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464B1 - 조립식 베개 - Google Patents

조립식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464B1
KR101720464B1 KR1020160112424A KR20160112424A KR101720464B1 KR 101720464 B1 KR101720464 B1 KR 101720464B1 KR 1020160112424 A KR1020160112424 A KR 1020160112424A KR 20160112424 A KR20160112424 A KR 20160112424A KR 101720464 B1 KR101720464 B1 KR 10172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enter
adjuster
heigh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현미
Original Assignee
허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현미 filed Critical 허현미
Priority to KR102016011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베개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베개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재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중앙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중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제2 중앙 조절부에 의해 상기 조립식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베개{Assembly pillow}
본 발명은 조립식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재의 베이스부의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1 측면 조절부와 제2 측면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고,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제1 중앙 조절부와 제2 중앙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어 베개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베개의 높이와 폭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면 중에 경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새로운 베개를 재구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을 자거나 휴식을 위하여 사용자가 누울 때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물건으로, 인체의 목(경추)을 지지하여 편안한 자세와 안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침구류의 하나이다.
종래, 베개는 일정한 규격의 높이와 폭 및 길이로 제작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체형, 특히 목과 어깨의 길이 등이 서로 다름에 따라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휴식이나 수면 중에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베개는 일정한 규격의 높이와 폭 및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종래 베개를 사용하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 사용자의 경추의 손상, 코골이, 주름 증가, 또는 기타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베개를 새롭게 구매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고, 베개의 재구입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조립식 베개의 경우 높이만 조절하거나 폭만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거나, 에어펌프나 전원공급장치 등을 구비하여 기구적으로 복잡하게 형성됨에 따라 베개 구입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식 베개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운반이 용이하지 않고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6658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재의 베이스부의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1 측면 조절부와 제2 측면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고,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제1 중앙 조절부와 제2 중앙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어 베개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베개의 높이와 폭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최적화된 형태의 베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락한 수면을 보장하고, 수면 중에 베개의 불편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경추의 손상, 코골이, 주름 증가, 또는 기타 질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1 측면 조절부, 제2 측면 조절부, 제1 중앙 조절부, 및 제2 중앙 조절부를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고 쉽게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새로운 베개를 재구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는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베개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베개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재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중앙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중앙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제2 중앙 조절부에 의해 상기 조립식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는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의 상기 커버부재는 내측 일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의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서 상기 후방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중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의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전방부의 상단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후방부의 상단면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의 상기 본체부재는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또는 상기 제2 중앙 조절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탱하는 중앙 상단 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개의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상기 제2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중앙 상단 보조부는 각각 서로 벨크로우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는 본체부재의 베이스부의 상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제1 측면 조절부와 제2 측면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고,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제1 중앙 조절부와 제2 중앙 조절부가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적층 설치되어 베개의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베개의 높이와 폭과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최적화된 형태의 베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락한 수면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는 사용자 각각의 체형에 최적화된 형태의 베개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이나 휴식 중에 사용자의 경추가 한쪽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여 경추의 손상, 코골이, 주름 증가, 또는 기타 질병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1 측면 조절부, 제2 측면 조절부, 제1 중앙 조절부, 및 제2 중앙 조절부를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고 쉽게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베개는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는 새로운 베개를 재구매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새로운 베개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커버부재의 투명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본체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지지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커버부재의 투명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본체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의 지지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높이"란 동일부재에서 지면에서 수직방향 즉, 도 1에서 H방향을 의미하고, "폭"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1에서 W방향을 의미하며, "길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1에서 L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폭방향의 앞쪽, 즉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목에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동일부재에서 폭방향의 뒤쪽으로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 즉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사용자의 목에 먼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는 본체부재(100) 및 지지부재(20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재(100)는 조립식 베개(1)의 하부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및 제2 중앙 조절부(150)가 적층되는 형태에 따라 조립식 베개(1)의 높이(H)와 폭(W) 및 길이(L)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본체부재(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부재(100)는 부드럽고의 소정의 폴리우레탄 소재로 사출 발포 성형되거나 라텍스, 메모리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의 본체부재(100)는 베이스부(110),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및 제2 중앙 조절부(15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10)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본체부재(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베이스부(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의 길이(l2)는 지지부재의 길이(l1)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l2<l1) 이에 따라, 본체부재(100)가 지지부재(200)로 덮혀서 본체부재(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측면 조절부(120)은 베이스부(110)의 일측 상부에 적층 설치된다. 제1 측면 조절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일측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됨에 따라 조립식 베개(1)의 일측의 높이(H)와 폭(W) 및 길이(L)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측면 조절부(130)는 베이스부(110)의 타측 상부에 적층 설치된다. 제2 측면 조절부(130)가 베이스부(110)의 타측 상부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됨에 따라 조립식 베개(1)의 타측의 높이(H)와 폭(W) 및 길이(L)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측면 조절부(120)가 베이스부(110)의 좌측에 적층 설치되면, 제2 측면 조절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우측에 적층 설치된다.
도 3에 제1 측면 조절부(120)와 제2 측면 조절부(130)가 2개씩 각각 적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1개만 적층 설치될 수도 있다. 좌우 균형을 위해 제1 측면 조절부(120)와 제2 측면 조절부(130)의 각각의 높이와 폭 및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1 중앙 조절부(140)는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적층 설치된다. 제1 중앙 조절부(140)가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됨에 따라 조립식 베개(1)의 중앙 상부의 전방의 높이(H)와 폭(W) 및 길이(L)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중앙 조절부(150)는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적층 설치된다. 제2 중앙 조절부(150)가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됨에 따라 조립식 베개(1)의 중앙 상부의 후방의 높이(H)와 폭(W) 및 길이(L)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중앙 조절부(140)가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적층 설치되고, 이와 폭(W)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제2 중앙 조절부(150)가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적층 설치된다.
도 3에 제1 중앙 조절부(140)와 제2 중앙 조절부(150)가 2개씩 각각 적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3개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110)의 중앙 상부의 전방과 후방에 1개만 적층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의 본체부재(100)는 중앙 상단 보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상단 보조부(160)는 제1 중앙 조절부(140) 또는 제2 중앙 조절부(150)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지부재(200)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지지부재(200)의 외형을 유지시켜 조립식 베개(1)의 잦은 사용에 따라 조립식 베개(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상단 보조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앙 조절부(140)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분은 단면이 역 C자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앙 상단 보조부(160)는 필요에 따라 제1 중앙 조절부(140)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분과 제2 중앙 조절부 상단(150)에 설치되는 부분의 2개로 형성되고, 제1 중앙 조절부(140)의 상단에 설치되는 부분은 단면이 역 C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200)를 지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체부재(100)의 베이스부(110),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제2 중앙 조절부(150), 및 중앙 상단 보조부(160)는 부드럽고의 소정의 폴리우레탄 소재로 사출 발포 성형되거나 라텍스, 메모리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운반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단하도록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부(110)와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제2 중앙 조절부(150), 및 중앙 상단 보조부(160)는 각각 벨크로우(17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벨크로우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고 쉽게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바로 결합되는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및 제2 중앙 조절부(15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암밸크로우와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및 제2 중앙 조절부(160)의 하단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밸크로우에 의해 결합된다. 반대로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수밸크로우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측면 조절부(120), 제2 측면 조절부(130), 제1 중앙 조절부(140), 및 제2 중앙 조절부(160)의 하단면에 암밸크로우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측면 조절부(12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다른 제1 측면 조절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측면 조절부(120)의 상단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암밸크로우와 다른 제1 측면 조절부(120)의 하단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수밸크로우의 결합에 의해 적층 설치된다. 각각의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측면 조절부(130)의 상부면에 적층 설치되는 다른 제2 측면 조절부(130), 각각의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중앙 조절부(140)의 상부면에 적층 설치되는 다른 제1 중앙 조절부(140), 각각의 베이스부(110)의 상단면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중앙 조절부(150)의 상부면에 적층 설치되는 다른 제2 중앙 조절부(150)도 동일한 밸크로우 결합에 의해 적층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의 지지부재(200)는 전방부(210), 후방부(220), 및 중앙부(230)를 포함한다.
전방부(210)는 소정의 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 부분을 지지한다.
후방부(220)는 전방부의 높이(h1)보다 작은 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후두부의 일부를 지지한다.
중앙부(230)는 전방부(210)와 후방부(220) 사이에서 후방부의 높이(h2)보다 작은 높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의 뒷통수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h3<h2<h1)
즉, 지지부재(200)는 전반적으로 그 단면이 C자 형태를 갖는 굴곡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재(200)의 전방부의 상단면(211)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지지부재(200)의 후방부의 상단면(221)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옆으로 눕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은 뒷면과 달리 대부분 평편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옆으로 눕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과 전방부의 상단면(211) 또는 후방부의 상단면(221)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자중에 의한 압력을 골고루 분배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안락함을 극대화하고, 지지부재(200)의 외형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는 커버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재(300)는 커버부재(300)의 내부수용 공간에 본체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수용하여 조립식 베개(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베개 사용중에 사용자의 불편을 방지하며, 본체부배(100)와 지지부재(200)가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침과 같은 이물질이 뭍은 경우 커버부재(300)의 세탁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커버부재(300)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천연소재로 형성되어 피부와의 마찰을 감소시키거나 부드러운 감촉 및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베개(1)의 커버부재(300)는 수용부(310)와 개폐부(320)를 구비한다.
개폐부(320)는 조립식 베개(1)의 길이방향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개방과 폐쇄가 용이한 형태의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폐부(320)는 스냅단추, 지퍼, 벨크로우 형태로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개폐부(320)가 조립식 베개(1)의 길이방향 측면에 개폐가 용이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본체부재(100)의 높이와 폭 및 길이를 조절하고, 본체부재(100)의 상부에 지지부재(2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간편하게 커버부재(300)의 내부 공간으로 본체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삽입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300)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커버부재(300)의 내부 공간에서 본체부재(100)와 지지부재(200)를 분리할 수 있다.
수용부(310)는 커버부재(300)의 폭방향 양측면 또는 폭방향 일측면에 형성되어 향균물질, 아로마 물질 등을 수용하여 사용자의 조립식 베개(1)의 사용중에 이를 발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310)는 난초, 부채선인장, 창포, 코코넛, 어성초, 삼백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아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로마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향미가 우수하고 향지속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숙면 기능성을 높이는 장점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부(310)는 난초 100 중량부, 상기 난초에 대하여 부채선인장 30 내지 60 중량부, 창포 10 내지 30 중량부, 코코넛 10 내지 30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10 중량부 및 삼백초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포함되는 아로마 추출물을 실리카겔 기타, 담체에 상기 아로마 추출물이 함침되어 상기 수용부에 담겨지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에 상기 아로마 추출물이 직접 함유, 함침 등으로 포함되는 것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제조예: 수용부 추출물 조성물의 제조>
난초, 부채선인장 및 창포를 각각 분쇄기를 통해 약 150 메쉬로 분쇄하고, 코코넛은 껍질을 제거하여 잘게 썰어 추출재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어성초와 삼백초는 생초를 잘게 썰어서 재료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추출재료 5 종류를 각각 1 kg에 대하여 정제수 3kg과 함께 각각의 증류기에 투입하고, 30 ℃ 및 10- 2torr 분위기에서 약 3 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난초, 부채선인장, 창포, 코코넛, 어성초 및 삼백초 증류 추출물 1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각 실시예의 조성에 따른 수용부 추출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피톤치드를 사용하였다. 상기 피톤치드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난초 100 100 100 100 100 -
부채선인장 100 10 100 50 50 -
창포 100 10 30 20 20 -
코코넛 100 10 30 20 20 -
어성초 - - - - 5 -
삼백초 - - - - 5 -
피톤치드 - - - - - 100
(단위: 중량부)
<시험예: 수용부 추출물 조성물에 대한 활성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를 아로마 조성물로 제작하여 구형의 실리카겔에 함침시킨 뒤 상기 실리카를 조립식 베개의 수용부(310)에 담아 향균성, 향미, 향 지속성, 숙면 기능성에 대한 관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 테스트는 비교예를 5로 기준으로 삼고,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숫자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패널은 20 ~ 30 대성인 남녀 각각 20명을 대상으로 30일에 걸쳐 5회 씩 반복 시험하였다.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향균성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비교하여 베개의 오염정도를 지수화 하여 측정하였으며, 향미는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정도, 향 지속성은 상기 베개에 포함된 아로마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보충하지 않고 유지되는 향이 오래 지속되는 정도를 평가한 것이다. 숙면 기능성은 시험자가 반복적으로 시험을 하면서 4시간 취침 후 평가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향균성 5 7 8 8 8 5
향미 4 8 8 7 9 5
향지속성 4 9 6 8 9 5
숙면기능성 2 3 3 3 9 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 내지 5에 의하는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향균, 향미, 향지속성 및 숙면기능성이 전반으로 우수하게 높아지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경우 시험자들이 가장 시원한 느낌을 느낄 수 있어 숙면기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피톤치드 보다 숙면 기능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향미와 향 지속성이 높아 별도의 추가적인 향료의 첨가 없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조립식 베개,
100 : 본체부재, 110 : 베이스부,
120 : 제1 측면 조절부, 130 : 제2 측면 조절부,
140 : 제1 중앙 조절부, 150 : 제2 중앙 조절부,
160 : 중앙 상단 보조부, 170 : 벨크로우,
200 : 지지부재, 210 : 전방부,
211 : 전방부의 상단면, 220 : 후방부,
221 : 후방부의 상단면, 230 : 중앙부,
300 : 커버부재, 310 : 수용부,
320 : 개폐부.

Claims (7)

  1.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베개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베개는,
    본체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하고 내측 일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재는,
    바닥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상부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1 중앙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상부의 후방에 적층 설치되는 제2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또는 상기 제2 중앙 조절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탱하는 중앙 상단 보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전방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 사이에서 상기 후방부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중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전방부의 상단면은 평편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후방부의 상단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난초 100 중량부, 상기 난초에 대하여 부채선인장 30 내지 60 중량부, 창포 10 내지 30 중량부, 코코넛 10 내지 30 중량부, 어성초 1 내지 10 중량부 및 삼백초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로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제2 중앙 조절부에 의해 상기 조립식 베개의 높이와 폭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제1 측면 조절부, 상기 제2 측면 조절부, 상기 제1 중앙 조절부, 상기 제2 중앙 조절부, 및 상기 중앙 상단 보조부는 각각 서로 벨크로우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베개.

KR1020160112424A 2016-09-01 2016-09-01 조립식 베개 KR10172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24A KR101720464B1 (ko) 2016-09-01 2016-09-01 조립식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424A KR101720464B1 (ko) 2016-09-01 2016-09-01 조립식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464B1 true KR101720464B1 (ko) 2017-04-10

Family

ID=5858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424A KR101720464B1 (ko) 2016-09-01 2016-09-01 조립식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4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JP3187390U (ja) * 2013-09-13 2013-11-21 英雄 銅冶
KR20160066582A (ko) 2014-12-02 2016-06-13 황대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배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654B1 (ko) * 2011-03-21 2011-08-18 정병옥 기능성 베개
JP3187390U (ja) * 2013-09-13 2013-11-21 英雄 銅冶
KR20160066582A (ko) 2014-12-02 2016-06-13 황대영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배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31078B2 (en) Sleepy heads neck pillow
US9775444B2 (en) Foam with green tea additive for foam mattresses, pillows and cushions
US7428763B2 (en) Universal, multipurpose pillow used for beauty and/or health purposes
US10448764B2 (en) Pillow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CN107979981A (zh) 颈部支撑枕头
US20220202212A1 (en) Double pillow with cervical support
CN108634736B (zh) 一种缓压能量枕
KR101720464B1 (ko) 조립식 베개
KR20150038795A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1730806B1 (ko) 구획정리와 높낮이조절을 겸비한 기능성 베개
US20220312984A1 (en) System for supporting the human body, or a human body segment, provided with an improved cushioning arrangement
KR20230064167A (ko) 베개 구조체
US11253089B2 (en) Pillow apparatus and system
KR101992471B1 (ko) 워셔블 베개
KR101795886B1 (ko) 영유아 두상 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8166A (ko) 경추 베개
KR200270177Y1 (ko) 목받이낭이 형성된 베개 커버
CN220384801U (zh) 一种高度可调的枕头
CN212630481U (zh) 一种枕芯可模块化组合、调节定制的枕头
KR102162327B1 (ko) 공기주입이 가능한 다기능 에어쿠션
KR101722849B1 (ko) 소파용 다기능 쿠션과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KR102099331B1 (ko) 기능성 베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매트
AU2016100166A4 (en) Modular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