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440Y1 -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 Google Patents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440Y1
KR200329440Y1 KR20-2003-0021152U KR20030021152U KR200329440Y1 KR 200329440 Y1 KR200329440 Y1 KR 200329440Y1 KR 20030021152 U KR20030021152 U KR 20030021152U KR 200329440 Y1 KR200329440 Y1 KR 200329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functional
cushion
li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1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철
Original Assignee
권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철 filed Critical 권순철
Priority to KR20-2003-0021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은 두 겹의 천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완충물이 채워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접촉되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소정의 충전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에 상기 공간에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한 립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Cushion provided a functional receiving space}
본 고안은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심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에 원적외선 방출 물질과 같은 기능성 건강보조물을 장착함으로써 부수적인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에 관한 것이다.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을 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좀 더 간편하면서도 편안한 자세를 잡을 수 있는 쿠션, 방석, 베게 등의 보조물을 선호한다.
쿠션은 내부에 폴리에스텔 솜 소위, 구름솜이라 불리는 완충물이 채워져 있어 허리 뒤에 기대어 놓거나 깔고 앉을 경우 의자나 바닥의 딱딱한 이질감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그에 상응하여 구름솜은 밀접한 신체의 체온으로 인해 발생된 열을 방출하지 못하고 축적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쿠션의 온도가 체온보다 상승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켰다. 또한, 쿠션에 축적된 열은 신체에 땀을 발생시켜 의복을 젖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대체 완충물 예를 들면, 통기성이 좋은 곡물류나 바이오 세라믹 물질 등을 내부에 채운 쿠션이 출시되고 있으며, 또는 쿠션의 외형을 굴곡지게 하여 신체와의 접촉면을 줄인 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서 착안한 것으로, 쿠션의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신체와의 접촉면을 줄임과 동시에 통기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기 오목한 중앙부에 원적외선 방출 물질, 항균 물질, 아로마 물질 등과 같은 기능성 건강보조물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수적인 건강 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은 두 겹의 천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완충물이 채워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접촉되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소정의 충전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에 상기 공간에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한 립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부는 완충물이 채워지는 공간과 격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박음질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한 겹의 천을 덧대어 박음질함으로써 몸체부와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립은 개구 가장자리에 박음질을 하여 입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내재되는 건강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잠금수단을 더 구비하여 오목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물은 아로마, 한방약재, 맥반석, 숯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건강보조물로서 팩 타입으로 팩킹되어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은 내부에 소정의 완충물이 채워진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통상적으로 두 겹의 천을 맞대고 그 가장자리를 박음질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그 형태는 원형, 사각형, 타원형 외에 별, 하트와 같은 다각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 공간(A)에는 소정의 완충물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 완충물은 몸체부(10) 전체에 걸쳐 균일한 높이를 채워져야 하며 완충력을 위해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적절히 채워져야 한다. 상기 완충물로는 통상적인 폴리에스텔 솜을 비롯하여 의학용 젤, 바이오 세라믹 소재 및 좁쌀, 메밀과 같은 곡물류가 채용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중심부에는 상기 몸체부(10)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0)는 천 재질의 몸체부(10) 중앙 부근에 박음질함으로써 형성되는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몸체부(10)의 미관을 고려하여 좌우 대칭인 원형 또는 정사각형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20)는 몸체부(10)에 접촉되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이러한 접촉면적의 감소는 통기성 및 완충물에 축적된 열방출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쿠션이 방석, 베게 등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오목부(20)로 인해 종래의 쿠션과 달리 압박감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통풍으로 인해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목부(20)는 소정의 충전물(3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B)을 구비하며, 상기 공간(B)은 완충물이 채워지는 몸체부(10)의 공간(A)과 격리되어 있다. 상기 공간(B)에는 상술한 완충물과 동일한 재료가 충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건강보조물이 내재된다. 상기 건강보조물은 신체에 인접하게 둠으로써 건강 증진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맥반석, 옥, 황토알갱이 등의 석재와, 항균 및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진 숯 또는 다양한 기능성 치료효과를 가진 아로마, 한방약재 등이 채용가능하다. 상기 재료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며, 큰 덩어리가 아닌 분말인 경우에는 티백과 같은 팩 타입으로 팩킹하여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20)에는 상기 건강보조물을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된 립(lip)(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립(22)은 소정 크기의 건강보조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24)를 형성하고, 그 가장자리를 박음질하여 입술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립(22)을 입술 형상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투입구(22)에 내재되는 건강보조물이 빠지지 않도록 지퍼와 같은 잠금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및 도 2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 부재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의 중심부에 위치한 오목부(40)는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한 겹의 천(50)을 더 덧대어 박음질함으로써 별도의 공간(C)을 형성한다. 즉, 상기 공간(C)은 완충물이 채워지는 몸체부(10)의 공간(A) 및 오목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B)과 격리 형성된다. 따라서, 쿠션의 양면에는 서로 격리된 공간(B)(C)이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건강보조물을 각각의 오목부(40) 공간(B)(C)에 삽입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상면 또는 하면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은, 사용자가 의자에 기대거나 바닥에 앉을때 사용된다. 특히, 사용자가 본 쿠션을 깔고 앉게 되면, 몸체부(10)로부터 상대적으로 함몰형성된 오목부(20)(40)는 신체의 특정 부위와 밀접되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특히 여름과 같이 더울 때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땀이 차지 않게 된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맥반석, 옥, 황토 등의 석재나 항균성 및 흡수성이 뛰어난 숯 등의 건강보조물을 상기 오목부(20)(40)에 내재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인접 신체 부위의 혈액순환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의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치질 등과 같이 만성 질병에 시달리는 환자들에게는 별도의 치료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의 오목부(20)(40)에 각종 약재를 내재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장기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외형을 원형의 쿠션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쿠션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방석, 베게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몰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에 따르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신체와의 접촉면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접촉면에 땀이 차는 등의 불쾌감이 적다. 또한, 상기 오목한 중앙부에 원적외선 방출 물질, 항균 물질, 아로마 물질 등과 같은 기능성 건강보조물을 장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경우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두 겹의 천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완충물이 채워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 접촉되는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몸체부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소정의 충전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함과 동시에, 일측에 상기 공간에 충전물을 투입하기 위한 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완충물이 채워지는 공간과 격리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한 겹의 천을 덧대어 박음질함으로써 몸체부와 별도의 공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개구 가장자리에 박음질을 하여 입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오목부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내재되는 충전물이 빠지지 않도록 지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오목부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은 아로마, 한방약재, 맥반석, 숯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건강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보조물은 팩 타입으로 팩킹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KR20-2003-0021152U 2003-07-02 2003-07-02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KR200329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52U KR200329440Y1 (ko) 2003-07-02 2003-07-02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1152U KR200329440Y1 (ko) 2003-07-02 2003-07-02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440Y1 true KR200329440Y1 (ko) 2003-10-10

Family

ID=4941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1152U KR200329440Y1 (ko) 2003-07-02 2003-07-02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35Y1 (ko) * 2010-02-26 2011-03-10 김광현 수유용 방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35Y1 (ko) * 2010-02-26 2011-03-10 김광현 수유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KR100718338B1 (ko)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US20120186022A1 (en) Pillow
US6701555B1 (en) Dual-filled, adjustable postural health pillow
JP2007082590A (ja) 機能性枕
KR102152448B1 (ko) 숙면 유도용 기능성 베개
KR20180001580U (ko) 경추 보호용 베개
KR200329440Y1 (ko) 기능성 수납부가 마련된 쿠션
KR101104724B1 (ko) 입체 봉제를 이용한 경추 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CN209047812U (zh) 一种分区深睡新型枕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101557145B1 (ko) 높낮이 조절용 기능성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200468268Y1 (ko) 전신베개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CN210540207U (zh) 一种护腰垫
WO2012004693A1 (es) Almohada ortopédica multifuncional con cubierta externa en tela y rellena con una pluralidad de partículas o piezas estructuradas a base de polímero no contaminante con forma de lenteja
KR20130003617U (ko) 유아용 베개
CN212995831U (zh) 软硬双面珠子枕芯
KR200453477Y1 (ko) 목받침 베개
KR102162327B1 (ko) 공기주입이 가능한 다기능 에어쿠션
CN212088917U (zh) 一种具有良好支撑的透气床垫
CN211609033U (zh) 一种神经科用医用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