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383B1 -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383B1
KR100330383B1 KR1019990019812A KR19990019812A KR100330383B1 KR 100330383 B1 KR100330383 B1 KR 100330383B1 KR 1019990019812 A KR1019990019812 A KR 1019990019812A KR 19990019812 A KR19990019812 A KR 19990019812A KR 100330383 B1 KR100330383 B1 KR 10033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r
powder
spent fuel
remote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295A (ko
Inventor
김기호
양명승
이정원
이도연
박장진
Original Assignee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장인순
Priority to KR101999001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38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42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 G21C19/44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of irradiated sol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분말(spent nuclear fuel powder) 원격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접근이 극히 제한되는 고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핫셀내에서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해 사용후핵연료분말 혼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후핵연료분말의 균질성을 증대시키고, 용기간의 물질이송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핫셀내에 설치되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를 혼합하는 원격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혼합장치는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되는 분말용기와, 상기 분말용기가 삽입·고정되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를 회전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혼합기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동력부와 커플링 결합되어 동력부의 구동력을 혼합기에 전달하는 연결부와, 상기 동력부를 지지부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분말용기의 취급시 혼합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해 원격조작되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Apparatus for remote mixing of spent nuclear fuel powder}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중수로 연계핵연료주기( DUPIC : Direct Use of PWR spent fuel In CANDU )핵연료 제조시, 핫셀 내에서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를 혼합할 수 있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UPIC기술은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중수로에 직접 재사용하고자 하는 기술로서 발전용 경수로와 중수로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 매우 적합한 핵연료 주기기술이다. DUPIC핵연료 주기기술은 궁극적으로 경수로 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우라늄 자원 이용의 효율성 제고, 사용후핵연료 관리 문제 해결, 그리고 고연소도 중수로 핵연료의 활용에 따른 경제성 향상과 독창적인 핵연료 주기기술의 개발을 통한 원자력 기술의 확보에 기여 할 수 있다.
DUPIC핵연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연소된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는 고방사성 물질로서 특수한 차폐시설물에 저장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다루기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과 작업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취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DUPIC핵연료의 제조 작업은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를 취급해야 하므로 완전히 차폐된 특수 시설물인 핫셀에서 원격조작이 가능한 장치와 메니퓰레이터 및 취급공구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이루어진다. 핫셀에서 경수로 사용후핵연료봉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사용후핵연료봉의 피복관과 핵연료를 분리하여, 분리된 사용후핵연료를 산화 및 환원시킨 후 분말화하여, 분말을 미분쇄 및 혼합 처리하는 등 여러 가지 공정을 거친후 DUPIC핵연료로 재사용한다.
종래에는 경·중수로핵연료 성형체를 제조할 시, 성형성을 양호하게 하고,생산된 과립분말의 입자간 마찰과 과립입자/다이벽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과립분말과 윤활제를 교반기에 첨가, 이를 혼합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교반기는 모든 구조물 및 부품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있어 핫셀 내에서 메니퓰레이터 또는 취급공구에 의한 원격 조작이 어렵고, 운전중 교반기에 이상이 발생될 시, 작업자가 특수한 장비를 입고 핫셀 내로 직접 들어가 제한된 시간 내에 수리 및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나, 사용후핵연료의 본질적인 고방사능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없으므로 핫셀내에서 교반기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교반기에 의해 혼합된 혼합분말을 용기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교반기 하부에 용기를 위치시키고, 밸브를 열어 교반기 내의 혼합된 분말을 하중에 의해 용기내로 삽입·저장하도록 되어 있어, 교반기에서 용기로의 이동중 분말의 비산현상이 발생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분말이 사방으로 확산되어 핫셀 및 주변장치들을 오염시키는 경우도 발생되는 등 핫셀에서 사용후핵연료분말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자의 접근이 극히 제한되는 고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핫셀내에서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해 사용후핵연료분말 혼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후핵연료분말의 균질성을 증대시키고, 용기간의 물질이송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과동시에, 작업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핫셀내에 설치되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사용후핵연료와 윤활제를 혼합하는 원격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혼합장치는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되는 분말용기와, 상기 분말용기가 몸체부내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말용기를 고정하는 클램핑부가 결합되며, 몸체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30°의 경사각을 구비하는 연결관이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된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를 회전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혼합기의 연결관내로 제 1 회전축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체결되고, 동력부의 모터축과 제 2 회전축이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제 1,2 회전축이 베어링 하우징내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동력부의 구동력을 혼합기에 전달하는 연결부와, 상기 동력부를 지지부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일측단이 회전되게 각각 설치도고, 또다른 일측단이 혼합기 몸체부의 일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분말용기의 취급시 혼합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L'자 형상의 회전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해 원격조작되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분말용기와 혼합기의 결합상태를 예시도
도 3 은 분말용기와 보조용기 및 분말용기와 분말처리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고정부의 슬라이드 저면예시도
도 5 는 고정부의 고정가이드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말용기 (2) : 혼합기
(3) : 동력부 (4) : 연결부
(5) : 고정부 (6) : 회전방지대
(7) : 지지부 (11) : 보조용기
(12) : 분말처리용기 (21) : 클램프 도어
(22) : 몸체부 (23) : 손잡이
(24) : 힌지 (25) : 클램핑부
(26) : 압박부 (27) : 연결관(31) : 운반용 고리
(41) : 제 1 회전축 (42) : 제 2 회전축
(43) : 베어링 하우징 (44) : 베어링
(45) : 고정핀 (51) : 슬라이드
(52) : 고정가이드 (53) : 체결봉
(111): 클램핑부 (121): 클램핑부
(122): 손잡이 (511): 제 1 삽입부
(512): 제 2 삽입부 (513): 제 3 삽입부
(514): 베어링 (515): 관통홀
(516): 가이드관 (517): 체결홀
(521): 제 1 지지부 (522): 제 2 지지부
(523): 제 1 보호대 (524): 제 2 보호대
(525): 체결홀 (526): 가이드관
(527): 체결홀 (531): 6각 머리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되는 분말용기(1)와, 상기 분말용기(1)가 삽입되는 혼합기(2)와, 상기 혼합기(2)를 회전시키는 동력부(3)와, 상기 혼합기(2)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동력부(3)와 커플링 결합되어 동력부(3)의 구동력을 혼합기(2)에 전달하는 연결부(4)와, 상기 동력부(3)를 지지부(7)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5)와, 상기 혼합기(2)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지지부(7)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방지대(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기(2)는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된 분말용기(1)가 삽입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말용기(1)가 삽입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 외부면 일측에 몸체부와 30°의 경사각을 유지하고 몸체부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연결관(27)가, 상기 몸체부(22)의 상부에 분말용기(1)의 고정과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클램프 도어(21)와, 상기 몸체부(22) 외부면 좌/우측에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고 돌출·형성된 손잡이(23)로 구성되어 있으며, 혼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연결관(27)에 의해 연결부(4)와 혼합기 몸체부(22)가 30°의 경사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도어(21)는 혼합기(2)내에 분말용기(1)를 고정하는 것으로,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핫셀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힌지(24)에 의해 혼합기 몸체부(22)와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타측에 설치된 클램핑부(25)에 의해 클램프 도어(21)가 혼합기 몸체부(22)에 체결되어 혼합기(2)내에 삽입된 분말용기(1)를 고정한다. 상기 클램프 도어(21) 중간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압박부(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클램핑부(25)에 의한 클램프 도어(21)의 체결시, 압박부(26)가 혼합기 몸체부(22)내로 삽입된 분말용기(1)의 상단부를 압박하여 분말용기(1)를 고정한다.
상기 연결부(4)는 동력부(3)의 구동력을 혼합기(2)에 전달하는 것으로, 일측단이 혼합기(2)의 연결관(27)내로 삽입/연결되고 고정핀(45)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회전축(41)과, 동력부(3)의 모터축과 커플링 결합되는 제 2 회전축(42)과, 상기 제 1, 2 회전축(41,42)을 베어링 지지하는 베어링 하우징(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회전축(41)과 제 2 회전축(42)은 베어링 하우징(43)내에서 서로 연결되고, 베어링 하우징(43) 외부면에 설치된 베어링(44)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43)내로 삽입되는 제 1 회전축(41)과 제 2 회전축(42)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동력부(3)의 작동시, 동력부(3)의 구동력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43)에 베어링 지지되어 있는 제 2 회전축(42) 및 제 1 회전축(4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2 회전축(41,42)의 회전력에 의해 혼합기(2)가 제 1,2 회전축(4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즉, 상기 혼합기(2)는 동력부(3)와 연결된 제 1 회전축과 몸체부(22)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30°의 경사각을 구비하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관(27)의 결합에 의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가 약 30°의 경사를 구비하도록 설치되고, 동력부(30)의 작동시 30°의 경사를 구비한 상태로, 제 1,2 회전축(41,4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동력부(3)는 혼합기(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핫셀내에서 교체가 가능하도록 고정부(5)에 의해 지지부(7)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크레인(도시없음)에 의해 운반이 가능하도록 무게중심부에 운반용 고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는 동력부(3)를 지지부(7)에 고정하는 것으로, 동력부(3) 하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드(51)와, 베어링 하우징(43)이 설치된 지지부(7) 상부의 또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가이드(52)와, 상기 슬라이드(51)와 고정가이드(52)를 체결하는 체결봉(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대(6)는 혼합기(2)내의 분말용기(1) 삽입/분리 시, 혼합기(2)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을 구비하며, 연결부(4)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부(7)의 상부 일측 양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일측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단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혼합기(2)의 양측면에 근접(접촉)되도록 지지부(7)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회전방지대(6)는 혼합기(2)내로의 분말용기(1) 삽입시, 지지부(7)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혼합기 몸체부(22)에 근접되게 또는 접촉되게 회전되어 혼합기(2)의 회전을 방지하고, 혼합기의 작동시, 다시 지지부(7)와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혼합기의 회전작동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부(7)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2 는 분말용기와 혼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분말용기와 보조용기 및 분말용기와 분말처리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된 분말용기(1)를 혼합기(2)내로 삽입하고, 상기 혼합기(2) 상부에 위치한 클램프 도어(21)를 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한 후, 클램핑부(25)에 의해 클램프 도어(21)와 혼합기 몸체부(22)를 체결하여분말용기(1)를 혼합기(2)내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 도어(21) 중간부에 돌출 형성된 압박부(26)는 클램핑부(25)의 체결시, 분말용기(1) 상부면에 압착되어 분말용기(1)와 혼합기(2)를 일체화 시킨다.
상기 혼합기(2)내로 삽입되는 분말용기(1)는 혼합되는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혼합기(2)내로 삽입되는 분말용기(1)의 크기가 작을 경우, 상기 분말용기를 별도의 보조용기(11)에 삽입, 클림핑부(111)로 고정한 후 혼합기(2)내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혼합기(2)는 가장 큰 분말용기의 크기를 기준으로 형성되고, 혼합기(2)의 크기보다 작은 분말용기는 보조용기(11)에 의해 가장 큰 분말용기의 높이와 동일하게 한 다음, 클램프 도어(21)에 의해 혼합기(2)내에 밀착 고정·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분말처리용기(12)는 분말용기(1)내에 들어있는 분말을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를 이용한 원격조작에 의해 또 다른 분말용기로 옮기거나, 혼합된 혼합분말을 다른 용기로 옮길 경우 분말의 비산을 방지하고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분말용기가 삽입되도록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내부로 삽입된 분말용기를 고정하는 클램핑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말처리용기(12)의 상부는 분말의 이동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원뿔대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손잡이(122)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다른 높이를 구비하고 설치되어 있다.
도 4 는 고정부의 슬라이드 저면예시도를, 도 5 는 고정부의 고정가이드 평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동력부(3)와 연결되는 슬라이드(51)는 하부에 제 1,2,3 삽입부(511,512,513)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제 1,2 삽입부(511,51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베어링(514)이 설치되고, 제 3 삽입부(513)에는 다수개의 관통홀(515)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관통홀(515)과 연결되도록 제 3 삽입부(513) 일측에 다수개의 가이드관(5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부(511) 일측에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체결홀(5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52)는 지지부(7)에 설치되어 체결봉(53)에 의해 슬라이드(51)를 고정하는 것으로, 제 2,3 삽입부(512,513) 사이로 삽입되도록 제 2 지지부(522)가 지지부(7)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베어링(514)이 설치되지 않은 슬라이드(51)의 제 1 삽입부(511) 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1 지지부(521)가 설치되며, 상기 제 1,2 지지부(521,522)의 양단부에는 슬라이드(51)의 과진입 또는 과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구비하는 제 1,2 보호대(523,5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7) 상부에 설치된 제 2 지지부(522)에는 제 3 삽입부(513)에 형성된 관통홀(515)에 대응하는 체결홀(5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지지부(521)에는 제 1 삽입부(511)에 형성된 체결홀(517)에 대응하는 관통홀(527) 및 상기 관통홀(527)과 연결되는 가이드관(526)이 형성·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봉(53)은 동력부(3)가 연결·설치된 슬라이드(51)와, 지지부(7)에 연결·고정된 고정가이드(52)를 체결하는 것으로, 일측에 슬라이드(51) 및 고정가이드(52)의 체결홀(517,525)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도시없음)가 형성되고, 타측에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이 용이하도록 6각의 머리부(5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봉(53)은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슬라이드(51) 및 고정가이드(52)의 가이드관(516,526)을 따라 나사부(531)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나사부(531)는 고정가이드(52)의 제 2 지지부(522) 및 슬라이드(51)의 제 1 삽입부(511)에 형성된 체결홀(517,525)에 각각 체결되어 지지부(7)에 동력부(3)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핫셀내에서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를 혼합하고자 할 경우,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먼저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를 분말용기에 삽입하고, 이를 혼합기내로 삽입한 다음, 클램프 도어를 이용하여 분말용기를 혼합기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분말용기가 혼합기내에 고정되면 동력부를 작동하여 혼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후핵연료 분말과 윤활제를 혼합한다.
사용후핵연료 분말과 윤활제의 혼합이 완료되면, 동력부를 정지시킨 후 지지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방지대를 원격조작에 의해 혼합기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 정지된 혼합기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회전방지대에 의해 혼합기의 회전이 방지되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혼합기의 클램프 도어를 해제하고 혼합기내의 분말용기를 꺼낸 다음, 분말처리용기내로 상기 분말용기를 삽입하고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분말용기가 분말처리용기내에 삽입·결합되면, 분말처리용기 일측면에 설치된 두 개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다음공정의 용기내로 혼합분말을 이송시킨다.
상기 분말처리용기의 상단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혼합분말의 이송시, 이송되어지는 용기 외부로 혼합분말의 비산을 방지하며, 핫셀내에서의 모든 작업은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핫셀내에 위치하는 분말용기, 분말처리용기, 혼합기, 지지부, 동력부 등에는 원격조작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손잡이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치를 단순화, 모듈화 및 원격화하여 작업자의 접근이 극히 제한되는 극한환경뿐만 아니라 고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핫셀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각각의 부품이 원격조작에 의해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중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를 이용하여 원격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며, 그로 인해 작업의 안전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핫셀내에 설치되어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를 혼합하는 원격혼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혼합장치는 사용후핵연료분말과 윤활제가 삽입되는 분말용기와,
    상기 분말용기가 몸체부내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말용기를 고정하는 클램핑부가 결합되며, 몸체부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30°의 경사각을 구비하는 연결관이 일체형으로 돌출/형성된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를 회전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혼합기의 연결관내로 제 1 회전축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체결되고, 동력부의 모터축과 제 2 회전축이 커플링 결합되며, 상기 제 1,2 회전축이 베어링 하우징내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동력부의 구동력을 혼합기에 전달하는 연결부와,
    상기 동력부를 지지부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일측단이 회전되게 각각 설치되고, 또다른 일측단이 혼합기 몸체부의 일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혼합기의 회전을 방지하는 'L'자 형상의 회전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용기는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보조용기내로 삽입·체결되어 혼합기내로 삽입되고, 인출·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부에 동력부가 고정 설치되고, 하부에 제 1,2,3 삽입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서로 마주보는 제 1,2 삽입부의 일측에 다수개의 베어링이 설치됨과 동시에, 제 3 삽입부 일측에 제 3 삽입부에 형성된 홀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가이드관이 설치되고, 제 1 삽입부 일측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의 제 2,3 삽입부 사이로 삽입되도록 제 2 지지부가 설치되고, 베어링이 설치되지 않은 슬라이드의 제 1 삽입부 측면에 접촉되도록 제 1 지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2 지지부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 1,2 보호대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제 3 삽입부에 형성된 홀에 대응하도록 제 2 지지부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 1 삽입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동일중심선을 구비하는 홀 및 가이드관이 제 1 지지부 일측에 형성·설치된 고정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드 및 고정가이드의 체결홀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6각의 머리부가 형성된 체결봉으로 구성되어, 동력부가 고정·설치된슬라이드가 매스터/슬레이브 메니퓰레이터에 의한 원격조작에 의해 고정가이드에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KR1019990019812A 1999-05-31 1999-05-31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KR10033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12A KR100330383B1 (ko) 1999-05-31 1999-05-31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12A KR100330383B1 (ko) 1999-05-31 1999-05-31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95A KR20000075295A (ko) 2000-12-15
KR100330383B1 true KR100330383B1 (ko) 2002-03-27

Family

ID=1958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812A KR100330383B1 (ko) 1999-05-31 1999-05-31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3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95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4514B2 (en) Criticality prevention devices and methods in nuclear fuel production
RU2404465C2 (ru) Крышка для загрузки в контейнер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 способ загрузки
EP4199005A1 (en) Filter replacement device
JPH037276B2 (ko)
KR101725432B1 (ko) 사용후 연료 운반 용기 뚜껑 체결용 툴
KR100647809B1 (ko) 중성자 재조사 시험을 위한 캡슐 조립 장치
KR100330383B1 (ko) 사용후핵연료분말 원격혼합장치
KR100294167B1 (ko) 사용후핵연료봉 원격절단장치
JPH083540B2 (ja) 原子炉の燃料集合体
WO2011093572A1 (ko) 방사성 폐기물 보관용기 및 그를 이용한 방사성 폐기물의 패킹 방법
JP2007248186A (ja) キャスクの固定構造
US4950086A (en) Structure having radioactive plant components
JP2006313134A (ja) ドラム缶収納型イオン交換樹脂塔
KR100329031B1 (ko) 핫셀용 장비 구동부 원격취급메카니즘
CN212497547U (zh) 一种用于装卸料机抓具滑动套筒螺母拆装工具
CN114155984A (zh) 一种阀芯的接收解体装置
JP6338343B2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
CN208433226U (zh) 一种核电厂安全壳过滤排放系统
Maeda et al. The application of AI-based refueling control system to the Fugen NPP
JP2016156795A (ja) 照射試験用試料容器
Heckendorn et al. Remote telerobotic replacement for master-slave manipulator
WESTRA Maintenance and Operations study for K basins sludge treatment
Candelieri et al. THE RACK REMOVAL SYSTEM AS A NEW DESIGN FEATURE ADOPTED TO FACILITATE DECOMMISSIONING OF THE REPROCESSING PLANT. DECONTAMINATION AND REMOTE DISMANTLING TESTS IN THE ITREC PILOT PLANT.
JPH0535983Y2 (ko)
Phillips et al. The use of passive, secure cells for processing of highly active nuclear was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