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229B1 - 대용량 솥 - Google Patents

대용량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229B1
KR101724229B1 KR1020160022383A KR20160022383A KR101724229B1 KR 101724229 B1 KR101724229 B1 KR 101724229B1 KR 1020160022383 A KR1020160022383 A KR 1020160022383A KR 20160022383 A KR20160022383 A KR 20160022383A KR 101724229 B1 KR101724229 B1 KR 10172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mud
local heating
flame
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16002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229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95 priority patent/WO20171464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과, 외통을 포함하는 업소용 대용량 솥으로서, 상기 외통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달되어 상기 내통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염 가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리프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측 솥과, 상기 하측 솥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솥과, 상기 상측 솥과 하측 솥 사이에 배치되어 국부 가열을 억제시키기 위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은 상기 상측 솥이 상기 하측 솥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진흙층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대용량 솥{Large capacity kettle}
본 발명은 대용량 솥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솥이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은 상부 내통과 하부 내통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 내통과 하부 내통 사이에 황토 또는 진흙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내통으로 전달되는 열에 의하여 온도가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기업체 급식소 등은 대형의 솥을 구비하여 수십 내지 수백명이 먹을 수 있도록 조리할 수 있는 대용량의 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순간적으로 강한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업소용 가스 버너를 이용하여 가열한다.
이러한 대용량 솥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선행 특허 제10-1497267호가 있으며, 가스 버너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하여 효과적인 가열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된 솥 본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솥 본체의 내통과 외통 사이의 화염가열공간에 화염이 전달되어 내통을 가열할 수 있게 한 수단으로 내통에서 음식물을 대량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업소용 대형 솥은 크기가 매우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세척을 할 수 있도록 솥의 상부 입구에 절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이 구성된다.
그리고, 솥 본체의 측부에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수단에 의하여 솥의 상부 입구를 뒤집듯이 하측으로 회전시켜 조리된 많은 양의 음식물을 한꺼번에 비울 수 있게 하고 있다.
솥 본체의 내통이 주철로 만들어진 것은 재질의 특성상 두께가 두껍고, 열전도율이 좋기 때문에, 빠르고 고르게 데워지고 조리할 때 음식물이 잘 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쉽게 녹이 슬게 되고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녹이 잘 슬지 않고, 위생적인 관리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은 제작상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없는 특징이 있으므로, 스테인레스 스틸 내통은 주철에 비해 두께가 얇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일린스 스틸의 특성 때문에 가스버너의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은 국부 과열되어 조리 음식물이 쉽게 타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이 가스버터의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더라도 국부의 지나친 과열이 이루어져 조리 대상의 음식물이 타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흙 또는 황토가 내통에 구성되어, 내통으로 전달되는 열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볶음 대상의 채소 또는 야채가 타버리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용량 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과, 외통을 포함하는 업소용 대용량 솥으로서, 상기 외통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달되어 상기 내통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염 가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리프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측 솥과, 상기 하측 솥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솥과, 상기 상측 솥과 하측 솥 사이에 배치되어 국부 가열을 억제시키기 위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은 상기 상측 솥이 상기 하측 솥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진흙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대용량 솥에 의해서, 기업이나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솥이 가스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되더라도, 음식물이 직접 닿는 상부 솥에는 국부 가열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볶기 위한 음식물이 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이 실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이 구성된 대용량 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이 구성된 대용량 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에 진흙층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이 실시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을 분해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학교, 기업체 또는 군대 등에서 사용되는 대형의 솥을 강력한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산업용 가스 버너(8)를 이용하여 대용량 솥(10)을 가열한다.
상기 대용량 솥(10)은 내통과, 외통(1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통은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는 급격한 온도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은 진흙 또는 황토로 이루어진 진흙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은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부재와,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채워진 진흙층을 포함한다.
즉, 상기 대용량 솥(10)은 상측 솥(110), 하측 솥(120) 및 외통(13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가스 버너(8)의 화염에 의하여 상기 상측 솥(110) 내측에 수용된 음식물이 급격한 온도 상승에 따라 타버리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진흙층 또는 황토층으로 이루어진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대용량 솥(10)을 구성하는 하측 솥(120)과 외통(130) 사이에는 화염 가열 공간(4)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버너(8)에서 발생된 화염은 상기 화염 가열 공간(4)으로 전달되어 상기 내통(하측 솥)을 가열하며, 상기 외통(130)의 상부 일측벽에 형성된 배기홀(32)을 통하여 배기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솥(120)과 외통(130) 사이에 화염 가열 공간(4)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통(130)과 하측 솥(120) 사이에는 상기 외통(130)의 상측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리프트 링(140)이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링(140)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측 솥(120)이 상기 리프트 링(140)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리프트 링(140)의 하단은 상기 외통(130)이 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측 솥(120)과 외통(130)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갖는 화염 가열 공간(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30)의 바닥 중간부에는 상기 가스 버너(8)의 일부 또는 화염이 들어올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이러한 본 발명의 대용량 솥의 상측 솥(110), 하측 솥(120) 및 외통(130)은 녹이 잘 슬지않는 스테일리스 스틸로 구성되어, 조리할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스 버너(8)의 화염이 직접적으로 닿는 내통, 즉, 하측 솥(120)에 전달된 고온이 곧바로 상기 상측 솥(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한 진흙층(또는 황토층, 이하에서는 '진흙층'으로 통일함)으로 이루어진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이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구성된다.
상기 상측 솥(110) 및 하측 솥(120)은 녹이 잘 슬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은 열전도율이 다소 낮은 물질이기 때문에 가스 버너(8)의 화염이 직접 닿는 부분은 국부과열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하측 솥(120)과 상측 솥(110)이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경우라면, 하측 솥(120)에 국부과열이 발생하면 상기 상측 솥(110) 역시 국부과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강한 화력으로 대용량 요리가 이루어지는 업소용 솥에서 음식물이 쉽게 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개재되어 하측 솥(120)이 국부 과열되더라도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에 의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상기 상측 솥(11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은 스테인레스 스틸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진흙 또는 황토를 포함하는 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미세한 입자들의 밀접한 배열과 그 집합으로 이루어져 전달되는 열을 골고루 확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황토는 크기 0.05㎜ (예를 들면, 0.02㎜ 내지 0.05㎜) 크기의 조립질과 중립질의 토양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0.005㎜ 이하의 점토가 5 내지 10% 정도로 포함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황토의 주요 성분으로는, 화학 조성물과 광물 조성물을 포함하며, 화학 조성물로는 실리카(SiO2)가 60 내지 65%, 철분이 5~6%, 알루미나(Al2O3)가 10~13%, 마그네슘과 나트륨이 2% 내외, 석회가 8% 내외로 포함될 수 있다.
광물 조성물로는 석영이 60~70%, 장석과 운모가 10~20%, 탄산염광물이 5~35%, 2~5%의 실트는 각섬석, 인회석, 흑운모, 녹니석, 남정석, 녹렴석, 석류석, 휘석, 금홍석, 규선석, 십자석, 전기석, 지르콘 등과 같은 중광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황토는 가는 모래로 되어 다량의 탄산칼슘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부서지지 않고 점력을 지니고 있으며, 물을 가하면 진흙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다. 이러한 황토에 물을 가한 진흙을 상기 진흙층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은, 상측부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51)과, 상기 메인 프레임(151)으로부터 하측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152)과, 상기 서브 프레임(152)에 의하여 그 위치가 지지되고 하측 솥(120)의 국부 가열 부위보다 넓은 영역으로 상기 상측 솥(110)에 열전달되도록 하는 진흙층(50)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프레임(152)은 상기 메인 프레임(151)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흙층(50)은 상기 서브 프레임(152)의 교차되는 배열에 의하여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15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150)을 상기 상부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개재하여 배치함으로써, 강력한 화력의 화염이 상기 하측 솥(120)을 국부 가열하더라도, 상기 진흙층(50)에 의하여 그 열전달이 확대되고, 상기 상측 솥(110)이 가열되는 면적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51)과 서브 프레임(152) 모두 스테인레스 스틸 보다는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이 구성된 대용량 솥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 역시 대용량의 솥의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 역시 황토 또는 진흙이 열전달시에 주위로 퍼트리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진흙층(50)이 구성된다.
상세히, 제 2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은 상기 상측 솥(110)이 하측 솥(120)으로부터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구획 프레임들(251,252,253)이 구성되고, 상기 구획 프레임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진흙층(50)이 구성된다.
상기 구획 프레임들은 상기 하측 솥(120) 내주면 상에 놓여서 상기 상측 솥(110)이 소정 간격을 갖으면서 플로팅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 프레임들은 상호간에 120도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벌집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배치되는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이 벌집 형태의 프레임과, 해당 프레임 내에 진흙층(50)이 형성되는 경우에, 진흙층이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에 닿는 면적 효율이 좋아진다.
한편,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은 상측 솥(110) 또는 하측 솥(1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복수개의 구획 프레임들(251,252,253)로 형성하고, 이들 구획 프레임들을 일정한 각도로 배치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겠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의 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상기 하측 솥(120) 내주면 상에 놓아두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에 진흙층(5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제 1 진흙 수용부(255), 제 2 진흙 수용부(256) 및 제 3 진흙 수용부(257) 등을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진흙 수용부 내에 삽입된 진흙층(50)이 빠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지 이탈 돌기(258)가 진흙 수용부에 형성된다.
상기 방지 이탈 돌기는 상기 진흙층(5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흙층(50)이 국부 가열 억제 수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구획 프레임들을 소정 각도로 배치시킴으로써, 상측 솥 또는 하측 솥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흙층이 수용되는 진흙 수용부 각각을 하측 솥(120) 내주면 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진흙층(50)이 상측 솥과 하측 솥 모두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제 3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350)의 일부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제 3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350) 역시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위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상측 솥(110) 또는 하측 솥(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350)은 진흙층(50)의 고정된 위치와, 진흙층(50)의 상부면이 상측 솥(110)에 접하고, 진흙층(50)의 하부면이 하측 솥(120)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상호 교차되는 제 1 프레임 바(351)와 제 2 프레임 바(3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 바(351)와 제 2 프레임 바(352)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진흙층(50)이 구성된다. 상기 진흙층(50)을 제 1 프레임 바(351)와 제 2 프레임 바(352) 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350)을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을 용접이나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 역시 진흙층(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이탈 돌기(3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이 구성된 대용량 솥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450)은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대용량의 솥의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450) 역시 황토 또는 진흙이 열전달시에 주위로 퍼트리는 특징을 이용하기 위하여 진흙층(50)이 구성된다.
상세히, 제 4 실시예의 국부 가열 억제 수단(250)은 상기 상측 솥(110)이 하측 솥(120)으로부터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 프레임(451)과, 상기 구획 프레임(45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구획 ㅍ프레임(451) 보다는 얇은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진흙 지지 프레임(4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진흘 지지 프레임(452)들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및 상기 진흙 지지 프레임(452)을 둘러싸도록 진흙층(50)이 형성된다.
상기 진흙 지지 프레임(452)은 상기 진흙층(50)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진흙층(50)은 상기 구획 프레임(451)의 두께와 대응될 정도로 적층/구성된다.
상기 구획 프레임(451)의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프레임(45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측 프레임(453)의 두께는 상측 솥(110)과 하측 솥(120) 사이의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솥이 국부 가열되더라도 미세 입자들이 상호 연결된 진흙층에서 열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진흙층(50)이 진흙 지지 프레임(452)에 의하여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대용량 솥에 진흙층을 형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대용량 솥(100)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솥(120) 위에 상측 솥(1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측 솥(120)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부(122)를 제거하고, 상기 개폐부(122)의 제어에 의하여 형성된 진흙 투입홀(121)내로 진흙 또는 황토를 집어넣는 경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122)의 제거 후 진흙을 상기 하측 솥(120) 내부로 모두 집어 놓은 다음에는, 상기 개폐부(122)를 상기 진흙 투입홀(121) 내에 삽입시킨 다음 용접하거나 다른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상측 솥(110)의 직경 사이즈가 하측 솥(120)의 경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하측 솥(120)에 상측 솥(110)을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상측 솥(110)외주면과 하측 솥(120) 내주면 사이에 진흙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솥(110)의 외주면과 하측 솥(120)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 두께의 플로팅 부재를 위치시킴으로써, 상측 솥과 하측 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기업이나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대용량 솥이 가스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되더라도, 음식물이 직접 닿는 상부 솥에는 국부 가열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볶기 위한 음식물이 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과, 외통을 포함하는 업소용 대용량 솥으로서,
    상기 외통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달되어 상기 내통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염 가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리프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측 솥과, 상기 하측 솥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솥과, 상기 상측 솥과 하측 솥 사이에 배치되어 국부 가열을 억제시키기 위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링의 상단은 상기 하측 솥을 지지하고, 상기 리프트 링의 하단은 상기 외통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측 솥과 외통 사이에 상기 화염 가열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은 상기 상측 솥이 상기 하측 솥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진흙층으로 이루어지는 대용량 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 개의 프레임들이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되어 육각 형상 또는 사각 형상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진흙층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되는 대용량 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진흙층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진흙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방지 이탈 돌기가 구성되는 대용량 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측 솥과 하측 솥이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두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 프레임과, 상기 구획 프레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구획 프레임 보다는 얇은 두께를 갖는 복수 개의 진흙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흙층은 상기 진흙 지지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진흙 지지 프레임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대용량 솥.
  5.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내통과, 외통을 포함하는 업소용 대용량 솥으로서,
    상기 외통 상측에 배치되어, 가스 버너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달되어 상기 내통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염 가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리프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하측 솥과, 상기 하측 솥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솥과, 상기 상측 솥과 하측 솥 사이에 배치되어 국부 가열을 억제시키기 위한 국부 가열 억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링의 상단은 상기 하측 솥을 지지하고, 상기 리프트 링의 하단은 상기 외통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하측 솥과 외통 사이에 상기 화염 가열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국부 가열 억제 수단은 진흙 또는 황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통의 하측 솥의 일측에는 상기 진흙 또는 황토층을 삽입하기 위한 진흙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진흙 투입홀을 밀폐시키기 위한 개폐부가 더 포함되는 대용량 솥.
KR1020160022383A 2016-02-25 2016-02-25 대용량 솥 KR101724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83A KR101724229B1 (ko) 2016-02-25 2016-02-25 대용량 솥
PCT/KR2017/001795 WO2017146422A1 (ko) 2016-02-25 2017-02-17 대용량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83A KR101724229B1 (ko) 2016-02-25 2016-02-25 대용량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229B1 true KR101724229B1 (ko) 2017-04-06

Family

ID=5858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83A KR101724229B1 (ko) 2016-02-25 2016-02-25 대용량 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4229B1 (ko)
WO (1) WO20171464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31B1 (ko) * 2021-09-30 2022-09-29 박은용 회전식 국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506U (ko) * 1997-02-05 1997-06-18 이경남 황토 벽돌
KR20100121266A (ko) * 2009-05-08 2010-11-17 최상돈 기능성 황토 벽돌
KR101246246B1 (ko) * 2011-10-12 2013-03-21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대형 국솥
KR101497267B1 (ko) * 2014-03-10 2015-02-27 주식회사3차버너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836B1 (ko) * 2012-05-14 2013-07-17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대형국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506U (ko) * 1997-02-05 1997-06-18 이경남 황토 벽돌
KR20100121266A (ko) * 2009-05-08 2010-11-17 최상돈 기능성 황토 벽돌
KR101246246B1 (ko) * 2011-10-12 2013-03-21 주식회사3차버너 업소용 대형 국솥
KR101497267B1 (ko) * 2014-03-10 2015-02-27 주식회사3차버너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31B1 (ko) * 2021-09-30 2022-09-29 박은용 회전식 국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422A1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189B2 (en) Multiple piece firebox for kamado grill
KR101724229B1 (ko) 대용량 솥
KR100923282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US7905226B2 (en) Synthetic oil-filled double-bottom pot and pan
KR101497267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KR101314978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KR101015788B1 (ko) 전기밥솥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JP2017143993A (ja) 加熱調理器
JP3571019B2 (ja) 卓上焜炉
US20230218112A1 (en) Deep fryer with external wall heating
US20050224071A1 (en) Synthetic oil-filled double-bottom pot and pan
JP2009273595A (ja) 焼成調理器
KR101902306B1 (ko) 다공 프라이팬
CN207734040U (zh) 盖以及包含所述盖的烹饪器具
KR200214910Y1 (ko) 공기층을 갖는 중공형상의 파이프가 케이지상으로배열배치되어서 된 구이판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102684525B1 (ko) 숯불 구이용 화로
JPH08206012A (ja) 加熱調理器具用敷設部材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JP5985923B2 (ja) 加熱調理装置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RU35587U1 (ru) Яйцеварка для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JPH0423462Y2 (ko)
US4280044A (en) Heat absorbing and radiating device for electric st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