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171B1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171B1
KR101727171B1 KR1020127006924A KR20127006924A KR101727171B1 KR 101727171 B1 KR101727171 B1 KR 101727171B1 KR 1020127006924 A KR1020127006924 A KR 1020127006924A KR 20127006924 A KR20127006924 A KR 20127006924A KR 101727171 B1 KR101727171 B1 KR 10172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coating layer
resin
compoun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232A (ko
Inventor
타이시 가와사키
마사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21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9591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4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4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Abstract

각종의 접착제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갖고, 높은 전광선 투과율이 요구되는 용도,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을 보호하는 부재, 특히 후면측 편광판의 후면측의 보호 필름으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의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도포층을 갖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Lamina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판을 보호하는 부재로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 디스플레이가, 텔레비젼, 개인용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등의 표시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표시측을 전면측, 그 반대측(백라이트측)을 후면측으로 할 때, 전면측 편광판//액정//후면측 편광판의 구성을 갖는다. 편광판은 통상, 염색 1축 연신된 폴리비닐 알코올 막의 편광막에, 보호 필름 등을 접착시킨 구성이다(보호 필름/편광막/보호 필름). 전면측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막의 전면측 및 후면측에 배치하는 보호 필름을 각각 보호 필름A, 보호 필름 B로 하고, 후면측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막의 전면측 및 후면측에 배치하는 보호 필름을 각각 보호 필름 C, 보호 필름 D로 하면, 전체적인 구성은, 전면측으로부터, 보호 필름 A/전면측 편광막/보호 필름 B//액정//보호 필름 C/후면측 편광막/보호 필름 D로 된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높은 투명성이나 광학등방성을 갖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하, TAC 필름이라 약기하는 수가 있음)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치수안정성, 내습열성이 열등하고, 또, 편광막과 접착시키기 위하여, 미리 알칼리액으로 표면을 검화처리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근년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고품질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기계적 강도나 고온고습 환경하에서의 안정성의 향상이 요구되며, 또 알칼리 처리에 의한 저분자 재료의 블리드 아웃이나 헤이즈 상승에 의한 품질 저하를 피할 필요성이 생겨 왔다. 또한, 상기 알칼리 처리는 고농도의 알칼리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안전성, 환경보전 상에서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르보르넨계 필름 등, TAC 필름 이외의 소재의 검토도 행해지고 있다(특허문헌 1, 2). 그러나, 다른 소재로 된 필름은 범용 수지를 사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높은 과제가 있다. 그래서, 치수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고, 각종의 문제를 갖는 알칼리 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비용적으로도 문제없는, 범용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단체로는, 편광막과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얼등한 점, 및 TAC 필름과 비교한 경우에 전광선 투과율이 낮아지고, 편광판으로 했을 때에 휘도가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앵커층을 제공하는 구성도 제안되어 있지만, 어느 것도 구체적인 개시는 없고, 접착제에 의해서는 충분한 접착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한 것이다(특허문헌 3~5).
특허문헌 1: 특개평 6-51117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6-227090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 2002-116320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평 8-271733호 공보 특허문헌 5: 특개평 8-27173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해결과제는, TAC 필름의 각종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 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며, 또한 전광선 투과율이 높으며, 편광막의 보호 필름, 특히 후면측 편광판의 후면측의 보호 필름(상술한 보호 필름 D)으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면, 상술한 과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도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하면, 예컨대 편광판의 보호 필름, 특히 후면측 편광판의 후면측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편광막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와의 접착력이 양호하고, 또 편광판을 형성한 후의 전광선 투과율이 우수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어, 그 공업적 가치는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또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구성이어도 다층 구성이어도 좋고, 2층, 3층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요지를 넘지 않는 한, 4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이어도 좋으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호모폴리에스테르이어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호모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경우,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복시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복시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옥시카복시산(예컨대, p-옥시벤조산 등)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액정 등이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자외선흡수제는, 자외선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이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부가되는 열에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유기계 자외선흡수제와 무기계 자외선흡수제가 있지만,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유기계 자외선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 벤조페논계 등을 들 수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자외선흡수제를 2종류 이상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ert-부틸-3'-(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메톡시-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시아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tert-부틸-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니트로-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이미노에스테르계의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2-페닐-3,1-벤조옥사진-4-온, 2-(1- 또는 2-나프틸)-3,1-벤조옥사진-4-온, 2-(4-비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m-니트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벤조일페닐-3,1-벤조옥사진-4-온, 2-p-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o-메톡시페닐-3,1-벤조옥사진-4-온, 2-시클로헥실-3,1-벤조옥사진-4-온, 2-p- (또는 m-)프탈이미드페닐-3,1-벤조옥사진-4-온, N-페닐-4-(3,1-벤조옥사진-4-온-2-일)프탈이미드, N-벤조일-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N-벤조일-N-메틸-4-(3,1-벤조옥사진-4-온-2-일)아닐린, 2-(p-(N-메틸카보닐)페닐)-3,1-벤조옥사진-4-온, 2,2'-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에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테트라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데카메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m-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4,4'-디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6- 또는 1,5-나프틸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메틸-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니트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2-클로로-p-페닐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2,2'-(1,4-시클로헥실렌)비스(3,1-벤조옥사진-4-온),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벤젠, 1.3,5-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4,6-트리(3,1-벤조옥사진-4-온-2-일)나프탈렌, 2,8-디메틸-4H,6H-벤조(1,2-d; 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메틸-4H,9H-벤조(1,2-d; 4,5-d')비스(1,3)-옥사진-4,9-디온, 2,8-디페닐-4H, 8H-벤조(1,2-d; 5,4-d')비스(1,3)-옥사진-4,6-디온, 2,7-디페닐-4H,9H-벤조(1,2-d; 4,5-d')비스(1,3)-옥사진-4,6-디온, 6,6'-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에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에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부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옥시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설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설포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6'-카보닐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7,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에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옥시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설포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7,7'-카보닐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메틸-4H,3,1-벤조옥사진-4-온), 6,7'-메틸렌비스(2-페닐-4H,3,1-벤조옥사진-4-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 중, 색조를 고려한 경우, 황색미를 띄기 어려운 벤조옥사지논계의 화합물이 적절하게 사용되며, 그 예로서는, 하기의 화학식(1)로 표시되는 것이 더욱 적절하게 사용된다.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1
상기 식 중, R은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 또는 이하의 관능기 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능기 군: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할로겐,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히드록시기, 카복시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상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함유시키는 자외선흡수제의 양은, 통상 10.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3.0 중량% 범위이다. 10.0 중량%를 초과하는 양의 자외선흡수제를 함유시킨 경우는, 표면에 자외선흡수제가 블리드 아웃하여, 접착성 저하 등, 표면기능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 다층 구조의 필름의 경우, 적어도 3층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흡수제는, 그 중간층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에 자외선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에 의해, 당해 화합물이 필름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하여 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결과, 필름의 접착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자외선에 의한 액정의 열화를 방지한다면, 기준으로, 파장 380 nm의 광 선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파장 380 nm의 광선투과율은 상술한 자외선흡수제의 종류와 양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폴리에스테르 층 중에는, 이활성의 부여 및 각 공정에서의 상처 발생 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하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가능한 입자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 특공소 59-5216호 공보, 특개소 59-21775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외의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 수지,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 중, 촉매 등의 금속 화합물의 일부를 침전, 미분산시킨 석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상, 괴상,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그의 경도, 비중, 색 등에 관해서도 특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입경은, 통상 0.01~5 ㎛, 바람직하게는 0.1~3 ㎛ 범위이다. 평균입경이 0.01 ㎛ 미만인 경우에는, 이활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없기도 하고, 입자가 응집하여, 분산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기도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 져서, 후공정에 있어서 기능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층 중의 입자 함유량은, 통상 0.00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3~3중량% 범위이다. 입자 함유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의 이활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투명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 층 중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임의의 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 후,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 벤트부착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에틸렌글리콜 또는 물 등에 분산시킨 입자의 슬러리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랜드하는 방법, 또는 혼련압출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입자와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블랜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는, 상술한 입자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염료, 안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가능한 범위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200 ㎛, 바람직하게는 25~50 ㎛ 범위이다.
이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예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하의 제조예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즉, 먼저 서술한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사용하여,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 시트를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시트를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 냉각 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이어 얻어진 미연신 시트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다. 그 경우, 먼저, 상기 미연신 시트를 1방향으로 롤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 연신한다. 연신온도는,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이고, 연신배율은 통상 2.5~7.0배, 바람직하게는 3.0 ~6.0배이다. 이어서, 1단째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지만, 그 경우, 연신온도는 통상 70~170℃이고, 연신배율은 통상 3.0~7.0배, 바람직하게는 3.5~6.0배이다. 그리고, 이어 180~27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2축 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기 연신에 있어서는, 1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최종적으로 2방향의 연신배율이 각각 상기 범위로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에 관해서는 동시2축 연신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동시2축 연신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통상 70~120℃, 바람직하게는 80~110℃에서 온도 콘트롤된 상태에서 기계방향 및 폭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여 배향시키는 방법이고, 연신배율로서는, 면적배율로 4~50배, 바람직하게는 7~3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배이다. 그리고, 이어, 170~25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연신 배향 필름을 얻는다. 상술한 연신방식을 채용하는 동시2축 연신장치에 관해서는, 스크류 방식, 팬터그래프 방식, 리니어 구동 방식 등, 종래 공지의 연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도포층의 형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포층에 관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연신 공정 중에 필름표면을 처리하는, 인라인코팅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고, 일단 제조한 필름 상에계외에서 도포하는, 오프라인코팅을 채용하여도 좋고, 양자를 병용하여도 좋다. 제막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저가로 대응가능하고, 도포층의 두께를 연신배율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점에서 인라인코팅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인라인코팅에 관해서는, 이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축차2축 연신에 있어서는, 특히 종연신이 완료된 횡연신전에 코팅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인라인코팅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제막과 동시에 도포가 가능하게 되는 것과 함께 도포층을 고온에서 처리할 수 있어,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적절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도포층(이하, 제1 도포층으로 약기하는 수가 있음)을 갖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의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도포층(이하, 제2 도포층으로 약기하는 수가 있음)을 갖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은, 각종의 기능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포층이고, 예컨대, 편광막과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의 접착제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나 폴리비닐 알코올 등의 각종 화합물을 검토하였으나, 각각을 단독으로 형성한 도포층에서는 접착성은 전혀 없었다. 또,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비닐 알코올, 아크릴 수지와 폴리비닐 알코올, 우레탄 수지와 폴리비닐 알코올을 조합시키는 것에 의한 도포층의 검토도 행하였지만, 접착성의 큰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종 재료의 조합을 검토해보니, 폴리비닐 알코올과 옥사졸린 화합물을 조합시키는 것과 함께, 그 조성 비율을 연구하면, 비교적 접착성이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그래도 충분한 접착성은 아니고, 이 2종류의 화합물과 병용하는 것에 의해, 접착성이 향상하는 도포층 탐색을 더 실시한 결과,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병용하는 것에 의해, 의외로, 접착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편광막 보호용으로서 사용가능한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라는 것은, 주된 구성 성분으로서 예컨대, 하기와 같은 다가 카복시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한다. 즉, 다가 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복시산, 2,5-나프탈렌디카복시산, 1,5-나프탈렌디카복시산 및 2,6-나프탈렌디카복시산, 2,7-나프탈렌디카복시산, 1,4-시클로헥산디카복시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카복시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무수 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멜리트산 모노칼륨염 및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p-크실렌글리콜, 비스페놀 A-에틸렌글리콜 부가물,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프로피온산 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각각 적절히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상법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하면 좋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수분산시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친수성의 관능기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함유시킨다. 친수성의 관능기로서는, 카복시산기,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접착성이 향상한다는 점에 있어서, 카복시산기에 의한 분산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라는 것은,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이것은,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어느 것이어도 차이가 없다. 또, 그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컨대,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 하여 다른 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중합성 모노머으로서는, 특히 한정은 하지 않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복시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 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류;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메타)아크릴 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아크릴 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각종 질소 함유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프로피온산 비닐과 같은 각종의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각종 규소 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 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각종의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콘쥬게이트 디엔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라는 것은, 우레탄 수지를 분자 내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통상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작성된다. 폴리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폴리올레핀 폴리올류, 아크릴 폴리올류를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는, 다가 알코올류와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로서는, 예컨대,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폴리(3-메틸-1,5-펜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로서는, 다가 카복시산(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그들의 산 무수물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디메탄올벤젠,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알킬디알칸올아민, 락톤디올 등)의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류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에테르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각종의 접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류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가 더욱 적절하게 사용된다.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 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좋다.
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에 사슬연장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사슬연장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활성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글리콜, 크실릴렌 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글리콜이라는 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또,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트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헥산디아민,틸-1,3-프로판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트리메틸헥산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이소프로비리틴시클로헥실-4,4'-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탄 수지는, 용매를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것이다. 우레탄 수지를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강제유화형, 우레탄 수지 중에 친수성 기를 도입하는 자기유화형 또는 수용형 등이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의 골격 중에 이온기를 도입하여 아이오노머화한 자기유화 타입이, 액의 저장 안정성이나 얻을 수 있는 도포층의 내수성, 투명성, 밀착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 도입하는 이온기로서는, 카복시기, 설폰산, 인산, 포스폰산, 제4급 암모늄염 등, 각종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카복시기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에 카복시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반응의 각 단계 중에서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폴리머 합성시에, 카복시기를 가진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방법, 폴리올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슬연장제 등의 일성분으로서 카복시기를 가진 성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카복시기 함유 디올을 사용하여, 이 성분의 투입량에 따라서 소망하는 양의 카복시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레탄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디올에 대하여,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디메틸올 부탄산, 비스-(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산, 비스-(2-히드록시에틸)부탄산 등을 공중합시킬 수 있다. 또 이 카복시기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 금속류, 무기 알칼리류 등으로 중화시킨 염의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도포 후의 건조 공정에서 중화제가 제외된 카복시기를, 다른 가교제에 의한 가교반응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 전의 액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한 이외에, 얻을 수 있는 도포층의 내구성, 내용매성, 내수성, 내블록킹성 등을 또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들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중에서도 엄격한 조건하에서도 접착성이 유지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더욱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이라는 것은, 폴리비닐 알코올 부위를 갖는 것이고,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나 부티랄화된 변성 화합물도 포함하고, 종래 공지의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중합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40000 범위의 것이 사용된다. 중합도가 100 미만인 경우, 도포층의 내수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폴리비닐 알코올의 검화도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70 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70~99.9 mol% 범위인 폴리아세트산비닐 검화물이 실용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옥사졸린 화합물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특히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 단독 또는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아주 적합하다. 다른 모노머는,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라면 제한없고, 예컨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설폰산 및 그의 염(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3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복시산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 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플루오르화 비닐 등의 함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옥사졸린기를 측쇄에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중합체는,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른 모노머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를 사용한 옥사졸린 화합물의 상품의 일례로서는, 옥사졸린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이다, 「에포크로스 WS-500」, 「에포크로스 WS-300」(니혼 쇼쿠바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알킬렌 글리콜 성분 등의 친수성 기가 적고, 옥사졸린기 양이 많은 편이 도막 강도의 향상, 내습열성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1 도포층에 점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은, 통상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착제층의 접착력을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1 도포층에 점하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은, 통상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이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는, 폴리비닐 알코올 성분이 적은 것에 의해, 접착제층과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다른 성분이 적은 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1 도포층에 점하는 옥사졸린 화합물의 함유량은, 통상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이다. 10중량% 미만인 경우는, 가교 성분이 적은 것에 의해, 도포층이 물러져서, 내습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다른 성분이 적은 것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밀착성, 접착제층과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제1 도포층에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폴리비닐 알코올: 옥사졸린 화합물의 중량비는, 통상 1.0~8.0: 1.0~8.0: 1.0~8.0 범위, 바람직하게는 1.0~4.3: 1.0~4.0: 1.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 1.0~2.5: 1.0~2.0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 제1 도포층에는, 도포면상이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나 폴리비닐 알코올 이외의 바인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인더 폴리머」라는 것은 고분자 화합물 안정성 평가 플로우 스킴(소화 60년 11월 화학물질심의회 주최)에 준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Mn)이 1000 이상의 고분자 화합물이고, 또 조막성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인더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도포층 중에는,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옥사졸린 화합물 이외의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로서는, 각종 공지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예컨대,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과의 합계량에 대하여, 통상 3~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40중량%이다.
멜라민 화합물이라는 것은, 화합물 중에 멜라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예컨대,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에 알코올을 반응시켜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테르화에 사용하는 알코올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단량체, 또는 2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한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멜라민 화합물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알킬화 멜라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완전 알킬형 멜라민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분자 내에 에폭시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그의 프리폴리머 및 경화물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 A 등의 수산기나 아미노기와의 축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2개의 글리시딜에테르 구조를 갖는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판품의 일례로서는,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인, 「데나콜 EX-521」(나가세켐텍크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가진 화합물을 지칭하고,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블록체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특히 에폭시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이 강고하게 되어, 접착성이나 내습열성의 향상이 기대될 수 있다. 또, 이들 가교제는, 인라인코팅으로의 적용 등을 배려한 경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도포층 중에는, 도포층의 블록킹성, 미끄럼성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하여도 좋고,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금속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도포층은, 저반사율 설계로 한 것이고, 후면측 편광판의 후면측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포층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1 도포층, 제2 도포층의 광학특성을 고려한 것이지만, 편광막과 접착시키는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접착시키는 측의 광학특성은 편광판 전체의 전광선 투과율에 크게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광학특성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편광막과 접착시키지 않는 측, 즉 제2 도포층측이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로서는, 제1 도포층의 영향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는 논의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90.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1.0% 이상이다.
제2 도포층 만의 광학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을 고찰하기 위하여, 각종 검토를 한 결과, 제2 도포층 만의 절대반사율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판명되었다. 반사율과 투과율은 상호 관계되는 특성이고, 광의 흡수가 적고, 투명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일반적으로는, 높은 투과율은 낮은 반사율을 나타내는 것에 착안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을 높게 하기 위하여, 제2 도포층은,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것이 필수이다. 극소치의 파장으로서 더욱 바람직한 조건은, 400~700 nm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650 nm 범위이다. 또, 극소치는 3.0% 이하, 더욱더 2.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2 도포층의 절대반사율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이 낮게 되는 것에 의해, 편광판의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로 했을 때에 화면이 어두워진다.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는 일반적으로는 굴절률이 낮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절대반사율을 달성하기 위하여, 즉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을 높게 하기 위하여는 적절한 재료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의 형성에 유효한 재료이다. 또, 막 두께를 0.04~0.15 ㎛ 범위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크릴 수지라는 것은, 제1 도포층에서 설명한 각종의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더욱 효율 좋게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굴절률이 낮은 플루오르 원자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우레탄 수지라는 것은, 제1 도포층에서 설명한 각종의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더욱 효율 좋게 전광선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굴절률이 낮은 플루오르 원자 함유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 제2 도포층 중에 점하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의 굴절률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논의될 수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의 범위이다. 40 중량% 미만인 경우, 전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에는, 도포면상이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 이외의 바인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병용하는 바인더로서는 전광선 투과율로의 영향을 고려하여, 굴절률이 높은 것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도포층 중에는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이 강고하게 되기 때문에, 내습열성이나 내찰상성이 더욱 향상하는 경우가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멜라민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복수종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인라인코팅으로의 적용 등을 배려한 경우,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 도포층중에는, 도포층의 블록킹성, 미끄럼성 개량을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하여도 좋고,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금속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제1 도포층 및 제2 도포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도포성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염료, 안료 등이 함유되어도 좋다.
도포층 중의 각종 성분의 분석은, 예컨대, TOF-SIMS 등의 표면분석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인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술한 일련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로 하여, 고형분 농도가 0.1~50 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하는 요령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물로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액 중에는 소량의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 용매는 1종류 만이어도 좋고, 적절히,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0.002~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0.2 ㎛ 범위이다. 막 두께가 0.002 ㎛미만인 경우는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1.0 ㎛를 초과하는 경우는, 외관이나 투명성, 필름의 블록킹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2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 0.04~0.15 ㎛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13 ㎛ 범위이다. 도포층의 굴절률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으나, 막 두께가 이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편광판으로 했을 때에 높은 전광선 투과율이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을 제공하는 방법은 리버스 그라비아 코트,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다이코트, 바코트, 커텐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공방식에 관해서는「코팅방식」진서점 하라사키 유우지 저서 1979년 발행에 기재예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및 경화 조건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오프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 통상, 80~200℃에서 3~40초간, 바람직하게는 100~180℃에서 3~40초간을 기준으로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인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 통상, 70~280℃에서 3~200초간을 기준으로하여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또, 오프라인코팅 또는 인라인코팅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와 자외선조사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미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컨대, 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막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제1 도포층 측에 편광막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통하여 편광막을 접착시킨다. 접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부틸알,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화합물, 글리시딜기나 에폭시시클로헥산으로 예시되는 지환식 에폭시 기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작성한 접착제층 위에, 예컨대 1축 연신되고, 요오드 등으로 염색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편광막으로 하여 접착시킨다. 편광막의 반대측에도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을 접착시켜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편광판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상기에서 예시한 층 구성은, 보호 필름/편광막/접착제/제1 도포층/폴리에스테르 필름/제2 도포층으로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의 측정 방법:
폴리에스테르에 비상용성의 다른 폴리머 성분 및 안료를 제거한 폴리에스테르 1 g을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 50/50(중량비)의 혼합 용매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켜, 30℃에서 측정하였다.
(2) 평균입경(d50: ㎛)의 측정 방법:
원심침강식 입도분포 측정장치(주식회사 시마리즈세이사꾸죠샤 제조 SA-CP3형)를 사용하여 측정한 등가구형분포에서의 적산(중량기준) 50%의 값을 평균입경으로 하였다.
(3) 도포층의 막 두께 측정방법:
도포층의 표면을 RuO4로 염색하여, 에폭시 수지 중에 매립하였다. 그 후, 초박절편법에 의해 작성한 절편을 RuO4로 염색하여, 도포층 단면을 TEM(Hitachi 제조H-7650, 가속전압 100V)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 접착성의 평가방법: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도포층 면에 접착제로서 중합도 1000, 검화도 98.5 mol%의 폴리비닐 알코올 5 중량% 수용액을 건조막 두께가 2 ㎛로 되도록 도포·건조시켜, 접착제층으로 하였다. 이 접착제층에 대하여, 18 mm 폭의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등록상표), 엘팩(등록상표) LP-18)를 붙이거나(접착성 1), 또는 10×10의 크로스컷을 넣고, 그 위에 24 mm 폭의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등록상표), 엘팩(등록상표) LP-24)를 붙이고(접착성 2), 180도의 박리각도로 급격하게 벗긴 후, 박리면을 관찰하여, 박리 면적이 5% 이하이면 ◎, 5% 초과 20% 이하이면 ○, 20% 초과 50% 이하이면 △, 50%를 초과하면 ×로 하였다. 또한, 접착력에 관해서는, 접착성 2의 편이 더 엄격한 조건에 의한 평가에 상당한다.
(5)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제2 도포층 표면으로부터의 절대반사율 극소치의 측정방법:
미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측정 이면(제1 도포층면)에 흑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비닐 테이프 VT-50)를 접착하고, 분광광도계(일본 분광주식회사 제조 자외가시분광광도계 V-570 및 자동절대반사율 측정장치 AM-500N)를 사용하여 동기 모드, 입사각 5°, N 편광, 리스폰스 Fast, 데이터 취득 구간 간격 1.0 nm, 밴드폭 10 nm, 주사속도 1000 m/min 이고, 도포층 표면을 파장 범위 300~800 nm의 절대반사율을 측정하여, 그 극소치에서의 파장(보틈 파장)과 절대반사율을 평가하였다.
(6) 전광선 투과율의 측정방법: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 제조 헤이즈미터 HM-150를 사용하여, JIS K 7361에서 측정하였다.
(7) 편광판으로 했을 때의 전광선 투과율의 평가방법: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1 도포층면 측에, 중합도 1000, 검화도 98.5 mol%의 폴리비닐 알코올 5 중량% 수용액을 도포하여, 롤기를 이용하여 폴리비닐 알코올-요소의 편광막을 접합하고, 70℃에서 4분간 건조하는 것에 의해 편광판으로 하였다. 한편, 참조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AC 필름)에 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작성한 편광판에 있어서, 전광선 투과율을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 제조 헤이즈미터 HM-150을 사용하여, JIS K 7361에서 측정하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을 평가하였다. 즉, TAC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의 전광선 투과율과 비교하여, 저하량이 1% 이하이면 ○, 저하량이 1%를 초과하여, 휘도 저하가 염려되는 경우를 ×로 하였다.
(8) 파장 380 nm의 투과율의 측정:
분광광도계(주식회사 시마리즈세이사꾸죠샤 제조 UV-3100 PC형)에 의해, 스캔 속도를 저속, 샘플링 피치를 2 nm, 파장 300~ 700 nm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광선투과율을 측정하여, 380 nm 파장에서의 광선투과율을 검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폴리에스테르는, 이하와 같이 하여 준비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
테레프탈산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 중량부를 출발 원료로 하여, 촉매로서 아세트산 마그네슘·4수염 0.09 중량부를 반응기에 넣고, 반응개시온도를 150℃로 하여,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애시드 포스페이트 0.04 중량부를 첨가한 후, 삼산화 안티몬 0.04 중량부를 가하여, 4시간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는 0.3 mmHg로 하였다. 반응 개시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따라, 극한점도 0.63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여, 질소 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A)의 극한점도는 0.63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틸애시드 포스페이트 0.04 중량부를 첨가한 후, 평균입자경 2.0 ㎛의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실리카 입자를 0.2 중량부, 삼산화 안티몬 0.04 중량부를 가하여, 극한점도 0.65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 반응을 정지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B)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B)는, 극한점도 0.65이었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를 벤트부착 2축 압출기에 제공하고, 자외선흡수제로서 2,2'-(1,4-페닐렌)비스[4H-3,1-벤조옥사진-4-온](CYTEC사 제조 CYASORB UV-3638 분자량 369 벤조옥사지논계)을 10중량% 농도로 되도록 공급하여 용융 혼련하여 칩화를 행하여, 자외선흡수제 마스터배치 폴리에스테르(C)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의 극한점도는, 0.59이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 예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 예)
● 폴리에스테르 수지: (IA)
하기 조성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카복시산계 수분산체
모노머 조성: (산성분) 이소프탈산/트리멜리트산//(디올성분) 디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 = 96/4//80/20(mol%)
● 폴리에스테르 수지: (IB)
하기 조성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카복시산계 수분산체
모노머 조성: (산성분)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디올성분) 에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디메틸올 프로피온산 = 20/80//16/64/12/8(mol%)
● 폴리에스테르 수지: (IC)
하기 조성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설폰산계 수분산체
모노머 조성: (산성분)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소듐 설포이소프탈산// (디올성분) 에틸렌글리콜/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 = 56/40/4//70/20/10 (mol%)
● 아크릴 수지: (IIA)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 아크릴 아미드/아크릴산 = 65/21/10/2/2(중량%)의 유화중합체(유화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아크릴 수지: (IIB)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N-메틸올 아크릴 아미드/아크릴산 = 65/28/3/2/2 (중량%)의 유화중합체(유화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 우레탄 수지: (IIIA)
1,6-헥산디올과 디에틸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80부, 수평균 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부,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2부, 디메틸올 부탄산 4부로 이루어지는 우레탄 수지를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수분산체.
● 우레탄 수지: (IIIB)
1,6-헥산디올과 디에틸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400부, 네오펜틸글리콜을 10.4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8.4부, 디메틸올 부탄산이 74.3부로 이루어지는 프리폴리머를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키고, 이소포론디아민으로 사슬연장시켜 얻을 수 있는 우레탄 수지의 수분산체.
● 우레탄 수지: (IIIC)
카복시산 수분산형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수지인, 하이드란 AP-40 (DIC사 제조)
● 폴리비닐 알코올: (IV)
검화도 88 mol%, 중합도 500의 폴리비닐 알코올
● 옥사졸린 화합물: (VA)
옥사졸린기 및 폴리알킬렌 옥시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폴리머 에포크로스 WS-500(니혼쇼쿠바이 제조). 옥사졸린기 양 약 4.5 mmol/g.
● 옥사졸린 화합물: (VB)
옥사졸린기 함유 아크릴 폴리머 에포크로스 WS-300(니혼쇼쿠바이 제조). 옥사졸린기 양 약 7.7 mmol/g.
● 에폭시 화합물: (VIA)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인, 데나콜 EX-521(나가세켐텍크스 제조).
● 멜라민 화합물: (VIB)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 입자: (VII) 평균입경 65 nm의 실리카졸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A), (C)를 각각 85%, 1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 하여, 2대의 압출기에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85℃에서 용융한 후, 40℃로 설정된 냉각 롤 상에, 2종3층 (표층/중간층/표층)의 층구성 으로 공압출하여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온도 85℃에서 종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한면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도포액 A1을 도포하고(제1 도포층의 형성), 반대 면에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도포액 B1을 도포하며(제2 도포층의 형성), 텐터에 걸어 횡방향으로 120℃에서 4.3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를 행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여, 막 두께(건조 후)가 0.05 ㎛의 제1 도포층, 0.10 ㎛의 제2 도포층을 갖는 두께 38 ㎛ (표층 4 ㎛, 중간층 30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해 보니, 제1 도포층의 접착성은 양호하며, 제2 도포층의 극소치 절대반사율은 2.5%로 낮게 억제되며, 또 380 nm에서의 투과율은 4%이며, 자외선을 흡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19: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20:
폴리에스테르 (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 (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A), (C)를 각각 80%, 2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또 380 nm에서의 투과율은 1%이며, 자외선을 흡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실시예 21:
폴리에스테르 (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A), (C)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또 380 nm에서의 투과율은 9%이며, 자외선을 흡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실시예 22:
폴리에스테르 (A), (B)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최외층(표층)의 원료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A)를 중간층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1~10: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해보니,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고, 접착성이 약한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보이지 않는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높은 것이었다.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2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3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4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5
실시예 23~42: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5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43:
실시예 20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5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44:
실시예 2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5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45:
실시예 22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5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11~20: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1, 2 및 5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해보니,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고, 접착성이 약한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보이지 않는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높은 것이었다.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6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7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8
실시예 46~67: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8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68:
실시예 20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8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69:
실시예 2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8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실시예 70:
실시예 22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8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비교예 21~26:
실시예 1에 있어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및 8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평가해보니,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고, 접착성이 약한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보이지 않는 것, 반사율의 극소치가 높은 것이었다.
Figure 112012021423874-pct00009
Figure 112012021423874-pct00010
Figure 112012021423874-pct00011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편광막의 보호 필름, 특히 후면측 편광판의 후면측 보호필름 등, 각종의 접착제와 양호한 접착성, 가공 후에 있어서 높은 전광선 투과율이 필요한 용도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1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의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제2 도포층을 가지며, 제1 도포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이 10~80 중량%, 제1 도포층의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이 10~80 중량%, 제1 도포층의 옥사졸린 화합물의 함유량이 10~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1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의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제2 도포층을 가지며, 제1 도포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옥사졸린 화합물의 중량비가 1.0~8.0: 1.0~8.0: 1.0~8.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1 도포층을 갖고, 다른 한쪽 면에, 절대반사율이 파장 300~800 nm의 범위에 1개의 극소치를 갖고, 당해 극소치가 3.5% 이하인 제2 도포층을 가지며, 제1 도포층의 옥사졸린 화합물이 옥사졸린기를 측쇄에 갖는 중합체이고,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이 10~80 중량%, 제1 도포층의 폴리비닐 알코올의 함유량이 10~80 중량%, 제1 도포층의 옥사졸린 화합물의 함유량이 10~80 중량%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옥사졸린 화합물의 중량비가 1.0~8.0: 1.0~8.0: 1.0~8.0 범위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의 우레탄 수지가, 폴리올로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의 옥사졸린 화합물이 옥사졸린기를 측쇄에 갖는 중합체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7항에 있어서, 옥사졸린기를 갖는 중합체가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3항에 있어서, 다른 모노머가 아크릴계 모노머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에 멜라민 화합물 또는 에폭시 화합물이 더 함유되어 있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0항에 있어서, 멜라민 화합물 또는 에폭시 화합물의 함유량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 및 옥사졸린 화합물의 합계량에 대하여, 3~50 중량%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0항에 있어서, 멜라민 화합물이 알킬화 멜라민 화합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2항에 있어서, 알킬화 멜라민 화합물이 완전 알킬형 멜라민 화합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3항에 있어서, 완전 알킬형 멜라민 화합물이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0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이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5항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화합물이 적어도 2개의 글리시딜에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 16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글리시딜에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도포층이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제 18항에 있어서, 제2 도포층 중의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0. 제 18항에 있어서, 제2 도포층의 우레탄 수지가, 폴리올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류를 사용하여 얻어진 것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도포층의 두께가 0.002~1.0 ㎛, 제2 도포층의 두께가 0.04~0.15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3. 제 8항에 있어서, 다른 모노머가 아크릴계 모노머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27006924A 2009-09-23 2010-09-13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27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8299 2009-09-23
JP2009218298 2009-09-23
JPJP-P-2009-218298 2009-09-23
JPJP-P-2009-218299 2009-09-23
JPJP-P-2009-221782 2009-09-28
JP2009221782A JP5295918B2 (ja) 2009-09-28 2009-09-28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10/065754 WO2011037032A1 (ja) 2009-09-23 2010-09-13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232A KR20120073232A (ko) 2012-07-04
KR101727171B1 true KR101727171B1 (ko) 2017-04-14

Family

ID=4379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924A KR101727171B1 (ko) 2009-09-23 2010-09-13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84976B2 (ko)
EP (1) EP2481580B1 (ko)
KR (1) KR101727171B1 (ko)
CN (1) CN102548762B (ko)
WO (1) WO2011037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912B1 (ko) * 2009-06-12 2017-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349172B2 (ja) * 2009-07-01 2013-11-20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67911B1 (ko) * 2009-07-01 2017-08-1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1037033A1 (ja) * 2009-09-23 2011-03-3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88853B2 (ja)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570289B2 (ja) * 2010-04-29 2014-08-1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07656332B (zh) 2010-06-22 2021-10-15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偏振板及偏振片保护膜
US10180597B2 (en) 2011-05-18 2019-01-15 Toyobo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polarizer protection film
JP6180113B2 (ja) 2011-05-18 2017-08-16 東洋紡株式会社 三次元画像表示対応液晶表示装置に適し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536717B2 (ja) * 2011-06-27 2014-07-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005473B1 (ko) * 2012-09-28 2019-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27426B1 (ko) * 2012-08-31 2019-10-0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75489B1 (ko) 2013-06-18 2015-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신 적층체,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형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204151A1 (ko) * 2013-06-18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신 적층체,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박형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15021014A (ja) * 2013-07-16 2015-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581089B1 (ko) * 2013-11-27 2015-12-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필름
GB201409063D0 (en) * 2014-05-21 2014-07-02 Dupont Teijin Films Us Ltd Coated polyester films
KR101768270B1 (ko) * 2014-07-21 2017-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557062B2 (en) 2015-01-16 2020-02-11 Jn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forming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manufacturing method for adhesive layer, composite material, sheet, heat dissipation member, electronic device, battery, capacitor, automobile component and machine mechanism component
JP6741078B2 (ja) * 2017-09-22 2020-08-19 東洋紡株式会社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183981B1 (ko) * 2019-06-28 2020-11-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907A (ja) * 2002-04-26 2003-11-06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60210768A1 (en) 2003-03-11 2006-09-2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release film
JP2009098623A (ja) * 2007-09-28 2009-05-07 Nitto Denko Corp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216B2 (ja) 1979-01-25 1984-02-03 ダイアホイル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DE3313923A1 (de) 1983-04-16 1984-10-18 Hoechst Ag, 6230 Frankfurt Polyesterrohstoff, daraus hergestellte formkoerper, vorzugsweise eine folie, sowie verwendung der formkoerper
JP3297450B2 (ja) 1991-07-22 2002-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偏光フィルム
JPH08271733A (ja) 1995-04-03 1996-10-18 Fujimori Kogyo Kk 前面側偏光板の前面側保護シート、その製造法、および該前面側保護シートの偏光素膜側への貼着方法
JPH08271734A (ja) 1995-04-03 1996-10-18 Fujimori Kogyo Kk 前面側偏光板の前面側保護シート、および該前面側保護シートの偏光素膜側への貼着方法
US6793860B2 (en) * 2000-01-05 2004-09-21 Arkwright Incorporated Methods for producing aqueous ink-jet recording media using hot-melt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dia produced therefrom
JP3411009B2 (ja) 2000-06-16 2003-05-26 株式会社麗光 反射防止フイルム
JP4341163B2 (ja) 2000-10-10 2009-10-0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
JP2003049135A (ja) * 2001-08-09 2003-02-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Ito膜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010875A (ja) * 2002-06-12 2004-01-1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249043B (en) * 2003-08-11 2006-02-11 Toyo Boseki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film roll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near infrared ray absorption filter
TWI295303B (en) * 2003-08-21 2008-04-01 Toyo Boseki Optical-use adhesive polyester film and optical-use laminatede film
JP4655476B2 (ja) 2003-12-26 2011-03-23 東洋紡績株式会社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JP4807965B2 (ja) 2004-05-12 2011-11-02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に用いる粘着剤組成物
JP2006227090A (ja) 2005-02-15 2006-08-31 Asahi Kasei Chemicals Corp 偏光板保護フィルム
JP2006253565A (ja) * 2005-03-14 2006-09-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太陽電池用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積層体
US20060225827A1 (en) * 2005-04-08 2006-10-12 Herong Lei Process for forming polarizer plate
JP4895000B2 (ja) * 2005-12-25 2012-03-14 三菱樹脂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用基材
JP2008003541A (ja) * 2006-01-27 2008-01-10 Fujifilm Corp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18543A (ja) 2006-07-10 2008-01-31 Nof Corp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性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性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
US7906216B2 (en) 2007-09-28 2011-03-1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2009157361A (ja) 2007-12-06 2009-07-16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907A (ja) * 2002-04-26 2003-11-06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ディスプレイ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60210768A1 (en) 2003-03-11 2006-09-21 Mitsubishi Polyester Film Corporatio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release film
JP2009098623A (ja) * 2007-09-28 2009-05-07 Nitto Denko Corp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1580A4 (en) 2013-04-24
CN102548762B (zh) 2014-09-03
WO2011037032A1 (ja) 2011-03-31
KR20120073232A (ko) 2012-07-04
EP2481580A1 (en) 2012-08-01
EP2481580B1 (en) 2014-01-15
US8784976B2 (en) 2014-07-22
CN102548762A (zh) 2012-07-04
US20120189831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171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86524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47607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712148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29601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4907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1687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9591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2512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68687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29591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951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5577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11319A1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9605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6411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08843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717342B2 (ja) 偏光板
JP5683655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70389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7039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011333A1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