 제 2 안내부(11_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안내부(11_1)와 제 2 안내부(11_2)는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을 구속하여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프레임(10) 상에서 변위되도록 하는 것이다.
시트부(80)의 제 1 부분(8R_1)이 프레임(10) 상에서 전방과 후방 사이에서 제 1 안내부(11)를 따라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되는 동안, 회동축, 예를 들면, 시트부(8)의 제 2 부분(8_2b)에 결합된 로드 부재(8R_2)도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축 안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8R_1)의 궤적과 회동축 안내부(12)를 따라 변위되는 회동축(8_2b)의 궤적은 서로 평행하도록 회동축 안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안내부(11C)의 제 1 안내부(11_1)가 직선형인 경우, 회동축 안내부(12)는 제 1 안내부(11_1)와 동일하게 직선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안내부(11_1)는 프레임(10)의 상부쪽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회동축 안내부(12)도 제 1 안내부(11_1)를 따라 상부쪽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선형일 수 있다.
회동축 안내부(12)는 프레임(10) 상에 형성된 트렌치 레일 또는 관통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관통 슬릿을 갖는 회동축 안내부(12)를 개시한다. 상기 관통 슬릿은 프레임(10)의 측부 일부를 관통하여 제공되거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상부 상에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측면 안내부(11C)와 회동축 안내부(12)에 의해 시트부(8)의 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이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프레임(10)을 따라 시트부(8)가 후방과 전방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시트부(8)의제 1 부분(8_2a)과 제 2 부분(8_2b)은 지면으로부터 단일 수직 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편심된다. 이 경우, 시트부는 덜컹거림없이 프레임(10)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탑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면, 시트부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단일 수직 선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지면으로부터 연직 선상에서 시트부(8)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에 관통 결합된 로드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다.
회동축으로서 기능하는 로드 부재(8R_2)가 소정 위치에서 변위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적합한 회전 안내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동축 안내부(12)가 상기 회전 안내 부재의 기능을 겸유한다. 이를 위해, 제 1 안내부의 전방측 단부에 제 1 부분이 위치할 때, 제 2 부분에 결합된 회동축이 위치하는 영역은 회동축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형 단면의 회동축을 둘러쌀 수 있는 원형 내주를 가질 수 있다. 회동축(10S)에 의해 시트부(8)의 제 2 부분(8R_2)이 고정된 채로 회전하면서 시트부(8)의 제 1 부분(8R_1)이 제 2 안내부(11_2)를 따라 점선 T2와 같이 변위하면 시트부(8)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관통 슬릿 형태의 회동축 안내부를 개시하고 있지만, 트렌치 레일 구조 또는 다른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 자전거는 예시적이며, 동승하는 유아를 위한 등받이 조절 시트가 결합된 유모차, 자동차 완구 또는 이러한 특징을 겸유하는 다른 하이브리드 승용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세발 자전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서 변위되고,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구속되어 상기 상기 시트부가 전방 측과 후방 측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1 안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운동하는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일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이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는 측면 안내부;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변위될 때 상기 시트부가 상기 후방 측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동축;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동안 상기 회동축이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축 안내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변위되는 유아용 승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은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전륜 측 단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지면으로부터 단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편심된 위치인 유아용 승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안내부의 상기 제 1 안내부 또는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결합되는 트렌치 레일 또는 관통 슬릿을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로드 부재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제 1 부분을 관통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가 제한된 길이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갖는 유아용 승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제 1 부분에 탄성 결합되어, 상기 로드부가 관통하는 깊이의 탄성적 조절이 가능한 유아용 승용 장치.
  9.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탑재되고, 상기 프레임에 구속되어 상기 전방과 상기 후방 사이에서 변위되고,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시트부;
    상기 프레임의 일 측부 상에 제공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구속되어 상기 상기 시트부가 전방 측과 후방 측 사이에서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1 안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운동하는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일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이 변위되도록 안내하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는 측면 안내부; 및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제 1 안내부의 상기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변위될 때 상기 시트부가 상기 후방 측으로 젖혀지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상기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제 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안내부의 상기 제 1 안내부 또는 제 2 안내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결합되는 트렌치 레일 또는 관통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내부 및 상기 제 2 안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돌출부가 접촉하는 내부 영역에 요철 패턴, 물결 패턴 또는 홈 패턴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스토퍼 패턴을 포함하는 유아용 승용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프레임과 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돌출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회동축 안내부에 구속되는 유아용 승용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 2 부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로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제 2 부분을 관통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가 제한된 길이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헤드부를 갖는 유아용 승용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변위되는 상기 제 1 부분의 궤적과 상기 회동축 안내부를 따라 변위되는 상기 제 2 부분의 궤적은 상기 시트부가 상기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서로 평행한 유아용 승용 장치.
  14. 제 1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내부는 직선형이고, 상기 제 2 안내부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인 유아용 승용 장치.
  15. 제 1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승용 장치는 이륜 자전거, 세발 자전거 또는 유모차인 유아용 승용 장치.
KR1020140044263A 2014-04-14 2014-04-14 어린이용 승용 장치 KR10161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63A KR101619368B1 (ko) 2014-04-14 2014-04-14 어린이용 승용 장치
PCT/KR2015/003737 WO2015160174A1 (ko) 2014-04-14 2015-04-14 어린이용 승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263A KR101619368B1 (ko) 2014-04-14 2014-04-14 어린이용 승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40A KR20150118640A (ko) 2015-10-23
KR101619368B1 true KR101619368B1 (ko) 2016-05-11

Family

ID=5432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263A KR101619368B1 (ko) 2014-04-14 2014-04-14 어린이용 승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9368B1 (ko)
WO (1) WO20151601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71B1 (ko) 2012-10-08 2014-02-27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용 세발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2347A (ko) * 2005-08-04 2005-09-21 (주)새싹 시트체가 곡선운동이 유도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트
KR101268358B1 (ko) * 2012-08-28 2013-06-04 조용훈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771B1 (ko) 2012-10-08 2014-02-27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용 세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40A (ko) 2015-10-23
WO2015160174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751A (en) Reclining restraint (smart move)
AU2014340935B2 (en) Footrest for car seat
JP200502244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A2960452A1 (en) A head restraint
KR101270826B1 (ko) 빌트인 타입의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차량시트
KR101619368B1 (ko) 어린이용 승용 장치
CN217227351U (zh) 一种靠背可调的儿童安全座椅
KR20120010102A (ko) 육아 기구의 좌석 구조 및 자동차용 어린이 시트
TWI765773B (zh) 旋轉式座椅及具有該座椅的載具
CN205469515U (zh) 一种带安全扶手的儿童电动车
CN206436870U (zh) 一种儿童座椅的安全带调节装置
KR20160001873A (ko) 폭가변부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JP6374749B2 (ja) ベビーカー
JP6578264B2 (ja) 自転車用子供乗せ
KR102122866B1 (ko) 향상된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카시트
CN216401220U (zh) 一种便携式可折叠的儿童安全座椅
CN215663787U (zh) 儿童玩具车
JP6938071B1 (ja) 乳母車
JPH0537735Y2 (ko)
CN205256076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
KR200282291Y1 (ko) 유아용 안전시트의 회전장치
JP2018068893A (ja) 育児器具の座席マット
KR101357066B1 (ko) 유모차용 라이더
KR20150090477A (ko) 회전구조를 갖는 유아용 자전거용 안장
CN205256071U (zh) 一种汽车儿童座椅的角度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