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380B1 -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380B1
KR101727380B1 KR1020150052071A KR20150052071A KR101727380B1 KR 101727380 B1 KR101727380 B1 KR 101727380B1 KR 1020150052071 A KR1020150052071 A KR 1020150052071A KR 20150052071 A KR20150052071 A KR 20150052071A KR 101727380 B1 KR101727380 B1 KR 10172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uide bar
elastic spring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357A (ko
Inventor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rotatable knob or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6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with means for preventing resetting while abnormal condition persists, e.g. loose handle arrang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 동작되는 핸들 몸체와, 상기 핸들 몸체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락킹 및 락킹을 해제하도록 직선 유동되는 락킹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OPERATING HANDLE LOCKING UNIT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외부에서 차단기를 온 및 오프 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배전반 도어의 정상적인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 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한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수배전 설비의 케이스에 외부핸들이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을 열지 않고도 외부핸들의 조작에 의해 장비에 내장된 회로차단기를 온(ON), 오프(OFF)시키거나 또는 온, 오프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a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b의 락킹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 하면,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은 배선용 차단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케이스인 베이스 프레임(100)과, 배선용 차단기의 온, 오프 조작 또는 온, 오프상태 확인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외부핸들(21)과, 외부핸들(21)의 조작을 구속하는 락킹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핸들(21)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외부 핸들(2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기어(22)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락킹부(3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승강 직선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락킹부(30)는 장홀(30a)이 형성되는 락킹 플레이트(31)를 갖는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31)의 하단에는 일측방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몸체(3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 몸체(33)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바(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 플레이트(31)의 하단에는 연장 몸체(33)와 연결되며, 타측방을 따라 '
Figure 112015036000111-pat00001
'형상으로 벤딩되는 락킹 부재(31a)가 형성된다.
상기 락킹 부재(31a)의 하단부는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베이스 프레임(100) 하단에 형성되는 락킹홀(H)에 위치되어 승강됨으로써, 락킹을 실시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락킹 플레이트(31)에는 락킹 플레이트(31)가 직선 유동되는 경우 유동을 안내하는 장홀(30a)이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외부 핸들(21)의 둘레를 따라 온, 오프 표시가 되어 있어 사용자는 외부핸들(21)의 위치에 따라 배선용 차단기의 온, 오프상태를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락킹부의 락킹 해제 및 락킹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 핸들(21)을 오프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온 상태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키면, 기어(22)는 외부 핸들(21)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작동 기구부(미도시)를 통해 락킹부(30)로 전달되어 상기 락킹부(30)를 직선 유동시킨다.
이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락킹부(30)는 하방을 따라 하강되고, 락킹 부재(31a)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가이드 바(32)에 고정되는 탄성 스프링(34)은 압축된 상태에서 이완 상태로 전환된다.
도 5는 종래의 락킹부를 탄성 지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바(32)의 길이는 탄성 스프링(34)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고, 탄성 스프링(34)의 일단은 지지체(100a)의 일면에 면접촉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락킹부(31)의 승강 직선 유동이 반복되면서 베이스 프레임(100)에 진동 또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스프링(34)의 일단은 지지체(100a)의 일면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배전반 도어(10)가 지속적인 락킹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10)의 오픈이 불가능하고, 외부 핸들(21)의 기능 역시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41992호(2008.09.22)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핸들 잠금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의 외부에서 차단기를 온 및 오프 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배전반 도어의 정상적인 도어락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 동작되는 핸들 몸체와, 상기 핸들 몸체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락킹 및 락킹을 해제하도록 직선 유동되는 락킹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락킹부는, 락킹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 스프링을 갖는 가이드 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락킹부의 탄성 유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는 안내홀을 관통하여 직선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홀은, 상기 지지체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홀은, 상기 가이드 바의 횡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는, 락킹 플레이트와,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며, 탄성 스프링을 갖는 가이드 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체에 탄성 지지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락킹부의 탄성 유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바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어 락킹 및 락킹을 해제하는 락킹부가 직선 유동되는 경우, 락킹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배전반의 외부에서 차단기를 온 및 오프 동작을 실시함에 따라 락킹부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b의 락킹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락킹부의 락킹 해제 및 락킹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락킹부를 탄성 지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락킹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락킹 상태를 이루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에 형성되는 안내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에 형성되는 안내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 형성되는 고정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지지체가 적용되는 경우 락킹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조작 핸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은 배전반 도어(10)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핸들부(200)와, 락킹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핸들부(200)는 핸들 몸체(210)와, 기어로 구성되고, 핸들 몸체(2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22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핸들 몸체(21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기어(220)는 도시되지 않은 기구부를 통해 상기 락킹부(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핸들 몸체(210)가 회전됨에 따라 락킹부(300)는 기구부를 통해 연동되어 직선 유동된다.
상기 락킹부(30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직선 유동되도록 설치되며, 직선 유동됨에 따라 배전반 도어(10) 근방의 배전반 본체(미도시)에 형성되는 락킹홈(미도시)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락킹 및 락킹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락킹부(300)는 판 상의 락킹 플레이트(310)와, 상기 락킹 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바(320)를 갖는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310)에는 직선 유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 홈(310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310a)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50, 도 9 참조)에 끼워지는 상태로 직선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310)의 일단에는 직선 유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바(32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320)는 그 폭이 끝단을 따라 단차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바(320)에는 탄성 스프링(330)이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탄성 스프링(330)은 상기 단차지는 부분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 플레이트(310)의 타단에는 일정 길이를 이루도록 연장되며, 락킹 플레이트(310)의 직선 유동에 따라 상술한 락킹홈에 걸릴 수 있는 락킹 부재(311)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임(100)에는 지지체(110)가 벽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110)는 가이드 바(320)의 직선 유동 경로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110)에는 상이 가이드 바(320)의 직선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120)은 상측이 개구되도록 '
Figure 112015036000111-pat00002
' 형상으로 지지체(110)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바(320)에 끼워지는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안내홀(120) 주변 영역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320)는 탄성 스프링(33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측을 통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바(320)는 지지체(110)의 안내홀(120)을 관통하고, 탄성 스프링(330)은 가이드 바(320)와 지지체(110)의 일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지지체(110)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지지체(110)의 일면에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이 끼워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 수단은 후술되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고정홈(130,131)과 동일한 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외부 핸들 락킹유닛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이루기 위해 상술한 핸들 몸체(210)를 회전시키면, 락킹부(300)는 핸들 몸체(210)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베이스 프레임(100) 상에서 직선 유동된다.
도 10은 락킹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1은 락킹 상태를 이루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락킹 플레이트(310)는 핸들 몸체(210)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직선 유동, 예컨대 승강 유동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락킹 플레이트(320)가 상승되며, 가이드 바(320)에 끼워진 탄성 스프링(330)은 지지체에 탄성 지지되는 상태로 압축되고, 가이드 바(320)는 지지체(110)에 형성되는 안내홀(120)을 관통하면서 상승된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는 상승 동작시 지지체(110)의 안내홀(120)에 관통되는 상태로 안내되면서 양측방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330) 역시 가이드 바(320)에 끼워지는 상태로 지지체(110)의 일면에 접촉되어 압축됨으로써, 안정적인 압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역으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락킹 플레이트(310)가 하강되며, 가이드 바(320)에 끼워진 탄성 스프링(330)은 지지체(110)에 탄성 지지되는 상태로 이완되고, 가이드 바(320)는 지지체(320)에 형성되는 안내홀(120)에 안내되는 상태로 하강된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는 하강 동작시 지지체(110)의 안내홀(120)에 안내되는 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양측방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탄성 스프링(330) 역시 탄성 스프링(330) 보다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바(320)에 끼워지는 상태로 지지체(110)의 일면에 접촉되어 이완됨으로써, 안정적인 이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핸들 몸체(210) 동작으로 인해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스프링(330)은 가이드 바(3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320) 역시 안내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에 형성되는 안내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a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안내홀(121)은 지지체(110)에 천공되며, 상술한 가이드 바(320)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바(320)는 안내홀(121)을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락킹 플레이트(310)가 직선 유동되는 경우, 안내홀(121)을 관통하는 상태로 직선 유동되어 사방으로 이탈이 규제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안내홀(122)은 베이스 프레임(100)의 저면에서 상방을 따라 간격이 좁아지도록 단차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는 직선 유동시 단차지는 부분에 의해 규제되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가이드 바(320)는 안내홀(121,122)을 관통하는 상태로 유동이 안내됨으로써, 직선 유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내홀(121,122)의 내주와 상기 가이드 바(320)의 외주는 서로 레일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레일 결합됨에 의해 가이드 바(320)의 더 안정적인 직선 유동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탄성 스프링의 일단은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110)에는 고정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30)은 상기 지지체(110)의 일면에 상기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에 끼워지는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지지체(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3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압축 이완시 외부로의 이탈이 더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 형성되는 고정홈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체(110)에는 고정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31)은 상기 지지체(110)에 상기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이 끼워져 걸치도록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에 끼워지는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지지체(110)에 형성되는 고정홈(131)에 끼워져 걸쳐 고정됨으로써, 압축 이완시 외부로의 이탈이 더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지지체가 적용되는 경우 락킹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락킹부(300)는 락킹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1)와, 락킹 부재(311)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320)에는 탄성 스프링(330)이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락킹 플레이트(310)와, 락팅 부재(311)는 상술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가이드 바(321)는 탄성 스프링(33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체(110)는 벽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110)에는 상술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형상의 고정홈(130,13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탄성 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도 13 또는 도 14에 도시되는 고정홈(130,131)에 삽입되거나 걸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락킹 플레이트(310)가 락킹 및 락킹 해제를 위해 직선 유동을 하는 경우, 탄성 스프링(330)은 가이드 바(321)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이 지지체(110)에 고정되어 압축 및 이완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 바(321)는 탄성 스프링(330)의 길이 보다 짧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330)의 압축 동작시 지지체(110)의 일면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가이드 바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고도, 지지체에 탄성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홈 만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락킹부의 직선 유동시 탄성 스프링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어
100 : 베이스 프레임
110 : 지지체
120, 121, 122 : 안내홀
130, 131 : 고정홈
200 : 핸들부
210 : 핸들 몸체
220 : 기어
300 : 락킹부
310 : 락킹 플레이트
320 : 가이드 바
330 : 탄성 스프링

Claims (5)

  1. 배전반의 도어에 설치되고, 지지체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이루도록 회전 동작되는 핸들 몸체와, 상기 핸들 몸체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락킹 및 락킹을 해제하도록 직선 유동되는 락킹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에 있어서,
    상기 핸들 몸체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의 락킹 및 락킹을 해제하도록 직선 유동되는 락킹 플레이트;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에 형성되는 안내홀을 관통하여 직선 유동되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체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락킹 플레이트의 탄성 유동을 안내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홀의 내주와 상기 가이드 바의 외주는 서로 레일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락킹 플레이트가 직선 유동되는 경우, 상기 안내홀을 관통하는 상태로 직선 유동되어 사방으로의 이탈이 규제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압축 이완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탄성 스프링의 일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지지체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홀은,
    상기 가이드 바의 횡단면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바에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바의 길이는, 상기 탄성 스프링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KR1020150052071A 2015-04-13 2015-04-1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KR10172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71A KR101727380B1 (ko) 2015-04-13 2015-04-1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71A KR101727380B1 (ko) 2015-04-13 2015-04-1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57A KR20160122357A (ko) 2016-10-24
KR101727380B1 true KR101727380B1 (ko) 2017-04-17

Family

ID=5725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71A KR101727380B1 (ko) 2015-04-13 2015-04-13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817B2 (ja) * 2008-10-22 2013-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3817B2 (ja) * 2008-10-22 2013-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357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89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JP6384292B2 (ja) 車両ドアモジュール
JP20000860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EP3188205B1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KR10172738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핸들 락킹유닛
JP5104883B2 (ja) エレベータ用運転操作盤
KR101697873B1 (ko) 도어록킹장치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KR20170036935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101602920B1 (ko) 배전반용 셔터 배리어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1168083B1 (ko)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KR101831246B1 (ko) 도어 록킹장치
JP5338961B2 (ja) 配電盤
KR20160134113A (ko) 외측써레판 록킹장치
KR101287095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KR102167718B1 (ko) 부품 캐리어
KR20160043591A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JP2010279212A (ja) 配電盤
JP2005061059A (ja) シートシヤッター装置
JP2007329144A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2171880B1 (ko) 공동주택단지 내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