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516B1 -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 Google Patents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516B1
KR101216516B1 KR1020077002135A KR20077002135A KR101216516B1 KR 101216516 B1 KR101216516 B1 KR 101216516B1 KR 1020077002135 A KR1020077002135 A KR 1020077002135A KR 20077002135 A KR20077002135 A KR 20077002135A KR 101216516 B1 KR101216516 B1 KR 10121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melon
plant
fruit
seed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599A (ko
Inventor
그레그 톨라
베니토 주아레즈
프레드 맥퀴스천
Original Assignee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972,190 external-priority patent/US9173356B2/en
Application filed by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91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34Cucurbitaceae, e.g. bitter melon, cucumber or watermelon 
    • A01H6/342Citrullus lanatus [watermel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2Methods or apparatus for hybridisation; Artificial pollination ; Ferti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08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34Cucurbitaceae, e.g. bitter melon, cucumber or watermelon 
    • A01H6/344Cucumis melo [mel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i)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를 보유하는 과육과 (ii) 가용성 고형분을 가지는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 식물.

Description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참고문헌으로 본원에 통합된 2004년 7월 2일자로 제출된 가출원번호 60/584,964와 2004년 10월 22일자로 제출된 실용신안출원번호 10/972,190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박 육종(breeding) 및 수박의 유전학적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i) 극도로(ultra)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를 보유하는(liquid retaining) 과육을 가지고, (ii) 성숙시에 당도가 있는 수박을 생산하기 위한 2배체, 4배체 및 3배체 수박 종자들 및 식물들에 관한 것이다.
관련된 기술의 설명
수박(Citrullus lanatus)은 다양한 종들(variety)을 포함하는 박과(Cucurbitaceae family)의 중요한 상업적 작물이다. 이러한 종들의 과일은 색상, 당도 및 다른 특성들에 있어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다른 종류의 수박은 외부 껍질 상에 다양한 색상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식용조직(edible tissue)의 색상은 다양한 명암의 적색으로부터 황색까지 다양하다. 또한, 수박은 굴절계(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전체의 가용성 고형분들을 측정하므로써 평가될 수 있는 당도 또는 브릭스(brix)에서 차이가 있다. 당도는 소비자들에게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미농산부는 브릭스 수준(level)에 기초를 둔 과일품질표준치를 만들었다(수박의 등급에 대한 미국 표준, 미농산부(1978)). 이러한 표준에 따르면, 8브릭스 이상의 값을 갖는 식용 부분은 "우수(good)"로 판단되는 반면에, 10브릭스 이상의 값을 갖는 식용 부분은 "매우 우수(very good)"로 판단된다.
또한, 소비자들은 씨가 있는 수박 또는 씨가 없는 수박들 중의 선택권을 가진다. 유전자좌(genetic loci)를 변화시킴으로써 야기되는 과육 색과는 달리, 씨가 있는 종들과 씨가 없는 종들 사이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배수성 수준을 변화시키는 교배를 만드는 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야기된다. 사람과 유사하게, 수박들은 쌍으로 배열된 염색체들을 가진 천연적 2배체들이다. 수박을 포함하는 많은 식믈들은 그들의 완전한 염색체 세트의 복제를 수행하여 4배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수박이 자연스럽게 4배체를 만드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지만, 이 과정은 세포생물학기술을 사용하여 실험실 내에서 통상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4배체 양친은 2배체 양친들과 교배되어 3배체 종자들을 만들 수 있고, 이들은 차례로 씨가 없는 과일을 갖는 식물들을 만들 수가 있다. 특히, 3배체 식물들의 과일에서 종자생성은 배수성 수준차이 때문에 실패하고, 씨 없는 과일들로 결과된다. 수많은 상업적인 종들은 씨들이 없는 3배체이다.
또한, 상이한 배수성의 식물의 과일들은 과육의 단단함에 있어서도 다르다. 2배체 계통의 과일들은 전형적으로 가장 낮은 과일 과육 단단함 수준을 갖는다.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2배체 계통을 4배체 계통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은 더 단단한 과일의 과육과 상관관계가 있다. 바꿔말하면, 대개 4배체 계통들은 2배체 계통들보다 더 단단한 과일의 과육을 갖는다. 4배체와 2배체 사이에서의 교배에 의하여 얻어지는 3배체는 과육의 단단함에 있어서 전형적으로 중간수준을 갖는다.
색상, 당도 및 씨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더하여, 품질과 편리함을 함께 지닌 제품들을 위한 신선한 농산물 거래에 있어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들 기준을 충족시키는 농산물 제품들의 예들은 포장된 베이비 당근, 브로콜리 및 칼리플라워(cauliflower) 및 양상치와 시금치와 같은 포장된 엽상의 농작물들이다. 유사하게, 수박, 메론, 파인애플, 파파야 및 키위와 같은 성숙 절단 과일(mature cut fruits)들에 대한 요구도 있다. 수박 소매 판매의 증대되는 부분은 껍질이 부착된 큰 조각들로 전시되거나, 껍질 없이 더 작은 조각들로 절단된 절단 과일들이고, 이들은 소비자들에게 플라스틱 식품용기 내의 상태로 제공된다. 이들 농산품들에 대한 산업적 용어는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것(minimally processed)"이다. 1998년에 Perkins-Veazie 등((1998) Hortscience 33:605)은 수박 소매시장의 10%는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절단 과일 전시의 이점은 소비자가 과일의 품질을 시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고, 특히, 과일이 익었는지에 따라서 구매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때때로 미성숙 과일들은 색소형성이 불균일할 것이고, 너무 익은 과일은 부패의 징후를 나타낼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제품들은 소비자에게 편리함 을 제공한다.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수박제품들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농산물 소매상인에 대한 불이익은 절단 과일들이 짧은 저장기간을 갖는다는 점이다. 연구는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제품들은 최대로 2~3일의 저장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동일한 문헌; 웨너(Wehner) 등: 수박: 특징, 생산 및 마케팅. Maynard, 편집자. ASHS Press, Alexandria, VA, 2001).
현재 구입가능한 수박들은 절단된 후 전형적으로 신속한 품질의 저하를 나타낸다. 과일 절단은 과일 육질이 물러지는 것으로 관찰되는 부패를 야기한다. 또한, 변질은 액체 누출로써 증명이 되고, 어떠한 다른 종들에서는 신선한 절단 수박의 과육은 빠르게 소비자에게 매력이 없는 것으로 된다. 절단 수박의 신속한 변질은 소매상인에게 시간과 공간 양쪽 모두의 제한을 준다. 절단 과일들은 짧은 저장기간을 갖기 때문에, 소매상은 전형적으로 소매되는 장소에서 가공처리를 실행해야 한다. 더구나, 소매상인은 변질 제품들을 버린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제품들을 자주 검사하여야 한다.
미농산부에 의해 확립된 당도 표준과 달리, 수박의 식용가능한 부분의 단단하기를 설명하는 산업적인 표준값은 전혀 없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단단한(firm)"과 "아삭아삭한(crisp)"(Gil104와 Erma12 종들에 대한 Erma Zaden 카탈로그 설명)으로부터 "매우 단단한 과육(very firm flesh)"(Zhang 등, USPTO 출원번호 20040060085와 20030217394 및 변종 쿠퍼스타운(cooperstown)에 대한 세미니스(Seminis) 수박 카탈로그)까지의 광범위한 설명이 있다. 세미니스는 "뛰어난 아 삭아삭함(excellent crispness)", "단단한 과육(firm flesh)" 및 "아삭아삭하고 즙이 많은 과육(crisp juicy flesh)"을 각각 품종 펜웨이(Fenway), 로얄스타(Royal star) 및 센티넬(Sentinel)로 설명하였다. 나아가, 로저스 종자 회사(Rogers Seed Company)는 "예외적으로 단단한(exceptionally firm)"으로서 트리-엑스 브랜드 626(Tri-X Brand 626) 및 "단단한 과육(firm texture)"과 "아삭아삭함(crispness)"으로서 트리-엑스 브랜드 313(Tri-X Brand 313)을 광고하고 있다.
수박 과육의 단단하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고 용어는 아주 가변적인 반면에, 정량적인 측정치들을 사용하는 과학적인 보고서들은 전형적인 상업용 배종질(germplasm)은 본 발명의 수박보다는 상당히 더 낮은 과육 단단하기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로버트(Roberts) 등(Watermelon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ing Group. 24th Annual Metting, Tulsa, OK로부터의 2004년도 보고서)은 저항력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투과도계(penetrometer)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배종질의 과육 단단하기를 측정하였다. 데이타는 측정용어의 국제적 시스템인 뉴톤(Newtons)으로 보고되었다. 출원인들의 투과도계 측정치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출원자들은 로버트 데이터를 다음의 식: 1 lbf=4,448뉴톤을 사용하여 파운드힘(lbf)으로 전환하였다. 로버트는 약 1.4~3.4 lbf의 수박 과육 단단함 범위를 보고하고 있다. 분석된 계통들 중의 한 가지는 로저스 종자 회사의 계통 트리-X 브랜드 313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로저스 종자 회사는 이 계통들이 "단단한(firm)" 과육을 갖는 것으로서 광고하고 있다. 로버트는 트리-엑스 브랜드 313에 서 과육 단단하기가 10.84뉴톤인 것으로 측정했고, 이는 약 2.4 lbf로 전환된다. 또한, 출원인들은 직경 8mm를 지닌 투과도계(QA Supplies, Norfolk, Virginia(Model FT011))을 사용하여, 트리-엑스 브랜드 313의 과육 단단하기를 테스트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트리-엑스 브랜드 313은 과육 단단하기 수치가 1.4 lbf인 것으로 측정되었다(표 1). 로버트는 사용된 투과도계 탐침의 크기를 보고하지 않았기 때문에, 출원인들은 이들의 데이타를 로버트의 데이타와 바로 직접적으로 비교를 할 수는 없다. 적어도 트리-엑스 브랜드 313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설명된 프로토콜과 비교헤서 로버트 등에 의해 측정된 값이 약 77% 더 큰 것은 다른 방법론의 결과일 수가 있고, 특히, 크기를 달리한 투과도계 탐침을 사용한 결과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출원인들이 8mm 크기의 탐침을 사용했지만, 다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과도계도 11mm의 직경을 갖고 있으므로, 투과도계 영역이 8mm 탐침에 비교했을 때 11mm 탐침에 대해서는 약 73%가 더 크기 때문에 이러한 상이한 수치에 관한 이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슐티스(Schultheis)와 톰슨(Thompson)(Watermelon Research and Development Working Group. 24th Annual Meeting. Tulsa, OK로부터의 2004년도 보고서)은 수박 과육 단단함을 조사하였다. 비록 이들 저자들이 출원인들에 의해 사용된 것과 다른 모델의 투과도계를 사용했지만, 그들은 직경 5/16" 또는 약 8mm를 지닌 매우 유사한 크기로 된 탐침을 사용하였다. 슐티스와 톰슨은, 계통 트리-엑스 313은 표 1에 나타난 출원인들의 측정치와 유사한 1.4와 1.7 사이에 있는 과육 단 단하기 수치를 가짐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는 저자들은 이러한 단단함의 데이터를 파운드/평방인치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슐티스와 톰슨 보고서에서 제공된 단위들은 파운드 힘이어야만 하는데, 5/16" 탐침을 사용시 1.4파운드/평방인치의 수치일 때, 단지 0.15파운드 힘이라는 것은 의심이 된다.
메이나드(Maynard)와 시도티(Sidoti)(2003 GCREC Research Report BRA-2003: Florida Univ., Gulf Coast Research and Education Center, Bradenton, FL)는 상업용 수박계통들의 과일 과육 단단하기의 추가적인 조사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출원인들이 여기에서 설명한 방법에서 사용한 것과는 상이한 모델의 투과도계인 직경이 7/11" 또는 약 11mm인 더 큰 크기로 된 탐침을 사용하였다. 그들의 단단하기 데이타는 1.8로부터 3.0파운드/평방인치에 이르는 범위 내이다. 슐티스와 톰슨 보고서와 더불어서, 출원인들은 이 저자들이 그들의 단단하기 판독에서 부정확한 단위들을 사용한다고 믿었다. 이들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파운드 힘 단위라고 가정한다면, 상기 데이터는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해 얻어진 결과들과 잘 비교된다. 예를 들면, 계통 트리-엑스 313의 메이나드와 시도티의 단단하기 측정치는 2.6이었다. 만일에 누군가가 탐침 지역 내에서 약 2배 차이에 대해 교정하기 위해 이 수치를 조정한다면, 새로운 수치는 1.35이고, 이는 이 동일계통에 대한 출원인의 측정치와 거의 동일하다(표 1). 반면에, 데이터는 파운드/평방인치의 단위로 정확하게 보고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면, 7/16" 탐침을 기초로 한 2.6파운드/평방인치의 수치는 0.39 lbf로 판독될 것이다. 트리-엑스 313 계통은 상기의 0.39 lbf보다 훨씬 더 높은 판독수치를 가져야만 하는데, 이는 그러한 단위들이 선 행기술에서 보고되어왔던 방법론에 불일치한 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추가의 증거이다.
또한, 레스코바르(Leskovar) 등((2004) J.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79: 75-81)은 수박의 단단하기를 보고하고 있다. 비록 이 방법은 다른 측정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지만, 저자들은 그들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여기에서 설명된 데이터와의 비교를 위해 데이터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단위들로 전환시킨 후에, 분석된 배종질의 범위는 0.9 lbf와 1.51 lbf 사이의 과일 단단함을 갖는다.
비록 선행기술의 측정치들이 혼동될 수 있지만, 본 발명 이전에 생성된 상업용 수박 계통들은 확실히 3 lbf 이하의 과일 단단함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나아가,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업용 수박 계통들의 과일은 일단 절단되면 상당한 액체 유출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공처리시에 더 긴 저장기간을 갖는 과일들을 생산하는 수박 계통들에 대한 마켓(marketplace)에서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본 발명의 수박은 (i) 절단 과일이 과도하게 물러지는 문제점을 피하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ii) 액체 누출에 의한 절단 과일의 변질을 지연시키는 액체 보유 과육을 가진다. 나아가, 이 과일들은 당도 및 기호도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바의 품질 특성들을 갖고, 과일가공처리가 행해지는 장소 및 과일이 일단 가공처리된 후 추가적인 저장기간에 대한 유연성을 소매상인에게 제공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본 발명에서 정의된 측정 방법에 의하여) 적어도 3.0파운드 힘(lbf)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성숙시에는 극도로 단단한 식용 과육을 갖는 과일을 생산하는 단일의 수박 근교계(inbred line) 및 잡종 변종들에 관한 것이다. 신규의 극도로 단단한 과육 표현형 이외에도, 이 과일들은 식용 조직에 대하여 당도에 대한 시장 요구수준인 (본 발명에서 정의된 측정 방법에 의하여) 6브릭스 이상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수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5 lbf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성숙시에는 단맛을 내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생산하는 2배체와 4배체 근교계이고, 또한 적어도 4, 5, 6 및 심지어 8 lbf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성숙시에는 단맛을 내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생산하는 계통들이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또한, 야외에서 성장된 다수의 수박식물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이 교시하는 바에 따라 제조된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는 어떠한 2배체 또는 4배체 근교계는 이와 같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 표현형을 교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성숙시에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는 것 이외에도, 본 발명의 수박들은 균등하게 착색된 과일 과육(적, 황 또는 오렌지색)으로 개발될 수 있다. 더구나, 성숙시에, 이들 근교계들과 잡종들로부터의 과일들은 적어도 우수(약 8브릭스 이상)와 바람직하게는 매우 우수(약 10브릭스 이상)한 당도에 대한 산업적 표준치를 충족시키거나 또는 초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교계 수박식물과 제2의 수박식물을 교배시키고, 결과의 잡종 수박 종자를 수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잡종 수박 종자를 생산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결과의 잡종 수박 종자를 성장시켜 생산된 잡종 수박 식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적어도 산업적 표준치를 충족시키는 당도 수준을 갖는 수박 종을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는 낮은 당도의 수박 종과 교배시키고; 적어도 산업적 표준치를 충족시키는 수준의 당도를 갖는 종과 적어도 한 차례 퇴교잡(back cross)을 수행하고; 적어도 산업적 표준치를 충족시키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당도를 겸비한 특성들을 갖는 퇴교잡 (또는 회귀성 퇴교잡) 생산물의 1회 이상의 자가수분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극도로 단단한 수박식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가지는 수박으로서 USDA 컬렉션 번호 PI296341의 수박 식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극도로 단단한 수박으로부터 유래된 수박과 수박 과육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5kg 무게의 과일을 생산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kg 무게의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들이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수박식물은 적어도 약 4.5kg 무게의 과일을 생산하고,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식물은 적어도 약 6.0kg 무게의 과일을 생산한다.
또한, 본 발명은 2004년 7월 1일자로 제조된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기탁된 종자로부터 생산된 식물의 가용성 고형분과 단단한 과육 특성들을 갖는 수박식물뿐만 아니라, 상기 식물들로부터 유래된 종자, 화분, 난세포 및 다른 영양 조직 또는 이러한 조직으로부터 재생된 수박 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보유 과육을 갖는 수박 식물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액체 보유 특징은 절단 수박 과육이 시간 경과에 따라서 손실되는 중량에 상응한다. 수박으로부터의 절단 과육이 섭씨 4℃에서 3일 동안 저장된 후에 그것의 중량의 약 3.5% 미만으로 손실되는 수박 식물들이 바람직하다. 절단 과육이 섭씨 4℃에서 3일 동안 저장 후에 약 3% 미만의 중량이 손실되는 수박 식물들이 보다 바람직하다. 절단 과육이 섭씨 4℃에서 3일 동안 저장 후에 약 2% 미만의 중량이 손실되는 수박 식물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수박 식물은 섭씨 4℃에서 3일 동안 저장 후에 약 1.5% 미만의 중량이 손실되는 절단 과육을 가진다. 이 액체를 보유하는 특징은 가공처리된 수박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킨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단맛을 내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우수하고 극도로 단단한 과육의 수박 2배체 근교계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지니고, 우수한 표준 단맛을 내는 성숙한 과일을 생산하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 2배체 근교계 또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 4배체 근교계 중의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모계계통으로 사용하여 만들어진 3배체 잡종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2배체, 4배체 또는 3배체 식물들에서 생산된 성숙된 수박은 가득찬 적색 과육 색상을 전개시키고, 단맛이 있고, 우수한 브릭스 수준을 가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성숙한 수박들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함께 완전한 황색 과육 색상과 우수한 단맛을 나타낸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성숙한 수박들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함께 완전한 오렌지색 색상과 우수한 단맛을 나타낸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과일들로부터의 수박 과육은 최소량으로 가공처리(신선한 절단 과일)된 후에 극도로 단단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극도로 단단한 특징은 가공처리된 과일의 저장기간을 연장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은 2배체 및 4배체 수박 계통 및 극도로 단단한 과육(8브릭스 이상이며, 적어도 4.0 lbf의 압력에 저항)을 가지는 단맛을 내는 성숙된 과일을 생산하는 3배체 수박 잡종들을 생산하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의 한 단계는 공지된 수박 종들 또는 계통과 성숙시에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는 본 발명의 수박 계통을 교배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이러한 교잡의 산물은 다음으로 분리 개체군을 만들기 위하여 자가수분된다. 연속적인 세대들에 있어서, 군들로부터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리된 개체들은 선택(selection)과 교배(breeding)의 연속적인 사이클에 적용되고, 종국적인 결과물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는 단맛을 내는 성숙한 과일을 생산하는 새로운 수박 계통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변경과 변화들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서술하고 있는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가수분된 근친교배 수박 식물들의 3세대 과일 과육의 단단함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화살표는 반복 양친 계통(recurrent parent line)의 성숙한 과일 단단함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그래프의 그림자 부분은 이 과일들의 43%가 4 lbf에서 또는 그 이상에서 단단한 측정값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표준 상업용 수박 종들의 가공처리된 과일과 본 발명의 수박의 가공처리된 과일들을 4℃에서 저장시킨 후, 중량손실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중량손실은 가공처리된 과일로부터의 액체 누출양에 거의 가깝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i)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를 보유하는 과육 및 (ii) 적어도 6브릭스의 당도를 지닌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 식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일은 개선된 가공처리품질을 가지며, 과일은 절단 후에도 선행기술의 상용 수박 계통들보다 상당히 단단함을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과즙을 보유한다.
정 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용어 "식물"은 식물세포들, 식물 원형질체들, 수박이 재생될 수 있는 조직배양의 식물세포들, 식물 칼리(calli), 식물 덤불들(clumps) 및 꽃가루, 꽃, 종자, 잎, 줄기 등과 같은 식물들 또는 식물들의 부분에서 원상 그대로 존재하는 식물 세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2배체 식물들"은 2배체 종자들을 파종한 것으로부터 또는 체세포들 내에 두 세트의 염색체를 갖거나 또는 반수체 수를 2배로 갖는 마이크로 번식으로부터 유래된 식물들 또는 이식식물들(transplants)을 의미한다.
"3배체 식물들"은 3배체 종자들을 파종한 것으로부터 또는 체세포들 내에 세 세트의 염색체를 갖거나 또는 반수체 수를 3배로 갖는 마이크로 번식으로부터 유래된 식물들 또는 이식식물들을 의미한다.
"4배체 식물들"은 4배체 종자들을 파종한 것으로부터 또는 체세포들 내에 네 세트의 염색체를 갖거나 또는 반수체 수를 4배로 갖는 마이크로 번식으로부터 유래된 식물들 또는 이식식물들을 의미한다.
용어 "단단한(firm) 과육"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에 의해 투과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어 졌을 때, 과일의 단단함이 약 1.5 lbf 압력보다 크지만 약 2.0 lbf 이하인 식용 수박의 과육을 나타낸다. 식물학적으로, 수박의 식용 과육은 태좌 조직(placental tissue)이다.
용어 "극도로(ultra) 단단한 과육"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의해 투과도계를 사용해 측정되어 졌을 때, 과일 단단하기가 약 3.0 lbf 압력 이상이거나, 표준의 공지된 품종에 의해 생산된 과일보다는 더 단단한 식용 수박의 과육을 나타낸다. 극도로 단단한 수박 과육은 약 3.5 lbf의 과일 단단함을 갖는다.
용어 "매우(very) 단단한 과육"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의해 투과도계를 사용해 측정되어 졌을 때, 과일 단단함이 약 2.0파운드 힘의 압력보다는 크지만 3.0파운드 힘 미만인 식용 수박의 과육을 나타낸다.
용어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 후, 섭씨 4℃에서 3일간 저장 후에 수박 중량의 약 4% 미만이 손실되거나 또는 표준의 공지된 품종에 의해 생산된 과일보다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은 액체를 보유하는 식용 수박의 과육을 나타낸다. 절 단된 수박으로부터 손실된 중량의 약 95%~98%는 액체 누출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나머지 중량 손실의 대부분은 당류와 산들과 같은 가용성 고형분들로부터이다. 따라서, 액체 손실은 시간경과에 따른 절단된 수박의 중량 손실 %를 측정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투과도계(penetrometer)"는 힘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이고, 여기에서는 과일 단단하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과일 과육과 껍질 단단하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빠르고, 쉽고, 정확한 방법을 제공한다. 출원인들은 성숙된 과일에서 3~5회의 압력판독값을 얻기 위하여 손에 들 수 있는 투과도계를 사용해 여기에서 보고된 데이터들을 모았다. 특히, 출원인들은 8mm 또는 약 5/16인치의 탐침을 지닌 투과도계 모델 FT011(QA Supplies, Norfolk, VA)을 사용하였다.
"파운드 힘" 또는 "lbf"는 투과도계 모델 FT011에 의해 판독된 단위이고, 여기에서는 달리 설명이 없는 한 주로 8mm 탐침을 사용해 측정된 판독값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또한 "껍질 패턴"으로서 언급되는 수박 껍질의 착색은 종종 회색으로 언급되는 연한 초록색으로부터 중간 정도의 초록색, 거의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매우 진한 초록색까지 다양할 수 있다. 더욱이, 껍질은 종류와 형태가 전형적인 각종 디자인들의 줄무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타이거 줄무늬(tiger stripe)", "얼룩 줄무늬(mottle stripe)", "진한 얼룩 줄무늬(dark mottle stripe)" 등이 각종 패턴들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길이 대 폭의 비(L/W ratio)"는 수박에서 평 균길이를 평균폭으로써 나눈 것을 취하여 어떠한 가능한 조합으로 얻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비율은 1:1.2로부터 2.2:1로 변할 수 있다.
용어 "개체군"은 통상적인 양친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공유하는 식물들의 유전학적 이종 집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용어 "종들(variety)" 또는 "재배종(cultivar)"은 그들의 유전적 가계와 성능에 의해서 동일한 종들 내에서 다른 종들과 구별가능한 유사한 식물들의 군을 뜻한다.
"퇴교잡(backcross)"은 육종가(breeder)가 한 가지 식물을 그 식물의 모계계통 중의 하나와 교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다.
"반복성 퇴교잡(recurrent backcross)"은 한 가지 식물을 모계계통 중의 하나와 연속적으로 퇴교잡시킴으로써 계통의 유전적인 조성을 회복하기 위해 디자인된 품종개량전략이다.
용어 "가용성 고형분"은 식용 과일 중에서 발견된 고형분물질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가용성 고형분은 브릭스 %로서 굴절계로 정량적으로 측정된다. 브릭스가 수크로오스의 중량 %로서 정의될 경우, 굴절계는 주로 수크로오스 단위를 포함한다. 만약, 수용액 내에 존재하는 가용성 고형분이 단지 수크로오스이면, 수크로오스 단위는 실질적인 수크로오스 %를 제공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른 가용성 고형분이 존재한다면, 거의 흔히 있는 일이지만, 판독값은 수크로오스 %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샘플 내의 가용성 고형분 전체 %는 거의 비슷하다. 즉, 브릭스가 수크로오스 중량%로써 기술적으로 정의된다 할지라도, 당업자들 은, 굴절계로써 얻어진 바의 가용성 고형분의 중량%는 수크로오스 중량%와 거의 비슷하고, 정확하게 단맛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브릭스 수준으로 측정되어 졌을 때, 가용성 고형분 %가 증가할수록 과일의 인지된 단맛은 더욱 높아진다.
미농산부는 브릭스 수준에 기초를 둔 수박 과일 품질 표준을 확립했다(United States Standards for Grades of Watermel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1978)). 이들 표준에 따르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8브릭스 이상의 값을 갖는 과일의 식용 부분은 "우수"를 나타내는 반면에, 10브릭스 이상의 값을 갖는 과일의 식용 부분은 "매우 우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당도"는 굴절계를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에 따라서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하거나, 맛에 의해 정성적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정량적 특성 유전자좌(loci)" 또는 "QTL"은 연속적으로 분포된 표현형의 발현도에 영향을 끼치는 대립형질을 암호화하는 염색체의 위치이다.
"성숙도"는 과일발육의 성숙도를 뜻하고, 수확을 위한 최적의 시간을 나타낸다. 대개, 당업자들인 재배가들은 과일의 당도와 풍미 강도가 최고일 때 또는 실질적으로 그 근처에서 과일을 수확한다. 수박에서 성숙도는 껍질 겉모양, 과육 색상과 당 함량의 변화와 연관된다.
용어 "동형접합성(homozygous)"과 "동형접합도(homozygosity)"은 유전학적 용어이다. 동일한 대립형질들이 동형접합성 염색체들 상에서 상응하는 유전자좌에 존재시에 그 유전자좌는 동형접합성이 있는 것으로 불리워진다. 동형접합도는 전형 적으로 개체군이 하나 이상의 유전자좌에 고정이 되는 정도를 뜻한다.
"잡종"은 두 개의 유전학적으로 다른 개체들 사이에서의 교배의 자손이다.
"근교배" 또는 "근교계"는 실질적으로 동형접합성 개체 또는 종들이다.
"도입(introgress)"은 대개 비-재배형으로부터 재배형으로 새로운 특성을 도입시키기 위해서 육종가가 실시하는 과정이다.
상업적 수박의 전형적 특성
성공적인 수박생산은 여러 가지 재배법에 대한 주의력에 따라 달라진다. 이들은 적절한 시비에 대한 특별한 주의와 같은 토양관리; 적절한 휴지기간과 같은 작물 정착; 잡초 구제; 식물수분작용을 위한 벌들의 도입, 만약 3배체 식물들로부터 과일을 생산한다면, 씨 없는 (3배체) 수박 생산을 위한 적당한 꽃가루원; 물대기; 및 전염병 재해관리를 포함한다. 수박의 크기와 모양, 껍질색상, 두께와 질김, 종자 크기, 색깔과 숫자, 과육 색깔, 결(감촉), 당 함량과 과일 흠의 방지는 수박 종들의 선택시에 고려될 수 있는 모든 중요한 특징들이다. 상업적인 종자회사들은 전형적으로 재배가에게 그들의 종들의 시범구획 내에서 이들 특징들을 관찰할 기회를 제공하고, 몇몇의 농과대학들은 지방의 재배가들을 위해 재배종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로버트 등 (2004), 메이나드와 시도티 (2003), 슐티스와 톰슨 (2004) 및 레스코바르 등(2004)).
수박작물들은 종자 또는 이식식물들로부터 확립될 수 있다. 이식은 직접 파종으로부터 생산된 작물과 비교시에 더 이른 작물수확을 이끌 수 있기 때문에 더 보편적일 수 있다. 재배가가 씨 없는 과일작물을 재배하기를 원할 때에는 이식이 바람직하다. 이식은 직접 파종시 위험이 따르는 3배체 종자들과 같은, 특히 종자 비용이 비싼 경우에 신속하고 완전한 식물 입목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
수박은 우상전열(pinnatifid lobe) 잎을 가진 유일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조롱박과 식물이고, 다른 모든 종들은 전체로 (갈라지지 않은) 잎들을 가진다. 수박 성장 습관은 이동하는 덩굴식물이다. 줄기들은 가늘고, 털이 많고, 모가 있고, 홈이 있고, 각각의 매듭에는 가지로 된 덩굴손을 가진다. 줄기들은 다수의 가지가 있고, 최대 길이가 30피트에 이른다(웨너 등: 수박: 특성, 생산 및 마케팅, Maynard, editor, ASHS Press, Alexandria VA 2001).
수박 육종가들은 성장조건, 새로운 병원균 공격 및 변화하는 소비자 기호도의 변화를 예상하여 도전하고 있다. 이들 기획과 함께 육종가들은 재배자, 하주(shipper), 소매상인 및 소비자들의 증가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창출을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육종가는 단일 유전자형 내에 우수한 성장, 수송 및 섭취가 가능할 정도로 다양한 우수한 속성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도전하고 있다. 육종가는 과일크기를 하나의 중요한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다. 과일크기는 특별한 그룹의 하주들과 소비자들에 대한 시장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일반적인 카테고리는 아이스박스(<12lb), 소(12~18lb), 중(18~24lb), 대(24~32lb) 및 초대(>32lb)이다. 과일크기는 추정되는 25개 유전자들이 관련된 다유전자성 방식으로 유전된다. 과일은 하주에 의해 재배가로부터 소매상인에게 분배되고, 하주들은 씨가 있는 것은 18~24lb, 씨가 없는 것은 14~18lb와 같이 특별한 중량 카테고리에 초점을 둔다. 비록 역사적으로 소비가 이러한 크기의 카테고리로 되어 있었지만, (과일중량 3~9lb를 가지는) 작은 과일 수박 잡종의 신품종에 대한 시장에서의 요구도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과일 과육 단단하기와 액체 보유는 다른 중요한 특성들이다. 소비자들은 수박에 대하여 다양한 질감 선호도를 가지며, 과육 단단하기는 질감의 결정인자이다. 부가적으로, 과육 단단하기는 얼마나 오랜 기간 동안 절단 과일이 소매상인의 진열에서 지속가능한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또한, 액체 보유는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수박의 소비자 인식에 중요하다. 절단 과일 저장 기간 연구는 대개는 정성적이고, 과일들이 "물러지는(slimy)" 때의 평가에 따른다(Perkins-Veazie 등, 1998, Hortscience 33; 605). 절단 과일 저장 기간의 정량적인 평가는 투과도계를 사용하는 과육 단단하기를 직접적으로 측정하거나, 실시예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체 누출을 어림잡아 계산하기 위하여 시간경과에 따르는 절단 과일의 중량손실% 측정을 포함한다.
또한, 출원인들은 단순히 과일을 시식하므로써 여러 가지 과일의 단단하기를 결정할 수 있었다. 더구나, 이는 어떻게 출원인들이 본 발명의 수박들이 선행기술의 수박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단단한 과육을 가졌는가를 첫번째로 결정한 것이었다. 시식 테스트에서, 출원인들은 또한 트리-엑스 브랜드 626(Syngenta/Rogers-3배체), 엑스타지(Extazy)(Hazera-3배체) 및 솔리테어(Solitaire)(Golden Valley-3배체) 계통들은 단단한 과육 내지 매우 단단한 과육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세미니스(Seminis)의 이배체 로얄 스타 계통과 같은 선행기술의 표준 품종들은 단단한 과육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른 중요한 과일 특징들은 당도와 과일과 껍질 색깔의 우수함을 포함하는 품질이다. 웨너 등((2001): 수박: 특성, 생산 및 마케팅, Maynard, editor, ASHS Press, Alexandria VA)은 이 특성들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 특성들의 가장 중요한 것은 브릭스와 풍미로 측정되는 쓴맛이 없는 당도이다. 풍미 패널 데이터는 더 높은 브릭스 수준과 우수한 풍미 점수와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했다(Nip 등, (1968) Proc, Amer, Soc, Hort, Sci. 93:547). 브릭스 수준은 과일이 자라고 덩굴 상에서 익어감에 따라 증가된다. 따라서, 미성숙 과일들은 소비자가 받아들일 수 없는 저 당도를 가질 것이고; 만약 너무 일찍 수확한다면, 식용 조직은 또한 균일한 색상을 가질 수가 없다. 수박에 대한 정량적인 추천서도 간행되었다. 웨너 등은 10%와 14% 브릭스 사이에 있는 브릭스 수준을 제안한 반면, 미농산부는, 적어도 8브릭스의 당도가 우수하고, 적어도 10브릭스의 당도가 매우 우수함을 "정의(Definitions)"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 표준을 확립했다. 추천서와 표준치들에서 다소의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일 당도는 수박의 중요한 특징임은 논쟁할 여지가 없다.
본 발명의 수박의 특성들
과일 단단함
본 발명의 수박식물 과일들의 과육은 선행기술의 수박 재배종들의 과일 과육보다 더 단단하고, 더 많은 액체를 보유한다. 선행기술의 수박에서, 2배체 유전자형들로부터의 성숙된 식용 과육은 3배체와 4배체 유전자형들 양쪽 모두들보다 더 연하다. 배수성 수준에 관계없이, 계통 내에서 과일 단단함의 변동은 중요치 않다. 일반적으로, 2배체 품종들은 부드러운 과육에서부터 단단한 과육의 정도까지의 과일을 생산한다(즉, 성숙시의 과육 단단하기는 1.0 lbf 미만으로부터 약 1.5 lbf까지). 3배체 계통들은 전형적으로 단단한 과육 또는 매우 단단한 과육을 가진 과일을 생산한다(즉, 성숙시의 과육 단단하기는 1.5 lbf와 약 3.0 lbf 미만 사이). 3배체 잡종들은 성숙시 약 1.3 lbf에서 2.5 lbf 범위의 중간 정도의 과육 단단함을 가진 씨 없는 과일을 생산한다. 표 1은 상업적인 잡종들과 근교배 수박계통들에 대한 선행기술로부터의 과육 단단하기 데이터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모든 단단하기 측정치들은 8mm의 탐침 직경을 갖는 QA Supplies in Norfolk, Virginia로부터의 모델 FT011 투과도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판독이 이루어지고, 약어로 lbf인 압력에 대한 영국 공학측정단위인 파운드 힘으로 기록되고, 다음 식에 따라 뉴튼(Newtons)으로 전환된다: 1 lbf=4.448뉴튼. 대상 과일들은 각각의 과일의 꽃과 줄기 말단들 사이에 있는 중앙을 수평으로 절단되었다. 출원인들은 과일당 3~5회 판독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절단 과일의 중심으로부터 시료들을 취했다. 보고된 단단하기 데이터는 이들 3~5회 판독치들의 평균이다.
[표 1]
전형적인 수박 재배종들과 근교배 계통들의 단단함 조사. 평균 단단함 판독치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른 파운드 힘으로 표시된다.
계통 기원 배수성 단단함
트리-엑스 313
(Tri-X 313)
신젠타/로저스
(Syngenta/Rogers)
3배체 1.4
밀리오네어
(Millionaire)
해리스 모란
(Harris Moran)
3배체 1.8
레볼루션
(Revolution)
선시드
(SunSeeds)
3배체 1.7
마제스틱
(Majestic)
세미니스
(Seminis)
3배체 1.7
올림피아
(Olympia)
세미니스 3배체 1.6
오메가
(Omega)
세미니스 3배체 1.5
PS110-5288-9 세미니스 3배체 2.3
4082 세미니스 3배체 2.0
4084 세미니스 3배체 1.5
4090 세미니스 3배체 1.6
4133 세미니스 3배체 2.2
4134 세미니스 3배체 2.4
4135 세미니스 3배체 2.2
4137 세미니스 3배체 2.7
4138 세미니스 3배체 2.2
47602A 세미니스 2배체 1.5
4203 세미니스 2배체 1.4
쿠퍼스타운
(Cooperstown)
세미니스 3배체 1.5
펜웨이
(Fenway)
세미니스 3배체 2.1
센티넬
(Sentinel)
세미니스 2배체 1.4
W-1128 세미니스 2배체 1.4
W-1119 세미니스 2배체 1.6
BSI 2532 세미니스 2배체 1.7
BSI 2527 세미니스 2배체 1.3
W-2068 세미니스 2배체 1.1
W-2741 세미니스 2배체 1.3
W-1488 세미니스 2배체 1.7
BSI 2543 세미니스 2배체 1.2
선행기술의 수박계통들과 비교시, 본 발명의 과일은 매우 단단한 과육과 당도 양자 모두를 갖는다. 표 2는 수박계통 PI296341로부터 과육 단단하기와 당 함량을 보여주고, 이는 본 발명의 신규의 단단한 과육 과일의 소스(source)로서 사용되었고, 잡종 계통들은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들에 따라서 생산되었다. 당도 측정치들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서 굴절계(Leica Microsystems Model AR200, Reichert Inc., Depew, NY)를 사용해 정량적으로 결정되었다. 하나의 측정치는 수평으로 절단된 과일의 반쪽으로부터 취하였다. 데이터는 평균치로써 기록되었다.
표 2의 단단하기 판독치들을 표 1의 값들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수박의 과육은 선행기술의 수박 과육보다도 상당히 더 단단하다. 특히, 본 발명의 수박은 적어도 약 3.0 lbf,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5 lbf,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4 lbf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 lbf의 압력에 저항한다.
더구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수박은 단맛이 있다. 특히, 수박은 적어도 약 6브릭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브릭스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브릭스의 당도를 나타낸다.
[표 2]
근교계 및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 및 PI296341 소스로부터 개량된 잡종 계통의 단단함 및 당 함량. 단단하기 판독값들은 파운드 힘이고, 당 함량은 %브릭스로써 나타내었다. 양쪽 모두의 측정법들은 본원에 설명되어 있다.
계열 기원 배수성 단단함 당 함량
PI296341 USDA 콜렉션 2배체 13.5 1.6
7132 본 발명 3배체 4.7 10.2
7133 본 발명 3배체 6.2 11.7
4201 본 발명 2배체 8.0 9.7
4203 본 발명 2배체 7.8 10.8
4204 본 발명 2배체 6.5 9.7
4207 본 발명 2배체 6.5 10
액체 보유
또한, 본 발명의 과일은 선행기술의 과일보다 액체를 더 보유한다. 실시예 4는 이 액체 보유 특성을 예시하는 연구를 설명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섭씨 4℃에 저장시 본 발명의 수박으로부터 절단 과일의 액체 누출율과 선행기술의 수박으로부터 절단 과일의 액체 누출율을 비교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표 2에 예시되어 있다. 이 연구는 절단 과일의 시간 경과에 따르는 중량 손실%를 측정한다. 이 측정은 액체 손실에 근접하므로, 중량 손실의 95~98%가 액체누출에 기인한다. 나머지 중량 손실은 가용성 고형분과 산들과 같은 과일의 다른 성분들의 누출에 기인한다. 이 데이터들로부터의 주요한 결론은 본 발명의 가공처리된 수박은 표준의 공지된 재배종의 가공처리된 과일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액체를 적게 손실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수박은 4℃에서 3일간 저장 후, 약 4중량% 미만을 손실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과일은 4℃에서 3일간 저장 후 약 3.5중량% 미만을 손실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미만을 손실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박은 4℃에서 일주일간 저장 후, 약 5중량% 미만을 손실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과일은 4℃에서 일주일간 저장 후 약 4중량% 미만을 손실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중량% 미만을 손실하는 것이다.
액체를 보유하는 과육을 갖는 것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과일은 단맛이 있다. 특히, 이들 수박은 적어도 약 6브릭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8브릭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브릭스의 단맛을 나타낸다.
다른 특성들
본 발명의 수박식물들은 씨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2배체, 3배체 및 4배체 식물들을 얻기 위한 방법들은 당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2배 체와 3배체 수박 식물들과 본 발명의 종자를 얻기 위한 방법들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4배체 식물들은 공지의 세포 생물학 기술들 및 다음에 설명된 2배체 식물들을 사용하여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교배기술을 사용하여, 당업자들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액체 보유 과육 특성들을 보유하면서, 위에서 설명된 것들 이외에도 바람직한 특성을 지닌 본 발명의 수박을 얻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육종가들은 특별한 크기를 가지거나, 특별한 과육 색상 또는 껍질 패턴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육종 기술들- 근교배 및 잡종 계통들
본 발명의 수박 계통들은 2000년도에 시작되어 미국 내(조지아주, 플로리다주 및 캘리포니아주), 멕시코 및 과테말라에서 개발되었다. 나아가, 수박 계통들은 2003년도에 시작되어 플로리다주, 조지아주, 캘리포니아주에서 야외 성능과 순응의 평가를 위해서 성장되었다. 추가적으로, 성숙시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을 가지는 수박을 생산하는 계통들로 만들어진 2배체와 3배체 수박 잡종들은 플로리다주, 캘리포니아주 및 멕시코에서 2003년과 2004년도에 야외 상태에서 평가되었다. 특이적 교잡과 결과의 과일들의 단단함 및 품질 평가는 "실시예" 섹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대부분의 육종 목적들을 위하여, 상업적인 육종가들은 "재배형(cultivated type)"으로 주로 언급되는 배종질로 작업한다. 이 배종질은 원예학적 연구에 대한 평가시 일반적으로 수행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육종하기가 용이하다. 재배형이 제공하는 수행상의 이점은 대립형질 다양성의 부족과 서로 상쇄된다. 이는 육종가가 재배 배종질이 더 나은 수행능을 갖지만, 대립형질 다양성의 결핍을 가지고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교환이다. 일반적으로 육종가들은 유전학적으로 다양한 소스로 육종할 때보다 재배 물질로 작업할 때 진행이 더 신속하므로 이러한 교환을 허용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육종가가 폭넓은 종내교배 또는 종간교배들 중의 어느 것을 취할 때에는 역교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육종가는 전형적으로 재배된 배형질과 비재배형을 교배시킨다. 이러한 교배에서, 육종가는 비재배형으로부터 새로운 대립형질들에 대한 접근을 얻을 수 있지만, 공여친(donor parent)과 연관된 유전적 끌림(genetic drag)을 극복해야만 한다. 이같은 육종 전략의 어려움 때문에, 이 접근방법은 수정능 또는 생식능 문제로 자주 실패한다. 이같은 육종 전략의 어려움은 수많은 작물들에도 적용되고, 1944년에 토마토에서 처음으로 설명됐던 중요한 질병 저항성 표현형으로 예시된다(Smith, Proc. Am. Soc. Hort. Sci. 44: 413~416). 이 교배에서, 선충(nematode) 질병 내성은 L. peruvianum(PI128657)으로부터 재배된 토마토내로 전달되었다. 육종 연구에 박차를 가함에도 불구하고, 육중가들이 유전적 끌림을 극복하고, 이같은 특성을 전달하는 성공적인 계통들을 생산한 것은 1970년대 중반까지는 힘들었다. 더구나, 오늘날조차도, 토마토 육종가들은 이 질병 내성 유전자를 단지 양친 중 하나로부터 잡종으로 전달한다. 이는 남아 있는 유전적 끌림이 차단되게 한다. 이같은 육종법에 있어서 계속되는 발명은 USPTO(미국특허 6,414,226, 6,096,994, 5,866,764 및 6,639,132)에 의해 인정되었다.
수박에서, 식물도입(PI) 기탁 계통들은 전형적으로 단단하고 흰 과육과 매우 불량한 맛(심지어 쓴맛)을 지닌 작은 과일을 생산하는 계통들이다. 이 계통들이 그 정도로 불량한 원예학적 품질을 가지더라도, 몇몇 수박 육종가들은 다른 몇몇 작물 육종가들과 마찬가지로 PI 계통들이 신규 대립형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PI 계통들로 육종을 시도하였다. 오늘날, PI 계통 시리즈들의 사용을 위하여 가장 통상적으로 시도된 육종 목적은 새로운 질병 내성 유전자들을 도입시키는 것이다. PI 계통으로부터 수용가능한 상업적 형태들 내로 신규 저항 유전자를 도입시키는 과정은 길고도 가끔은 힘든 과정이다. 이 방법은 특성이 다유전자성(polygenic)일 수 있고, 낮은 유전가능성(heritability)을 가지고, 연쇄 끌림(linkage drag)을 갖거나, 이들 3가지의 조합을 가지기 때문에 어려울 수가 있다.
이 육종 프로젝트는 재배된 수박과 USDA 컬렉션(Regional Plant Introduction Station in Griffin, Georgia)으로부터 얻은 PI 번호 296341 사이의 광범위한 교배로써 시작되었다. 이는 1964년에 U.S. Plant Introduction System에 기탁되었기 때문에 수박 육종가들이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원래의 의도는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을 지닌 수박을 만드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프로젝트의 원래 의도는 여기에서는 FON race 2로서 언급되는 Fusarium wilt, 특히 Fusarium oxysporum f. sp . niveum race 2에 내성을 도입하려는 것이었다. 비록 어떠한 상업용 수박들이 FON race 2에 대한 내성을 포함하지만, 내성의 소스로서 PI296341을 사용할 가능성은 수년 동안 알려져 왔었다(Netzer (1989) Plant Disease 73: 518; Martyn과 Netzer (1991) Hortscience 26: 429~432; Wehner 등 ((2001): 수박: 특성들, 생산 및 마케팅. Maynard, editor. ASHS Press. Alexandria, VA). 이러한 것들이 15년 전부터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PI296341로부터 도입된 FON race2 내성을 지니는 판매용 상업적 계통의 수박이 없었다는 점은 광범위한 교배들로부터의 특성들을 도입하여,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근교배와 잡종들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FON race2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에 추가하여, PI296341은 직경이 4인치와 6인치 사이이고, 중량이 1파운드와 2.6파운드 사이인 매우 작은 둥근 과일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일 과육은 백색이고, 매우 단단하고, 낮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지니고 있다(표 2). 이 과일들의 관능 평가는 단맛의 인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부터 쓴맛에 이르는 범위이다. 아래의 "실시예들" 섹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교배 수박식물들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 특성(극도로 단단한 양친)을 가진 수박과 당도를 포함한 다른 바람직한 품질 특성들을 지닌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지 않는 수박(반복성 양친)을 교배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극도로 단단한 양친은 식물 도입 컬렉션 기탁번호 296341일 수 있다.
당업자들은 다양한 반복성 퇴교잡을 수행하고, (i)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 특성 및 (ii) 당도 특성을 선택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특성들 을 가진 근교배 수박 계통을 만들기 위하여 반복성 퇴교잡의 선택된 식물들을 자가수분시키므로써,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 및/또는 액체 보유 특성을 반복성 양친내로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입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아래의 "실시예" 섹션에 설명되어 있다.
출원인들은 근교배 계통 3347를 만들었고, 이는 위에서 설명되고, "실시예" 섹션에서도 설명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맛이 있고 극도로 단단한 과일을 생산한다. 특히, 실시예 5를 참조할 수 있다. 근교배 계통 3347은 NCIMB에 기탁되었고, 기탁번호 NCIMB 41230을 받았다. 기탁의 상세내용들은 "실시예들" 섹션에 따른다.
공지 방법들을 사용하여, 육종가들은 (ⅰ)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를 보유하는 과육 특성 및 (ⅱ) 당도 특성을 지닌 수박의 2배체, 3배체 및 4배체의 근교배 계통들을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 액체 보유 특성은 우성 유전되므로, 육종가들은 본 발명의 수박들을 사용해 잡종들을 얻을 수 있다. 잡종들은 2배체 또는 3배체들 중의 어느 것일 수 있다. 특히, 육종가들은, 각각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 특성과 당도 특성을 갖는 과일을 가지는 2배체와 3배체 수박 식물들을 만들기 위해, 상술한 원하는 과육 특성들과 당도 특성을 지닌 근교배 수박 식물들을 2배체 또는 4배체의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지 않는 재배종들에 교배시켰다. 또한, 잡종을 만드는데 사용된, 극도로 단단한 과육을 갖지 않는 양친은 특별한 크기 및/또는 색상과 같은 다른 바람직한 특성들을 지닌 단맛이 있 고, 극도로 단단한 과육 및/또는 액체 보유 과육 수박을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새로운 특성들을 상업적 배종질 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량 선별, 계통 선별, 반복성 선별 및 퇴교잡을 포함하는 몇 가지의 육종 방법들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실시예 및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수단에 의하여, 높은 브릭스 수준을 가진, 성숙시 극도로 단단한 육질을 갖는 수박 특성의 도입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실시예 1: F1 계통들의 형성과 퇴교잡
2000년 여름에, 암크루로서 4종의 세미니스 근교배 계통과 PI296341을 교배시킴으로써 4종의 첫 자손(F1) 세대 계통들을 얻었다. 사용된 4종의 2배체 근교배 계통들은 W-2388, W-1128, W-1119 및 W-1488이었다. 계통 W-2388은 길이 대 너비(L/W)의 비가 1.8~2.2:1을 지닌 형태로 연장되었다. 껍질 색깔과 패턴은 광범위한 더 진한 줄무늬를 지닌 중간 정도의 초록색 바탕이다. 이 모양과 껍질 패턴의 표현형은 당업자들에게는 "연장된 진한 얼룩의 줄무늬" 수박으로서 알려져 있다. 계통 W-1128의 과일 모양은 1.0~1.2:1의 L/W 비를 가진 둥근 타원이고, 껍질의 색깔이 가벼운 초록에서 중간 정도의 초록색 배경과 좁고 더 진한 초록색 줄무늬를 지닌다. 이 표현형은 당업자들에게는 "좁은 (또는 타이거) 줄무늬"를 지닌 둥근 타원형 수박 과일로 알려져 있다. 계통 W-1119의 과일 모양은 1.1~1.3:1의 L/W 비를 지닌 타원형 내지 매우 둥근형이다. 껍질 색깔은 넓고 더 짙은 초록색 줄무늬를 지닌 중간 정도의 초록색 배경이다. 이 표현형은 당업자들에게는 "둥근 타원형의 진 한 얼룩의 줄무늬" 수박으로서 알려져 있다. 계통 W-1488의 과일은 1.0~1.1:1의 L/W 비를 가진 둥근 모양이다. 껍질 색깔은 다소 엷은 얼룩/그물 패턴의 배경을 지닌 연한 초록이다. 이 표현형은 당업자들에게는 "둥근 회색 (또는 연한 초록)"의 수박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4가지 계통들은 재배된 유형들 가운데에서 표현형의 다양성의 나열을 제공한다.
2000년 가을에, 각각의 F1들은 상기의 4가지 근교배종들과 퇴교잡하기 위하여 암크루로 사용되어, 퇴교잡 1(BC1) 세대를 만들었다.
BC1 세대 식물들은 2001년 봄에 성장하여, 선발은 전반적으로 건전한 생장력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수많은 BC1 및 심지어 BC2 식물들이 죽었기 때문에 PI 계통으로부터 재배형들로 대립형질들을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덩굴 생장력(vine vigor)의 변화를 생존 가능성과 연관지어 관찰하였다. 덩굴 생장력은 전체적인 생장력과 연관이 되고, 아마도 병원균 내성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원래의 4종의 근교배 개체들로부터 유래된 각각의 BC1 계통들을 다음과 같이 암크루로 교배시켰다:
1. [[W-1128×PI296341]F1×W-1128](이것은 W-1128 BC1이다)×W-1128
2. [[W-1119×PI296341]F1×W-1119](이것은 W-1119 BC1이다)×W-1119
3. [[W-1488×PI296341]F1×W-1488](이것은 W-1488 BC1이다)×W-1488
4. [[W-2388×PI296341]F1×W-2388](이것은 W-2388 BC1이다)×W-2068
5. [[W-2388×PI296341]F1×W-2388](이것은 W-2388 BC1이다)×BSI-2543
6. [[W-2388×PI296341]F1×W-2388](이것은 W-2388 BC1이다)×BSI-2527
이들 6가지 교배들에서, 첫 3가지는 반복성 양친 퇴교잡이다. 교배 번호 4는 원래의 양친 W-2388에 매우 유사한 계통 W-2068이었다. 교배 5 및 6은 새로운 근교배 개체들이었다. 반복성 퇴교잡 프로그램은 공여 양친(이 경우에, PI296431)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새로운 특성들을 첨가시키기 위한 것인 반면에, 반복성 양친의 표현형을 보유한다. 그러나, 수박 육종은 동적인 과정이므로, 더 새로운 근교배 계통들이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에 반복성 양친을 변화시키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다. 따라서 교배 4 내지 6은 기술적으로 BC2 세대를 만들지 못하였다. 세대들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 교배들은 BC2* 세대로서 언급될 것이다.
BC2 및 BC2* 세대는 2001년 여름에 성장되었다. BC1 세대에서와 같이, 덩굴 생장력에 대한 선별을 수행하였다. 이같이 선별된 암크루들은 BC3와 BC3* 세대를 만드는데 사용하였다.
1. W-1128 BC2×W-1128=BC3
2. W-1119 BC2×W-2741=BC3*
3. W-1488 BC2×W-1488=BC3
4. W-2068 BC2*×W-2068=BC3*
5. BSI-2543 BC2*×BSI-2543=BC3*
6. BSI-2527 BC2*×BSI-2527=BC3*
2001년 가을에, BC3와 BC3* 계통들이 성장하였고, 선별기준은 덩굴 생장력이 적용되었다. 그 후에, 선별된 식물들을 교배시키고, 각각 BC4와 BC4* 세대를 만들기 위하여 교배시켰다.
7. W-1128 BC3×W-1128=BC4
8. W-2741 BC3*×W-2741=BC4*
9. W-1488 BC3×W-1488=BC4
10. W-2068 BC3*×W-2068=BC4*
11. BSI-2543 BC3*×BSI-2543=BC4*
12. BSI-2527 BC3*×BSI-2527=BC4*
덩굴 생장력으로 선별하는 것에 추가하여, BC4와 BC4* 세대 종자를 포함하는 BC3와 BC3* 과일의 시험 결과는 뜻밖의 발견을 가져왔다. 현재의 원예학적 특성에 의해 평가할 때, 비록 BC3 세대가 아직 불완전하게 수행될지라도, 과일들의 품질 특성을 시험하였다. 대부분의 과일은 불완전한 품질을 가졌지만, 소량의 과일에 대하여 육종가의 관찰은 다음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우수한 과일 색깔, 단맛과 극도로 단단한 과육-사과와 유사". 뜻밖의 발견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단맛이 있는 과육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마켓에서의 절단된 과일 단편에 대해 극도로 단단한 과육과 결합된 단맛이 있는 과육을 만드는 가능성은 육종 목적의 분기점으로 귀착된다. 출원인들은 단맛과 함께 극도로 단단한 과육 수박들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실시예 2: 극도로 단단한 과육 과일을 산출하는 식물들의 자가수분과 초기 과육 단단함에 대한 데이터
2002년 봄에, BC4/BC4* 세대는 성장하였고, 당도,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기준을 기초로 하여, 식물들을 다음 세대를 얻기 위해 선택하였다. 그러나, 다른 퇴교잡 세대를 얻는 대신, 동시에 개량된 계통들로부터 각각의 선별된 것을 자가수분하였다. 교배로 BC4S1/BC4*S1 세대를 얻었다.
2002년 여름에, BC4S1/BC4*S1 세대가 성장하였고, 단맛,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기준을 기초로 하여, 식물들을 다음 세대를 얻기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식물들의 자가수분으로 BC4S2/BC4*S2 세대를 얻었다.
2002년 가을에, BC4S2/BC4S*2 세대가 성장하였고, 단맛,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기준을 기초로 하여, 식물들을 다음 세대를 얻기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식물들의 자가수분으로 BC4S3/BC4S*3 세대를 얻었다.
2003년 봄에, BC4S3/BC4S*3 세대가 성장하였고, 단맛,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평가기준을 기초로 하여, 식물들을 다음 세대를 얻기 위해 선택하였다. 선택된 식물들의 자가수분으로 BC4S4/BC4S*4 세대를 얻었다.
BC4S3 과일에 대하여, 과육 단단하기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인 양쪽 모두의 데이터를 얻었다. 특히, 개별적인 BC4S3 식물들로부터 93개 과일들을 투과도계로써 단단하기에 대해 평가하였다(8mm 직경 탐침을 지닌 모델 FT011, QA Supplies, Norfolk, VA). FT011 투과도계는 파운드 힘에 대한 불규칙적인 오차인 PF를 판독하는 게이지를 가지고 있다. 파운드 힘은 압력에 대한 영국의 공학적 측정단위 스케일이고, 적절하게 약자로 lbf로 표시된다. 영국의 측정시스템으로부터 국제적 단위 시스템(SI)으로의 전환은 1 lbf=4.448뉴튼이다. 투과도계를 사용하는 모든 과육 단단하기 측정을 위하여, 성숙된 과일들을 식물로부터 떼어내고,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방위 확인을 위하여, 과일들은 줄기 말단과 꽃 말단을 갖는다. 수평 방향으로 베어내는 것은 과일들이 반씩으로 나누어짐으로써 각각의 반쪽이 절단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거리에 꽃 단 또는 줄기 말단을 갖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료들은 절단 과일의 중심으로부터 취하였다. 2배체 과일들에 대하여, 샘플링은 씨가 있는 고리(ring) 내에서 수행하였다. 비록 3배체 과일들이 씨가 거의 없을지라도, 샘플링은 쪼갠 과일의 동일한 핵심지역 내에서 행하였다. 각각의 반쪽을 투 과도계에 적용하고, 과일당 3~5회 판독을 수행하였다. 단단하기 데이터는 3~5회 판독치들의 평균값으로서 기록하였다.
당도를 포함한 허용가능한 원예학적 특징들을 가지는 단단한 과육 표현형을 고정시키기 위한 몇 세대의 시도 후에도, 중요한 과일 과육 단단함 변화는 여전히 이러한 샘플들에서 존재함을 도 1은 보여준다. 도 1의 데이터가 중요한 다양성을 나타내더라도, 과일 단단함의 개선이 있음은 명백하다. 화살표는 반복성 양친의 평균적인 단단하기 등급을 보여준다. 생산물 개발에서 이같은 초기 세대조차도, 과일들의 약 43%가 4 lbf 이상의 단단하기 측정치를 가지고 있다.
몇 가지의 표현형들은 하나의 유전자좌의 유전자형에 의해 결정된다. 멘델에 의해 연구된 것과 유사한 이들의 단순한 특성들은 초록색 또는 황색 종자들과 같은 불연속적인 카테고리로 나타난다. 그러나, 자연에서 관찰된 대부분의 변화는 야생 옥수수 또는 인간의 혈압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연속적이다. 도 1은 정상적인 분포와 유사한 단단한 과육 변화의 연속적인 유형의 패턴을 보여준다. 단순히 유전된 특성들과 달리 연속적인 변화는 다유전자 유전의 결과일 수 있다. 연속적인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유전자좌들은 정량적인 특성 유전자좌들 또는 QTLs로서 언급된다. 정량적인 특성의 표현형에서의 변화는 QTLs에서 대립형질 조성과 환경적 영향의 결과이다. 출원인들은 변화에 대해 몇 가지의 가능성 있는 원인들을 확인하였다: (1) 과일 단단하기 특성은 몇 가지 내지 많은 QTLs에 의해 조절가능하고; (2) 과일 단단하기 특성은 하나 또는 다소의 유전자들에 의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낮은 유전가능성을 갖고; (3) 그 특성은 다유전자성 및 낮은 유전가능성 양쪽 모두일 수 있다. 당업자들은, 시장은 제품의 균일을 요구함을 인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용성은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유전가능성을 지닌 특성들에 대해서 더 높다. 특성의 유전가능성은 유전적 다양성에 공헌하는 표현형의 다양성의 비율이다. 이 비율은 0과 1 사이에서 변화한다. 따라서, 거의 1.0의 유전가능성을 지닌 특성은 환경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에 설명된 과일 단단하기 변화가 다양성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성의 원인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더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을 지닌 2배체 잡종들의 세대
2002년 가을에, 자가수분에 더하여, 선택된 BC4S2/BC4S*2 세대 식물들과 극도로 단단한 과육의 표현형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상업용 근교배종을 교배하였다. 이 교배들은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이 잡종 조합에서 어느 정도로 우세하게 유전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당업자들은 근교배 계통들에서 진화된 특성들이 잡종 조합에서 어떻게 잘 기능을 하는가를 확립하는 중요성을 인정할 것이다.
2003년 봄에, 이들 테스트 잡종들을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에서 평가하였다. 많은 잡종 조합들이 이들 시도로 테스트 되었을지라도, 이들 데이터의 대부분은 제시하지 않았다. 대신에, 두 지역에서의 시도를 통한 4개의 뛰어난 잡종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표 3 및 4에서 나타내었다. 잡종은 껍질 색깔 패턴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들 잡종들에 대하여, 모든 것들은 얼룩모양의 줄무늬 패 턴을 갖고, MS로 명명하였다. 또한, 과일 길이 및 폭, 껍질 두께, 과육, 색상, 단단하기 및 당도 수준을 평가하였다.
당도 수준을 정량적으로 결정시, 출원인들은 브릭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굴절계를 사용하였다. 특히, 브릭스 수준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디지털 굴절계로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서 측정하였다(Leica Microsystems Model AR200, Reichert Inc., Depew, NY). 브릭스 수준은 액체방울들이 굴절계의 웰(well) 내로 떨어질 때까지 샘플 과일을 강하게 쥐어짜 내어서, 투과도계에 의한 단단하기 판독을 한 후에 결정됐다. 하나의 브릭스 측정값은 절단 과일의 반쪽으로부터 취해졌고, 데이터는 평균치로서 기록하였다.
표 3 및 표 4는 테스트용 잡종들은 테스트 부위들 사이에서 작은 변화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그러나, 함께 취한 데이터는 이러한 뛰어난 잡종 조합은 두 지역에서 균등하게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들 잡종들은 일정하게, 압력의 단위 파운드 힘에 의해 측정한 바로는 매우 단단한 과육을 가지며, 브릭스%로서 특정한 바로는 매우 우수한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다.
두 지역으로부터 얻은 과일 과육 단단하기 데이터는 그 특성의 유전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도 1에서 나타난 데이터에 의해 제시된 유전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대한 해답이 된다. 첫째, 이들 데이터는 매우 단단한 과육 특성이 단일 양친으로부터 F1 잡종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바꿔 말하면,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선택된 유전자좌들은 과일 단단하기에 우성으로 영향을 끼친다. 이는 육종 전략을 설계하는데 중요한 사실이다. 더구나, 두 지역에서 몇 개의 잡종들을 통 한 단단하기 측정치들의 지속성은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선택된 극도로 단단한 과육 대립형질들이 고도의 유전가능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당업자들은 고도로 유전가능성이 있는 원예학적 특성들을 지닌 상업적 계통들의 작출 중요성을 인식할 것이다. 특히, 이러한 품종들은 재배가에게 균일한 시장 명세내역을 지닌 작물을 생산가능케 한다.
[표 3]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1
[표 4]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2
실시예 4: 극도로 단단한 과육 잡종들의 액체 보유 과육 특성들의 평가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연구들은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제품들은 최대로 2~3일의 짧은 유통 기간을 가진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Perkins-Veazie 등 (1998) Hortscience 33: 605; Wehner 등: 수박: 특징들, 생산 및 마케팅. Maynard, editor. ASHS Press, Alexandria, VA, 2001). 절단된 수박의 최대 저장기간이 단지 수일일지라도, 제품의 품질은 가공처리된 후에는 신속하게 저하되기 시작한다. 플라스틱 음식 용기로 제공되는 절단 제품들에서, 액체가 절단 제품으로부터 누출되어 나오고, 용기의 바닥에 축적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이러한 신속한 품질 저하를 볼 수가 있다.
2003년도의 캘리포니아주 잡종 시험(실시예 3, 표 4)으로부터의 성숙 과일들을 여기에서 설명된 액체 보유 테스트를 사용하여 누출에 대해 평가하였다(도 2 참고). 이 테스트는 4℃에서 실시되었다. 테스트용 잡종 4201, 4204 및 4207로부터의 과일들을 2배체 및 3배체 대조군들과 함께 테스트하였다. 테스트용 잡종들은 각각 8.0 lbf, 7.0 lbf 및 6.0 lbf의 단단하기 판독치를 갖고,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을 나타내었다(표 4). 대조군들은 각각 <2.0 lbf 및 <2.5 lbf의 단단하기 판독치를 나타내었다. 액체 손실을 측정하기 위하여, 과일들의 식용부분을 약 1인치 입방체 크기로 절단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약 1인치 크기의 입방체를 선택한 이유는 소매상 출구에서 발견된 가공처리된 제품 크기에 가장 잘 맞기 때문이다. 16일의 기간이 경과된 후, 다시 시료들의 무게를 측정하고, 중량 손실%를 계산하여 액체 손실을 추정하였다.
도 2는 16일 경과 후에 이 시료들의 중량 손실%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계통상 다수의 시료들을 테스트하였고, 삼각, 원형 및 정방형은 각각의 시점에서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시료의 표준편차는 막대로 도시하였다. 도 2의 데이터는 더 부드러운 과일 과육을 갖는 대조군들과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을 갖는 것 사이에서 중량 손실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조군과 극도로 단단한 과육 표현형을 지닌 테스트용 잡종들 사이의 차이는 샘플이 절단된 후 약 6.5시간인 제1 시점에서 명백해진다. 따라서, 재배종으로부터의 절단 제품은 2~3일에 이르는 유통 기간을 가질 수 있지만, 제품의 품질 저하는 거의 절단 직후에 곧바로 시작된다. 이들 데이터는, 여기에서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개발된 극도로 단단한 과육 계통들은 절단된 수박 과일들에서 통상적인 신속한 액체 누출에 저항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극도로 단단한 과육 과일들은 절단 후 액체를 보유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수박들은 최소량으로 가공처리된 수박시장에서는 더 길게 지속될 것이다.
실시예 5: 최종 자가수분 및 3배체 잡종들의 작출 및 평가
2003년 여름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설명된 BC4S4/BC4S*4 세대가 성장하였고, 당도,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를 하였다. 이들 평가기준을 기초로 하여, 다음 세대 작출을 위해 식물들을 선발하였다. 자가수분으로 BC4S5/BC4S*5 세대를 얻었다.
2003년 가을에 BC4S5/BC4S*5 세대가 성장하였고, 단맛, 과일 과육 단단하기 및 원예학적 특성들에 대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들 기준을 기초로 하여, 다음 세대를 작출하기 위한 식물들을 선발하였다. 자가수분으로 BC4S6/BC4S*6 세대를 얻었다.
추가적으로, 정량적인 단단하기 데이터는 정성적으로 단맛이 있는 계통들인 BC4S5로부터 수집하였다. 특히, 26계통들을 테스트하였고, 결과들은 아래에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계통들 중의 14계통들은 단일 과일 테스트였고, 나머지 12계통들은 계통당 테스트된 2 또는 3가지 과일을 가졌다. 26계통들 가운데에서 단단하기의 범위는 낮게는 4.0 lbf로부터 높게는 8.0 lbf에 이르는 범위였다. 다수의 시료들을 갖는 계통들에 대하여, 12계통들 중의 11계통들은 투과도계 측정치에서 전혀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한 계통만이 투과도계 측정치 차이가 1 lbf임을 보여주었다. 이들 데이터는, BC4S3세대에서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에서 다양성을 나타내었던 도 1에 의한 의문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BC4S3 세대에서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은 낮은 유전가능성을 나타낼지, 높은 유전가능성을 나타낼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동시에 개발된 수많은 계통들은 향상되었지만, 상이한 과일 단단하기 판독치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이 자연에서는 다유전자임을 암시한다. 표 3 및 표 4에서 나타난 테스트용 잡종 데이터와 함께 표 5에서 나타난 매우 낮은 계통 내의 변화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징이 높은 유전가능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업자들은 이같은 재배종들은 재배가들이 균일한 시장 명세내역을 지닌 작물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고도로 유전가능성이 있는 원예학적 특성들을 지닌 상업적 계통들의 창출 중요성을 인식할 것이다.
[표 5]
BC4S5/BC4S*5 세대로부터의 근교계 평가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3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4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5
상술한 자가수분에 추가하여, 선택된 BC4S4/BC4S*4 세대 식물들을 극도로 단단한 표현형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상업용 4배체 근교배종과 교배시켰다. 이들 4배체×2배체 교배는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이 3배체 잡종 조합 내에서 어느 정도로 우성으로 유전될 수 있는가를 테스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아래의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극도로 단단한 과육 특성은 3배체 씨 없는 과일에 의해 유전되었다.
[표 6]
성숙 과일 과육 단단하기와 당도. 단단함은 투과도계로 여기에서 설명된 바에 따라 측정하였다.
Figure 112007008290404-pct00006
여기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다.
기탁 정보
상기에서 개시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Seminis Vegetable Seeds 소유의 근교배종 및 잡종 수박계통 3347은 NCIMB Ltd, 23 St. Machar Drive, Aberdeen AB24 3RY에 기탁되었다. 기탁일은 2004년 7월 1일이었다. 이 변종에 대한 2,500종자들의 기탁은 이 출원의 출원일자 이전부터 Seminis Vegetable Seeds에 의해 유지된 동일한 기탁으로부터 취하였다. 특허의 등록시, 기탁에 관한 모든 제한들은 제거될 수 있고, 기탁은 37 C.F.R. §1.801~1.809의 요구사항들 모두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근교배 계통 3347에 대한 NCIMB 기탁번호는 NCIMB 41230으로서 기탁되었다.
전술한 발명이 이해와 명료함을 위하여 예시와 실시예에 의해 다소 상세하게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기 때문에, 어떠한 변화와 변형들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2)

  1. 적어도 3.5 파운드힘(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4.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5.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6.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8.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적어도 8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적어도 10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무게가 적어도 1.5kg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무게가 적어도 3.0kg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무게가 적어도 4.5kg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무게가 적어도 6.0kg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적색 과육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황색 과육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식물은 오렌지색 과육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2배체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4배체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3배체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19. 제1항에 있어서, 그의 대표 샘플이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NCIMB에 기탁된 수박 근교계 3347로부터 생산된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20. 제19항의 식물 또는 그의 일부로부터의 종자.
  21. 제19항의 식물 또는 그의 일부로부터의 화분.
  22. 제19항의 식물 또는 그의 일부로부터의 난세포.
  23. 제19항의 식물 또는 그의 일부로부터 유래된 영양 조직.
  24. 제23항의 조직으로부터 재생된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25. 제1항의 근교배 수박식물과 제2의 수박식물을 교배시키고, 결과의 잡종 수박 종자를 수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잡종 수박종자의 생산방법.
  26. 제25항의 결과의 잡종 수박종자를 성장시켜서 생산된 잡종 수박식물.
  27.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1항의 수박식물을 생산하는 방법:
    (1)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제 1의 수박종을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을 갖는 제 2의 수박종과 교배시키는 단계;
    (2)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상기 제 1의 수박종과 적어도 한번의 퇴교잡을 수행하는 단계; 및
    (3)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가진 상기 단계 (2)의 퇴교잡 생산물을 1회 이상 자가수분시키는 단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을 갖는 제 2의 수박종은 USDA 컬렉션 번호 PI296341인 방법.
  29. 제1항에 따르는 식물로부터 수확된 수박.
  30. 제29항의 수박으로부터 유래된 수박 과육.
  31. 필드에서 성장된 제1항에 따른 다수의 수박식물들.
  32. 액체 보유 과육과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3일 저장 후, 3.5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3일 저장 후, 3.5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3일 저장 후, 2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3일 저장 후, 1.5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일주일 저장 후, 5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일주일 저장 후, 4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일주일 저장 후, 3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보유 과육은, 절단시 4℃에서 일주일 저장 후, 2.5중량%가 손실되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1. 삭제
  42.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4.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5.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6.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8.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8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10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의 과육은 적어도 11.5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0. 제 1항에 있어서, 그의 종자의 대표 샘플이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NCIMB에 기탁된, 수박 계통 3347의 종자로부터 생산된 식물의 자손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2배체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2. 제 51항에 따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53.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3배체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4. 제 53항에 따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5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2배체 수컷 양친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6.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7. 제 56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58.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식물은 액체 보유 과육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59. 제 58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60.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이 적어도 8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 및 액체 보유 과육을 갖는 것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1. 제 60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62. 적어도 3.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11.5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3. 제 62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64.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식물 또는 그의 일부는 액체 보유 과육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5. 제 64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66.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2배체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7. 제 66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68.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3배체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69. 제 68항에 따른 잡종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70. 종자의 대표 샘플이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NCIMB에 기탁된, 수박 계통 3347의 종자.
  71. 제 19항에 따른 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과일.
  72. 제 19항에 있어서,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적어도 4.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적어도 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5.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이 적어도 6.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6.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적어도 8.0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7.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 과일은 적어도 10.0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것인 수박식물 또는 그의 일부.
  78. 제 72항에 따른 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종자 또는 과일.
  79. 제 19항에 따른 식물의 생리학적 또는 형태학적 특성들을 갖는 식물 또는 그의 일부.
  80. 양친 중 하나로서 제 19항에 따른 식물을 갖는 식물 또는 그의 일부.
  81. 제 80항에 따른 식물 또는 그의 일부의 종자 또는 과일.
  82. 수박종자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의 과일이 과육의 단단함 형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립형질을 포함하고, 성숙 과일로부터의 과육은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고, 상기 과육 단단함 형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대립형질은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기탁된 종자에서 발견되는 것인 수박종자.
  83. 수박종자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의 과일이 기탁번호 NCIMB 41230의 종자로부터 성장한 수박과일에서 발견되는 과육 단단함 형질을 갖는 것인 수박종자.
  84. 그의 종자의 대표 샘플이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NCIMB에 기탁된, 수박계통 3347의 수박식물을 양친으로서 갖는 F1 수박식물을 성장시키므로써 생산된 수박종자.
  85.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박종자.
  86.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4.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박종자.
  87.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5.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박종자.
  88.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6.0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수박식물을 포함하는 것인 수박종자.
  89.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과육 및 적어도 8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0.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과육 및 적어도 10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1.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3.0kg의 무게를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2.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4.5kg의 무게를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3.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어도 6.0kg의 무게를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4.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적색 과육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5.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황색 과육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6.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오렌지색 과육을 갖는 성숙 과일을 생산하는 것인 수박종자.
  97.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2배체인 수박종자.
  98.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로부터 성장한 식물은 3배체인 수박종자.
  99. 제 23항에 따른 조직으로부터 재생된 수박식물.
  100. 제 99항에 따른 수박식물로부터의 종자.
  101. 제 99항에 따른 수박식물로부터의 과일.
  102. 그의 종자의 대표 샘플이 기탁번호 NCIMB 41230으로서 기탁된 수박계통 3347인 제 1의 수박식물을, 제 2의 수박식물과 교배함에 의해 생산된 수박식물로서, 상기 생산된 수박 식물은 적어도 3.5 lbf의 압력에 대해 저항성이 있는 과육 및 적어도 6브릭스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는 성숙 과일을 포함하는 것인 수박식물.
KR1020077002135A 2004-07-02 2005-07-01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KR101216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496404P 2004-07-02 2004-07-02
US60/584,964 2004-07-02
US10/972,190 2004-10-22
US10/972,190 US9173356B2 (en) 2004-07-02 2004-10-22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AU2005201372A AU2005201372B2 (en) 2004-07-02 2005-03-31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AU2005201372 200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599A KR20070091599A (ko) 2007-09-11
KR101216516B1 true KR101216516B1 (ko) 2012-12-31

Family

ID=357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135A KR101216516B1 (ko) 2004-07-02 2005-07-01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765059A4 (ko)
KR (1) KR101216516B1 (ko)
WO (1) WO20060144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103A2 (en) 2001-12-18 2003-06-26 Seminis Vegetable Seeds, Inc. Seedless watermelon having small fruit
US7667101B2 (en) 2007-01-18 2010-02-23 Seminis Vegetable Seeds, Inc. Watermelon line 110-1005
KR101725708B1 (ko) * 2008-08-29 2017-04-10 세미니스 베저터블 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종자 생산 방법
MX2013005856A (es) * 2010-11-24 2013-12-06 Nunhems Bv Sandias polinizadoras de doble proposito.
EP3244726A1 (en) 2015-01-15 2017-11-22 Nunhems B.V. Citrullus lanatus producing fruits with high texture fruit fle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413A1 (en) 2001-12-18 2003-09-11 Robert Barham Seedless watermelon having small fruit
US20050160503A1 (en) 2005-01-24 2005-07-21 Knerr Larry D. Melon having high percent soluble solids and improved firmnes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7550B2 (en) * 2002-05-14 2009-06-16 Syngenta Participations Ag Tetraploid watermelons producing small frui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413A1 (en) 2001-12-18 2003-09-11 Robert Barham Seedless watermelon having small fruit
US20050160503A1 (en) 2005-01-24 2005-07-21 Knerr Larry D. Melon having high percent soluble solids and improved firm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4463A3 (en) 2009-04-16
EP1765059A2 (en) 2007-03-28
EP1765059A4 (en) 2009-10-14
WO2006014463A2 (en) 2006-02-09
KR20070091599A (ko) 2007-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544B2 (en)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US10517249B2 (en)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US20100146852A1 (en) Novel pepper plants
US11477955B2 (en) Machine harvestable iceberg lettuce
US9955638B2 (en) Watermelon variety NUN 31208 WMW
US11350585B2 (en) Watermelon line ‘WL0002 ’
KR101216516B1 (ko) 개량된 가공품질을 가진 수박
US9572312B2 (en) Watermelon variety NUN 7201 WMW
US20150245573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5508 WMW
US9763399B2 (en)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WO2020125925A1 (en) Machine harvestable iceberg lettuce
US20140020127A1 (en) Dual purpose pollenizer watermelons
AU2007201918B2 (en)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AU2011221396B2 (en) Watermelon with improved processing qualities
US20150245572A1 (en) Watermelon variety nun 05506 wmw
US20150245574A1 (en) Watermelon Variety NUN 31311 WM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