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568B1 -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568B1
KR101723568B1 KR1020150072838A KR20150072838A KR101723568B1 KR 101723568 B1 KR101723568 B1 KR 101723568B1 KR 1020150072838 A KR1020150072838 A KR 1020150072838A KR 20150072838 A KR20150072838 A KR 20150072838A KR 101723568 B1 KR101723568 B1 KR 101723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uffing
graphene
graphene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086A (ko
Inventor
김기범
김기주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68B1/ko
Priority to PCT/KR2016/005588 priority patent/WO2016190684A1/ko
Publication of KR20160139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6Graph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촉매 금속층 상에 그래핀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스터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층 상에 캐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그래핀층의 하면으로부터 촉매 금속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그래핀층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래핀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원자들로 구성된 물질로는 풀러렌(fulleren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흑연(graphite), 다이아몬드(diamond) 등이 있다. 이 중, 그래핀은 탄소 원자 한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벌집 구조의 2차원 구조를 갖는다. 그래핀은 열적,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며, 캐리어(carrier)의 이동도(mobility)가 커서 고속 전자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얇고 투광성이 높아, 평판 표시 소자, 트랜지스터, 에너지 저장체 및 나노 크기의 전자 소자로의 응용성이 크다.
그래핀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전기적 특성 우수하면서도 투광성이 확보된 그래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전기적 특성 및 투광성이 향상된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은, 촉매 금속층 상에 그래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스터핑(stuffing)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 상에 캐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촉매 금속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층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층은 상기 그래핀층 및 상기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핀층 및 상기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그래핀층을 전사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은 상기 그래핀층 상에 아일랜드 형태로 증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핀층은 복수의 결함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핑층은 상기 결함 영역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은 탄탈륨(Ta), 티타늄(Ti), 몰리브덴 질화물(MoN), 텅스텐(W), 루테늄(Ru), 코발트(Co)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GZO(Ga-doped ZnO), a-IGZO(amorphous (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O, TiO2 ,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핀층 및 상기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은 상기 기판의 도전 영역 상에 형성되어 투명 전극층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는, 그래핀층 및 상기 그래핀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위치하는 스터핑(stuffing)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은 상기 그래핀층 상에 아일랜드 형태로 증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그래핀층은 복수의 결함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터핑층은 상기 결함 영역들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핑층은 탄탈륨(Ta), 티타늄(Ti), 몰리브덴 질화물(MoN), 텅스텐(W), 루테늄(Ru), 코발트(Co)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GZO(Ga-doped ZnO), a-IGZO(amorphous (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O, TiO2 ,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다음의 수학식 1에서 σDC /σOp의 값이 35 이상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50074792-pat00001
(식에서, T는 투과도, Z0는 자유 공간 임피던스(impedance of free space)인 377 Ω, Rs는 면저항, σDC와 σOp는 각각 DC 전도도 및 광학 전도도(optical conductivity)이다.)
그래핀층 상에 스터핑층을 형성하고 이를 기판 상에 전사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고품질의 전자 소자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층 상에 스터핑층을 형성한 투명 전극층으로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 및 투광성이 향상된 전자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9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층과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13 및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가지 실시예가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촉매 금속층(120)이 형성된 지지 기판(110) 상에 그래핀층(132)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기판(110)으로는 전자 소자의 제조 공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 기판(110)은 예를 들어, 실리콘(Si) 기판, 유리(glass) 기판, 석영(quartz) 기판 또는 사파이어(sapphire) 기판 일 수 있다. 또는 지지 기판(110)은 산화물을 포함하는 기판일 수 있다.
촉매 금속층(120)은 그래핀층(132)을 증착하기 위한 그래파이트(graphite)화 촉매로 기능할 수 있다. 촉매 금속층(120)은 예를 들어, 구리(Cu), 니켈(Ni), 코발트(Co), 팔라듐(Pd), 철(Fe), 백금(Pt), 루테늄(Ru), 이리듐(Ir) 및 로듐(R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 금속층(120)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전자빔 증발기(electron beam evaporator)와 같은 물리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을 이용하여 증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촉매 금속층(120)이 구리(Cu)로 형성되는 경우, 냉간 압연(cold roll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촉매 금속층(120)은 그래파이트 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비금속 물질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래핀층(132)은 촉매 금속층(120) 상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층(132)은 예를 들어, CVD, 분자 빔 에피텍시(molecular beam epitaxy, MB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촉매 금속층(120) 상에 가스 상태의 탄소 공급원 공급하고, 상기 탄소 공급원을 분해시켜 그래핀층(13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소 공급원은 일산화탄소, 메탄, 에탄, 에틸렌, 에탄올, 아세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부탄, 부타디엔, 펜탄, 펜텐, 사이클로펜타디엔,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및 톨루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래핀층(132) 상에 스터핑층(134)을 형성할 수 있다.
스터핑층(134)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스터핑층(134)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CVD, PVD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ALD를 이용하는 경우, 전구체, 퍼지 가스, 반응 가스 및 퍼지 가스가 순차적으로 주입되는 하나의 사이클이 복수 회 반복되어 원하는 두께 및 커버리지(coverage)의 스터핑층(13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 의해, 그래핀층(132)과 스터핑층(134)이 적층된 적층 구조물(1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스터핑층(134)의 두께 및 커버리지 등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핀층(132)은 결함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함 영역들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터핑층(134)을 형성하는 소스 물질은 그래핀층(132)의 상기 결함 영역 상에 우선적으로 흡착되어 핵생성(nucle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핵으로부터 성장된 아일랜드 형태의 스터핑층(134)이 상기 결함 영역을 따라 성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스터핑층(134)을 형성함으로써, 그래핀층(132)의 결함 영역이 선택적으로 치유되어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그래핀층(132)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유연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을 열처리할 수 있다.
도 3에서 화살표는 열처리 공정을 의미하며, 열처리에 의해 스터핑층(134)을 이루는 물질에 의한 그래핀층(132)의 도핑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즉, 스터핑층(134)을 이루는 물질이 활성화(activation)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열처리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 상에 캐리어층(140)을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층(140)은 적층 구조물(130)을 촉매 금속층(12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캐리어층(140)은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핀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층(140)과 적층 구조물(130)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의 하면으로부터 지지 기판(110) 및 촉매 금속층(120)을 분리할 수 있다.
촉매 금속층(120)은 예를 들어, 습식 식각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촉매 금속층(120)의 제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을 기판(100) 상에 전사하고 캐리어층(140)을 제거할 수 있다.
기판(100)은 반도체 물질, 예컨대 IV족 반도체, III-V족 화합물 반도체, 또는 II-VI족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벌크 웨이퍼(bulk wafer) 또는 에피텍셜(epitaxial)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소자의 구성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의 경우, 기판(100)에는 태양 전지의 구성 요소 중 상부 전극을 제외한 층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처리 공정이 적층 구조물(130)의 전사 이전에 이루어지므로, 기판(100)에 포함된 물질, 예컨대 용융점이 낮은 물질 또는 기판(100)에 미리 형성된 전자 소자의 구성 요소들이 열처리 공정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층(132)이 스터핑층(134)에 의해 보강된 상태이므로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판(100)으로 그래핀층(132)을 전사하는 과정에서의 링클(wrinkle)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캐리어층(140)은 예를 들어, 습식 식각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단계에서, 캐리어층(140)은 그래핀층(132)과 스터핑층(134)의 적층 구조물(130) 상에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그래핀층(132)의 결함 영역들이 스터핑층(134)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므로, 본 단계에서 캐리어층(140)이 제거된 후 그래핀층(132) 상에, 특히 결함 영역들 상에 불순물이 잔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불순물은 캐리어층(140)의 물질 또는 캐리어층(140)과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캐리어층(140)은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거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스터핑층(134)을 형성한 후, 그래핀층(132)과 스터핑층(134)의 적층 구조물(130)을 기판(100) 상에 전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공정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그래핀층(132)이 기판(100) 상에 전사된 후에, 스터핑층(134)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후에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적층 구조물(130)에 대한 열처리 공정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층과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7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은 그래핀층(132) 및 그래핀층(132)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스터핑층(1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층(132)은 2차원의 복수의 결정립들(crystal grains)(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정립'은 그래핀층(132)을 이루며,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육각형 구조의 탄소들로 이루어진 2차원 영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하나의 결정립(G)은 일 방향으로 배열된 육각형 구조의 탄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결정립들(G) 자체의 형상 및 배열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결정립들(G)의 사이에는, 결정립계(grain boundary)(GB)가 형성된다. 결정립계(GB)는 일종의 2차원 결함(defect)으로서, 결정립계(GB)에서는 결정립들(G)을 이루는 탄소들이 육각형 구조로 결합되지 못하고, 오각형, 칠각형 등과 같은 변형된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결정립들(G) 내부에는 점 결함 등과 같은 다른 결함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들은 그래핀층(132)의 제조 중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함들은 캐리어의 이동성에 영향을 주어 전자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그래핀층(132)의 전기적 및 기계적 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터핑층(134)은 그래핀층(132)의 일 면 상에 위치하며,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스터핑층(134)은 그래핀층(132)의 결정립계(GB) 및 결정립(G) 내의 결함과 같은 결함 영역 상에 형성되어, 결함 영역을 충전 또는 스터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결함 영역들이 상대적으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스터핑층(134)의 성장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결함 영역들에 우선적으로 소스 물질이 결합되어 스터핑층(134)이 성장되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스터핑층(134)이 결함 영역 상에 형성됨으로써, 결함 영역을 치유하여, 적층 구조물(130)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터핑층(134)은 복수의 아일랜드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성장되지만, 성장 중에 적어도 일부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스터핑층(134)의 구체적인 형상 및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터핑층(134)을 이루는 아일랜드들은 각각이 단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내부에 결정립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스터핑층(134)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터핑층(134)은 탄탈륨(Ta), 티타늄(Ti), 몰리브덴 질화물(MoN), 텅스텐(W), 루테늄(Ru), 코발트(Co)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터핑층(134)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GZO(Ga-doped ZnO), a-IGZO(amorphous (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O, TiO2 ,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130a)은 그래핀층(132) 및 그래핀층(132)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형성된 스터핑층(134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터핑층(134a)은 그래핀층(132)의 결정립계(GB)와 같은 결함 영역들 상에만 형성되지 않고, 결정립(G)의 내부에서 결정립(G)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터핑층(134a)의 형성은 증착 온도, 시간 및 소스 물질의 투입 횟수와 같은 증착 조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스터핑층(134a)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함 영역들 상에 우선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추가적으로 결정립(G)의 내부에서 결정립(G) 상에도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의 평면도 및 도 9b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도 4b는 도 4a의 절단선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다. 적층 구조물(130b)은 그래핀층(132) 및 그래핀층(132) 상에 형성된 스터핑층(134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터핑층(134b)은 그래핀층(132)의 전체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스터핑층(134b)은 제1 및 제2 영역(R1, R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영역(R1)은 결함 영역 상의 영역이고 제2 영역(R2)은 그래핀층(132)의 결정립(G)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2 영역(R2)을 이루는 스터핑층(134b)은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결정립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a 내의 확대도는 각 영역들(R1, R2)에서의 결정 방향을 도시한다. 스터핑층(134b)은 제1 영역(R1)에서는 단결정 구조를 가지고, 제2 영역(R2)에서는 다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R1)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결함 상에 스터핑층(134b)이 형성되므로 단결정의 아일랜드 형태로 성장할 수 있으며, 제2 영역(R2)에서는 상대적으로 넓은 결정립(G) 상에 성장하므로 복수의 결정립들을 갖는 다결정 구조로 성장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는, 제1 영역(R1)을 이루는 복수의 아일랜드들 각각을 하나의 결정립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스터핑층(134b)은 제1 영역(R1)에서의 결정립의 크기가 제2 영역(R2)에서의 결정립의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리(glass)에 대한 비교예와 그래핀층에 ALD에 의해 루테늄(Ru)의 스터핑층을 형성한 실시예에 대하여, ALD의 증착 사이클에 따른 투과도(transmittance)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증착 사이클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가 감소하지만, 100 사이클 이하에서는 약 70 % 이상의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스터핑층이 형성되기 전의 그래핀층은 약 97.7 %의 투과도를 가졌으며, 스터핑층이 20 사이클로 형성된 경우 약 97.5 %, 50 사이클로 형성된 경우 약 92.4 %의 투과도를 나타내어, 투과도가 크게 감소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스터핑층 형성 시의 구체적인 공정 조건에 따라 구체적인 값은 달라질 수 있으나, 사이클 수를 조절함으로써 투과도가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하는 범위에서 스터핑층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리에 증착한 비교예에 비하여 투과도의 감소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래핀층의 결함 영역 상에 우선적으로 스터핑층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스터핑층이 유리 상에서는 균일하게 증착되는 것과 달리 그래핀층 상에서는 선택적으로 증착되므로, 상대적으로 투과도의 감소가 적을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그래핀층 상에 스터핑층을 형성하기 전의 비교예와 각 그래핀층에 ALD에 의해 루테늄(Ru)의 스터핑층을 형성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ALD의 증착 사이클에 따른 면저항(sheet resistance)(Rs)과 투과도의 변화를 도시한다.
증착 사이클이 증가함에 따라, 면저항이 감소하였으나, 투과도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면저항은 스터핑층을 형성함에 따라 20 사이클에서 약 180 Ω/□, 50 사이클에서 약 120 Ω/□로 점차 감소하였으나, 투과도도 약 97.5 %에서 약 92.4 %로 함께 감소하였다. 이러한 투과도와 면저항의 상관관계로부터 성능 지수(figure of merit, FoM)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5050074792-pat00002
수학식 1에서, T는 투과도, Z0는 자유 공간 임피던스(impedance of free space)로 377 Ω의 상수 값을 가지며, Rs는 면저항, σDC와 σOp는 각각 DC 전도도 및 광학 전도도(optical conductivity)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σDC /σOp의 값인 FoM은 그래핀 또는 도전성 산화물에서 투과도와 면저항을 모두 포함하여 물질을 평가하는 파라미터이다.
통상적으로, FoM이 35(예를 들어, Rs < 100 Ω/□, T > 90 %) 이상인 경우, 기존의 ITO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FoM 값은 35 이상으로, 상업적으로 ITO를 대체할 수 있는 최소 기준을 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20 및 50 사이클로 스터핑층을 형성한 그래핀층에서, FoM 값이 각각 82 및 36로 나타났다.
다만, 그래프의 데이터들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므로, 스터핑층 및 그래핀층의 형성 조건에 따라 구체적인 사이클 수 및 그에 따른 특성 값들을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그래핀층 상에 스터핑층을 형성하기 전의 비교예와 각 그래핀층에 ALD에 의해 루테늄(Ru)의 스터핑층을 형성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ALD의 증착 사이클에 따른 캐리어 농도의 변화를 도시한다.
캐리어 농도는 증착 사이클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캐리어 농도는 스터핑층의 증착 전에는 평균적으로 약 2×1013/cm2 정도이었으나, 스터핑층을 형성함에 따라 20 사이클에서 약 6×1013/cm2, 50 사이클에서 약 8×1013/cm2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캐리어 농도의 증가는, 스터핑층으로 사용한 루테늄(Ru)의 일함수(work function)가 그래핀층의 일함수보다 커서 그래핀층이 p-type으로 도핑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다만, 그래핀층의 도핑 타입은 스터핑층으로 사용하는 물질 및 그 일함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본 실시예의 그래핀층 및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은, 스터핑층을 형성함으로써 그래핀 단일층에 비하여 캐리어 농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면저항이 감소되면서도, 투과도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적층 구조물을 투명 전극으로서 전자 소자에 이용하는 경우, 그래핀층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소자(200)는, 기판(201), 기판(201) 상에 배치된 제1 도전형 반도체층(210), 활성층(220)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30)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 소자(200)는, 투명 전극층(240), 제1 및 제2 전극(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소자(200)는 활성층(220)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되어 광을 방출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다.
기판(201)은 반도체 성장용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파이어, SiC, MgAl2O4, MgO, LiAlO2, LiGaO2, GaN 등과 같이 절연성, 도전성, 반도체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은 각각 n형 및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각각 p형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은 질화물 반도체, 예컨대, AlxInyGa1 -x- yN (0≤x≤1, 0≤y≤1, 0≤x+y≤1)의 조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성층(220)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210)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23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소정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방출한다. 활성층(220)은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의 에너지 밴드 갭보다 작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이 GaN계 화합물 반도체인 경우, 활성층(220)은 GaN의 에너지 밴드 갭보다 적은 에너지 밴드 갭을 갖는 InAlGaN계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층(220)은 양자우물층과 양자장벽층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다중 양자우물(Multiple Quantum Wells, MQW) 구조, 예컨대, InGaN/GaN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전극(250, 260)은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의 외부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층으로,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210, 230)과 각각 접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260)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230)의 사이에는 투명 전극층(2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전극층(240)은 그래핀층(242) 및 스터핑층(2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적층 구조물(130)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층(24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투명 전극층(240)은 투광성을 확보하여 상부로의 광 방출 효율을 높이면서 제2 전극(260)으로 주입되는 전류를 효율적으로 제2 도전형 반도체층(23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소자(200)는 무기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 소자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지만, 유기 발광 소자에도 투명 전극층(240)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소자(300)는, 하부 전극층(310), 제1 도전형 반도체층(320), 제2 도전형 반도체층(330), 투명 전극층(340) 및 반사층(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소자(300)는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정공 및 전자가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320, 33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드리프트(drift)되어 전류가 흐르는 광전 소자인 태양 전지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320, 330)은 각각 n형 및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각각 p형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도전형 반도체층(320)과 제2 도전형 반도체층(330)의 사이에 진성 반도체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전극층(31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또는 은(Ag)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층(340)은 그래핀층(342) 및 스터핑층(3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에서의 적층 구조물(130)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층(24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투명 전극층(340)은 투광성을 확보하여 상부로의 광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반사층(350)은 상부에서 입사된 태양광이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320, 330)에 흡수되지 못하고 바로 외부로 반사됨으로써 광 흡수 효율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층(35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물(SiN)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막형 태양 전지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극층(34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형 태양 전지 또는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태양 전지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에서, 전자 소자(200, 300)로 발광 소자 및 광전 소자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층(132) 및 스터핑층(134)의 적층 구조물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용도로 전자 소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기판
110: 지지 기판
120: 촉매 금속층
130: 적층 구조물
132: 그래핀층
134: 스터핑층
140: 캐리어층

Claims (13)

  1. 촉매 금속층 상에 결함 영역들을 포함하는 그래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의 상기 결함 영역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를 덮는 스터핑(stuffing)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 및 상기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적층 구조물 상에 캐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층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촉매 금속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층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스터핑층을 이루는 물질에 의한 상기 그래핀층의 도핑 효과를 증대시키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핑층은 상기 그래핀층 상에 아일랜드 형태로 증착되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핑층은 탄탈륨(Ta), 티타늄(Ti), 몰리브덴 질화물(MoN), 텅스텐(W), 루테늄(Ru), 코발트(Co) 등의 금속,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FTO(F-doped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AZO(Al-doped ZnO), GZO(Ga-doped ZnO), a-IGZO(amorphous (In2O3:Ga2O3:ZnO), MgIn2O4, Zn2SnO4, ZnSnO3, (Ga,In)2O3, ZnO, TiO2 , Zn2In2O5, InSn3O12, In2O3, SnO2, Cd2SnO4, CdSnO3 및 CdIn2O4 등의 투명 전도성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층 및 상기 스터핑층의 적층 구조물은 상기 기판의 도전 영역 상에 형성되어 투명 전극층을 이루는 전자 소자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72838A 2015-05-26 2015-05-26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3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38A KR101723568B1 (ko) 2015-05-26 2015-05-26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6/005588 WO2016190684A1 (ko) 2015-05-26 2016-05-26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838A KR101723568B1 (ko) 2015-05-26 2015-05-26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86A KR20160139086A (ko) 2016-12-07
KR101723568B1 true KR101723568B1 (ko) 2017-04-07

Family

ID=5739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838A KR101723568B1 (ko) 2015-05-26 2015-05-26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3568B1 (ko)
WO (1) WO201619068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581B1 (ko) * 2011-10-20 2013-01-14 한국기계연구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연투명전극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연투명전극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545A (ko) * 2010-10-28 2012-05-08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30026679A (ko) * 2011-09-06 2013-03-14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9853B1 (ko) * 2012-05-25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 전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자의 제조방법
KR101568159B1 (ko) * 2013-07-24 2015-11-1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결함 치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581B1 (ko) * 2011-10-20 2013-01-14 한국기계연구원 그래핀을 포함하는 유연투명전극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연투명전극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684A1 (ko) 2016-12-01
KR20160139086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8094B2 (en) Semiconductor compound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ing graphene or carbon nanotubes,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compound structure
US7687820B2 (en) Nitride-based white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141799A1 (en) Film on Graphene on a Substrate and Method and Devices Therefor
KR20120079310A (ko) 나노로드형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2280427B1 (en) Light emitting diode
KR20090058952A (ko) 나노로드를 이용한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82662A (ja) 半導体バッファ構造体、それを含む半導体素子及び半導体バッファ構造体を利用し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WO2013027717A1 (ja) 太陽電池と該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4949540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法
CN112888808A (zh) 氧化物层叠体及其制造方法
JP2015179695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半導体素子および透明導電膜
JP5070720B2 (ja) 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6927A (ko)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6199608B2 (ja) 光電変換装置
KR101723568B1 (ko) 전자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043873A1 (en) Semiconduct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315920B2 (en) Growth substrate and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Waseem et al. Cu2O heterostructured GaN thin film and GaN nanowir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JP2011258631A (ja) 発光ダイオー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766293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7939B1 (ko) 발광 소자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10107934A (ko) 탄소나노튜브/ZnO 투명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1019608A1 (en) Photovoltaic device back contact
KR101105103B1 (ko) 반도체 나노 막대, 반도체 나노 막대의 제조방법, 반도체나노 막대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및 반도체 나노막대를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
KR20050081208A (ko) 기판 분해 방지막을 사용한 단결정 질화물계 반도체 성장및 이를 이용한 고품위 질화물계 발광소자 제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