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477B1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477B1
KR101727477B1 KR1020160073805A KR20160073805A KR101727477B1 KR 101727477 B1 KR101727477 B1 KR 101727477B1 KR 1020160073805 A KR1020160073805 A KR 1020160073805A KR 20160073805 A KR20160073805 A KR 20160073805A KR 101727477 B1 KR101727477 B1 KR 101727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parts
hair growth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중
Original Assignee
민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만호 filed Critical 민만호
Priority to KR102016007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성분 추출물과 전분 및 천연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광천수를 조화시킨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생약성분으로 창포뿌리 및 감초와 감자전분, 천연 광천수의 미네랄을 조합하여 두피에 대하여 안전하면서도 친화성과 흡수력이 우수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에 유효한 성분과 천연 미네랄성분을 조화시킨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두피가 변화 내지 손상됨으로써 발생하며, 탈모의 요인으로 호르몬영향에 의한 유전적 요인, 대기오염, 자외선, 건조한 바람, 모발관리를 위한 세제(샴푸), 염색, 드라이, 퍼머 등에 따른 외부적 요인 및 신체적 질병, 노화의 진행, 정신적 스트레스 등의 내부적 요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탈모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해 모발 성장을 자극하거나 탈모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성 호르몬제, 혈류 촉진제 등에 의한 약물요법으로 여러 유형의 탈모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으며, 또한 천연 생약추출물로 이루어진 발모제에 의한 천연요법, 두피에 원적외선 조사 내지 물리적 자극을 주어 탈모예방 및 발모를 유도하는 두피관리요법 등에 대해서도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어느 하나의 증상에만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로서 전체적으로 두피 및 모발 상태를 개선시키기에는 다소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발모제, 두피의 노폐물 세척과 인위적인 영양물 공급에 의해 탈모를 예방 또는 완화하는 위한 피부외용제, 천연세제(샴푸)등에 관심이 높아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선행기술을 예로 들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2736호에 연근, 연잎, 홍삼, 비타민나무잎 및 줄기, 감잎, 측백, 생강, 로즈마리, 검정콩, 검정깨, 알로에, 뽕잎, 와송,당귀, 녹차, 솔잎, 박하, 하수오, 블루베리, 석창포 및 마늘을 포함하는 생약재를 숙성기에 넣어 65 ~ 95℃에서 재료에 따라 3~21일간 보온숙성한 뒤 증류수 또는 연수를 넣고 달여서 얻어지는 생약숙성탕액을 첨가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천연샴푸를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2224호에 황금 및 자몽 종자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황금 및 자몽 종자 추출액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상기 황금 및 자몽 종자 추출액의 건조 분말을 1 ~ 2: 1(w:w)의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황금 및 자몽 종자 추출액의 건조 분말 혼합물을 샴푸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 20.0%의 함량으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항균 샴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29762호에 한련초, 측백엽, 조협, 편백, 영지버섯 및 반하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 예방개선용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 제형의 피부외용제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유효성분을 함유한 천연 식물성분과 천연 미네랄성분을 조화시켜 모발성장에 필요한 유효성분의 경피흡수를 촉진하고,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유효성분과 천연 미네랄성분을 조화시킨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천연 식물성분으로 창포뿌리 및 감초의 추출물과 천연 미네랄성분이 함유된 광천수를 조화시킨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창포뿌리와 감초의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도당 8 ~ 10중량부, 백설탕 8 ~ 10중량부, 식이섬유 0.01 ~ 0.02중량부, 감자전분 25 ~ 30중량부, 당알콜 5 ~ 10중량부 및 붕산 30 ~ 35중량부로 조성된 활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정광천수 500 ~ 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활성성분으로 조성되는 창포뿌리는 창포과의 다년생 초본인 창포(Acdrus asiaticus)의 뿌리이며, 예로부터 오월 단오절에 창포뿌리와 잎을 우려 머리를 감은 경우, 머리에 윤기가 나고 잘 빠지지 않게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감초와 함께 열수로 추출한 추출액을 활성성분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초도 한방에 널리 알려진 한약재이며, 본 발명에서는 창포뿌리 100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20 ~ 30중량부로 조성하여 열수 추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으로 조성하는 포도당, 백설탕은 모발성장에 영양성분으로 작용하며, 식이섬유 및 감자전분은 수팽윤 내지 겔화작용으로 점성에 의해 두피 내지 모발표면에 얇은 코팅층을 형성하여 활성성분이 두피 및 모발에 적용하는 동안 활성성분이 두피에 흡수되는데 유리한 작용을 나타내면서 모발의 표면 등에 흡착되어 모발을 굵고, 힘 있게 유지되게 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상기 식이섬유는 수용성 및 수불용성의 식이섬유가 혼합된 상태의 식이섬유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수용성 식이섬유가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당알코올은 다가알코올, 폴리올 등으로 지칭되며, 보습작용과 청량감을 주는 동시에 당알코올은 흡습작용에 의해 전분의 노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당알코올로 글리세롤,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붕산은 소독 및 방부제의 작용과 함께 전분의 호화작용를 감소시키는 작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변질 등을 방지하는 성분으로 작용하며, 상기 붕산은 독성이 있어 피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아 독성을 감소 내지 중화하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감초 추출물을 병용하여 붕산의 독성을 감소 내지 중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성분과 함께 조합되는 초정광천수는 미국의 샤스타 광천, 영국의 나포리나스 광천과 함께 세계 3대 광천수로 6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세계적인 광천수(F.D.A. 인정)로 잘 알려져 있으며, 초정광천수에는 Ca, Si, Mg, K, Na 등과 함께 사람 몸에 유익한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병, 위장병, 피부병, 안질 등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성분의 혼합용매로 물 대신 초정광천수로 대체하여 초정광천수에 함유된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활성성분과 조합되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초정광천수를 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모촉진효과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초정광천수는 본 발명의 발모촉진제에 필수적 성분이며, 상기 활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정광천수 500 ~ 1200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액상 조성물로 얻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착색제, 착향제 등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보조성분들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두발을 깨끗이 씻은 후 건조시킨 다음, 탈모가 심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유효성분이 두피에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손끝으로 두피를 부드럽게 맛사지 한 후, 7 ~ 10분 정도 경과한 다음 두발을 세척하며, 사용횟수는 하루 1번 ~ 2회 사용하며, 아침에 한번 또는 아침, 저녁으로 2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은 생약성분과 천연 광천수의 미네랄을 조합하여 두피에 대하여 안전하면서도 친화성과 흡수력이 우수하여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동시에 식이섬유 및 전분성분의 작용으로 모발이 굵고, 힘 있게 유지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로 시험 5주 동안 대조군과 시험군(도포군)의 마우스 모발의 성장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의 모발생장 유도효과에 대한 도표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준비된 가열용기에 건조된 창포뿌리 100중량부 및 감초 25중량부를 투입하고, 물과 함께 100℃에서 4시간 가열한 다음, 상온으로 냉각하고 고형분을 여과 제거하여 창포뿌리 및 감초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준비된 용기에 상기 창포뿌리 및 감초의 열수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도당 10중량부, 백설탕 8중량부, 글리세린 5중량부, 솔비톨 3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식이섬유 0,01중량부, 감자전분 30중량부 및 붕산 35중량부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활성성분을 제조하였다.
준비된 용기에 상기 활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정광천수 1000중량부를 투입하고, 착향료(로즈마리) 및 착색제와 함께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발모촉진 조성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동물시험법에 의한 양모 효력 평가 중 생장기 유도효과를 평가하고 [도 1] 및 [도 2]로 나타내었다.
a). 시험방법
(1). C57BL/6 마우스에서 모발생장 유도실험
생후 6주된 암컷 C57BL/6 마우스를 Orient Bio(Seongnam, Gyeonggi, Korea)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동물 사육실 환경에서의 적응과 모발주기를 맞춘 후 실험에 사용하고, 동물 사육실은 온도 23±3℃, 12 시간씩 밤낮을 유지하였으며, 실험동물은 격리용 마우스 케이지에서 사육하였고, 실험용 사료를 자유로이 급여하였다. 마우스 등 부위를 실험개시 전에 소동물용 clipper로 제모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무처리군),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을 도포한 [도포군]으로 하여 한 실험군에 각 8 마리의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도포군의 경우, 제모 다음날 (day 1)부터 7일 (day7)까지는 매일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 1g을 제모부위에 도포하고, 10분 후에 증류수로 닦아내 주었다. 제모 후 8일(day 8)부터 27일간은 매일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조성물 10% 희석액(원액에 멸균된 3차 증류수를 첨가하여 10% 희석액을 제조) 100㎕를 제모부위에 도포하고, 10분 후에 증류수로 닦아내 주었다. 매일 육안으로 마우스의 등쪽 피부변화를 관찰하였고, 제모 후 0, 7, 14, 21, 28, 및 35일에 생장유도 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마취 후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
모발의 성장기로의 유도는 도트매트릭스 면적측정(dotmatrix planimetry)을 이용하여 제모 후 21일 (day 21)에 black skin/total skin (검은모발 부위 면적/제모부위 전체 면적)(%)의 평균을 구하고 대조군의 평균과 비교하여 성장기로의 유도를 측정하였다.
(2).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평균±표준오차(S.E.)로 나타내었다.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도포군]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통계적 유의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p<0.05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C57BL/6 마우스는 피부의 melanocyte가 모낭에만 존재하며, 모발 주기가 휴지기(telogen)에서 성장기(anagen)로 진행이 되면 피부색깔이 핑크색에서 검은색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도포군]에서 제모 후 14일부터 피부색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제모 후 21일 (day 21)에 [도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한 모발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포군]의 모발의 성장기 유도 효능을 도트매트릭스 면적 측정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Day 21에 모발의 생장기 유도효과를 제모부위 전체 면적 대비 검은 모발이 자라난 면적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대조군(day21: 0± 0.3%)에 비하여 도포군은 99± 0.2% (p<0.01)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모발생장 유도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도 2]로 나타내었다.

Claims (4)

  1. 창포뿌리 대 감초를 중량비로 1대 0.2 ~ 0.3 비율로 조성하여 열수 추출한창포뿌리와 감초의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도당 8 ~ 10중량부, 백설탕 8 ~ 10중량부, 수용성 식이섬유 0.01 ~ 0.02중량부, 감자전분 25 ~ 30중량부, 당알콜 5 ~ 10중량부 및 붕산 30 ~ 35중량부로 조성된 활성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초정광천수 500 ~ 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당알코올은 글리세롤, 솔비톨, 프로필렌글리콜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4. 삭제
KR1020160073805A 2016-06-14 2016-06-1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KR10172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5A KR101727477B1 (ko) 2016-06-14 2016-06-1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05A KR101727477B1 (ko) 2016-06-14 2016-06-1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477B1 true KR101727477B1 (ko) 2017-04-17

Family

ID=5870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05A KR101727477B1 (ko) 2016-06-14 2016-06-14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4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610B1 (ko) * 2018-12-20 2019-08-09 함미경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704036C1 (ru) * 2018-10-05 2019-10-23 Екатерина Сергеевна Пигалева Сахарная паста для депиляци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4036C1 (ru) * 2018-10-05 2019-10-23 Екатерина Сергеевна Пигалева Сахарная паста для депиляции
KR102009610B1 (ko) * 2018-12-20 2019-08-09 함미경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H05503287A (ja) ラブダンの少なくとも1つの誘導体またはそれを含有する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水和脂質薄膜層またはリポソームに基づいた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化粧品用または薬理用、特に皮膚科学用の組成物
CN106361669A (zh) 一种身体乳
CN112870333A (zh) 一种改善人脱发生发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Saudagar et al. Review on herbal cosmetics
KR101516536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35264A (zh) 舒敏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172747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KR101727475B1 (ko) 샴푸형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CN109303724A (zh) 一种新型含艾叶的舒缓修护原液组合物
CN108815111A (zh) 一种中药祛斑美白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76004B1 (ko) 양파껍질과 비파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0149389B1 (ko) 변비치료용 생약성분 조성물
CN104983817B (zh) 一种治疗脂溢性脱发的酊剂及其制备方法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139B1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4131B1 (ko) 알로에 추출물 및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625956B (zh) 一种木瓜蛋白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869616A (zh) 一种育发液及其制造方法
KR100769479B1 (ko) 발모성 샴푸 조성물
KR20090049390A (ko) 탈모예방 및 발모성장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469027A (zh) 一种可缓解皮肤病征的制剂
CN113332197A (zh) 一种植物防晒霜及其制备方法
Kumar et al. Hair growth activity of Trichosanthes dioica R. leaves
JP6656553B1 (ja) 美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