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432B1 -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 Google Patents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32B1
KR101725432B1 KR1020160069321A KR20160069321A KR101725432B1 KR 101725432 B1 KR101725432 B1 KR 101725432B1 KR 1020160069321 A KR1020160069321 A KR 1020160069321A KR 20160069321 A KR20160069321 A KR 20160069321A KR 101725432 B1 KR101725432 B1 KR 10172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coupling
fastening
coupled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지환구
김준식
Original Assignee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6006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21F5/008Containers for fuel el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2Closures for containers;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은, 일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며, 체결부를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조립부와, 일단은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가 안착된 장전조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부 및 일단은 몸체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조립부는, 핸들부가 작업자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될 때에, 핸들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거나, 체결부를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Locking tool for Spent Fuel Cask Lid}
본 발명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조립부와 체결부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 및 본체에 대한 체결부의 결합/분해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뚜껑의 열림을 방지하여 고준위 방사선(방사능)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후 연료(Spent fuel)는 원자로의 연료로서 사용한 핵연료 물질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원자 핵분열을 시킨 핵연료 물질을 말하며, 원자력 발전소의 작업자들의 장갑, 옷 등에서 나오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과 대비하여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라고 불리운다.
이러한 사용후 연료는 외형상으로는 사용전 연료와 다를 바가 없지만, 원자로 속에서 핵분열 반응 중 생긴 핵분열 생성물 때문에 높은 방사능을 가지고 있고 핵분열 반응은 끝났어도 계속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취급할 때나 저장할 때에 사람이 직접 접촉할 수는 없고 방사선을 막아주는 차폐 구조물 밖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현재 사용후 연료는 발전소 내 저장 수조에 임시 저장하고, 사용후 연료 저장 수조의 용량이 초과하는 경우 다른 저장 수조 또는 건식이나 습식 중간 저장 시설로 운반하여 저장하는데, 이를 위해 운반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는 탄소 강재의 두꺼운 벽을 가진 실린더형 격납 용기인 본체를 가지고, 볼트 체결형 스테인리스 강재의 뚜껑으로 닫히며, 내부에 핵 연료를 지지 및 보호하는 내부 구조물로 바스켓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 때,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은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캡 너트(Cap nut)를 이용하여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는 내부에 사용후 연료가 장전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작업을 위해 제염조에서 장전조, 또는, 장전조에서 제염조로 이동된다. 그러나,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전도 또는 낙하되는 것을 우려하여 고소 또는 위험 지역에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를 이동시킨 후 작업자가 스터드 볼트 및 캡 너트를 이용하여 뚜껑을 본체에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작업자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을 본체에 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방사선 피폭, 오염 등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기존의 스터드 볼트 및 캡 너트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전도 또는 낙하되어 뚜껑이 열리는 경우, 고준위 방사선(방사능)의 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립부와 체결부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 및 본체에 대한 체결부의 결합/분해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뚜껑의 열림을 방지하여 고준위 방사선(방사능)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트(Bolt) 형상의 체결부를 조립부와 이에 연결된 몸체부 및 핸들부를 이용하여 장전조의 상부에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은, 일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며,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조립부와,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가 안착된 장전조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될 때에, 상기 핸들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거나,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체결부는, 제1 샤프트 몸체와,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조립부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걸림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체결부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된 제1 샤프트 몸체와,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조립부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걸림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립부는, 내부에 상기 걸림 연결부의 타단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조립부의 타단을 향해 형성된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1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2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투입구를 향해 형성된 제3 가이드 홈 및 상기 제3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4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는, 일단은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복수의 핸들링 바(Handling bar) 및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부가 구비된 커플링(Coupling)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의 일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 결합부를 통해 상기 커플링의 상기 제3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상기 핸들부의 상기 제4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핸들부는,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4 결합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제2 샤프트 몸체와,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아이 볼트(Eye bol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따르면, 볼트(Bolt) 형상의 체결부를 조립부와 이에 연결된 몸체부 및 핸들부를 이용하여 장전조의 상부에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따르면, 기존의 스터드 볼트와 캡 너트 대신에 특수하게 제작된 볼트 형상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뚜껑을 본체에 결합함으로써,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뚜껑의 열림을 방지하고 고준위 방사선(방사능)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에 따르면,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걸림 연결부가 구비된 체결부와 가이드 홈이 형성된 조립부를 이용함으로써, 조립부와 체결부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 및 본체에 대한 체결부의 결합/분해 작업을 모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충력이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도 체결부가 조립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조립부와 체결부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 및 본체에 대한 체결부의 결합/분해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사용하여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인접하는 2 개의 핸들링 바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커플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커플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가 체결부를 향해 이동할 ‹š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를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를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사용하여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는 탄소 강재의 실린더형 격납 용기인 본체(11)를 가지고, 스테인리스 강재의 뚜껑(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내부에는 핵 연료를 지지하여 보호하는 바스켓(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일 측에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을 취급하기 위한 본체 인양용 고리(11a, 11b)가 구비되고, 뚜껑(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와의 결합을 위한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캡 너트(Cap nut)가 삽입되는 체결 홀(12a)가 형성되며, 뚜껑(12)의 중앙부에는 뚜껑(12)을 취급하기 위한 뚜껑 인양용 고리(12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이용하여 뚜껑(12)을 본체(11)에 결합시키는 경우, 기존의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캡 너트(Cap nut) 대신에 특수하게 제작된 볼트 형상의 체결부와, 이에 대한 조립 툴(조립부, 몸체부 및 핸들부)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은 체결부(100), 조립부(200), 몸체부(300) 및 핸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서, '일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이 사용될 때에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를 향하는 하부 방향(도 1 및 도 2의 -Z 방향)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타단'은 장전조(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도 1 및 도 2의 +Z 방향)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이 길게 형성된 방향, 즉, 상하 방향(도 2의 ±Z 방향)을 의미한다.
체결부(100)는, 일단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뚜껑(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도 1의 12a)을 통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고, 타단이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1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는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Bolt) 형태를 가지는데, 체결부(100)의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조립부(200)는 체결부(100)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며, 체결부(100)를 뚜껑(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도 1의 12a)을 통해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킬 수 있다. 조립부(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고, 체결부(100) 및 조립부(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300)는, 일단이 조립부(20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가 안착된 장전조(도시되지 않음)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데, 장전조에 설치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위치(깊이)에 따라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몸체부(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핸들부(400)는, 일단이 몸체부(30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장전조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핸들부(400)의 구조는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의 조립부(200)는, 핸들부(400)가 작업자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될 때에, 핸들부(400)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체결부(100)의 타단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거나, 체결부(100)를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은, 볼트(Bolt) 형상의 체결부(100)를 조립부(200)와 이에 연결된 몸체부(300) 및 핸들부(400)를 이용하여 장전조의 상부에서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뚜껑(12)을 본체(11)에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터드 볼트(Stud Bolt)와 캡 너트(Cap nut) 대신에 특수하게 제작된 볼트 형상의 체결부(100)를 이용하여 뚜껑(12)을 본체(11)에 결합함으로써,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이동 과정에서 뚜껑(12)의 열림을 방지하고 고준위 방사선(방사능)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체결부(1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 샤프트 몸체(110)와, 제1 샤프트 몸체(110)의 일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체결 홀(12a)을 통해 복수의 나사 홀(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20)와, 제1 샤프트 몸체(1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조립부(200)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조립부(200)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걸림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샤프트 몸체(110) 및 나사부(120)는 본체(11)에 뚜껑(12)을 결합시키기 위한 스터드 볼트와 캡 너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샤프트 몸체(110)의 일단과 나사부(120)는 스터드 볼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1 샤프트 몸체(110)의 중앙부는 캡 너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걸림 연결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몸체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돌기(131, 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31, 132)는 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몸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걸림 연결부(130)가 몸체를 중심으로 180 도 간격으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31, 132)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가이드 돌기(131, 132)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체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체결부(100)는, 도 3에 도시된 체결부(100)와는 달리, 제1 샤프트 몸체(110) 및 나사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나, 걸림 연결부(130)는 별로로 제작되어 제1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00)의 제1 샤프트 몸체(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의 중공부(1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샤프트 몸체(110)는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됨으로써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림 연결부(130)는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제1 샤프트 몸체(110)의 타단에 볼트 등 체결 부재(B)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걸림 연결부(130)의 타단을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걸림 연결부(130)의 타단이 조립부(200)의 일단에 원활하게 삽입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조립부(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체결부(100)의 걸림 연결부(130)의 타단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210)에 걸림 연결부(130)가 수용 공간으로 투입되는 투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200)의 타단(220)은 몸체부(300)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타단(220)에 형성된 암나사산(탭, Tap)(221)을 통해 후술할 커플링(32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연결부(130)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이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31, 132)로 구성되므로, 조립부(200)의 수용 공간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조립부(200)의 일단(210)에 형성된 투입구(211)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31, 132)가 투입되도록 조립부(200)의 중심을 지나는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부(200)는 외주면을 따라 투입구(211)로부터 연장되고, 걸림 연결부(130)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걸림 연결부(1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131, 132)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에서 걸림 연결부(130)에 한 쌍의 가이드 돌기(131, 132)가 형성된 경우에는, 조립부(200)는 각각의 가이드 돌기(131, 132)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립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212)는 조립부(20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조립부(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12)은, 체결부(100)와의 연결/연결 해제, 뚜껑(12) 및 본체(11)에 대한 체결부(100)의 결합/분해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투입구(211)로부터 연장되나 일정 간격을 두고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립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2)은, 서로 직교하는 제1 가이드 홈(212a), 제2 가이드 홈(212b), 제3 가이드 홈(212c) 및 제4 가이드 홈(212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212a)은 투입구(211)로부터 조립부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도 5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 홈(212b)은 제1 가이드 홈(212a)으로부터 연장되며 조립부(20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조립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방향(도 5에서 반시계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 홈(212c)은 제2 가이드 홈(212b)으로부터 연장되며 투입구(211)를 향하는 방향(도 5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4 가이드 홈(212d)은 제3 가이드 홈(212c)으로부터 연장되며 조립부(20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조립부(2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도 5에서 시계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2)은 전체적으로 보아, "
Figure 112016053734531-pat00001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2)을 서로 직교하는 제1 가이드 홈(212a), 제2 가이드 홈(212b), 제3 가이드 홈(212c) 및 제4 가이드 홈(212d)으로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체결부(100)와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작업, 뚜껑(12) 및 본체(11)에 대한 체결부(100)의 결합 또는 분해 작업 중 원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조립부(200)에 형성된 가이드 홈(212)과 체결부(10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31 또는 132)를 이용하여 체결부(100)와의 연결 또는 연결 해제 작업, 뚜껑(12) 및 본체(11)에 대한 체결부(100)의 결합 또는 분해 작업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몸체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복수의 핸들링 바(Handling bar)(310(A), 310(B))와, 핸들링 바(310)와 조립부(200)를 연결하는 커플링(Coupling)(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핸들링 바(31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핸들링 바(310(A), 310(B))는, 일단이 제1 결합부(310a)가 구비되고, 타단은 제1 결합부(310a)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310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핸들링 바(310(A), 310(B))는 제1 결합부(310a)와 제2 결합부(310b)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320)은 조립부(20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제1 결합부(310a)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부(도 11의 3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핸들부(400)의 일단은 핸들링 바(310)의 제2 결합부(310b)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결합부(400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핸들링 바(310)는 전체 또는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결합된 전체의 일단은 제1 결합부(310a)를 통해 커플링(320)의 제3 결합부(도 11의 322)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결합된 전체의 타단은 제2 결합부(310b)를 통해 핸들부(400)의 제4 결합부(400a)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1 결합부(310a)와 제4 결합부(400a)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제2 결합부(310b)와 제3 결합부(도 11의 322)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몸체부(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핸들링 바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인접하는 2 개의 핸들링 바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핸들링 바(310)를 구성하는 각각의 핸들링 바(310(A), 310(B) 등)는, 제1 결합부(311a)가 구비된 제1 연결체(311), 제2 결합부(312a)가 구비된 제2 연결체(312), 제1 연결체(311)와 제2 연결체(312)를 연결하는 튜브 몸체(3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311)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일단은 제1 결합부(311a)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결합부(311a)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제1 돌출 부재(311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체(312)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관통되고, 타단은 제1 결합부(311a)가 삽입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312a)가 삽입 홈(312a)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 홈(312a)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제1 돌출 부재(311b)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 홈(31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2 개의 핸들링 바(310(A), 310(B))의 제1 연결체(311)와 제2 연결체(312)가 돌출된 제1 결합부(311a)와 삽입 홈(312a)이 구비된 제2 결합부(312a)에 의해 결합될 때에, 복수의 걸림 홈(312b)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 돌출 부재(311b)로 인해 삽입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뿐 아니라, 제1 연결체(311)와 제2 연결체(312)가 축 방향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결합부(311a)의 외주면을 따라 3 개의 제1 돌출 부재(311b)가 등간격(120도 간격)으로 구비되고, 제2 결합부(312a)에 형성된 삽입 홈(312a)의 내주면을 따라 6 개의 걸림 홈(312b)이 등간격(60도 간격)으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돌출 부재(311b) 및 걸림 홈(312b)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몸체(313)는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제1 연결체(311)의 타단과 제2 연결체(312)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연결체(311)의 타단과 제2 연결체(312)의 일단 각각이 튜브 몸체(313)의 양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311), 제2 연결체(312) 및 튜브 몸체(113)는 모두,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구조이므로, 핸들링 바(310)의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핸들링 바(310(A), 310(B) 등)는, 필요에 따라, 제1 연결체(311), 제2 연결체(312), 튜브 몸체(313) 이외에 제1 결합체(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체(314)는 내부에 제1 연결체(311)의 일단이 걸린 상태로 수용되는 공간(314a)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제2 연결체(3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12c)에 대응하는 암나사(31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2 개의 핸들링 바(310(A), 310(B)) 각각에 구비된 제1 연결체(311)의 일단과 제2 연결체(312)의 타단은, 제1 결합부(311a)가 제2 결합부(3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결합체(314)와 제2 연결체(312)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2 개의 핸들링 바(310(A), 310(B))는 제1 결합부(311a)와 제2 결합부(312a)의 삽입 결합 이외에, 제1 결합체(314)의 나사 결합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커플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320)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일단이 조립부(20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이 핸들링 바(310)의 제1 결합부(도 8의 311a)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커플링(320)의 일단은 조립부(200)의 타단(220)에 형성된 플랜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플랜지(321)가 형성되고, 볼트 등 체결 부재(B)를 통해 조립부(200)의 타단(220)에 형성된 플랜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3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결합부(322)는 핸들링 바(31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결합부(31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커플링(320)의 타단은 핸들링 바(3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결합부(311a)가 삽입 결합되도록 제4 결합부(322)가 삽입 홈(322) 형태로 형성되며, 핸들링 바(310)의 제1 결합부(311a)의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 돌출 부재(311b)가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 홈(322)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 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320)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핸들링 바(310)에 구비된 제1 결합체(3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314b)와 결합 가능한 수나사(3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구성하는 핸들부(4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몸체부 중 커플링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400)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 샤프트 몸체(410)와, 제2 샤프트 몸체(4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손잡이(420)와, 제2 샤프트 몸체(410)의 타단에 결합되는 아이 볼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 몸체(410)는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일단은 제2 연결체(312)에 형성된 제2 결합부(312a)와 결합되도록 제4 결합부(41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4 결합부(411)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제2 돌출 부재(4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샤프트 몸체(410)의 일단에 구비된 제4 결합부(411) 및 복수의 제2 돌출 부재(412)는 핸들링 바(310)의 일단에 구비된 제1 결합부(311a) 및 복수의 제1 돌출 부재(31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손잡이(420)는 복수의 핸들링 바(3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제2 샤프트 몸체(41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제2 샤프트 몸체(410)에 결합되고, 아이 볼트(430)는 제2 샤프트 몸체(4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를 취급하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400)는, 필요에 따라, 제2 샤프트 몸체(410), 손잡이(420), 아이 볼트(430) 이외에 제2 결합체(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체(440)는 내부에 제2 샤프트 몸체(410)의 일단이 걸린 상태로 수용되는 공간(441)이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핸들링 바(410)의 제2 연결체(3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12c)에 대응하는 암나사(4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샤프트 몸체(410)의 일단과 제2 연결체(312)의 타단은 제4 결합부(411)가 제2 연결체(도 7의 212)의 제2 결합부(3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 몸체(410)와 제2 연결체(312)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1)을 이용하여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10)의 뚜껑(12)을 본체(11)에 결합 또는 분해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가 체결부를 향해 이동할 ‹š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를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을 구성하는 조립부를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조립부(200)가 체결부(100)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14에서는 조립부(200)가 체결부(100)를 회전시켜 체결부(100)를 뚜껑(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도 1의 12a)을 통해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도시되지 않음)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15에서는 조립부(200)가 체결부(100)를 회전시켜 체결부(100)를 뚜껑(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도 1의 12a)을 통해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가 체결부(100)의 타단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핸들부(400)를 체결부(100)를 향하는 방향(도 13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부(100)의 걸림 연결부(1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31)가 조립부(200)의 투입구(211)와 제1 가이드 홈(212a)을 통해 투입되도록 한 후, 핸들부(400)를 회전(도 13에서 시계 방향 회전)시켜 가이드 돌기(131)가 제2 가이드 홈(212b)(또는, 제4 가이드 홈(212d))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립부(200)가 체결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연결 해제되기 위해서는, 핸들부(400)를 회전(도 13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시켜 가이드 돌기(131)가 제2 가이드 홈(211b)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후, 핸들부(400)를 체결부(100)를 향하는 반대 방향(도 13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 돌기(131)가 조립부(200)의 제1 가이드 홈(212a)을 따라 이동하여 투입구(211)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가 체결부(100)를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돌기(131)가 제2 가이드 홈(212b) 또는 제4 가이드 홈(212d)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부(400)를 회전(도 13에서 시계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131)는 제3 가이드 홈(212c)의 상단 위치(도 14의 (a)) 또는 하단 위치(도 14의 (b))에 접촉된 상태에서 힘을 받으므로, 체결부(100)는 조립부(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도 13에서 시계 방향 회전)하여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200)가 체결부(100)를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제거)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돌기(131)가 제2 가이드 홈(212b) 또는 제4 가이드 홈(212d)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부(400)를 회전(도 13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가이드 돌기(131)는 제1 가이드 홈(212a)의 상단 위치(도 15의 (a)) 또는 제4 가이드 홈(212d)의 끝단(도 14의 (b))에 접촉된 상태에서 힘을 받으므로, 체결부(100)는 조립부(2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도 13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하여 본체(11)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31)가 제2 가이드 홈(212b) 또는 제4 가이드 홈(212d)에 위치한 상태에서 핸들부(400)를 체결부(100)를 향하는 방향(도 13에서 하부 방향) 또는 반대 방향(도 13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체결부(100)를 뚜껑(12)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도 1의 12a)로 투입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돌기(131)가 형성된 걸림 연결부(130)가 구비된 체결부(100)와, 가이드 홈(212)이 형성된 조립부(200)를 이용함으로써, 조립부(200)와 체결부(100)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12) 및 본체(11)에 대한 체결부(100)의 결합/분해 작업을 모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131)가 가이드 홈(212)에 의해 안내되므로, 외부로부터 충력이나 흔들림이 있는 경우에도 체결부(100)가 조립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조립부(200)와 체결부(100)와의 연결/연결 해제 작업, 뚜껑(12) 및 본체(11)에 대한 체결부(100)의 결합/분해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100: 체결부 110: 제1 샤프트 몸체
120: 나사부 130: 걸림 연결부
200: 조립부 211: 투입구
212: 가이드 홈 300: 몸체부
310: 핸들링 바 311: 제1 연결체
312: 제2 연결체 313: 튜브 몸체
314: 제1 결합체 320: 커플링
400: 핸들부 410: 제2 샤프트 몸체
420: 손잡이 430: 아이 볼트(Eye bolt)
440: 제2 결합체

Claims (7)

  1. 삭제
  2. 일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며,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조립부;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가 안착된 장전조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기 위한 스터드 볼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기 위한 캡 너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체결 홀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 몸체;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조립부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걸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내부에 상기 걸림 연결부의 타단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일단은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복수의 핸들링 바(Handling bar); 및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부가 구비된 커플링(Coupling)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는 각각,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제1 돌출 부재가 구비된 제1 연결체;
    내부가 길이 방향을 관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가 삽입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제2 연결체; 및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체의 일단을 연결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일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 결합부를 통해 상기 커플링의 상기 제3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상기 핸들부의 상기 제4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될 때에, 상기 핸들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거나,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3. 일단은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본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의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며,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조립부;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가 안착된 장전조의 상부를 통해 노출되는 몸체부; 및
    일단은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일단은 상기 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기 위한 스터드 볼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부는 상기 본체에 상기 뚜껑을 결합하기 위한 캡 너트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 홀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 몸체;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및
    상기 제1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조립부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걸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내부에 상기 걸림 연결부의 타단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걸림 연결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연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일단은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복수의 핸들링 바(Handling bar); 및
    일단은 상기 조립부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부가 구비된 커플링(Coupling)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는 각각,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외주면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제1 돌출 부재가 구비된 제1 연결체;
    내부가 길이 방향을 관통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결합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제2 결합부가 삽입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돌출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 홈이 형성된 제2 연결체; 및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상기 제1 연결체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체의 일단을 연결하는 튜브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일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4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는 전체 또는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제1 결합부를 통해 상기 커플링의 상기 제3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결합부를 통해 상기 핸들부의 상기 제4 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핸들부가 상기 작업자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될 때에, 상기 핸들부의 회전 방향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거나, 상기 체결부를 상기 복수의 나사 홀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복수의 나사 홀로부터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은,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조립부의 타단을 향해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상기 제1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2 가이드 홈;
    상기 제2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투입구를 향해 형성된 제3 가이드 홈; 및
    상기 제3 가이드 홈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4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6. 삭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고, 일단은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4 결합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제2 샤프트 몸체;
    상기 복수의 핸들링 바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2 샤프트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아이 볼트(Eye bol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KR1020160069321A 2016-06-03 2016-06-03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KR10172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21A KR101725432B1 (ko) 2016-06-03 2016-06-03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321A KR101725432B1 (ko) 2016-06-03 2016-06-03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32B1 true KR101725432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321A KR101725432B1 (ko) 2016-06-03 2016-06-03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88A (ko) 2020-10-28 2022-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체결여부 식별구조
KR20220056490A (ko) 2020-10-28 2022-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와 본체 사이의 씰링구조
KR20220059028A (ko) 2020-11-02 2022-05-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핵연료 취급장비로 취급 가능한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KR20220072534A (ko) 2020-11-25 2022-06-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ce타입 핵연료 취급장비로 취급 가능한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48A (ko) * 2000-07-21 2002-01-31 장인순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 뚜껑취급장치
JP2003130987A (ja) * 2001-10-19 2003-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用密閉容器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4009248A (ja) * 2002-06-10 2004-01-15 Hokuriku Electric Power Co Inc:The 遠隔操作用ソケット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48A (ko) * 2000-07-21 2002-01-31 장인순 사용후핵연료 수송용기 뚜껑취급장치
JP2003130987A (ja) * 2001-10-19 2003-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放射性物質用密閉容器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4009248A (ja) * 2002-06-10 2004-01-15 Hokuriku Electric Power Co Inc:The 遠隔操作用ソケット工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88A (ko) 2020-10-28 2022-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체결여부 식별구조
KR20220056490A (ko) 2020-10-28 2022-05-0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와 본체 사이의 씰링구조
KR20220059028A (ko) 2020-11-02 2022-05-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핵연료 취급장비로 취급 가능한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KR20220072534A (ko) 2020-11-25 2022-06-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경수로형 ce타입 핵연료 취급장비로 취급 가능한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432B1 (ko)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US9396824B2 (en) Container system for radioactive waste
JPH07167990A (ja) 濃縮ウランのための輸送用容器
JP2007286061A (ja) 輸送パッケージ直立装置
US4728136A (en) Grapple and lift beams for high integrity containers for radioactive waste
JP6125343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移送方法、放射性物質収納容器吊装置および放射性物質収納容器
US20030231732A1 (en) Safe lift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canisters of spent nuclear fuel
KR101717558B1 (ko)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의 뚜껑 위치 조절용 툴
US4875836A (en) Self-sucking pump apparatus for liquids
JP2011215079A (ja) 弁内遮蔽装置
JP2007248186A (ja) キャスクの固定構造
US4926046A (en) Volumetrically efficient container apparatus
KR100330383B1 (ko)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JP2009284594A (ja) ケーブルペネトレーション用電線接続箱
KR101444706B1 (ko) 사용후핵연료 용기 인양장치
EP3955263A1 (en) Basket for a transportation and storage cask for spent nuclear fuel from a pressurized water reactor
JP3219468U (ja) 取付治具
JP6338343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
KR101791746B1 (ko) 핵연료 운반 용기 뚜껑 이송 장치 및 이송 방법
RU2127919C1 (ru) Транспортно-упаковоч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хранения отработанного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KR102431967B1 (ko) 경수로형 ce타입 핵연료 취급장비로 취급 가능한 결함연료 보관용기의 덮개
JPH0216318Y2 (ko)
JP2001133589A (ja) キャスク
CN112037941B (zh) 压力容器顶盖支撑装置及支撑方法
JP7362223B2 (ja) 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