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23A -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023A
KR20230159023A KR1020220058868A KR20220058868A KR20230159023A KR 20230159023 A KR20230159023 A KR 20230159023A KR 1020220058868 A KR1020220058868 A KR 1020220058868A KR 20220058868 A KR20220058868 A KR 20220058868A KR 20230159023 A KR20230159023 A KR 20230159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pace
neck
height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민
최재규
김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랑예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랑예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랑예감
Priority to KR102022005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023A/ko
Publication of KR2023015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0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베고 누웠을 경우에 밀림이 방지되고 동시에 높이가 조절가능한 배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눕는 자세에 따라서 높이 조절에 의하여 베개의 머리와 닿는 부분과 어깨의 높낮이에 따라서 목을 보호하고 동시에 머리가 닿는 부분이 서로 다른 촉감을 갖도록 하면서 항균이나 습도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Functional pillow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nd induces comfortable sleep}
본 발명은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베고 누웠을 경우에 밀림이 방지되고 동시에 높이가 조절가능한 배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눕는 자세에 따라서 높이 조절에 의하여 베개의 머리와 닿는 부분과 어깨의 높낮이에 따라서 목을 보호하고 동시에 머리가 닿는 부분이 서로 다른 촉감을 갖도록 하면서 항균이나 습도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통상 사람이 수면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 머리와 목을 받치는 도구로 알려진 베개는 베개를 싸고 있는 베갯잇과 그 안에 들어간 베개속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베개는 인간의 머리가 경추보다도 약간 앞으로 굽은 인간의 신체 구조상 맨 땅에 누우면 머리가 뒤로 젖혀져 불편한 느낌을 받게 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혹자는 건강을 위해선 낮은 베개를 베고 자거나, 아예 베고 베지 않는 것이 편하다고 하는데 이는 체형에 따라 또는 어디에서 수면을 취하는지에 따라서 맞는 말일 수 있고 틀린 말 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높은 베개를 베고 잘 경우, 얼굴이 붓기 쉽고 목의 근육이 경추로부터 이완되어 목이 점점 굵어진다고 알려져 있고, 따라서 미용에 신경을 쓰는 사람일 경우에는 이러한 높은 베개는 상당히 해롭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베개는 사람의 목뼈를 L자형(소위 말하는 자라목)으로 만드는데, 목디스크 내지는 어깨결림을 악화시킬 가능성도 있고, 평소에 목이 많이 뻐근한 사람일수록 높은 베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오히려 낮은 베개가 목뼈를 정상적인 C자형으로 만들 수 있어서 더 이로운 것이라 알려져 있는 것이다.
반면 베개를 아예 베지 않고 자게 되면 머리가 경추보다 낮아지게 되면서 피가 머리로 몰리기 때문에 피로감이 쉽게 해소되지 않아 평소보다 많은 잠을 자게 되며, 일어나더라도 전혀 개운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낮은 베개는 평소에 옆으로 누워서(모로눕는 형태)잠드는 습관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어깨 높이가 있기 때문에 오히려 더 목에 많은 부담를 주게되고 특히 어깨가 넓은 사람이 모로 누워 잔다면 낮은 베개는 더욱더 불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현재 베개의 종류로 알려진 것으로는 형태적으로는 원통형의 형태와 납작한 형태가 존재하는데 원통형의 베개속은 통상 메밀을 충전하는데 장점으로는 자연의 소재라 시원하고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고 베개의 높낮이 조절이 충전양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사용기간이 길면 메밀이 부서지고 이로 인하여 분진이 날릴 수 있고 메일이 흡수된 습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햇볕에 말려 관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납작한 베개속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는 통상 메모리폼이라 하여 라텍스로서 푹신한 감으로 인하여 체형을 받쳐줘 편안한 것인 반면에 수분의 흡수성이나 통기성이 좋지 않아 주기적으로 그늘에 말려줘야 하고 성형된 이후에는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며 특히 열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오랜기간 사용시 햇빛에 산화하여 부스러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이나 납작한 베개의 베개속으로 모두 사용가능한 것으로는 파이프칩(바이오/빨대)이 있는데 이것의 장점은 빨대 모양의 플라스틱 관체로 이루어져 여기에 균이 서식하지 않아 곰팡이나 진드기 걱정이 없고 충전양에 따라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세탁이 용이한 반면에 통기성은 좋지만 흡수성이 약하기 때문에 땀이 많은 사람에게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로 화이바(통상 폴리에스테르로 사용됨)의 장점은 먼지가 나지 않고, 충전재의 굵기가 여러 종류의 솜이 있기에 고급 제품부터 저가의 대중성이 있는 제품까지 다양하게 출시 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단점으로는 푹신푹신 한 솜이 메모리폼보다도 빨리 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세탁이 가능한 솜도 있지만 햇볕에 말려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납작한 베개의 베개속으로 사용되는 거위 오리털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따뜻하고 가볍지만 단점으로는 가격이 비싼 편으로 100% 거위 솜털로 만든다면 가격이 상당한 고가이면서 세탁 및 관리하기가 어렵다.
또한 원통형과 납작한 베개에 모두 사용가능한 비즈 즉 마이크로 비즈는 신축성, 탄력성,복원성이 뛰어나 푹신하게 압력이 분산되고, 시원하고 세탁이 용이한 반면에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 하고, 세탁후에는 스판 소재의 베갯잇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어 충전재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나무(편백/씨앗)의 장점은 통기성이 우수하고 친환경 적인 반면 딱딱한 소재가 많으며 땀과 물에 약하여 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나무로 된 목침이 있고 이러한 목침을 편백나무로 만들어 피톤치드 성분을 뿜어내는 것도 존재한다.
또한 목베개는 의자에 앉아서 잘 때 목과 머리를 지지해줘 편안하게 해주는 것으로 비행기나 이동하는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앉아있을 때 사용하지만 오래 의자에 앉아있어야 하는 곳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베개는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사용할 때는 풍선처럼 공기를 불어넣어 사용하고 사용치 않을 때는 공기를 빼서 부피를 극도로 줄여 휴대성을 높인 것도 있다.
또한 기능성베개로는 메모리폼이라 하여 몰랑몰랑한 재질의 것도 있고, 목 디스크를 치료하거나 경추의 치료를 위해 나온 목 베개들도 있다.
또한 코골이 방지와 편안한 숙면을 위한 전신베개(흔히 바디필로우라고 불린다.)또는 임산부를 위한 베개 등 다양한 베개들이 단순히 숙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좀 더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들을 위해 나오는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베개들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수면을 도와주는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베개의 형태와 베개속에 따라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참고로 수면방해요인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수면으로 빠지는 것으로부터 방해한다고 알려져 있고, 그러나 수면을 위하여 마시는 술은 눈만 감을 뿐 신체의 다른 기관들은 소화와 흡수를 위하여 일하게 되니 숙면을 방해하는 요소 중 하나라는 사실은 주지의 사실인 것이다.
또한 잠드는데 30분 이상 걸린 다거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베개가 비틀어져 있거나 베개의 모서리 부분을 베고 자고 있다거나 베개가 행방불명 되어 있거나, 개운하지 않거나, 팔 베개를 하고 자고 있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베개가 자신의 수면상태와 맞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잘못된 베개를 베었을 때 일자목, 두통, 목 부위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방치되면 목 디스크에 걸릴 수도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나에게 맞는 베개를 찾아야 하는 것이다.
현재 나에게 맞는 베개라고 한다면 체형에 맞는 높이를 찾아 베었을 때 편안할 것과 수면 습관에 적합한 넓이와 높이를 찾을 것과 통기성과 소재의 지지성을 보고 편안한 베개 속을 찾을 것과 침대 매트리스의 푹신한 정도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고려 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중인 베개는 제조자가 특정한 방식과 형태로 제조된 것을 골라서 구입하여야 하는 것이라 이럴 경우에 통상 여러개의 베개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도 본원에 맞는 베개를 사용치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납작한 베개형태에서 반듯하게 누워서 잘 경우 또는 모로 누워서 잘 경우에도 목의 안정적인 받침이 가능하고, 동시에 목받침이 가능하면서 머리가 좌우로 돌아가지 않토록 함은 물론 간단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베갯속이 일측면과 타측면이 서로 다른 베갯속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베개에서 높이 조절은 물론 습의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낮은 베개형태를 취하면서도 높이 조절과 서로 다른 베갯속을 구비하기 위하여 베갯잇을 입자가 충전된 제1공간부와 그 하단에 지퍼로 개폐되어지는 제2공간부를 구비토록 하여 제1공간부에 입자가 충전되면 제2공간부에는 솜이나 메모리폼이 별도의 커버체로 감싸여진 상태에서 지퍼수단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충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는 차단천으로 구획되게 봉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2공간부가 구비되는 베갯잇의 하단면에는 논슬립수단을 구비토록 한 것이고, 이때 논슬립수단은 숯분말을 함유한 실리콘이 입자형태로 코팅되어지는 것이어서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숯에 의한 습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마찰력이 큰 실리콘에 의한 논슬립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머리의 목받침과 받쳐진 머리가 좌우로 움직임 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하여 또는 목받침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제1공간부를 복수의 종재라인에 의하여 구획토록 하여 입자의 유동에 다른 낮은 베개의 하변과 상변으로 입자가 몰림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베개를 베고 눕는 방향에 따라서 입자를 몰림이 가능토록 하고 몰림된 이후에는 쉽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뒷머리가 받쳐지는 부분에는 다이어몬드 형태로 4개의 봉재라인부를 구비토록 하고, 봉재라인부의 좌우로는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만곡봉재라인을 구비토록 하고 봉재라인부의 하부로는 상측으로 만곡되는 봉재라인을 구비토록 하고, 상측으로 만곡되는 봉재라인의 좌우로는 외측만곡라인의 외측으로 봉재라인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봉재라인집단부와 좌우에 구비되는 외측만곡봉재라인부의 상부로는 봉재라인이 없이 개구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납작한 베개이면서 또는 일측면에 입자나 비드로 충전되면서도 타측면에는 솜이나 메모리폼이 충전되어지는 것이이 탈착되는 것이어서 높이조절은 물론 다양한 체형이나 사용자의 사용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고, 전체적인 형상도 상변과 하변이 내측으로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각각 다른 만곡각을 갖게 되어 목의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인 사용도 가능토록 되고, 입자나 비드가 충전된 제1공간부는 솜이나 메모리폼이 탈착되는 부분과 격리된 상태에서 입자나 비드로 충전된 제1공간부가 차단천에 의하여 누출을 방지하면서 베갯잇의 표면과 차단천을 다양한 형태의 봉재라인에 의하여 입자나 비드의 흐름을 단속토록 함으로서 베개를 사용하는 도중에 변형되어짐도 방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은 물론 다양성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납작한 베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제2공간부에 솜이나 메모리폼이 커버체로 감싸여진 충전체가 탈착되어지는 상태의 일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베갯잇의 봉재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공간부에 충전된 입자가 측변에 각각 몰린상태의 단면도
도5a,b는 본 발명의 제1공간부에 충전된 입자의 베갯속이 유동되면서 하변과 상변에 각각 몰린상태의 단면도
도6a,b은 본 발명의 솜이나 메모리폼이 커버체로 감싸여진 충전체가 제2공간부로 삽입되어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일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베갯잇의 일면에 논슬립수단이 구비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가 차단천으로 구획되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봉재라인이 베갯잇의 표면과 이면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납작하고 통상 장방형의 형태이면서 표면과 이면이 평면상이면서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베개(100)의 형태를 취하는 것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납작하면서도 높이 조절과 서로 다른 베갯속을 구비하기 위하여 베갯잇(110)을 입자나 비드가 누출이 방지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충전된 제1공간부(111)와 그 하단에 일측변에서 지퍼(118)로 개폐되어지는 제1공간부와 구획되어지는 제2공간부(112)를 구비토록 하여 제1공간부(111)에 입자 또는 비드(119)가 제1공간부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충전되면 제2공간부(112)에는 솜이나 메모리폼(121)이 별도의 커버체(120)로 감싸여진 상태에서 지퍼(114)의 개폐에 의하여 제2공간부(112)에서 탈착가능하게 충전되어지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베갯속을 상술한 바와 같이 2종으로 구비토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폭을 확대하여 수면직전의 상태에 따라서 하나의 베개로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높이 조절도 가능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솜이나 메모리폼(121)이 별도의 커버체(120)로 감싸여진 상태에서의 커버천(120)을 일면은 3d메쉬로 이루어진 망사체로 사용하고, 타측면은 대나무원단을 사용토록 함으로서 수면시에 통기성은 물론 대나무 향에 의한 베개의 또 다른 기능적인 부분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공간부(111)와 제2공간부(112)는 입자나 비드의 누출이 없고 통기는 가능하면서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천(113)으로 구획되게 봉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베갯잇(110)은 표면(114)과 이면(115)이 테두리면(116)에 의하여 입체감을 갖도록 봉착되어지는 것이고 표면과 이면의 사이에는 차단천(113)이 테두리면(116)과 구획봉재라인(117)에 의하여 봉재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획봉재라인(117)은 베개(100)의 전체적인 외관의 굴곡을 제공하면서 새로운 미감을 증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베갯잇(110)을 일반천이 아니라 통기성이 우수한 3D 망사천 또는 망사천(110a)에 스폰지(110b)와 직조되어진 직물지(110c)를 3중으로 합지토록 한 것을 사용하여, 3D 망사천 또는 망사천에 의하여 베개와 접촉된 피부의 통기성을 증대시키면서도 스폰지에 의한 부드러움을 제공토록 하고, 직물지를 사용하여 입자나 비드 등이 제1공간부에 충전된 상태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망사천(110a)을 3d메쉬 형태이면서 잦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 향이 첨가한 실로 제직함으로서 베개를 베고 누웠을 경우에 피톤치드의 은은한 향에 의하여 수면유도도 더욱 우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히 베갯잇을 구성하는 이면은 망사천(110a)의 상층으로 숯천(110d)을 더 합지토록 한 것을 사용하여 숯 특유의 습의 조절은 물론 항균성 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때 숯천(110d)에는 논슬립을 위한 논슬립코팅층(10)이 구비되어져 베개를 바닥면이 매끄러운 곳에 대고 베고 누웠을 경우에도 베개(100)가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표면과 이면을 연결하는 테두리면이나 차단천도 표면을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제2공간부에 탈착되어지는 커버천에 솜이나 메모리폼이 수용된 보조베개(200)의 통기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납작하고 장방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베개(100)를 전체적인 형상을 하변(101)이 상변(10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변과 하변은 각각 내측으로 만곡되게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변(103)은 상변에서 하변으로 경사지게 만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하변의 내측으로 만곡진 깊이는 상변보다 크게 이루어져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제1,2공간부(111,112)가 구비되는 베갯잇(110)의 이면(115)에는 논슬립수단으로 코팅층(10)을 구비토록 한 것이고, 이때 논슬립수단(10)은 숯분말을 함유한 실리콘이 일정한 무늬형태로 배열되게 코팅되어 돌출되어지는 것이어서 인체에 무해함은 물론 숯에 의한 습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코팅층(10)이 숯천에 구비됨으로 마찰력이 큰 실리콘에 의한 논슬립도 가능하게 되면서 습의 조절이나 항균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목 받침과 목이 받쳐진 상태에서 머리가 받쳐지고, 그 상태에서 받쳐진 머리가 좌우로 움직임 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하여 또는 목 받침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제1공간부(111)를 베갯잇의 표면과 차단천의 사이로 복수의 봉재라인에 의하여 구획토록 하여 제1공간부에 충전된 입자나 비드의 유동에 따라 납작한 베개(100)의 하변(101)과 상변(102)으로 입자가 몰림이 선택적으로 가능토록 하고 몰린상태에서는 사용시 즉 목 받침이나 머리의 받침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입자나 비드가 유동되지 않토록 봉재라인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베개(100)를 목에 밀착되게 베고 눕는 방향(예를 들어 바로 눕거나 모로 누울 경우 또는 목의 위치가 등과 간격이 클 경우와 작을 경우)에 따라서 비드나 입자를 하변이나 상변으로 몰림이 가능토록 하고 몰림된 이후에는 쉽게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목 뒷부분을 베개(100)의 하변이나 상변의 만곡면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받침 목 부분이 받쳐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놓여져 받쳐지는 평면한 면에는 다이아몬드나 삼각형의 형태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를 이격간격이 거의 동일하게 구비토록 하여 상변이나 하변의 만곡면에 둥그런 목 뒷부분이 밀착되면서 목이 상변과 하변의 받침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동일한 압력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에 밀착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에 뒷 머리가 놓여진 상태에서 머리가 좌우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의 좌우측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와 일정간격이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30)을 구비하여 그 외측으로 입자가 충전된 상태에서 볼록면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이때 긴 만곡봉재라인은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가 구비된 상하폭보다 더 길게 구비토록 한 것이고 긴 만곡봉재라인의 하단은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의 상단이나 하단의 어느 하나는 동일선상이면서 다른 하나는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의 상단이나 하단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의 하부로는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40)을 구비토록 하여 목 받침면을 구비토록 하고,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40)의 좌우로는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30)의 외측 하단보다 내측에 위치되어지고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좌우폭보다는 길에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40)의 일정거리 이격된 좌우로는 1개의 짧은 봉재라인(50)을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3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의 외측으로 각각 더 구비토록 함으로서 입자나 비드의 유동을 더욱더 단속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와 그 좌우에 구비되는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30)의 상단의 상부로는 하변의 목 받침면보다 폭이 넓은 목 받침면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20)의 봉재점에 의하여 받쳐진 목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도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입자 또는 비드는 숯 함유 비드를 사용함으로서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 신체에서 발생되는 습의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습이니 항균등의 조절도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논슬립코팅층 20:봉재라인집단부
30:만곡봉재라인 40: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
50:짧은 봉재라인
100:베개 101:하변
102:상변 103:좌우변
110:베갯잇 110a:망사천
110b:스폰지 110c:직물지
110d:숯천 111:제1공간부
112:제2공간부 113:차단천
114:표면 115:이면
116:테두리면 117:구획봉재라인
118:지퍼 119:비드
120:커버체 121:메모리폼
200:보조베개

Claims (4)

  1. 납작하고 표면과 이면이 평면상이면서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베개의 베갯잇을 입자나 비드가 누출이 방지되면서 유동이 가능하게 충전된 제1공간부와 그 하단에 일측변에서 지퍼로 개폐되어지는 제2공간부를 제1공간부와 구획되어지게 구비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솜이나 메모리폼이 별도의 커버체로 감싸여진 상태에서 지퍼의 개폐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충전되어지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은 표면과 이면이 테두리면에 의하여 입체감을 갖도록 봉착되어지고 표면과 이면의 사이에는 차단천이 테두리면과 구획봉재라인에 의하여 봉재되어 베개의 전체적인 외관의 굴곡을 제공하고,
    상기 베개의 제1공간부를 베갯잇의 표면과 차단천의 사이로 복수의 봉재라인에 의하여 구획토록 하여 제1공간부에 충전된 입자나 비드의 유동에 따라 납작한 베개의 하변과 상변으로 입자가 몰림이 선택적으로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목 뒷부분을 베개의 하변이나 상변의 만곡면에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받침 목 부분이 받쳐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놓여져 받쳐지는 평면한 면에는 다이아몬드나 삼각형의 형태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를 이격간격이 거의 동일하게 구비토록 하고,
    상변이나 하변의 만곡면에 둥그런 목 뒷부분이 밀착되면서 목이 상변과 하변의 받침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뒷머리가 동일한 압력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에 밀착가능토록 하고,
    상기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에 뒷 머리가 놓여진 상태에서 머리가 좌우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좌우측으로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와 일정간격이 이격된 위치에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을 구비하여 그 외측으로 입자가 충전된 상태에서 볼록면을 구비토록 하고,
    상기 4개의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하부로는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을 구비하고, 상측으로 만곡되는 긴 봉재라인의 좌우로는 외측으로 만곡되어진 긴 만곡봉재라인의 외측 하단보다 내측에 위치되어지고 짧은 봉재라인집단부의 좌우폭보다는 길에 구비되어지는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갯잇을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천(110a)에 스폰지(110b)와 직조되어진 직물지(110c)를 3중으로 합지토록 한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천(110a)을 3d메쉬 형태이면서 잦나무에서 추출한 피톤치드 향이 첨가한 실로 제직되는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변의 내측으로 만곡진 깊이는 상변보다 크게 이루어져 목과 어깨를 연결하는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토록한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KR1020220058868A 2022-05-13 2022-05-13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KR20230159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68A KR20230159023A (ko) 2022-05-13 2022-05-13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68A KR20230159023A (ko) 2022-05-13 2022-05-13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023A true KR20230159023A (ko) 2023-11-21

Family

ID=8898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868A KR20230159023A (ko) 2022-05-13 2022-05-13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0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917B1 (ko) 머리받침이 안락하면서 높이조절가능한 베개
US5437070A (en) Multiple use pillow
US20130227784A1 (en) Pillow case with a functionalized flap
EP3319487B1 (en) Pillow with multi-layer sleep surfaces and multi-chamber inner body core
US6701555B1 (en) Dual-filled, adjustable postural health pillow
JP2007082590A (ja) 機能性枕
RU2607968C1 (ru) Пос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арианты)
CN201403933Y (zh) 一种绿茶枕
KR20230159023A (ko) 높이조절이가능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성배게
CN2887171Y (zh) 健康荞麦枕
JP2003235708A (ja) 機能性枕
CN214905677U (zh) 一种天然本色面料枕头
JP3147396U (ja) 快眠枕
CN202604327U (zh) 健康荞麦记忆棉枕芯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JP2001137076A (ja) 寝 具
JP2009201961A (ja) 最適な枕
CN215533368U (zh) 一种抗菌电脑绗缝枕套
JP3230101U (ja) 寝具用枕及び枕カバー
CN210276594U (zh) 一种加热床垫
CN212346094U (zh) 一种可调节海绵枕
CN217447291U (zh) 一种护颈枕芯
CN217447283U (zh) 一种羽绒颈椎拉伸枕
CN215583763U (zh) 一种自动调温枕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