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080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080B1
KR101726080B1 KR1020150170678A KR20150170678A KR101726080B1 KR 101726080 B1 KR101726080 B1 KR 101726080B1 KR 1020150170678 A KR1020150170678 A KR 1020150170678A KR 20150170678 A KR20150170678 A KR 20150170678A KR 101726080 B1 KR101726080 B1 KR 101726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recall
advertisement image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227A (ko
Inventor
황세일
김나은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0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및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제공된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을 리콜(recall)하기 위한 리콜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리콜 UI를 통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 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MULTIMEDIA PROVIDING SYSTEM AND MULTIMEDIA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영상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사용자에게 동영상을 제공하기 전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중간에 일정 시간 동안 광고를 노출하는 형태이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제10-1001796호(등록일 2010년 12월 09일)에는 동영상에서 광고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광고 영상은 노출 또는 재생이 단 한 차례 이루어질 뿐이며, 광고 영상이 종료되거나 건너뛰기(skip)가 처리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광고 영상을 재시청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동영상의 소비와 그에 따른 광고 업계의 대응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에 발맞춰 새로운 형태의 광고영상 서비스에 대한 고민은 미비한 상황이다.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광고주가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모바일 환경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동영상 광고를 서비스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제공된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을 리콜(recall)하기 위한 리콜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리콜 UI를 통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 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되,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고,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측 영역에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해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배너(banner) 형태로 구성된 상기 리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일시정지 상태가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된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콜 UI는 상기 광고 영상 타이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의 배너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단말기로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된 이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recall banner)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콜 배너를 통해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되, 상기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영상은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상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일시정지 상태가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콜 배너는 상기 광고 영상 타이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제공된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을 리콜하기 위한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과정; 및 상기 리콜 UI를 통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 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과정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되,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고,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측 영역에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해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단말기로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된 이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콜 배너를 통해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고,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되, 상기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영상은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상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이용 중에 리콜(recall) 가능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더 이상 상투적인 상품 광고만으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콘텐츠 장르로 확장되는 현 추세를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 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재시청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이 일시정지되거나 동영상의 UI가 활성화 된 시점에 리콜 가능한 광고 영상의 배너를 노출시킴으로써 고정 배너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인지시킬 수 있어 광고주로 하여금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시청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청 중인 동영상을 일시정지 시킴과 동시에 광고 영상을 다시 호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저해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롤 광고 노출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드롤 광고 노출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블리셔의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환경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는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광고주(110)와 사용자(14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10)나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간에 나타난 화살표들은 광고주(11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단말기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은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키워드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제공 및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의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사항들 중,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하여 종래 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사이트"라는 용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한 설명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 일반적인 PC의 웹 사이트 접속이 아닌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사이트"라는 용어는 퍼블리싱 사이트 또는 상술한 "퍼블리셔"라는 용어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사이트는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140)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광고의 "노출"은 사이트(퍼블리셔)를 통해 광고주(110)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등, 소리, 동영상, 하이퍼 링크 등의 홍보성 콘텐츠가 해당 사이트의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140, 일례로, 상술한 사이트 방문자)가 사이트를 통해 제공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콘텐츠에 대해 마우스 클릭이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110)가 홍보성 콘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110)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광고를 선택한 방문자에게 광고주(110)와 연관된 페이지가 노출되는 상황이나, 방문자가 광고주(110)와 연관된 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또는 상품 구매 등과 같은 행위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이트를 통해 사이트가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입력되는 키워드를 통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입력한 키워드에 적합한 광고를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아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광고를 직접 제공 받는 경로(화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환경에서 광고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제1 광고 플랫폼, 제2 광고 플랫폼, ···) 각각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광고를 사용자(140)에게 노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의 노출 이외에, 통합검색, 카페/블로그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하나의 광고 플랫폼을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이거나,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 중 하나의 퍼블리셔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이거나 또는 사용자(140)의 단말기를 구성하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에서 파일 배포 시스템(15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40)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 파일 배포 시스템(150)은 퍼블리셔(13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하기 위한 파일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일 배포 시스템은 상술한 파일을 저장 및 유지하는 파일 관리부와 사용자(140)의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로 상술한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된 파일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기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10), 메모리(memory)(2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2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240), 전력 회로(250) 및 통신 회로(2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260)에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2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2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2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2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2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2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2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2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2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2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2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광고주는 광고 플랫폼이 제공하는 광고주 페이지를 통해 광고를 구성하기 위한 광고 소재를 광고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소재는 영상 콘텐츠로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T&D(title and description), 대표 이미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광고주는 각 광고 소재 별로 키워드들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이에, 광고 플랫폼은 광고주에 의해 등록된 광고 소재인 영상 콘텐츠(이하, '광고 영상'이라 칭함)를 광고주와 연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광고 플랫폼은 등록된 키워드들을 광고 영상과 연관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퍼블리셔는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동영상 콘텐츠(이하, '동영상'이라 칭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광고 영상을 전달 받아 동영상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은 동영상과 무관한 광고 영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제공하거나, 동영상과 관련성 있는 광고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과 관련성 있는 광고 영상은 동영상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광고 영상에 연관되어 등록된 키워드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키워드 간 비교는 단어(키워드)간 연관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이용될 수 있다.
퍼블리셔는 광고 플랫폼에서 제공된 광고 영상을 동영상 플레이어 내에서 노출되는 인스트림(in-stream)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 전, 재생 중, 재생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인스트림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광고 영상의 재생 시기에 따라 광고 영상을 프리롤(pre-roll) 광고, 미드롤(mid-roll) 광고, 포스트롤(post-roll) 광고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롤 광고 노출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동영상과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 도 3 내지 도 9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동영상 플레이어, 즉 퍼블리셔와 연관된 동영상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일 수 있다.
도 3은 프리롤 광고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프리롤 광고 화면은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이하, '광고 화면'이라 칭함)(3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고 영상 재생 시 사용자가 광고 화면(400)을 터치한 경우 광고 화면(400)의 일측 영역(예컨대, 상단)에서 광고 영상 타이틀(401)이, 다른 일측 영역(예컨대, 하단)에서 광고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user interface)(402)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광고 영상 타이틀(401)은 이미지나 텍스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영상 플레이어 UI(402)는 일시정지, 재생 등의 기능 버튼이 포함된 UI 바(bar)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광고 화면(400)을 다시 터치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광고 화면(400)에서 광고 영상 타이틀(401)과 광고 영상의 플레이어 UI(402)가 사라진다. 그리고, 광고 영상의 재생이 시작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5초)이 경과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화면(500)의 일 영역(예컨대, 하단 우측)에서 광고 영상을 건너뛸 수 있는 기능(skip)의 건너뛰기 UI(503)가 노출될 수 있다.
광고 화면(500)에서 건너뛰기 UI(503)를 터치한 경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고 화면(5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이하, '동영상 화면'으로 칭함)(600)으로 전환된 후 동영상 화면(600)을 통해 동영상 재생이 시작된다. 광고 화면(500)에서 건너뛰기 UI(503)를 터치하지 않고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영상 화면(600)을 통해 자동으로 동영상 재생이 시작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시 사용자가 동영상 화면(700)을 터치한 경우 동영상 화면(700)의 일측 영역(예컨대, 하단)에서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701)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플레이어 UI(701)는 일시정지, 재생 등의 기능 버튼이 포함된 UI 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영상 화면(800)에서 동영상 플레이어 UI(801)가 노출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1초)이 경과하면 동영상 플레이어 UI(801)가 위로 밀리면서 동영상 재생 이전에 재생된 광고 영상을 리콜할 수 있는 리콜 배너(802)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리콜 배너(802)는 이미지나 텍스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리콜 배너(802)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광고 영상 타이틀(40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UI가 사용자로 하여금 이전에 보았던 광고 영상의 리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다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때, 동영상 화면(8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동영상 화면(800)에 노출된 요소들(동영상 플레이어 UI(801), 리콜 배너(802) 등)이 숨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화면(800)에서 노출된 요소들을 제외한 영역을 터치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영상 화면(800)에 노출된 요소들이 숨김 처리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동영상 화면(900)에서 리콜 배너(902)를 터치한 경우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정지되면서 동영상 화면(900)이 사라지고 광고 화면(500)이 자동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광고 화면(500)에는 동영상 재생 전에 재생되었던 광고 영상이 리콜되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리콜된 광고 영상의 재생 초기부터 광고 화면(500)에 건너뛰기 UI(503)가 노출될 수 있다. 광고 화면(500)에서 건너뛰기 UI(503)를 터치하거나 광고 화면(500)에서 건너뛰기 UI(503)를 터치하지 않고 리콜된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동영상의 일시정지 시점으로 복귀하여 시청 중인 동영상이 자동 재생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드롤 광고 노출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동영상과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도중에 버퍼링(buffering)이 진행될 때 동영상 화면(1000) 상에 광고 화면(1010)이 팝업(pop-up)되어 노출될 수 있다. 광고 화면(1010)은 동영상 화면(1000) 상에 레이어 형태로 가운데 정렬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광고 화면(1010)의 일측 영역(예컨대, 상단)에서 광고 영상 타이틀(1011)이 함께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광고 영상 타이틀(1011)은 이미지나 텍스트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동영상 화면(1000) 상에 광고 화면(1010)이 팝업 되면 광고 화면(1010)을 통해 광고 영상이 재생되게 되며, 동영상 버퍼링이 완료된 후에는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되면서 광고 화면(1010)이 사라지고 시청 중인 동영상이 자동 재생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고 영상 종료 후 동영상 재생 시 사용자가 동영상 화면(1100)을 터치한 경우 동영상 화면의 일측 영역(예컨대, 하단)에서 동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1101)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플레이어 UI(1101)는 일시정지, 재생 등의 기능 버튼이 포함된 UI 바로 구성될 수 있다. 동영상 화면(1100)에서 동영상 플레이어 UI(1101)가 노출되고 일정 시간(예컨대, 1초)이 경과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영상 플레이어 UI(1101)가 위로 밀리면서 동영상 버퍼링 시 재생된 광고 영상을 리콜할 수 있는 리콜 배너(1102)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리콜 배너(1102)는 도 10을 통해 설명한 광고 영상 타이틀(101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UI가 사용자로 하여금 이전에 보았던 광고 영상의 리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다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화면(110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동영상 화면(1100)에 노출된 요소들(동영상 플레이어 UI(1101), 리콜 배너(1102) 등)이 숨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화면(1100)에서 노출된 요소들을 제외한 영역을 터치할 경우 마찬가지로 동영상 화면(1100)에 노출된 요소들이 숨김 처리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영상 화면(1200)에서 리콜 배너(1202)를 터치한 경우 동영상의 재생이 일시정지되고 일시정지된 동영상 화면(1200) 상에 광고 화면(1010)이 레이어 형태로 다시 자동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광고 화면(1010)에는 동영상 재생 전에 재생되었던 광고 영상이 리콜되어 다시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리콜된 광고 영상의 재생 초기부터 광고 화면(1010)에 광고 영상을 종료하기 위한 기능의 닫기(close) UI(1012)가 노출될 수 있다. 광고 화면(1010)에서 닫기 UI(1012)를 터치하거나 광고 화면(1010)에서 닫기 UI(1012)를 터치하지 않고 리콜된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 레이어 된 광고 화면(1010)이 사라지고 동영상의 일시정지 시점으로 복귀하여 시청 중인 동영상이 자동 재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광고 영상이 노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화면이나 광고 화면을 구성하는 레이아웃은 물론이고, 동영상 화면 또는 광고 화면에 노출되는 요소들, 요소 노출 방식이나 순서, 그리고 화면 간 전환 방식이나 순서 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301)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퍼블리셔에 접근하여 광고 영상이 포함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기 설정된 광고 재생 시기에 따라 동영상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광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을 재생하기 이전에 먼저 광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프리롤 광고). 다른 예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는 도중에 버퍼링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영상 버퍼링 동안 광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미드롤 광고). 이때,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광고 화면은 단독 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동영상 화면 상에 레이어 형태로 표시되는 팝업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S1302~S1303)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영상의 재생이 중단 또는 종료되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프리롤 광고의 경우 광고 영상이 종료되거나 사용자로부터 건너뛰기 요청이 입력되면 동영상의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미드롤 광고의 경우 동영상 버퍼링이 완료되면 버퍼링으로 일시정지된 시점부터 동영상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단계(S1304~S1305)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재생 중인 동영상이 일시정지되거나 동영상과 관련된 UI(일 예로, 동영상 플레이어 UI 등) 호출이 발생할 경우 단계(S1301)에서 재생되었던 광고 영상을 리콜할 수 있는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 화면의 소정 위치에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UI를 배너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도 8의 802, 도 11의 1102 참조). 예컨대, 리콜 배너는 동영상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거나, 혹은 동영상 화면에 동영상 플레이어 UI가 표시될 때 동영상 플레이어 UI 상 또는 동영상 플레이어 UI와 인접한 위치에 리콜 배너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리콜 배너의 노출 위치나 노출 방식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동영상에 대해 광고 영상이 한 차례 재생된 이후에는 언제든지 위치나 형식 등에 제약 없이 해당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UI의 노출이 가능하나, 일 예로서 리콜 배너를 동영상이 일시정지된 상태 또는 UI가 노출된 상태의 동영상 화면에서 노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 해당 광고를 인지시킬 수 있다.
단계(S1306~S1307)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광고 리콜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 중인 동영상을 일시정지하고 단계(S1301)에서 재생되었던 광고 영상을 다시 불러와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리콜된 광고 영상은 단계(S1301)에서 재생된 광고 영상과 동일한 광고 화면을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중에 한 차례 이상 시청한 적이 있는 광고 영상을 다시 호출하여 재시청할 수 있다.
단계(S1308~S1309)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재시청 중인 광고 영상의 재생이 중단 또는 종료되면 단계(S1307)에서의 일시정지 시점으로 복귀하여 동영상을 일시정지된 시점부터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단계(S1310)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동영상이 종료되면 상기한 모든 과정을 마치고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에는 상기한 과정(S1304~S1309)을 통해 광고 영상의 리콜이 가능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에 대응되는 단말기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단말기가 수행하도록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1의 파일 배포 시스템(150)을 통해 이미 설명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퍼블리셔의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은 퍼블리셔에 대응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401)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동영상 제공 시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광고 영상을 전달 받아 동영상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 플랫폼에서는 동영상과 무관한 광고 영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제공하거나, 동영상과 관련성 있는 광고 영상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영상을 동영상이 재생되기 전에 프리롤 형태로 제공하거나, 또는 동영상 재생 도중 버퍼링 시 미드롤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광고 영상이 종료되거나 건너뛰기로 중단되는 경우 메인 콘텐츠인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단계(S1402)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이 일시정지되거나 재생 중에 동영상과 관련된 UI(일 예로, 동영상 플레이어 UI 등)가 활성화 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동영상의 상태를 수신하여 단계(S1401)에서 제공한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리콜 배너는 단계(S1401)에서 제공한 광고 영상을 리콜할 수 있는 UI 요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동영상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S1403)에서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리콜 배너를 통해 광고 영상에 대한 재시청을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광고 리콜 요청을 수신하여 단계(S1401)에서 제공한 광고 영상을 다시 한번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통해 설명한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12에 대한 상세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단축된 동작들 또는 추가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동작이 조합될 수 있고, 동작들의 순서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이용 중에 리콜(recall) 가능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더 이상 상투적인 상품 광고만으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콘텐츠 장르로 확장되는 현 추세를 반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 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광고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재시청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이 일시정지되거나 동영상의 UI가 활성화 된 시점에 리콜 가능한 광고 영상의 배너를 노출시킴으로써 고정 배너보다 효과적으로 광고를 인지시킬 수 있어 광고주로 하여금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시청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청 중인 동영상을 일시정지 시킴과 동시에 광고 영상을 다시 호출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영상 시청 저해도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제공된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을 리콜(recall)하기 위한 리콜 UI(user interface)를 활성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리콜 UI를 통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 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되,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고,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측 영역에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해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배너(banner) 형태로 구성된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일시정지 상태가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된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콜 UI는 상기 광고 영상 타이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의 배너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5.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단말기로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된 이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recall banner)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콜 배너를 통해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되,
    상기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영상은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상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일시정지 상태가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콜 배너는 상기 광고 영상 타이틀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해 제공된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을 리콜하기 위한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과정; 및
    상기 리콜 UI를 통한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 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재생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리콜 UI를 활성화 하는 과정은,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상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되,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에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레이어 UI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상기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리콜 UI를 표시하고,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의 일측 영역에는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해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
  10.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된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 전 또는 재생 도중에 상기 단말기로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광고 영상의 재생이 종료 또는 중단된 이후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리콜 배너를 통해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로 상기 광고 영상을 다시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광고 영상에 대한 리콜 배너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다가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되,
    상기 플레이어 UI가 활성화 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리콜 배너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영상은 상기 광고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 상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작된 광고 영상 타이틀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광고 제공 시스템.
KR1020150170678A 2015-12-02 2015-12-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6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78A KR101726080B1 (ko) 2015-12-02 2015-12-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78A KR101726080B1 (ko) 2015-12-02 2015-12-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31A Division KR101578803B1 (ko) 2013-11-28 2013-11-28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7A KR20160004227A (ko) 2016-01-12
KR101726080B1 true KR101726080B1 (ko) 2017-04-12

Family

ID=551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78A KR101726080B1 (ko) 2015-12-02 2015-12-02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578B1 (ko) 2020-04-20 2022-06-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플레이어와 연결된 보상 수단을 통해 보상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39A (ja) * 2000-04-25 2001-11-02 Oki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オン・デマン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931A (ko) * 2007-03-22 2008-10-02 (주)브이아이피커뮤니케이션 인터넷상의 동영상광고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52492B1 (ko) * 2011-12-20 2018-04-27 주식회사 케이티 다이나믹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15999B1 (ko) * 2012-08-06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컨텐츠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39A (ja) * 2000-04-25 2001-11-02 Oki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オン・デマン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7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468B1 (ko) 동영상 간 전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78803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74409B2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673916B1 (en) Executing applications in remotely emulated computing devices
CA287005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onic cues for time-based media
US20140095329A1 (en) Open canvas advertising unit
AU2010256367A1 (en) Ecosystem for smart content tagging and interaction
US201201225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game interactive advertising
GB2516745A (en) Placing unobtrusive overlays in video content
JP6224786B1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CN105898571A (zh) 视频预览方法及装置
TW201001188A (en) Extensions for system and method for an extensible media player
TW201510900A (zh) 用於確認媒體內容內之產品廣告之獎勵機制
CN110506247B (zh) 用于虚拟现实环境内的交互式单元的系统和方法
JP2015504643A (ja) 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のための同期されたインタラクティブレイヤ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26080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24321B1 (ja) コンテンツ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88563A1 (en) Inserting digital contents into a multi-view video
JP618645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US20100192058A1 (en) Passive access by online ads to a landing zone
JP6559190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KR102476115B1 (ko) 세컨드 스크린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콘텐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0920136A (en) Playing system for showing an external data banner on a media video and playing method thereof
KR20160094689A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