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708B1 - 식물 종자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종자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708B1
KR101725708B1 KR1020157031744A KR20157031744A KR101725708B1 KR 101725708 B1 KR101725708 B1 KR 101725708B1 KR 1020157031744 A KR1020157031744 A KR 1020157031744A KR 20157031744 A KR20157031744 A KR 20157031744A KR 101725708 B1 KR101725708 B1 KR 10172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watermelon
diploid
seeds
graf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068A (ko
Inventor
베니토 후아레즈
테리 워커
프레드 맥퀴스쳔
그렉 톨라
Original Assignee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01H1/021Methods of breeding using interspecific crosses, i.e. interspecies cro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30Graf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01H1/08Methods for producing changes in chromosome nu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2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drought, cold or salt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45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biotic stress resistance, e.g. pathogen, pest or diseas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34Cucurbitaceae, e.g. bitter melon, cucumber or watermelon 
    • A01H6/342Citrullus lanatus [watermel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박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스트레스 내성 대목 상에 종자친을 접목시키고, 종자친을 화분 공여체로부터 유래된 화분으로 수분시키고, 종자가 형성될 때까지 종자친을 재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3배체 종자는 4배체 종자와는 현저한 차이로 구별될 수 있고, 이로써, 수동으로 또는 자동 기계에 의해 쉽게 선별해 낼 수 있다. 종자 수율 및/또는 품질을 증가시키는 방법 또한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종자 생산 방법{METHODS FOR PLANT SEED PRODUCTION}
본 출원은 2008년 8월 29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제61/093,131호 (상기 문헌의 전문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종자 생산 분야, 더욱 특히, 수박 및 기타 다른 종의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박은 천연적으로 2배체 (2N (N=11)으로 지칭된다)이다. 수박을 비롯한 많은 식물에서는 그의 완전한 염색체 세트가 중복될 수 있고, 이로써 이들은 4배체 4N (4N=44)으로 존재하게 된다. 수박 4배체는 통상적으로 실험실에서 세포 생물학 기법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4배체 모체를 2배체 모체와 교배시키면 3배체 종자 (3N=33)를 생산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3배체 식물은 "씨없는" 수박 과실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성숙한 종자를 생산하는 일은 극히 드물며, 오직 경피 종자피는 포함하고, 배는 포함하지 않는 미성숙 종자만이 드물게 생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4배체와 2배체 계통 사이의 교배를 통해 3배체 수박 종자를 수득할 수 있다. 4배체 암꽃이 '종자친 (seed parent)'으로서 사용되고, 2배체 수꽃이 화분 공여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교배를 통해 수득되는 종자는 3배체 배를 얻게 된다. 4배체 종자친은 전형적으로는 전형적인 2배체 식물이 생산하는 종자의 단지 5 내지 10%만큼의 종자를 생산하게 된다. 2배체 암꽃을 4배체 꽃으로부터 유래된 화분으로 수분시키면, 그 결과 빈 종자가 생산된다.
방임 수분에 의한 3배체 하이브리드 생산을 수행하는 경우, 4배체 꽃의 암술머리에 도달하게 되는 화분의 기원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따라서, 4배체 및 3배체 종자, 2가지 모두가 같은 과실에서 발견될 수 있다. 따라서, 선별 방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생산된 하이브리드 종자는 자가 수분으로부터 생성된 종자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 생물적 및/또는 무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rootstock) 상에 접목된 제1의 수박 식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접목된 제1의 수박 식물을 제2의 수박 식물로 수분시켜 하이브리드 수박 종자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하이브리드 수박 종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수박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1의 수박 식물은,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로 수분된 후에 3배체 (3N) 하이브리드 종자를 생산하는 것인 4배체 수박 식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1의 수박 식물은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로 수분된 후에 2배체 (2N) 하이브리드를 생산하는 것인 2배체 수박 식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의 2배체 수박은 선택된 바람직한 표현형을 보이는 대목 상에 접목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대목은 임의 유형의 스트레스 내성을 보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대목은 내한성, 내열성, 내가뭄성, 및 내염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보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대목은 질병 내성, 곤충 내성, 및 선충(nematode) 내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보인다. 질병 내성은 세균성, 진균성, 및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내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목은 수박, 애호박, 늙은 호박, 동아, 및 호리병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로부터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종자친은 스트레스 상태하에서 성장하게 되거나, 스트레스 상태의 부재하에서 성장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접목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접목은 합접, 눈접, 할접, 배접, 호접, 및 홀 삽접(hole insertion grafting)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수분은 곤충에 의한 수분 및 인공 수분을 비롯한, 표준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특히, 재배하는 동안 종자친이 스트레스 상태에 노출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크기 및/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3배체 종자가 4배체 종자친의 종자와는 현저한 차이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3배체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크기 및/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하나의 배수성 카테고리에 있는 종자를 기타 다른 배수성 카테고리에 있는 종자로부터 선별해 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선별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선별은 자동 기계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는 추가로 접목된 종자친에서 비접목된 종자친에 비해 착과수가 증가된 형태로, 과실 1개당 종자수가 증가된 형태로, 및 과실 1개당 종자의 총 중량이 증가된 형태로 생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배체 및 4배체 식물을 포함하여, 과실 1개당 종자 수율은,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과의 접목된 종자친을 사용하여 생산된 과실 1개당 종자수가 약 5개 내지 약 150개, 약 34개 내지 약 100개, 약 60개 내지 약 120개, 약 50개 내지 약 150개, 약 100개 내지 약 200개, 약 125개 내지 약 250개, 및 약 150개 내지 약 200개인 것을 비롯하여, 과실 1개당 종자수가 예를 들면, 적어도 약 5개, 10개, 25개, 50개, 적어도 약 75개, 적어도 약 100개, 적어도 약 125개, 적어도 약 150개, 적어도 약 175개, 적어도 약 200개, 적어도 약 225개 또는 적어도 약 250개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2배체 수박 식물의 경우, 과실 1개당 종자 수율은 적어도 약 150개, 200개, 250개, 300개, 350개 또는 적어도 약 400개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의 모체 식물을 제2의 모체 식물과 교배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의 또는 제2의 모체 식물 중 적어도 하나는 대목 상에서 접목된 식물인 것인 방법에 의해 생산된 종자 및 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종자 및 식물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또 다른 상이한 식물과 교배하여 생산된 제1세대 (F1) 하이브리드 종자 및 식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는 F1 하이브리드 종자 및 그의 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2배체 수박 변종을 종자친으로 사용하고, 화분 공여체를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로서 사용한다. 기타 다른 실시양태에서, 종자친 및 화분친은 고추, 피망, 토마토, 애호박, 오이, 늙은 호박, 박, 멜론, 가지, 및 오크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 종이다.
추가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종자친 및 화분 공여체 모체 식물 군집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 및 b)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을 포함하는, 필드에서 이들이 근접한 위치에서 수분될 수 있도록 식재된 것인 식물 군집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 및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은 줄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식재될 수 있고,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 대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의 줄의 비가 예를 들면, 1:1, 2:1, 3:1, 4:1 또는 5:1인 것과 같이 식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설명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거나, 또는 그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수박 종자의 개선된 생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당업계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생물적 또는 무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에 접목된 4배체 종자친과 2배체 화분 공여체를 교배시킴으로써 3배체 종자의 생산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이러한 이점은 대목이 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인 스트레스에 종자친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하에서 조차도 관찰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 질병 내성 대목을 사용한 결과, 질병의 압박이 없는 상태하에서 조차도 종자 생산은 개선되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접목된 종자친에 의해 생산된 3배체 종자가 비접목된 식물에 비하여 4배체 종자와 보다 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는 형태를 보였다는 것 또한 발견하게 되었다. 종자친의 과실 중에서도 발견될 수 있는 4배체 종자를 3배체 종자로부터 식별해 내는 것이 난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종자의 형태학적 특징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개선되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3배체와 4배체 종자 사이의 뚜렷한 차이, 예를 들면, 두께 및 중량상의 차이를 개선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 스크리닝에 의해 3배체 종자를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로써 종자의 품질과 종자 생산 효율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종자 생산자 및 농부, 모두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접목된 종자친은 또한 종자 수율 및 품질을 개선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접목된 종자친에서 비접목된 종자친에 비해 과실 1개당 종자수가 증가된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 및 더욱더 놀랍게는, 그러한 효과는 대목이 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인 스트레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관찰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는 2배체 또는 4배체 수박 식물일 수 있는 접목된 종자친을 접목된 또는 비접목된 화분 공여체 식물과 교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종자친 또는 화분 공여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2배체 종자 계통의 예는 주지되어 있으며, 올스윗(Allsweet), 크림슨 스윗(Crimson Sweet), 주비리(Jubilee), 딕시 리(Dixie Lee), 슈가 베이비(Sugar Baby), 칼스윗(Calsweet), 찰스턴 그레이(Charleston Grey), 및 미니리(Minilee)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법은 또한 접목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 다른 종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제1 식물을 교배시키는 단계, 제1 식물을 동일한 종의 제2 식물로 수분시키는 단계, 및 종자가 제1 식물 상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식물은 상기 스트레스 상태의 부재하에서 성장하게 되는 것인,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종의 예로는 고추, 피망, 토마토, 애호박, 오이, 늙은 호박, 박, 멜론, 가지, 및 오크라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대목은 세균성, 진균성, 및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종자친은 2배체 화분 공여체와의 교배를 통해 3배체 하이브리드 종자를 생산하게 되는 4배체 식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4배체 종자친의 예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4배체 수박 식물을 생산하는 방법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문헌 [Kihara, 1951 and Eigsti, 1971]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할 수 있다. 4배체를 개발하기 위해, 2배체 근교계의 유사분열을 변경시키는 화학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염색체수를 비정상이 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콜히친은 2배체 세포의 유사 분열시 방추사를 변경시켜 4배체 세포가 다수 생산될 수 있도록 만드는 화학 물질이다. 4배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2배체 계통은 4배체 계통에 필요한 특질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4배체 계통에 필요한 특질을,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육종 방법에 의해서 4배체 계통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이 되는 2배체 근교계 내로 먼저 이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특질을 위해 2배체 및 4배체 모체 계통을 따로따로 육종시킬 수 있다.
2세대의 자가 수분과 선별을 위해서는 4N 상태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는 콜히친 처리 후, 종자 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염색체 이상이 자주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단 원하는 특징을 갖는 안정한 4배체를 확인한 후에는, 이를 3배체 하이브리드의 생산을 위한 안정한 교배 모본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4배체를 교배시킨 후, 재조합 육종에 의해 새로운 4배체 계통을 수득할 수 있다. 본 접근법을 사용하여 안정한 4배체 계통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장기간의 육종 기간이 요구된다. 유전자 조합이 일어나는 수는 더 많고, 4배체가 생산하는 종자의 개수는 더 적기 때문이다.
또한, 종자친을 조직 배양법에 의해 번식시킬 수 있다. 수박 식물을 번식시키기 위해 조직 배양법을 사용하는 것에 관해서는 문헌 [Zhang et al., 1994a]에 예시되어 있다.
대목의 선택 및 사용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표현형을 갖는 대목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종자친에는 없는 바람직한 특질을 나타내는 대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배체 종자친이 토양 전염성 질병에 걸리기 쉽다면, 토양 전염성 질병에 대해 내성을 갖는 대목을 접목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대목이 그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는 것인 무생물적 스트레스의 예로는 한랭, 고온, 염, 건조, 및 식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물적 스트레스의 예로는 식물 병원체, 곤충, 및 선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목은 2배체 및 4배체 식물을 비롯한, 임의의 배수성 수준을 갖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일 있다. 공지되어 있는 대목의 예로는 RS-841, 신토자(Shintoza), 쇼군(Shogun), 참토자(Charmtoza), FR 커플(FR 커플), 및 FR 스트롱(FR Strong)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순이 유래된 것과 동일한 종으로부터 대목이 유래된 것일 필요는 없다. 접순과 화합성인, 기타 다른 식물의 대목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수박 및 기타 다른 종과 함께 사용하는 데 상기와 같은 화합성을 띠는 대목의 예로는 호리병박 (라게나리아 시세라리아 변종 히스피다(Lagenaria Siceraria var. hispida)), 동아 (베닌카사 히스피다(Benincasa hispida)), 늙은 호박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 애호박 (쿠쿠르비타 모샤타(Cucurbita moschata)), 뿔참외 (쿠쿠미스 메툴리페루스(Cucumis metuliferus)), 쿠쿠르비타 맥시마(Cucurbita maxima), 종간 쿠쿠르비타 맥시마 x 쿠쿠르비타 모샤타 및 가시박 시사이오스 안굴라투스(Sicyos angulatus)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문헌 [Zhang et al., 1994a] 참조).
대목은 또한 종간 교배의 자손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목은 쿠쿠르비타 맥시마와 쿠쿠르비타 모샤타 사이의 종간 교배의 자손이다. 그러한 자손의 일례로는 신토자가 있다.
수박 및 기타 다른 종에 대한 접목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접목 방법의 예로는 합접, 배접, 호접, 홀 삽접, 눈접, 및 할접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문헌 [Cushman 2006] 참조). 접목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2배체 화분 공여체의 선택 및 종자친과의 교배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은 접목된 4배체 또는 2배체 식물과의 교배에서 교배 부본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안정한 2배체 근교계가 선택될 수 있다. 암꽃이 일반 과실을 맺을 수 있고, 그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2배체 화분 공여체로부터의 적절한 생존가능한 화분 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2배체 화분 공여체는 선택된 대목 상에 접목된 것이다. 기타 다른 실시양태에서, 2배체 화분 공여체는 비접목된 식물이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양태에서,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은 예를 들면, 크림슨 스윗, 주비리, 슈가 베이비, 딕시 리, 올스윗, 칼스윗, 찰스턴 그레이, 및 미니리와 같이 공중이 이용가능한 계통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종자친과의 교배시 바람직한 표현형을 갖는 자손을 생산할 수 있는 화분 공여체가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종자친을 화분 공여체와 교배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종자친을, 상이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계통의 화분 공여체 수박 식물과 교배시켜, 그의 모체 중 하나로서 접목된 수박 식물을 갖는 하이브리드를 생산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수박 종자 또는 식물 제조 방법으로서 추가로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교배를 통해 종자가 생산될 것이다. 종자 생산은 종자 수집과는 상관없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교배"의 제1의 단계는 예를 들면, 곤충 벡터에 의해 매개되어 수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종자친 및 화분 공여체를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식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분을 수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박 하이브리드 종자 생산을 위해 바람직한 종자친 대 화분 공여체의 비는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일례로, 종자친 및 화분 공여체는 2:1의 비로 식재된다. 종자친 대 화분 공여체의 비에 대한 기타 다른 예로는 1:1, 3:1, 4:1, 및 5:1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종자 생산 필드에 모계를 2줄로, 부계를 1줄로 하는 비율로 식재될 수 있다.
제2의 단계는 종자친 및 화분 공여체 수박 식물의 종자를 재배 또는 성장시켜 식물이 꽃을 피울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의 단계는 예를 들면, 꽃의 수술부를 제웅시켜 (즉, 꽃을 처리하거나 조작하여 제웅된 모체 수박 식물이 생산되도록 하여) 식물 자가 수분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자가-불화합성 시스템 또한 몇몇 하이브리드 작물에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자가-불화합성 식물은 여전히 계속하여 생존가능한 화분을 방출하고, 기타 다른 변종의 식물에 수분할 수는 있지만, 그 자신 또는 동일 계통의 기타 다른 식물에는 수분할 수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자성 식물로부터 꽃의 수술부 모두를 수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아처리 또는 제웅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는 웅성 불임 종자친 계통이 사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교배를 위한 제4의 단계는 종자친과 화분 공여체 수박 식물 사이의 교배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수동 방법에 의해서 2배체 화분 공여체 모체의 화분을 자성 2배체 또는 4배체 종자친 꽃으로 전달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분을 곤충 벡터에 의해 전달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종자친의 교배는 자가 수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수동으로 발생할 수 있거나, 또는 인간의 어떤 개입도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로, 또 다른 단계는 종자친으로부터 종자를 수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종자친 상에 착과된 과실 모두 또는 그 일부를 수거할 수 있고, 종자를 단리시킨다 (미국 특허 번호 제6,018,101호). 수거된 종자는 성장시켜 수박 식물을 생산하여 농부에게 판매하는 것을 비롯한, 임의의 원하는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종자 회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종자를 성숙한 과실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임 수분된 4배체 종자친은 3배체 종자 이외에도 4배체 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 수분에 포함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노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방임 수분되는 종자친으로 이루어진 필드에서 화분 수송이 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하에서는 4배체 꽃의 암술머리에 도달하는 화분의 기원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동일 과실에서도 4배체 및 3배체 종자가 발견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접목된 4배체 종자친은 크기 및/또는 형상에 기초하여 4배체 종자와는 현저한 차이로 구별될 수 있는 3배체 종자를 생산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접목된 종자친은 비접목된 종자친에 비해 3배체와 4배체 종자 사이의 종자 두께 및/또는 종자 중량에 있어 개선된 뚜렷한 차이를 갖는 종자를 생산한다. 접목된 종자친은 스트레스 상태하에서 재배된 경우에도, 4배체 종자와는 구별될 수 있는 3배체 종자를 생산하며, 예를 들면, 4배체 종자보다 두께가 더 얇고/거나, 4배체 종자보다 중량이 더 작고/거나, 기타 다르게는 형태학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선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형태학적 특징에서의 차이에 기초하여 3배체 종자를 4배체 종자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종자를 수동으로 분리해 낸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자동 기계를 사용하여 종자를 기계적으로 분리해 낸다. 자동 기계는 종자의 두께 및/또는 중량에 따라 종자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과실 1개당 평균 종자수가 적어도 50개의 종자인 것인 접목되고 하이브리드화된 종자친 식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종자수는 추가로 예를 들면,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과, 접목된 종자친을 사용하여 생산된 과실 1개당 약 50개 내지 약 150개, 약 34개 내지 약 100개, 및 약 60개 내지 약 120개의 종자인 것을 비롯하여, 과실 1개당 적어도 약 50개, 적어도 약 75개, 적어도 약 100개, 적어도 약 125개 또는 적어도 약 150개의 종자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과실 1개당 평균 종자 중량이 적어도 8 g (gms)을 나타내는 접목되고 하이브리드화된 종자친 식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종자 중량은 추가로 예를 들면,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과, 접목된 종자친을 사용하여 생산된 과실 1개당 약 5 gms 내지 약 50 gms, 약 8 gms 내지 약 40 gms, 및 약 8 gms 내지 약 15 gms인 것을 비롯하여, 과실 1개당 적어도 약 0.5 gms, 적어도 약 2 gms, 적어도 약 5 gms, 적어도 약 8 gms, 적어도 약 10 gms, 적어도 약 20 gms 또는 적어도 약 50 gms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웅성 불임
특정 측면에서, 종자친 식물은 웅성 불임일 수 있다 (즉, 웅성 불임 접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접목된 4배체 수박 접순은 웅성 불임일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종자친은 예를 들면, 화분을 생산하는 꽃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웅성 조직을 물리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웅성 불임이 될 수 있다. 일부 측면에서, 종자친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제4,936,904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웅제의 적용으로 웅성 불임이 될 수 있다. 추가의 다른 측면에서, 종자친은 예로서, 유전적 또는 세포질 웅성 불임과 같은 웅성 불임 특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웅성 불임에 대한 열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4배체 수박 식물은 문헌 [Love et al., 1986]에 기재되어 있다. 안정한 웅성 열성 수박 계통인 G17AB 또한 문헌 ([Zheng et al., 1994b]; [Zheng et al., 1996])에 기재되어 있다. 예로서, G17AB 계통과 같은, 웅성 불임 유전자를 포함하는 수박 식물, 또는 상기 식물 또는 식물 계통의 자손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종자친의 접목이 종자수 잡종성에 미치는 효과
4배체 수박 하이브리드 변종인 TML 110-1440으로부터 접순을 수득하고, 대목 참토자, 신토자, 및 쇼군 상에 접목시켰다. 접목은 배접에 의해 수행하였다. 접목된 4배체를 비접목된 4배체 식물 및 2배체 변종 110-6433과 함께 필드에 식재하여 교배 부본 식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물이 질병의 압박이나 기타 다른 중요한 스트레스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하에서 식물을 성장시켰다.
2배체 및 접목된 4배체 식물 사이의 수분은 곤충을 매개로 하여 일어날 수 있게 하였고, 종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4배체 모체로부터 종자를 수거하고, 종자 중량, 종자수, 및 잡종성 (잡종성(%)은 4배체 모체 과실 중 3배체 종자의 비율(%)로서 나타낸다)을 측정하였다. 본 결과를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1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접목된 식물에서의 과실 1개당 총 종자 중량은 11.50 gms인 반면, 비접목된 식물에서의 과실 1개당 총 종자 중량은 단지 9.96 gms에 불과하였다. 또한, 접목된 식물에서는 평균적으로 과실 1개당 163개의 종자가 생산된 반면, 비접목된 식물에서는 평균적으로 단지 143개의 종자만이 생산되었다. 접목된 식물에서의 잡종성은 81.83%인 반면, 비접목된 식물의 잡종성은 단지 65.40%에 불과하였다.
실시예 2
종자친의 접목이 과실 수율, 종자 중량 및 잡종성에 미치는 효과
4배체 종자친 TML 110-1440을 배접에 의해 대목, 신토자, 쇼군, 참토자, FR 커플, 및 FR 스트롱 상에 접목시켰다. 접목된 4배체 식물, 비접목된 4배체 및 2배체 화분 공여체 계통 110-6433을 필드에 식재하고, 성숙해질 때까지 재배하였다. 2배체 화분 공여체를 접목된 4배체 종자친과 함께 식재하였는데, 16" X 16", 32" X 32", 48" X 48", 및 24" X 24"와 같이 공간적으로 배치하였다.
4배체 종자친을 곤충에 의해 방임 수분시켰고, 종자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종자를 수거하고, 종자 중량, 종자수, 및 잡종성을 측정하였다. 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한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2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3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목 신토자, 쇼군, 참토자, FR 커플, 및 FR 스트롱 상에 접목된 종자친은 증가된 착과수, 종자 수율, 총 종자 중량, 및 잡종성을 얻었다.
실시예 3
접목이 종자수 및 종자 수율에 미치는 효과
종자친 계통으로서의 4배체 수박 계통 TML110-1440, TML110-0064, TCS110-1009, 및 TCS110-1018을 2배체 화분 공여체 계통과 교배시켰다. 4배체 종자친을 교배시키기 전에, 배접에 의해 종간 대목 쿠쿠르비타 맥시마 x 쿠쿠르비타 모샤타 (신토자) 상에 접목시켰다. 2배체 화분 공여체 식물은 접목되지 않은 것이었다.
같은날 접목 및 비접목된 4배체 종자친 식물을 재배하는 동안 정상 상태 (언급한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하에 있는 필드로 옮겨 심었다. 2배체 화분 공여체 WAS 110-6433을 4배체 종자친 식물과 함께 식재하였다. 4배체 식물의 수분은 벌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게 하면서 식물을 성숙해질 때까지 성장시켰다. 종자 부분이 완전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상대적인 성숙 정도를 고려하여 각기 다른 날 과실을 수거하였다. 종자를 추출하고, 착과수, 총 종자 중량, 과실 1개당 평균 종자 중량, 총 종자수, 및 과실 1개당 평균 종자수를 측정하였다. 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한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4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접목된 종자친에서는 비접목된 종자친에 비하여 더욱 큰 과실 1개당 중량과 종자수를 얻었다. 예를 들면, 접목된 B64 종자친은 과실 1개당 9.61 gms의 종자를 수득한 반면, 비접목된 B64에서는 과실 1개당 단지 8.64 gms의 종자를 수득하였다. 유사하게, 접목된 1440 및 1018 식물에서는 그의 비접목된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욱 큰 종자 중량을 수득하였다. 접목된 1009 식물의 종자 중량이 비접목된 식물보다 더 낮았는데, 이는 가능하게는 식물 1개당의 종자수를 제어하는 특질이 상기 계통에서 분리되어 있고, 이는 비접목에 비하여 접목을 위해 선택된 식물들 사이에서 고르지 않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 같았다. 추가로, 접목된 B64 종자친에서는 과실 1개당 148개의 종자가 수득된 반면, 비접목된 B64에서는 과실 1개당 단지 121개의 종자만이 수득되었으며, 접목된 1440, 1009, 1018 식물들에서는 각각 그의 비접목된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 많은 종자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접목을 사용한 멜론 및 수박에서의 종자 생산
멜론 및 수박 변종과, 비접목된 대조군과 비교되는 다양한 대목들을 사용함으로써 접목 이용이 종자 생산 (식물 1개당 g수)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에서 제시한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5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6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7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8
Figure 112015107468365-pat00009
Figure 112015107468365-pat00010
Figure 112015107468365-pat00011
실시예 5
접목이 종자 생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추가 분석
접목된 2배체 수박 변종인 스타브라이트(Starbrite) 및 수사니타(Susanita)를 대목 변종 참토자, 칠성(Chilsung) 신토자, FR-커플, 및 황토자 상에 접목시켰다. 식물 1개당 종자 수율을 g수로 측정하였고, 비접목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부분의 접목된 조합에 있어서 식물 1개당 종자 수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12
* * *
상기 발명은 그를 명확하게 하고 그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와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바, 특정의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본원에서 명확하게 참고로 인용된다.
참고 문헌
본원에 기술된 것에 대하여 보충하는 정도로 예시적인 방법 또는 기타 다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인 하기의 참고 문헌이 본원에서 참고로 특별히 인용된다:
Figure 112015107468365-pat00013

Claims (22)

  1.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rootstock) 상에 접목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에 의해 수분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c) 2배체 수박 종자가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 상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접목되지는 않고 상기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과 동일한 상태하에서 성장된 상기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과 동일한 유전자형의 수박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 많은 종자수를 생산하는 것인, 2배체 수박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트레스 내성이 내한성, 내고온성, 내가뭄성, 및 내염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스트레스 내성이 질병 내성, 곤충 내성, 및 선충 내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적 스트레스 내성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 및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이 다른 유전자형을 갖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대목이 수박, 애호박, 늙은 호박, 동아, 및 호리병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상기 스트레스 상태의 부재하에서 성장하게 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상기 스트레스 상태의 존재하에서 성장하게 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2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접목되지 않은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곤충에 의해 수분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이 인공 수분되는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접목이 합접, 눈접, 할접, 배접, 호접, 및 홀 삽접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2배체 수박 식물이 종자 형성 이전에 적어도 제1의 생물적 및/또는 무생물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것인 방법.
  14.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제1 식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제1 식물이 동일한 종의 제2 식물에 의해 수분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c) 종자가 제1 식물 상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식물은 상기 스트레스 상태의 부재하에서 성장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제1 식물이, 접목되지는 않고, 상기 제1 식물과 동일한 상태하에서 성장된 상기 제1 식물과 동일한 유전자형의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 많은 종자수를 생산하는 것인, 식물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식물이 고추, 피망, 토마토, 애호박, 오이, 늙은 호박, 박, 멜론, 가지, 및 오크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종의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스트레스 상태가 세균성, 진균성, 바이러스성 질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 및
    b)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
    을 포함하는, 필드에서 이들이 근접한 위치에서 수분될 수 있도록 식재된 식물 군집으로서, 여기서 종자친 식물이, 접목되지는 않고 상기 종자친 식물과 동일한 상태하에서 성장된 상기 종자친 식물과 동일한 유전자형의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 많은 종자수를 생산하는 것인 식물 군집.
  18. 제17항에 있어서,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 및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이 줄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식재된 것인 식물 군집.
  19. 제18항에 있어서, 줄이, 4배체 수박 종자친 식물을 포함하는 줄 대 2배체 수박 화분 공여체 식물을 포함하는 줄의 비가 1:1, 2:1, 3:1, 4:1 또는 5:1이 되도록 식재된 것인 식물 군집.
  20. (a) 스트레스 상태하에 있을 때 스트레스 내성을 나타내는 대목 상에 접목된 4배체 수박 식물을 수득하는 단계;
    (b) 4배체 수박 식물이 2배체 수박 식물에 의해 수분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c) 3배체 종자가 4배체 수박 식물 상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4배체 수박 식물이, 접목되지는 않고 상기 4배체 수박 식물과 동일한 상태하에서 성장된 상기 4배체 수박 식물과 동일한 유전자형의 식물에 비하여 과실 1개당 더 많은 종자수를 생산하는 것인, 3배체 수박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57031744A 2008-08-29 2009-08-27 식물 종자 생산 방법 KR101725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13108P 2008-08-29 2008-08-29
US61/093,131 2008-08-29
PCT/US2009/055191 WO2010025248A1 (en) 2008-08-29 2009-08-27 Methods for plant seed produ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050A Division KR101568896B1 (ko) 2008-08-29 2009-08-27 식물 종자 생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068A KR20150129068A (ko) 2015-11-18
KR101725708B1 true KR101725708B1 (ko) 2017-04-10

Family

ID=417219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050A KR101568896B1 (ko) 2008-08-29 2009-08-27 식물 종자 생산 방법
KR1020157031744A KR101725708B1 (ko) 2008-08-29 2009-08-27 식물 종자 생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050A KR101568896B1 (ko) 2008-08-29 2009-08-27 식물 종자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8772582B2 (ko)
EP (2) EP2339911B1 (ko)
KR (2) KR101568896B1 (ko)
AU (1) AU2009285706B2 (ko)
CL (1) CL2011000404A1 (ko)
ES (1) ES2676748T3 (ko)
HU (1) HUE038840T2 (ko)
MX (1) MX2011002164A (ko)
PE (1) PE20110794A1 (ko)
WO (1) WO2010025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1015379B1 (pt) * 2009-04-29 2018-04-03 Monsanto Technology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gerar informações fenotípicas de plantas em diferentes fileiras de cultivo
US8629330B2 (en) * 2012-05-15 2014-01-14 Syngenta Participations A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inhibition of meristematic growth on cucurbit rootstock
CN103210833A (zh) * 2012-12-26 2013-07-24 吴文武 嫁接杂交改良法
CN103202158A (zh) * 2013-01-14 2013-07-17 佟永昌 香瓜种子的抗重茬品种培育方法
CN103210835B (zh) * 2013-03-29 2014-06-18 怀化博雅惠农科技有限公司 利用四倍体罗汉果雌株直接培育无籽罗汉果的技术
US9066482B1 (en) 2014-06-02 2015-06-30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variety TML-EJ09150
US10098297B2 (en) 2016-06-09 2018-10-16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line TSB-146-1170
CN108812107B (zh) * 2018-06-28 2021-02-19 山东博华高效生态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仿西北自然环境的西瓜栽培方法
CN110122091A (zh) * 2019-05-31 2019-08-16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降低西瓜果实中Cd含量同时减少土壤Cd污染的方法
CN114107535B (zh) * 2020-08-31 2023-08-18 北京市农林科学院 鉴定中国南瓜砧木去除嫁接黄瓜果实蜡粉性状的分子标记及其应用
US20230263119A1 (en) * 2020-09-03 2023-08-24 Origene Seeds Ltd Resistance to fungi
WO2022149122A1 (en) * 2021-01-05 2022-07-14 Origene Seeds Ltd Water efficient cucurbitaceae
CN112852998B (zh) * 2021-03-31 2022-07-05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葫芦耐热特性的分子标记及其应用
CN113179780A (zh) * 2021-05-28 2021-07-30 甘肃省农业科学院蔬菜研究所 一种西瓜嫁接方法及其在根结线虫防治中的应用
CN113273453A (zh) * 2021-06-07 2021-08-20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西瓜幼苗壮根的培育方法
CN113785773A (zh) * 2021-08-20 2021-12-14 广州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粉皮冬瓜组培条件下加倍试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655A (ja) * 2000-07-04 2002-02-19 Dongbu Hannong Chem Co Ltd 種なしスイカの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904A (en) 1980-05-12 1990-06-26 Carlson Glenn R Aryl-4-oxonicotinates useful for inducing male sterility in cereal grain plants
US5007198A (en) 1988-06-08 1991-04-16 University Of Florida Process for the accelerated production of triploid seeds for seedless watermelon cultivars
US6018101A (en) 1996-02-09 2000-01-25 Clemson University Method using male sterility and a marker to produce hybrid seeds and plants
US6355865B1 (en) 1999-05-26 2002-03-12 Sunseeds, Inc. Pollenizer plant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eedless watermelon
KR100398274B1 (ko) * 2000-07-04 2003-09-19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씨 없는 수박의 생산 방법
US7367155B2 (en) * 2000-12-20 2008-05-06 Monsanto Technology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s
US6759576B2 (en) 2002-03-05 2004-07-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Enhanced pollenizer and method for increasing seedless watermelon yield
BR0308228A (pt) * 2002-03-05 2005-06-28 Syngenta Participations Ag Polinizador aperfeiçoado e método para aumentar a produção de melancias sem sementes
US6747191B2 (en) 2002-05-14 2004-06-08 Syngenta Participations Ag Inbred tetraploid watermelon line 90-4194
KR101216516B1 (ko) * 2004-07-02 2012-12-31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US8119862B2 (en) * 2007-09-17 2012-02-21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line WNV142-1115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1655A (ja) * 2000-07-04 2002-02-19 Dongbu Hannong Chem Co Ltd 種なしスイカの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9911B1 (en) 2018-05-23
MX2011002164A (es) 2011-04-07
US20100058492A1 (en) 2010-03-04
US20200275629A1 (en) 2020-09-03
KR101568896B1 (ko) 2015-11-12
AU2009285706A1 (en) 2010-03-04
CL2011000404A1 (es) 2011-08-26
US8772582B2 (en) 2014-07-08
ES2676748T3 (es) 2018-07-24
HUE038840T2 (hu) 2018-11-28
KR20110046569A (ko) 2011-05-04
US20150020232A1 (en) 2015-01-15
US10667485B2 (en) 2020-06-02
EP3366116A1 (en) 2018-08-29
WO2010025248A1 (en) 2010-03-04
US20170367278A1 (en) 2017-12-28
EP2339911A1 (en) 2011-07-06
PE20110794A1 (es) 2011-10-31
KR20150129068A (ko) 2015-11-18
EP2339911A4 (en) 2012-02-29
AU2009285706B2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08B1 (ko) 식물 종자 생산 방법
Bosemark Genetics and breeding
KR101106932B1 (ko) 세포질 잡종(cybrid) 왕고들빼기속 식물 및 그생산 방법
KR20200041360A (ko) Cgmmv 저항성 시트룰루스 식물
KR20200124254A (ko) 자가 화합성 브라시카 올레라케아 식물 및 그의 육성 방법
Kikuchi et al. Seed formation in triploid loquat (Eriobotrya japonica) through cross-hybridization with pollen of diploid cultivars
KR102091494B1 (ko) 부쉬 성장 습성을 갖는 삼배체 수박 식물
CN110099563A (zh) 使用组织技术的复杂性状
JPH01132320A (ja) イネ雑種種子の効率的な生産方法
AU2015221489B2 (en) Methods for plant seed production
US20210029956A1 (en) Diploid, fertile and highly homozygous potato line solyntus
JP6841898B2 (ja) 雑種真正ジャガイモ種子
JP2008167689A (ja) キンバエ類によるレタスの交配方法
Debergh et al. Tissue culture in relation to ornamental plants
JP2016136943A (ja) 雌株のみの形質によるジャトロファハイブリッド
Salgotra et al. Breeding and improvement
JP2017147975A (ja) 新規トウガラシ植物、該トウガラシ植物から得られた果実及び種子、並びにトウガラシ植物の作出方法
US20190364774A1 (en) Mildew resistant basil plants
Waines Pollination biology of common beans
GOLD et al. EFFECT OF AGE, FEMALE MATING STATUS AND DENSITY ON THE BANANA WEEVIL RESPONSE TO AGGREGATION PHEROM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