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359B1 -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 - Google Patents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359B1
KR101720359B1 KR1020117020787A KR20117020787A KR101720359B1 KR 101720359 B1 KR101720359 B1 KR 101720359B1 KR 1020117020787 A KR1020117020787 A KR 1020117020787A KR 20117020787 A KR20117020787 A KR 20117020787A KR 101720359 B1 KR101720359 B1 KR 10172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silane coupling
coupling agen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202A (ko
Inventor
요시히사 히로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1013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1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ative,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 B01J20/286Phases chemically bonded to a substrate, e.g. to silica or to polymers
    • B01J20/287Non-polar phases; Reversed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01D15/08Selective adsorption, e.g.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4In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14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 B01J20/3225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involving a post-treatment of the coated or impregnated product
    • B01J20/3227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obtaining this coating or impregnating involving a post-treatment of the coated or impregnated product by end-capping, i.e. with or after the introduction of functional or ligand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42Layers with a functional group, e.g. an affinity material, a ligand, a reactant or a complexing group
    • B01J20/3244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3246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 well defined chemical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50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or stationary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54Sorbents specially adapted for analytical or investigative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발명에 따른 충전제의 제조방법은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탄소수 2이상 8이하의 알케닐기 및/또는 탄소수 2이상 7이하의 알키닐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제 1 공정; 및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를, 일반식
[식 1]
Figure 112015020918011-pct00013

(식중, R1은 탄소수 4이상 50이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이상 30이하의 아릴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또는 탄소수 1이상 4이하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제 2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PROCESS FOR PRODUCING FILLER, FILLER, AND COLUMN}
본발명은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되는 칼럼에 충전되는 충전제로서 실리카겔 표면의 실란올기를 각종 실란커플링제로 실릴화하여 화학수식(chemical modification)한 것이 범용되고 있었다.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옥타데실클로로 실란화합물, 옥틸클로로 실란화합물, 부틸클로로 실란화합물, 시아노프로필클로로 실란화합물, 페닐클로로 실란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옥타데실클로로 실란화합물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충전제는 실리카겔 표면에 실란올기가 잔존하기 때문에 극성물질 특히 염기성물질과의 상호작용이 크고, 칼럼의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peak tailing)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래의 특허문헌 1에는 화학수식된 실리카겔 또는 다공질유리에 잔존한 실란올기와 엔드캡제를 기체상태에서 250℃이상의 반응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도 실리카겔 또는 다공질유리의 표면에는 여전히 실란올기가 잔존하기 때문에 칼럼의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을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12058호
본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이 작은 칼럼을 제작할 수 있는 충전제의 제조방법, 그 충전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제 및 그 충전제가 충전되어 있는 칼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충전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탄소수 2이상 8이하의 알케닐기 및/또는 탄소수 2이상 7이하의 알키닐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제 1 공정; 및 상기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를 일반식
[식 1]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1
(식중, R1은 탄소수 4이상 50이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이상 30이하의 아릴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또는 탄소수 1이상 4이하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제 2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충전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은 상기 무기입자를 상기 탄소수 2이상 8이하의 알케닐기 및/또는 탄소수 2이상 7이하의 알키닐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공정; 및 그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를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갖지 않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충전제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충전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칼럼에 있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충전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칼럼에 있어서 아미트립틸린의 테일링계수가 0.9이상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이 작은 칼럼을 제작할 수 있는 충전제의 제조방법, 그 충전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제 및 그 충전제가 충전되어 있는 칼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의 테일링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의 테일링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의 테일링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발명의 충전제의 제조방법은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탄소수 2~8의 알케닐기(alkenyl group) 및/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alkynyl group)를 갖는 실란커플링제(이하, 제 1 실란커플링제라고 한다)를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제 1 공정; 및
이러한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를 일반식
[식 2]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2
(식중, R1은 탄소수 4~5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의 아릴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제 2 공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무기입자의 표면에 탄소수 4~5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30의 아릴기를 도입하기 전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와 실란커플링제를 반응시키므로 무기입자의 표면근방의 히드록실기의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이 작은 충전제가 얻어진다.
제 1 실란커플링제가 탄소수 9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경우 및/또는 탄소수 8이상의 알키닐기를 갖는 경우에는 입체장해(steric hindrance)때문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와 실란커플링제의 반응이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에서 R1가 탄소수 3이하의 알킬기이면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이 작은 충전제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R1가 탄소수 51이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31이상의 아릴기이면 입체장해때문에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및/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가 도입된 무기입자와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반응이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나아가, R2 또는 R3가 탄소수 5이상의 알킬기이면 입체장해때문에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및/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가 도입된 무기입자와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반응이 진행하기 어려워진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카,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겔, 다공질유리, 모노리스실리카 등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공질입자가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는 평균입경이 1~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공질입자는 세공직경이 1~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50㎚가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공질입자는 비표면적이 50~800m2/g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600m2/g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원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와 히드록실기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입자 등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유기무기하이브리드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옥타데실디메틸실란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본발명의 제 1 공정에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제 1 실란커플링제와만 반응시켜도 되지만, 알케닐기의 도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란커플링제 및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갖지 않는 실란커플링제(이하, 제 2 실란커플링제라고 한다)와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소정량의 제 1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후, 과잉량의 제 2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무기입자의 표면의 알케닐기 및/또는 알키닐기의 도입량을 제어함과 동시에 히드록실기의 잔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공정에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제 1 실란커플링제 및/또는 제 2 실란커플링제와 복수회 반응시켜도 된다.
제 1 실란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식
[식 3]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3
(식중, R1, R2, R3 및 R4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이고, R1, R2, R3 및 R4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원자, 할로겐기, 히드록실기 또는 탄소수 1~4의 알콕실기이고, 그 외의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8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알킬기, 탄소수 2~8의 치환 알케닐기, 탄소수 2~7의 치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아릴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4]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4
(식중, n은 1~100이고, R1, R2, R3 및 R4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이고, 그 외의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히드록실기, 비닐디메틸실록시기, 탄소수 1~4의 알콕실기, 탄소수 1~8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알킬기, 탄소수 2~8의 치환 알케닐기, 탄소수 2~7의 치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아릴기이고, 복수의 R1 및 R3 그리고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R3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5]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5
(식중, n은 3~50이고, 복수의 R1 및 R2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이고, 그 외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히드록실기, 탄소수 1~4의 알콕실기, 탄소수 1~8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알킬기, 탄소수 2~8의 치환 알케닐기, 탄소수 2~7의 치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아릴기이고, X는 옥시기 또는 이미노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6]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6
(식중 복수의 R1, R2 및 R3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이고, 그 외의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히드록실기, 탄소수 1~4의 알콕실기, 탄소수 1~8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알킬기, 탄소수 2~8의 치환 알케닐기, 탄소수 2~7의 치환 알키닐기 또는 탄소수 6~12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아릴기이고, X는 단결합, 이미노기 또는 일반식
[식 7]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7
(식중,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트리메틸실릴기이고, n은 1~8의 정수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1,1-비스(트리메톡시실릴메틸)에틸렌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일반식 (2)~(5)에서 탄소수 2~8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7의 알키닐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의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닐기, 에티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할로겐기로서는 무기입자가 갖는 히드록실기와의 축합반응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클로로기, 브로모기, 요오드기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에서의 치환기로서는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치환기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아노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술포기, 아미노기, 글리세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페녹시실란, 비닐페닐메틸실란, 비닐페닐메틸클로로실란, 비닐페닐디에톡시실란, 비닐페닐디클로로실란, 비닐디페닐클로로실란, 비닐디페닐에톡시실란, 비닐옥틸디클로로실란, 비닐디메틸실란, 비닐디메틸클로로실란, 디비닐디클로로실란, 트리비닐클로로실란, 트리비닐메톡시실란, 트리비닐에톡시실란, 트리비닐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1,5-디비닐-3,3-디페닐-1,1,5,5-테트라메틸트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4)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1,3,5-트리비닐-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트리비닐-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5)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실란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식
[식 8]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8
(식중,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9의 알킬기이고, X는 단결합 또는 이미노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9]
Figure 112011069487145-pct00009
(식중, n은 0~50이고, 복수의 R1, R2 및 R3중 1~3개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콕실기이고, 그 외의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9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10]
Figure 112011069487145-pct00010
(식중, n은 1~50이고,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9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일반식
[식 11]
Figure 112011069487145-pct00011
(식중, n은 3~10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9의 알킬기이고, X는 옥시기 또는 이미노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상기 일반식(6)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헥사메틸디실란, 헥사메틸디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7)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에틸메틸실란, 트리에틸실란, 트리메틸메톡시실란,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1,1,3,3,5,5-헥사메틸트리실록산, 1,3-디메톡시테트라메틸디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8)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헥사메틸디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9)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서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본발명에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와 실란커플링의 반응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톨루엔 등 용매의 존재하에 0~400℃에서 30분~72시간동안 반응시킨다.
또한, 제 2 공정에서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와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반응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톨루엔 등 용매의 존재하에 50~300℃에서 2시간 이상 반응시킨다. 촉매로서는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또는 백금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팔라듐화합물 또는 백금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팔라듐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팔라듐(II), 염화테트라안민팔라듐(II)산암모늄, 산화팔라듐(II), 수산화팔라듐(II) 등을 들 수 있다. 백금화합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염화백금(II), 테트라클로로백금산(II), 염화백금(IV), 헥사클로로백금산(IV), 헥사클로로백금산(IV)암모늄, 산화백금(II), 수산화백금(II), 이산화백금(IV), 산화백금(IV), 이황화백금(IV), 황화백금(IV), 헥사클로로백금(IV)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 2 공정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무기입자에 잔존한 실란커플링제 유래의 실란올기를 봉쇄하여도 된다.
본발명의 칼럼은 본발명의 충전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제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염기성물질의 피크 테일링이 작고, 구체적으로는 아미트립틸린의 테일링계수를 0.9~2.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칼럼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할 수 있고 시료를 분석 또는 분취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평균입자경 5㎛, 비표면적 450㎟/g의 실리카겔 1g을 앰플에 넣어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앰플을 냉각한 후 질소분위기하에서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0.55㎖를 첨가하여 밀폐하고 350℃에서 1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으로 생성물을 꺼내어 클로로포름 10㎖ 및 메탄올 1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자 0.7g을 탈수톨루엔 3㎖중에 분산시킨 후 옥타데실디메틸실란 3.1㎖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다음으로 염화백금산의 3질량% 톨루엔용액 14.45㎕를 첨가하여 70℃에서 8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10㎖ 및 메탄올 1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 감압건조하여 충전제를 얻었다.
[실시예 2]
평균입자경 5㎛, 비표면적 450㎟/g의 실리카겔 15g을 탈수톨루엔 60㎖중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으로 피리딘 5.79㎖ 및 비닐트리클로로실란 3.12㎖를 첨가하여 3시간동안 가열환류한 후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톨루엔 100㎖, 아세토니트릴 100㎖ 및 60질량%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100㎖로 세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60질량%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100㎖중에 분산시켜 실온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잔류물을 60질량% 아세토니트릴 100㎖ 및 메탄올 10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자는 탄소함유량이 4.00질량%였다.
얻어진 입자 2g를 앰플에 넣어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앰플을 냉각한 후 질소분위기하에서 디메틸디메톡시실란 0.416㎖를 첨가하여 밀폐하고 35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으로 생성물을 꺼내어 클로로포름 20㎖ 및 메탄올 2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자 0.7g를 탈수톨루엔 3㎖중에 분산시킨 후 옥타데실디메틸실란 3.1㎖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그 다음으로 염화백금산의 3질량% 톨루엔용액 14.45㎕를 첨가하여 70℃에서 8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 10㎖ 및 메탄올 1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여 충전제를 얻었다.
[비교예 1]
실리카겔 10g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한 후 냉각하여 탈수톨루엔 40㎖중에 분산시켰다. 그 다음으로 피리딘 0.8㎖ 및 옥타데실디메틸클로로실란 3.3㎖를 첨가하여 3시간 가열환류한 후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톨루엔 100㎖, 클로로포름 100㎖ 및 메탄올 10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자 5g을 앰플에 넣어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였다. 앰플을 냉각한 후 질소분위기하에서 헥사메틸실라잔 1.0㎖를 첨가하고 밀폐하여 25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으로, 생성물을 꺼내어 클로로포름 50㎖ 및 메탄올 100㎖로 세정한 후 120℃에서 10시간동안 감압건조하여 충전제를 얻었다.
[테일링계수의 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충전제를 칼럼에 충전한 후 20mM 인산완충액:아세토니트릴이 60:40(체적비)인 이동상(mobile phase)을 이용하여 강염기성물질인 아미트립틸린의 테일링계수를 측정하였다.
도 1, 도 2 및 도 3의 각각에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의 테일링계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은 테일링계수가 1.39, 이론단수가 6313였고, 실시예 2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은 테일링계수가 1.15, 이론단수가 7814였다. 한편, 비교예 1의 충전제를 충전한 칼럼은 테일링계수가 2.19, 이론단수가 3292였다.
본국제출원은 2009년 3월 1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9-5929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본특허출원 제2009-59290호의 모든 내용을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5)

  1. 히드록실기를 갖는 무기입자를, 탄소수 2이상 8이하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이상 7이하의 알키닐기 또는 둘 다를 갖는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제 1 공정; 및
    상기 제1 공정에서 무기입자와 반응시킨 실란커플링제 중의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 또는 둘 다를, 일반식
    [식 1]
    Figure 112016103505825-pct00012

    (식중, R1은 탄소수 4이상 50이하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이상 30이하의 아릴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또는 탄소수 1이상 4이하의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제 2 공정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은
    상기 무기입자를 상기 탄소수 2이상 8이하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2이상 7이하의 알키닐기 또는 둘 다를 갖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공정; 및
    상기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킨 무기입자를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를 갖지 않는 실란커플링제와 반응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충전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
  4. 제 3 항에 기재된 충전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5. 제 4 항에 있어서,
    아미트립틸린의 테일링계수가 0.9이상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KR1020117020787A 2009-03-12 2010-03-11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 KR101720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9290 2009-03-12
JPJP-P-2009-059290 2009-03-12
PCT/JP2010/054119 WO2010104151A1 (ja) 2009-03-12 2010-03-11 充填剤の製造方法、充填剤及びカ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202A KR20110131202A (ko) 2011-12-06
KR101720359B1 true KR101720359B1 (ko) 2017-03-27

Family

ID=4272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787A KR101720359B1 (ko) 2009-03-12 2010-03-11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73022B2 (ko)
EP (1) EP2407779A4 (ko)
JP (1) JP5620902B2 (ko)
KR (1) KR101720359B1 (ko)
CN (1) CN102348974B (ko)
BR (1) BRPI1009421A2 (ko)
RU (1) RU2523484C2 (ko)
WO (1) WO20101041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3553B2 (ja) * 2010-09-10 2016-09-14 株式会社 資生堂 充填剤の製造方法
US9847302B2 (en) * 2013-08-23 2017-12-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Wafer surface conditioning for stability in fab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197A (ja) * 2003-11-26 2005-06-16 Dokai Chemical Industries Co Ltd 耐アルカリ性化学修飾型シリカ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42038A1 (en) 2004-04-30 2005-11-03 Wu Chen Novel stationary phases for use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O2007114144A1 (ja) 2006-03-29 2007-10-11 Daiso Co., Ltd. 修飾シリカゲル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8125A (en) * 1972-08-25 1974-04-30 Phillips Petroleum Co Chromatographic apparatus
US3878092A (en) * 1973-03-12 1975-04-15 Phillips Petroleum Co Chromatographic colums
US4029583A (en) * 1975-02-28 1977-06-14 Purdue Research Foundation Chromatographic suppor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the same
DE2621974A1 (de) * 1976-05-18 1977-11-24 Max Planck 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r kovalenten bindung mit biologisch aktivem material befaehigten traegermaterials
EP0470255B1 (en) * 1990-01-26 1994-06-01 Shiseido Company Limited Chromatographic packing and preparation thereof
DE69101149T2 (de) 1990-02-22 1994-07-07 Chemicals Inspection & Testing Methode zur Herstellung einer Packung für Flüssigkeitschromatographie sowie das so hergestellte Material.
JP2611545B2 (ja) 1990-02-22 1997-05-21 財団法人化学品検査協会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方法
US5316680A (en) * 1992-10-21 1994-05-31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Multimodal chromatographic separation media and process for using same
US5522994A (en) * 1995-02-01 1996-06-0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Single column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small molecules in mixtures with large molecules
US6017458A (en) * 1997-08-27 2000-01-2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eparating materials for chromatography and electrophoresis applications comprising regiodefined functionalised cyclodextrins chemically bonded to a support via urethane functionalities
US6686035B2 (en) * 1999-02-05 2004-02-03 Waters Investments Limited Porous inorganic/organic hybrid particles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6802966B2 (en) * 2001-08-14 2004-10-12 W. R. Grace & Co. Conn. Solid compositions for selective adsorption from complex mixtures
JP3920177B2 (ja) * 2001-08-31 2007-05-30 株式会社資生堂 カラム充填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6994791B2 (en) * 2002-06-27 2006-02-07 Akzo Nobel N.V. Adsorbent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an adsorbent material
JP3986931B2 (ja) 2002-08-30 2007-10-03 株式会社資生堂 カラム充填剤及びその製造方法
CA2500903A1 (en) * 2002-09-13 2004-03-25 Pall Corporation Preparation and use of mixed mode solid substrates for chromatography adsorbents and biochip arrays
CA2458133C (en) * 2003-02-18 2011-12-20 Daiso Co., Ltd. Packings for liquid chromatography, process for preparing and usage
JP4673836B2 (ja) * 2003-03-25 2011-04-20 インストラクション・ゲーエムベーハー 少なくとも二価結合による基質の収着剤への選択的結合方法
US20060076296A1 (en) * 2004-10-13 2006-04-13 Wu Chen Novel stationary phases for use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20070090052A1 (en) * 2005-10-20 2007-04-26 Broske Alan D Chromatographic stationary phase
JP2008232802A (ja) 2007-03-20 2008-10-02 Kanto Chem Co Inc Odsシリカゲル充填剤の製造方法
JP2009059290A (ja) 2007-09-03 2009-03-19 Just Syst Corp 外国語文書作成支援装置、外国語文書作成支援方法および外国語文書作成支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4197A (ja) * 2003-11-26 2005-06-16 Dokai Chemical Industries Co Ltd 耐アルカリ性化学修飾型シリカゲ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242038A1 (en) 2004-04-30 2005-11-03 Wu Chen Novel stationary phases for use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O2007114144A1 (ja) 2006-03-29 2007-10-11 Daiso Co., Ltd. 修飾シリカゲル及びその利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73022B2 (en) 2012-05-08
BRPI1009421A2 (pt) 2016-03-01
CN102348974A (zh) 2012-02-08
RU2523484C2 (ru) 2014-07-20
US20110315618A1 (en) 2011-12-29
KR20110131202A (ko) 2011-12-06
RU2011140848A (ru) 2013-04-20
EP2407779A4 (en) 2014-01-22
JP5620902B2 (ja) 2014-11-05
JPWO2010104151A1 (ja) 2012-09-13
CN102348974B (zh) 2015-06-10
WO2010104151A1 (ja) 2010-09-16
EP2407779A1 (en)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ara et al. Simple preparation of a C8 HPLC stationary phase with an internal polar functional group
EP0579102B1 (en) Liquid chromatography stationary phases with reduced silanol interactions
EP0386926A2 (en) Silica gel supports suitable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US7125488B2 (en) Polar-modified bonded phase materials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s
EP0443860B1 (en) Method for preparing liquid chromatograph packing material, and material produced thereby
JP7156146B2 (ja) 親水性材料の疎水化方法
US9925515B1 (en) Alkyl functionalized porous silica liquid chromatographic stationary phases and solid phase extraction sorbents
KR101720359B1 (ko) 충전제의 제조방법, 충전제 및 칼럼
KR100886045B1 (ko) 컬럼 충전제 및 그 제조방법
JPWO2006001300A1 (ja) 高耐久性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
JP2611545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方法
US7033505B2 (en) Packings for liquid chromatography, process for preparing and usage
US7534352B2 (en) Reversed endcapping and bonding of chromatographic stationary phases using hydrosilanes
Hunnicutt et al. Reactivity of organosilane reagents on microparticulate silica
JP5993553B2 (ja) 充填剤の製造方法
JP2004271522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3986931B2 (ja) カラム充填剤及びその製造方法
Nawrocki et al. Low-carbon silica sorbents for solid-phase extraction
JP3790303B2 (ja) 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充填剤の製造法
KR101751915B1 (ko) 내산성이 우수한 고도 엔드캡핑 충전제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제 및 충전컬럼
JP2010095617A (ja) シリル化カゴ型ケイ酸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シリル化カゴ型ケイ酸および多面体構造ポリシロキサン変性体
JP2670358B2 (ja) 担 体
KR20170010479A (ko) 내산성이 우수한 고도 엔드캡핑 충전제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충전제 및 충전컬럼
CS241346B1 (en) Sorbent preparation method with high density of chemically bonded octadecyl ph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