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709B1 -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709B1
KR101719709B1 KR1020160032903A KR20160032903A KR101719709B1 KR 101719709 B1 KR101719709 B1 KR 101719709B1 KR 1020160032903 A KR1020160032903 A KR 1020160032903A KR 20160032903 A KR20160032903 A KR 20160032903A KR 101719709 B1 KR101719709 B1 KR 10171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mixed
rhizome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진
이준희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의 비만, 또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comprising extra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and Rehmannia glutinosa Liboch}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사 장애는 일반적으로 심혈관 질병을 결정짓는 위험 요소로, 비만, 당뇨병, 인슐린 저항증(insulin resistance), 지질 대사 이상, 고중성지방혈증 (hypertriglyceridemia), 유리지방산의 증가,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감소 및 고혈압 등의 병들이 대사성 질환에 포함된다.
대사 장애 중 비만은 유전적, 대사적, 환경적, 그리고 행동학적인 복잡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물학적 현상으로 당뇨병(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이 비만과 연관되어 있다. 특히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당뇨병, 고혈압, 암, 담낭질환(gallbladder disease),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과 연관되어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만에 걸린 환자나 동물의 경우 면역계에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 최근에 알려져 있어 사회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인 소인이 70% 이상으로 알려져 있고 그외 환경요인으로 고 지방식의 섭취나 운동부족 등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섭취한 에너지량과 소비하는 에너지량의 불균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행 비만 치료제들은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감소, 고혈압, 우울증, 불안, 자살충동 등의 부작용과 함께 그 효능의 지속성도 낮아, 더욱 개선된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도 부작용 없이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생체내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중 혈중 당질 또는 지질과 관련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지방간, 당뇨병, 예를 들면, 당뇨병전증,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심혈관 질환, 및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당뇨, 비만 등 여러가지 대사성 질환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역시 비만과 동일하게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 양상은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인동, 또는 지황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또는 꽃잎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동은 인동의 줄기, 예를 들면, 인동등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지황은 지황의 뿌리, 예를 들면, 건지황일 수 있다.
인동은 학명이 Lonicera japonica Thunb.로서, 반상록활엽 덩굴성 관목을 의미할 수 있고, 인동등은 인동의 줄기일 수 있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고 토양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는 것일 수 있고, 키는 2~4m가량까지 자라며, 잎은 타원형이며 길이가 3~8㎝, 폭이 1~3㎝로 톱니가 없는 것일 수 있다. 처음에는 잔털이 있지만 전개되면서 털이 없어지거나 뒷면 일부에 남아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5㎜로 털이 있을 수 있다. 꽃은 백색에서 시들면서 황색으로 변하며 1~2개씩 잎자루에 달릴 수 있다. 열매는 9~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하고 지름이 7~8㎜ 정도로 둥근 것일 수 있다.
지황은 학명이 Rehmannia glutinosa Liboch.로서 현삼과의 다년초일 수 있고, 건지황(건조한 것), 숙지황(쪄서 말린 것) 또는 생지황(생것)과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황은 건지황, 숙지황 또는 생지황 일 수 있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옆으로 뻗고 붉은빛이 도는 갈색일 수 있고,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30cm이며 선모가 있을 수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잎 표면은 주름이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 것일 수 있다.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강한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리며, 잎 모양의 포가 있을 수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선모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v/v)%, 5 내지 25(v/v)%, 7 내지 20(v/v)%, 5 내지 25(v/v)%, 또는 10 내지 20(v/v)%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 (부피/중량)배, 3 내지 5 (부피/중량)배, 5 내지 10 (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5일,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5 시간 내지 1개월, 5 시간 내지 15일, 5 시간 내지 10일, 5 시간 내지 5일, 5 시간 내지 3일, 5 시간 내지 2일, 5 시간 내지 1일, 10 시간 내지 1개월, 10 시간 내지 15일, 10 시간 내지 10일, 10 시간 내지 5일, 10 시간 내지 3일, 또는 10 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 추출물 및 지황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고,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한 후, 혼합 재료를 상기한 바와 같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인동 및 지황은 약 4:1 내지 약 1: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량비율은 약 4:1, 3:1, 2:1, 1:1, 1:2, 1:3, 또는 1:4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스워로시드(sweroside), 로가닌(Loganin), 레만니오시드 D(rehmannioside D), 리온우리드(Leonuride), 레마이오노시드 A/B(rehmaionoside A/B)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 또는 지질과 관련된 생체 내 대사 장애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뇨병, 당뇨병 전증, 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증,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치료 (treat)"는 자연 치유에 비하여 단축된 시간에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증상이 완화 또는 치유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료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개선 및/또는 완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조성물은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것이거나, 위장관 내 호르몬의 분비량을 증가시키거나, 혈액 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호르몬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인슐린, 또는 펩티드 YY(PYY)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혈당 수준의 증가를 감소킬 뿐만 아니라, 공복 혈당 수준을 대조군, 또는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고, 혈액 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므로, 비만, 또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GLP-1 및 PYY는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위장관 호르몬으로서, 장내 분비 L 세포(enteroendocrine L cells)로부터 분비되는 것을 수 있다. GLP-1은 그의 인슐린 분비 및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으로 인해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YY는 위장관 운동을 억제함으로써 식욕을 제한하고, 결장에서의 물 흡수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GLP-1 및 PYTY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일 구체예에 따른 혼합 추출물은 비만, 또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포함하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은 복용 단위당 약 0.1 ~ 1000 mg/체중kg, 0.1 ~ 800 mg/체중kg, 1 ~ 500 mg/체중kg 또는 100 ~ 300 mg/체중kg의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하루 1 내지 6회, 2 내지 5회, 3 내지 4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1일 0.0001 mg/kg 내지 10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또한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다른 양상은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한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인동등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을 개체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의 비만, 또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LC/Q-TOF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 인동 단독 추출물, 도 1B: 지황 단독 추출물, 도 1C: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혈당 강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인동 단독 추출물, 도 2B: 지황 단독 추출물, 도 2C: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도 2D: 메트포르민, 도 2E: 공복 혈당 수준 측정 결과.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 제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인동 단독 추출물, 도 3B: 지황 단독 추출물, 도 3C: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도 3D: 메트포르민.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혈장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도 4B: 혈장 총 콜레스테롤 수준, 도 4C: 혈장 HDL-콜레스테롤 수준, 도 4D: 혈장 LDL-콜레스테롤 수준.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간 및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간 무게, 도 5B: 부고환 지방 조직, 도 5C: 복막 후 지방 지족.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및 그의 활성 분석
1. 인동 ( Lonicera japonica Thunb .) 및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ch .)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및 그의 유효성분 분석
(1.1) 인동 ( Lonicera japonica Thunb .) 및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의 제조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동등(인동의 줄기) 및 건지황(지황의 뿌리를 말린 것)은 함소아 제약(대한민국)으로부터 구입하였다. 유리 삼각플라스크에 상기 인동등 50kg 및 건지황 50kg 혼합 생약과 30% 에탄올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75 ℃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1차 하우징 여과기 (0.5㎛ 여과지) 및 2차 규조토 여과기(규조토 여과지)에 통과시켜 얻어진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55 ℃에서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N-N series, EYELA, JAPAN)를 사용하여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55 ℃에서 스프레이 건조기(Spray Dryer)를 사용한 감압건조를 실시하여 용매가 제거된 건조된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이하에서 'JAL2'라 한다) 19.4 kg을 얻었다.
아울러, 비교예로서, 상기 인동 및 지황 단독 혼합물을 상기와 동일하게 추출하였고, 그 결과 인동 추출물(이하에서 'LJT'라 한다) 18.6 kg 및 지황 추출물(이하에서 'RGL'이라 한다) 18.9 kg을 얻었다.
(1.2) 인동 ( Lonicera japonica Thunb .) 및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인동 단독 추출물, 및 지황 단독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LC/Q-TOF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아질런트 1290/6550 (Agilent Technologies, Waldron) 및 Waters BEH C18 컬럼(2.1 mm x 150 mm i.d., 1.7 um, Agilent)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은 0.1% 포름산을 함유하는 용매 A: 물, 및 용매 B: 아세토니트릴롤 구성하였다. 이동상의 유동 속도는 300 ㎕/min이었고, 구배 프로그램(gradient program)은 0-15분(0-40% 이동상 B), 15-20분(40-95% 이동상 B), 20-27분(95-0% 이동상 B)이었다. 이후에 컬럼은 0% 이동상 B로 5분동안 평형화하였다. 1 ㎕의 시료(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인동 단독 추출물, 및 지황 단독 추출물)을 자동샘플러(autosampler)를 사용하여 컬럼에 주입하였다. HPLC 시스템은 양이온 모드에서 작동하는 Dual AJS ESI source가 장착된 MS 시스템인 Agilent 6550 Accurate-Mass Q-TOF(Agilent Technologies)와 인터페이스 된다. 질량 스펙트럼은 50-1,000 m/z의 질량 범위로 1 spectrum/s의 스캔 속도로 획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26398201-pat00001
2. 인동( Lonicera japonica Thunb .) 및 지황( 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의 활성 분석
(2.1) 실험동물의 준비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활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동물은 7주령의 수컷 db/db 마우스(대한 바이오링크, 대한민국)를 사용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경희대학교의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모든 동물은 12 시간 주기의 21 내지 23 ℃의 온도 및 55-60%의 습도의 조건을 갖는 동물실에 수용하였다. 실험 전에 일주일 동안 모든 동을 순응시켰고, 순응 기간 동안, 표준 설치류 사료(28.507% 단백질, 13,496% 지방, 및 57.996% 탄수화물 (LabDiet, St. Louis, MO))와 물을 적당히 공급하였다. 순응 기간 후에, 각 8주령의 마우스를 5마리씩 5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식염수 처리), 양성대조군(280 mg/kg/day의 메트포르민(metformin) 처리), LJT 처리군(30 mg/kg/day의 LJT 처리), RGL 처리군(30 mg/kg/day의 RGL 처리), 및 JAL2 처리군(30 mg/kg/day의 JAL2 처리).
(2.2)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혈당 강하 활성 분석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혈당 강하 분석을 위해 당부하검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8 시간 절식시킨 공복상태의 db/db 마우스에 생리식염수, 메트포르민, LJT, RGL, 및 JAL2를 경구투여한 후, 5 g/kg의 글루코오스를 투여하였다. 혈당은 마우스의 미정맥에서 Acc-Chek Performa device(Roche Diagnositics, Germany)를 사용하여 6개의 시간점: 0분(글루코오스 공급 전), 10분(글루코오스 공급 10분 후), 20분, 40분, 90분 및 120분에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혈당 강하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및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동 및 지황 단독 추출물의 투여시에 혈당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독 추출물과 동일한 양의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투여시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보다 더 큰 혈당 감소의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복 혈당 수준은 메트포르민 투여군, 인동 단독, 및 지황 단독 추출물의 투여군에서는 거의 감소하지 않은 반면,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공복 혈당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독에 비해 혈당 강하의 상승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3)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 제어 활성 분석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 제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GLP(Glucagon like peptide)-1, 인슐린 및 PYY의 분비량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1)에 기재된 바와 같이, 18시간 절식시킨 공복상태의 db/db 마우스에 미정맥에서 각 그룹의 혈액 시료를 수집한 후, 생리식염수, 메트포르민, LJT, RGL, 및 JAL2를 경구투여하였고, 이후에 2 g/kg의 글루코오스를 위관 영양하였다. 다음으로, 글루코오스 투여 후 10분, 20분, 30분 및 40분 후에 마찬가지로 마우스의 미정맥으로부터 각각 혈액 시료를 수집하였다. 이후에 혈액시료를 혈액응고와 GLP-1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디펩티딜 펩티다아제(DPP)-IV 억제제(EMD Millipore Co., MA)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Roche Diagnostics)을 함유하는 EDTA-코팅된 1.5 ml 마이크로 원심분리 튜브에 옮겨두었다. 이후에 혈장을 조심스럽게 새 튜브에 옮겨 담았고, Milliplex Map Kit Mouse Metabolic Hormones Magnetic Bead Panl: GLP-1, 인슐린 및 PYY(EMD Millipore Co., MA)를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 플레이트는 MAGPIX 장치(Bio-Rad, CA)를 사용하여 동작시켰고, 데이타는 Luminex xPONEN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Bio-Plex Manager 소트트웨어(Bio-Rad)를 사용하여 초기 데이터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상기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위장관 호르몬 분비 제어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장 GLP-1 농도 수준은 모든 천연물 처리군 및 메트포르민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도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처리군은 글루코오스 공급 20분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된 GLP-1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C 및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슐린 분비의 경우, 모든 천연물 처리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메트포르민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더 적은 인슐린을 글루코오스 공급 10분 후에 분비하였다. 도 3E 및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PYY 분비는 모든 천연물 추출군 및 메트포르민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특히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 처리군의 경우 글루코오스 공급 30분 및 40분에서 단독 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된 PYY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독에 비해 위장관 호르몬 분비의 상승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4)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 분석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처리군으로부터 혈액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2)에서와 같이 각 물질을 투여한 후 8주 후에, 각 마우스의 전혈을 BD Vacutainer® Plus Plastic K2 EDTA 튜브(BD Biosciences, CA)에 수집하고, 약 4 ℃에서 20분 동안 1,000 x g로 원심분리하였다. 이후에 혈장을 새로운 튜브에 옮겨 담았고, 혈장 TG(triglycerides), TC(total 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수준을 서울 의과학연구소(Seoul Medical Science Institute: SCL, 대한민국)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동 단독 추출물, 지황 단독 추출물, 및 메트포르민은 유의적으로 혈장 총 콜레스테롤 수준 및, 혈장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을 감소시키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경우 혈장 총 콜레스테롤 수준 및, 혈장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독에 비해 항 비만의 상승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5)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간 및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활성 분석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처리군으로부터 간 및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2.4)에서 혈액을 수집한 이후에, 마우스를 안락사시킨 후, 각각의 마우스로부터 간 조직, 부고환 지방 조직(epididymal fat), 및 복막 후 지방(retroperitoneal fat) 조직을 수집하고 그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일 구체예에 따른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간 및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동 단독 추출물, 지황 단독 추출물 및 메트포르민 처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간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지 않았으나,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의 경우 간 및 지방 조직의 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 인동 및 지황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독에 비해 간 및 지방 조직 무게 감소의 상승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6)

  1.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스워로시드(sweroside), 로가닌(Loganin), 레만니오시드 D(rehmannioside D), 리온우리드(Leonuride), 레마이오노시드 A/B(rehmaionoside A/B)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당뇨병전증(prediabetes), 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증,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및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동은 인동의 줄기이거나, 상기 지황은 지황의 뿌리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위장관 내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인슐린, 또는 PYY의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 중 총 콜레스테롤, 또는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동 및 지황은 4:1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동 및 지황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및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스워로시드(sweroside), 로가닌(Loganin), 레만니오시드 D(rehmannioside D), 리온우리드(Leonuride), 레마이오노시드 A/B(rehmaionoside A/B)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당질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당뇨병전증(prediabetes), 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증, 이상지질혈증, 고지혈증 및 지방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동은 인동의 줄기이거나, 상기 지황은 지황의 뿌리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동 및 지황은 4:1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인동 및 지황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32903A 2016-03-18 2016-03-18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03A KR101719709B1 (ko) 2016-03-18 2016-03-18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903A KR101719709B1 (ko) 2016-03-18 2016-03-18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09B1 true KR101719709B1 (ko) 2017-03-24

Family

ID=5850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903A KR101719709B1 (ko) 2016-03-18 2016-03-18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5779A (zh) * 2022-12-05 2023-02-28 广州中医药大学科技产业园有限公司 地黄苷d在制备用于调节pi3k-akt通路的产品中的应用
KR102614386B1 (ko) 2023-08-30 2023-12-18 주식회사 데이젠 근 기능 개선 및 근력 약화 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14382B1 (ko) 2023-08-30 2023-12-18 주식회사 데이젠 근력 약화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769A (ja) * 1995-01-23 1996-08-06 Pola Chem Ind Inc 過剰栄養吸収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769A (ja) * 1995-01-23 1996-08-06 Pola Chem Ind Inc 過剰栄養吸収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5779A (zh) * 2022-12-05 2023-02-28 广州中医药大学科技产业园有限公司 地黄苷d在制备用于调节pi3k-akt通路的产品中的应用
KR102614386B1 (ko) 2023-08-30 2023-12-18 주식회사 데이젠 근 기능 개선 및 근력 약화 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14382B1 (ko) 2023-08-30 2023-12-18 주식회사 데이젠 근력 약화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709B1 (ko) 인동 및 지황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Hasibuan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Piper crocatum leaves and Cinnamomum burmannii bark mixture extrac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EP3978005B1 (en)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accompanied by obesity and/or diabete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complex (ib complex) of indian gooseberry extract and sprout barley extract
CN101336974A (zh) 具有综合调整机体代谢机能的降糖调脂中药及其制备方法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101445966B1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3925948B (zh) 生姜总提取物或其活性成分的用途、药物组合物和制法
Laila et al. Fenugreek seeds: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herapeutic properties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84410B1 (ko) 매실나무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에서의 응용
Viado et al. Anti-diabetic effects of Hibiscus spp. extract in rat and mice models: a review
KR20140032961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1108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이로 인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172371B1 (ko) 노회, 모과 및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9966283A (zh) 脱脂肉桂多酚提取物在制备防治糖尿病肾病产品中的应用
KR102376510B1 (ko) 산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5708B1 (ko) 골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13901B1 (ko) 속속이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