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740B1 - 잉곳 성장장치 - Google Patents

잉곳 성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740B1
KR101723740B1 KR1020150129405A KR20150129405A KR101723740B1 KR 101723740 B1 KR101723740 B1 KR 101723740B1 KR 1020150129405 A KR1020150129405 A KR 1020150129405A KR 20150129405 A KR20150129405 A KR 20150129405A KR 101723740 B1 KR101723740 B1 KR 101723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silicon melt
measuring rod
chamb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885A (ko
Inventor
이창윤
성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5012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7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20Controlling or regulating
    • C30B15/22Stabilisation or shape controlling of the molten zone near the pulled crystal; Controlling the section of the crystal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02Preparing waf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2Diffusion of impurity materials, e.g. doping materials, electrode materials, into or out of a semiconductor body, or between semiconductor regions; Interactions between two or more impurities; Redistribution of impu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이 접촉되는 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잉곳 성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융액이 담기는 전기 전도체로 구성된 도가니; 상기 도가니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하는 전기 전도체로 구성된 측정봉; 및 상기 측정봉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봉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됨에 따라 순간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잉곳 성장장치 {Ingot grower}
본 발명은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이 접촉되는 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잉곳 성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웨이퍼의 제조를 위해서는 먼저 단결정 실리콘을 잉곳(ingot) 형태로 성장시켜야 하는데, 초크랄스키(czochralski, CZ) 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 단결정 성장장치는 실리콘 융액의 표면과 히터로부터 복사되는 열이 실리콘 단결정 잉곳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열차폐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열차폐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열차폐부재의 하단부와 실리콘 융액의 표면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는데, 이 간격을 멜트 갭(Melt Gap)이라 하고,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품질 향상과 생산성 증가를 위하여 멜트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실리콘 융액의 멜팅 공정이 완료되면, 멜트 갭을 설정 또는 멜트 갭 측정을 위해 열차폐부재의 하단(예컨대,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의 표면을 접촉시킴으로써, 열차폐부재와 융액 사이의 멜트갭을 측정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35625호에는 멜트갭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석영 튜브 내측에 유색의 충진재를 충진한 다음, 일단을 마감한 잉곳 성장장치의 리플렉터에 스케일로드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97834호에는 하면에 음각 또는 양각된 형상의 지시부를 포함하는 단결정 잉곳 성장장치의 측정봉이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직접 공정 초기에 상기와 같은 측정봉을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시킨 다음, 실리콘 융액이 담긴 도가니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초기 멜트갭(melt gap)을 설정하고, 공정 진행 중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멜트갭을 측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 별로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면이 접촉하는 깊이가 달라질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작업자 별로 설정되는 초기 갭에 1-2mm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잉곳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이 접촉되는 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잉곳 성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융액이 담기는 전기 전도체로 구성된 도가니; 상기 도가니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하는 전기 전도체로 구성된 측정봉; 및 상기 측정봉과 연결되고, 상기 측정봉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됨에 따라 순간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곳 성장장치는 측정봉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됨에 따라 순간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이 접촉되는 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이 접촉되는 순간에 그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도가니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초기 갭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잉곳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곳 성장장치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감지 회로 일예가 도시된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잉곳 성장장치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감지 회로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잉곳 성장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와, 도가니(120)와, 도가니 지지부(130)와, 히터(140)와, 단열부재(150)와, 승강부재(170)와, 열차폐부재(180)와, 측정봉(190)과, 감지회로(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챔버(110)는 잉곳을 성장시킬 뿐 아니라 인상시키는 밀폐공간을 제공하며, 실시예에서 바디 챔버(body chamber : 111)와, 돔 챔버(dome chamber : 112)와, 풀 챔버(pull chamber : 113)로 구분되고, 상기 챔버(11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뷰 포트(view port : 미도시)가 상측에 구비된다.
또한, CCD 등과 같은 카메라가 상기 뷰 포트를 통하여 하기에서 설명될 측정봉과 실리콘 융액 사이의 간격인 멜트 갭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도가니(120)는 상기 챔버(110) 내측에 구비되고, 실리콘 융액이 담기더라도 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석영 재질의 내주부(121) 및 그 외측에 흑연 재질의 외주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도가니 지지부(130)는 상기 도가니(120)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도가니(120)를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140)는 상기 도가니(120) 둘레에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12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열부재(150)는 상기 히터(140) 둘레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챔버(110)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140)에서 제공되는 열이 상기 챔버(110)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170)는 상기 열차폐부재(18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챔버(1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재(170)는 전기 전도체인 흑연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110)와 승강부재(17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절연부재(171)가 구비된다.
상기 열차폐부재(180)는 상기 도가니(120)에 담긴 실리콘 융액으로부터 인상되는 잉곳을 감싸도록 위치하여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열차폐부재(180)의 상단이 상기 단열부재(150) 상측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가니(120) 상측에 매달리도록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17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차폐부재(18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외주부 사이에 고정의 밀폐공간을 가지거나,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열차폐부재(180)도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체인 흑연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단열부재(150)와 열차폐부재(180)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정의 절연부재(181)가 구비된다.
상기 측정봉(190)은 상기 열차폐부재(18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도가니(120) 내에 수용된 실리콘 융액(Melt)과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물론, 상기 측정봉(190)은 고온의 실리콘 융액(Melt)과 근접하기 때문에 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석영(SiO2)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측정봉(190)은 상기 열차폐부재(180)와 실리콘 융액(Melt) 사이의 거리인 멜트갭(melt gap)을 측정할 때에 기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스케일 로드(scale rod)라고도 한다.
상기 감지 회로(200)는 상기 측정봉(190)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함에 따라 순간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지 회로(200)에 흐르는 순간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측정봉(190)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한 것을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회로(200)는 상기 도가니 지지부(130)와 승강부재(17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직렬로 연결된 전압(210) 및 저항(220)과, 상기 저항(220)의 선/후단에 연결되어 전위차를 감지하는 감지부(230)와, 상기 전압(210)과 저항(220) 사이에 구비되어 온/오프(on/off) 동작하는 동작 스위치(240)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도가니(120)와 도가니 지지부(130) 및 실리콘 융액(Melt)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170)와 열차폐부재(180) 및 측정봉(190) 역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감지 회로(200)가 상기 도가니 지지부(130)와 승강부재(170) 사이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공정 초기에 상기 측정봉(190)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하면, 상기 감지 회로(200)를 따라 순간 전류가 흐르게 되고, 상기 감지부(230)는 상기 저항(220)의 선/후단에서 전위차를 감지하여 상기 측정봉(190)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한 것을 감지하고, 그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도가니(1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초기 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에 잉곳 성장 공정에서 멜트 갭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잉곳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잉곳 성장 공정이 진행되는 중에도 상기 측정봉(190)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하면, 순간 전류가 실리콘 융액(Melt)에 흐르게 되고, 실리콘 융액 내부에 이온화된 원소들에 의해 잉곳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초기에만 상기 감지 회로(20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동작 스위치(240)가 온(On) 되는 반면, 공정 진행 중에는 상기 감지 회로(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상기 동작 스위치(240)가 오프(Off)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0 : 챔버 120 : 도가니
130 : 도가니 지지부 140 : 히터
150 : 단열부재 170 : 승강부재
180 : 열차폐부재 190 : 측정봉
200 : 감지회로

Claims (6)

  1. 단결정 잉곳이 성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측에 설치되고, 실리콘 융액이 담기는 도가니;
    상기 도가니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가니를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가니 지지부;
    상기 도가니 상측에 매달리도록 구비되고, 실리콘 융액으로부터 성장되는 단결정 잉곳을 냉각시키는 열차폐부재;
    상기 열차폐부재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열차폐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
    상기 열차폐부재의 하단에 고정되고,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하는 측정봉; 및
    상기 도가니 지지부와 측정봉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챔버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측정봉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됨에 따라 전위차를 이용하여 순간 전류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봉이 실리콘 융액면과 접촉할 때 상기 도가니와 도가니 지지부와 감지회로와 승강부재와 열차폐부재와 측정봉 및 실리콘 융액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폐회로가 구성되는 잉곳 성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히터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열차폐부재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는 단열부재; 및
    상기 열차폐부재와 단열부재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챔버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차단시키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부재와 승강부재 및 도가니 지지부는 흑연(Graphite)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측정봉은 석영(SiO2) 재질로 구성되는 잉곳 성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순간 전류를 온/오프(on/off)시키는 동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잉곳 성장장치.
KR1020150129405A 2015-09-14 2015-09-14 잉곳 성장장치 KR101723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405A KR101723740B1 (ko) 2015-09-14 2015-09-14 잉곳 성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405A KR101723740B1 (ko) 2015-09-14 2015-09-14 잉곳 성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85A KR20170031885A (ko) 2017-03-22
KR101723740B1 true KR101723740B1 (ko) 2017-04-18

Family

ID=5849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405A KR101723740B1 (ko) 2015-09-14 2015-09-14 잉곳 성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52409B (zh) * 2022-10-25 2023-09-05 浙江晶盛机电股份有限公司 晶体生长炉断电保护方法及晶体生长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483A (ja) * 2000-03-22 2001-09-26 Mitsubishi Materials Silicon Corp 単結晶引上げ機のギャップ検出方法及びそのギャップ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483A (ja) * 2000-03-22 2001-09-26 Mitsubishi Materials Silicon Corp 単結晶引上げ機のギャップ検出方法及びそのギャップ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885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6144B (zh) 单晶硅的制造方法及装置
JP5167651B2 (ja) 遮熱部材下端面と原料融液面との間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その距離の制御方法
US8885915B2 (en) Method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lower end surface of heat shielding member and surface of raw material m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single crystal
KR101723740B1 (ko) 잉곳 성장장치
KR101623641B1 (ko) 잉곳성장장치
JP5404264B2 (ja) 単結晶シリコンの製造方法及び単結晶シリコンの製造装置
JP6256284B2 (ja) 遮熱部材下端面と原料融液面との間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KR101283986B1 (ko)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KR100485662B1 (ko) 실리콘 단결정 성장 장치 및 실리콘 단결정 성장 장치의멜트 갭 제어 방법
KR101679071B1 (ko) 멜트갭 제어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단결정 성장방법
KR101266643B1 (ko) 단결정 성장 온도측정 시스템 및 단결정성장 온도제어방법
KR101759002B1 (ko) 단결정 잉곳 성장장치
KR101155413B1 (ko) 잉곳성장장치의 잉곳 무게 측정장치
JP2006256898A (ja) シリコン単結晶引上装置
JP2005162507A (ja) 多結晶半導体インゴット製造装置、多結晶半導体インゴ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多結晶半導体インゴット
KR101658284B1 (ko) 잉곳성장장치
JP2003055084A (ja) 単結晶引き上げ装置および単結晶引き上げ方法
KR101908366B1 (ko) 단결정 제조장치
KR101781463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장치 및 성장 방법
US20240026565A1 (en)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lower end surface of heat shielding member and surface of raw material melt, method f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lower end surface of heat shielding member and surface of raw material mel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single crystal
KR101916831B1 (ko) 잉곳 성장장치의 자기장 보정장치
KR20110095774A (ko) 대구경 갈륨비소 단결정 성장시 자동직경제어 방법
KR101654424B1 (ko) 사파이어 자동 씨딩 방법
KR101366725B1 (ko) 멜트갭 제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실리콘 단결정 성장 장치
KR20110087431A (ko) 응고계면 단면적 감지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