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18B1 - 제과 제빵용 믹서 - Google Patents

제과 제빵용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18B1
KR101719218B1 KR1020160104457A KR20160104457A KR101719218B1 KR 101719218 B1 KR101719218 B1 KR 101719218B1 KR 1020160104457 A KR1020160104457 A KR 1020160104457A KR 20160104457 A KR20160104457 A KR 20160104457A KR 101719218 B1 KR101719218 B1 KR 10171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ing
panel
yoke
mixer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용
Original Assignee
이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용 filed Critical 이흥용
Priority to KR102016010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과 제빵용 믹서에 관한 것으로서, 제과 또는 제빵에 사용되는 반죽을 교반하기 위한 믹서에 형성되는 요크에 반죽이 담긴 믹싱 볼이 안착되는 승하강판넬이 상승한 후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단에는 정면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바닥면에 밀착하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이 하향 연장되어 끝단에 교반공구가 장착되는 몸체와, 받침대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하강포스트와, 상기 승하강포스트가 관통하는 사각판 형상의 승하강판넬과, 상기 승하강판넬의 정면 중앙에 돌출되는 요크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며 저면은 상기 요크와 결합하도록 하는 믹싱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저면 중앙에 상기 승하강포스트의 상단이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승한 승하강판넬의 상면과 자기력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원판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내측의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볼을 구비하며;
상기 믹싱 볼은 저면에 상기 요크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입구가 되는 내측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경사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교반공구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10~30°연장된 후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볼이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나선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과 제빵용 믹서{The mixer to make a cracker and bread}
본 발명은 제과 제빵용 믹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과 또는 제빵에 사용되는 반죽을 교반하기 위한 믹서에 형성되는 요크에 반죽이 담긴 믹싱 볼이 안착되는 승하강판넬이 상승한 후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제과 제빵용 믹서에 관한 것이다.
밀가루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을 섭취하는 방법은 아시아 지역의 쌀 문화를 제외하면 보통 가루로 만든 후 이를 반죽하여 요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빵을 만들거나 과자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밀가루가 베이스로 하고 이를 다양한 재료와 혼합하여 반죽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제과 및 제빵 분야에서는 이러한 반죽과정에서 밀가루를 반죽하여 글루텐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죽하는 속도와 압력 그리고 시간이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기 때문에 과거 인력으로 반죽을 하게 되면 작업자에 따른 차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쉽지 않은 반죽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죽하는 양이 많거나 소량이라도 빈번하게 반죽을 하는 경우 제과 제빵을 위한 전용 믹서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믹서는 생크림을 만들기 위한 작업인 휘핑 작업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전문적으로 제과 제빵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수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제과 제빵용 믹서는 반죽될 재료는 믹싱 볼이라는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담긴 후 승하강판넬에 고정하면 승하강판넬은 상승하여 교반공구가 믹싱 볼의 내부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고정되며 이후 반죽 또는 휘핑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교반공구의 회전에 따라 반죽 작업이 진행되면서 믹싱 볼과 승하강판넬에는 많은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외력에도 믹싱 볼과 승하강판넬의 고정부가 간고한 고정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승한 승하강판넬도 상승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져야 원활한 반죽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믹싱 볼을 장착 고정하거나 분리하는 작업 및 승하강판넬을 고정하는 구조 및 작업이 매우 복잡하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번거롭고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87-0007652호 (1987년09월21일))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997-0060311호 (1997년12월1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744622-0000호 (2007년07월2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68850-0000호 (2013년05월2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77481-0000호 (2014년03월1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믹싱 볼과 승하강판넬과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승한 승하강 판넬이 교반공구에 의한 반죽작업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승하강판넬을 상승하고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급격한 하강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과 제빵용 믹서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에는 정면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바닥면에 밀착하는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이 하향 연장되어 끝단에 교반공구가 장착되는 몸체와, 받침대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하강포스트와, 상기 승하강포스트가 관통하는 사각판 형상의 승하강판넬과, 상기 승하강판넬의 정면 중앙에 돌출되는 요크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며 저면은 상기 요크와 결합하도록 하는 믹싱 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저면 중앙에 상기 승하강포스트의 상단이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승한 승하강판넬의 상면과 자기력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요크는 원판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내측의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볼을 구비하며;
상기 믹싱 볼은 저면에 상기 요크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입구가 되는 내측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경사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교반공구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10~30°연장된 후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볼이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나선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나선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는 얕아지고 폭은 넓어지며 하단은 인접한 나선홈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판넬에는 수직 관통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고 하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제1 고정볼트에 의하여 승하강판넬에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하우징의 내경면에 장착되고 내경은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포스트의 외경에 밀착하는 가스킷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판넬에는 승하강포스트가 관통된 저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에어쇼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길게 절개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의 경로를 따라 승하강하며 두 개의 제2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승하강블록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후방은 상기 승하강블록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승하강포스트가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정면 전자석 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승하강판넬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면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 보다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판넬이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면 승하강포스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용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센서와;
상기 완충용 전자석과 밀착되는 승하강판넬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용 전자석과 서로 동일한 극성이 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믹싱 볼을 승하강판넬에 결합하는 과정이 교반공구의 회전방향과 통일한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하면 결합되도록 하고 분리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승하강판넬은 상승 후 전자석에 의하여 밀착되도록 하여 믹싱 볼의 고정 및 승하강판넬의 상승상태에서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석의 자력이 사라지면 승하강판넬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 충격이 발생하여 반죽이나 장치의 내구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 볼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 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 볼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 볼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하단에는 정면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바닥면에 밀착하는 받침대(111)가 형성되고 상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이 하향 연장되어 끝단에 교반공구(112)가 장착되는 몸체(11)와, 받침대(111)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하강포스트(12)와, 상기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하는 사각판 형상의 승하강판넬(13)과, 상기 승하강판넬(13)의 정면 중앙에 돌출되는 요크(14)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며 저면은 상기 요크(14)와 결합하도록 하는 믹싱 볼(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6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저면 중앙에 상기 승하강포스트(12)의 상단이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162)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승한 승하강판넬(13)의 상면과 자기력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1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요크(14)는 원판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내측의 압축코일스프링(141)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볼(142)을 구비하며;
상기 믹싱 볼(15)은 저면에 상기 요크(14)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입구가 되는 내측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151)이 형성되는 삽입홈(152)과, 상기 경사면(151)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교반공구(112)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10~30°연장된 후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볼(142)이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나선홈(15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믹싱 볼(15)와 승하강판넬(13)의 결합구조와, 승하강판넬(13)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에서 종래의 기술과 차별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종래에는 믹싱 볼(15)과 승하강판넬(13)의 결합을 위하여 요크(14)를 형성하여 믹싱 볼(15)과 결합하는 구성은 있으나 믹싱 볼(15)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크(14)는 비원형 평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경우 요크(14)와 믹싱 볼(15)의 삽입홈(152)이 정확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그 위치를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요크(14)와 삽입홈(152)이 견고하기 맞물린 경우에는 상부로 들어야만 분리되는 구조로 분리에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원 발명은 교반공구(1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때 믹싱 볼(15)은 삽입홈(152)의 입구를 요크(14)와 결합하고 누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릴 경우 일차적으로 경사면(151)에 의하여 고정볼(142)이 약간 들어가고 이 후 나선홈(153)에 삽입되면서 안착되고 고정볼(142)은 안착된 상태에서는 돌출되어 믹싱 볼(1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본원 발명은 상기 나선홈(15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는 얕아지고 폭은 넓어지며 하단은 인접한 나선홈(153)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믹싱 볼(15)의 삽입홈(152) 입구에 요크(14)와 결합하고 누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릴 때 수직 아래 방향의 나선홈(153)을 따라 고정볼(142)이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믹싱 볼(15)의 분리는 반대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믹싱 볼(15)을 회전시키면 고정볼(142)이 나선홈에서 이탈하면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믹싱 볼(15)이 정해진 방향으로만 결합할 필요 없이 자유롭게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승하강판넬(13)이 반죽 과정에서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데 승하강포스트(12)에 의하여 안정적인 경로로 승하강을 하면서 상승된 상태에서 전자석(16)에 승하강판넬(13)의 상면 양측이 붙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한하였다.
상기 전자석(16)의 자력은 철심의 단면적과 코일을 감은 횟수 및 전압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으로서, 아주 작은 접촉면적을 가지더라도 믹서(1)의 가동에 따른 반발력과 재료가 담긴 믹싱 볼(15)과 승하강판넬(13)의 자중에도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전자석(16)의 제조는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162)에 의하여 전원을 인가하여 승하강판넬(13)이 상승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승하강판넬(13)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승하강판넬(13)에는 수직 관통된 장착홀(131)과, 상기 장착홀(131)에 삽입되고 하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제1 고정볼트(132)에 의하여 승하강판넬(131)에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133)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33)의 내경면에 장착되고 내경은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포스트(12)의 외경에 밀착하는 가스킷(134)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승하강판넬(131)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할 경우 하부 구조와의 충돌로 인하여 손상되거나 장착된 믹싱 볼(15)의 이탈 혹은 믹싱 볼(15) 만의 재료의 손상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자석(16)의 자력을 해제하면 승하강판넬(13)이 낙하하면서 가스킷(134)의 돌기구조에 의하여 천천히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승하강판넬(13)에는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된 저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1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에어쇼바(13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에어쇼바(135)는 하강할 경우의 충격을 완충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승하강판넬(13)를 상승하여 고정할 때 적은 힘으로 상승시키면서 상승된 상태에서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수직으로 길게 절개되는 가이드홀(163)과, 상기 가이드홀(163)의 경로를 따라 승하강하며 두 개의 제2 고정볼트(164)에 의하여 고정되는 승하강블록(165)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161)의 후방은 상기 승하강블록(165)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믹싱 볼(15)의 높낮이에 따라 전자석(16)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용도에 맞는 서로 다른 믹싱 볼(15)의 사용이 가능하고, 교반공구(112)가 반죽할 때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고 또는 반죽 이외에 휘핑 등 다영한 작업을 진행할 때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상황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승하강판넬의 이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몸체(11)의 정면 전자석(16) 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승하강판넬(13)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면 전자석(16)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센서(113)와;
상기 제1 센서(113) 보다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판넬(13)이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면 승하강포스트(12)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용 전자석(1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센서(115)와;
상기 완충용 전자석(114)과 밀착되는 승하강판넬(13)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용 전자석(114)과 서로 동일한 극성이 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116)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승하강판넬(13)을 상승 고정할 때 별도의 레버(162)에 의한 전원을 인가하지 않고 상승상태를 감지하면 전자석(16)이 작동하도록 하여 보다 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전자석(16)의 전원을 해제하면 낙하하는 승하강판넬(13)을 감지하여 완충용 전자석(114)에 의하여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1 : 믹서
11 : 몸체
111 : 받침대 112 : 교반공구
113 : 제1 센서 114 : 완충용 전자석
115 : 제2 센서 116 : 영구자석
12 : 승하강포스트
13 : 승하강판넬
131 : 장착홀 132 : 제1 고정볼트
133 : 가이드하우징 134 : 가스킷
135 : 에어쇼바
14 : 요크
141 : 압축코일스프링 142 : 고정볼
15 : 믹싱 볼
151 : 경사면 152 : 삽입홈
153 : 나선홈
16 : 전자석
161 : 가이드바 162 : 레버
163 : 가이드홀 164 : 제2 고정볼트
165 : 승하강블록

Claims (6)

  1. 하단에는 정면으로 한 쌍이 연장되어 바닥면에 밀착하는 받침대(111)가 형성되고 상단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이 하향 연장되어 끝단에 교반공구(112)가 장착되는 몸체(11)와, 받침대(111)의 상면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승하강포스트(12)와, 상기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하는 사각판 형상의 승하강판넬(13)과, 상기 승하강판넬(13)의 정면 중앙에 돌출되는 요크(14)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가지며 저면은 상기 요크(14)와 결합하도록 하는 믹싱 볼(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과 제빵용 믹서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161)의 전방 하단에 장착되어 저면 중앙에 상기 승하강포스트(12)의 상단이 고정되고 일측에 형성되는 레버(162)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승한 승하강판넬(13)의 상면과 자기력에 의하여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전자석(16)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요크(14)는 원판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테두리를 따라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내측의 압축코일스프링(141)에 의하여 가압력을 받아 일부가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볼(142)을 구비하며;
    상기 믹싱 볼(15)은 저면에 상기 요크(14)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입구가 되는 내측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경사면(151)이 형성되는 삽입홈(152)과, 상기 경사면(151)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기 교반공구(112)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형상으로 10~30°연장된 후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볼(142)이 안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나선홈(15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홈(15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는 얕아지고 폭은 넓어지며 하단은 인접한 나선홈(153)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넬(13)에는 수직 관통된 장착홀(131)과, 상기 장착홀(131)에 삽입되고 하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제1 고정볼트(132)에 의하여 승하강판넬(131)에 고정되는 가이드하우징(133)과, 상기 가이드하우징(133)의 내경면에 장착되고 내경은 하향 경사진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포스트(12)의 외경에 밀착하는 가스킷(134)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판넬(13)에는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된 저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받침대(1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에어쇼바(13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양측에 수직으로 길게 절개되는 가이드홀(163)과, 상기 가이드홀(163)의 경로를 따라 승하강하며 두 개의 제2 고정볼트(164)에 의하여 고정되는 승하강블록(165)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바(161)의 후방은 상기 승하강블록(165)에 고정되고 전방은 상기 승하강포스트(12)가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정면 전자석(16) 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승하강판넬(13)이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면 전자석(16)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센서(113)와;
    상기 제1 센서(113) 보다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판넬(13)이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면 승하강포스트(12)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용 전자석(1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2 센서(115)와;
    상기 완충용 전자석(114)과 밀착되는 승하강판넬(13)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완충용 전자석(114)과 서로 동일한 극성이 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116)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과 제빵용 믹서.
KR1020160104457A 2016-08-17 2016-08-17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719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57A KR101719218B1 (ko) 2016-08-17 2016-08-17 제과 제빵용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457A KR101719218B1 (ko) 2016-08-17 2016-08-17 제과 제빵용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218B1 true KR101719218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457A KR101719218B1 (ko) 2016-08-17 2016-08-17 제과 제빵용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574B1 (ko) 2017-11-24 2019-05-14 신지원 자력 교반 반죽기
KR20200094527A (ko) 2019-01-30 2020-08-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른 컬러를 갖는 다수의 믹싱볼을 이용한 제과 제빵용 스마트혼합장치
CN111728120A (zh) * 2020-07-28 2020-10-02 浙江好德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鱿鱼蒸煮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652A (ko) 1986-02-20 1987-09-21 스와이 푸이그 엔리크 제빵용 반죽기
KR970060311A (ko) 1996-01-16 1997-08-12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발광장치용 광 보정 층
KR100744622B1 (ko) 2001-05-16 2007-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코샤 세이사쿠쇼 믹서의 파티션장치
JP2009521328A (ja) * 2005-12-27 2009-06-04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旋回可能なボウルを有するミキサー
KR101268850B1 (ko) 2012-08-24 2013-05-29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과 제빵용 믹서의 믹싱 볼 탈착장치
KR101304328B1 (ko) *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377481B1 (ko) 2013-12-09 2014-03-25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461434B1 (ko) * 2014-10-02 2014-11-20 박준서 제과 제빵용 믹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7652A (ko) 1986-02-20 1987-09-21 스와이 푸이그 엔리크 제빵용 반죽기
KR970060311A (ko) 1996-01-16 1997-08-12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발광장치용 광 보정 층
KR100744622B1 (ko) 2001-05-16 2007-08-0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코샤 세이사쿠쇼 믹서의 파티션장치
JP2009521328A (ja) * 2005-12-27 2009-06-04 プレ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旋回可能なボウルを有するミキサー
KR101268850B1 (ko) 2012-08-24 2013-05-29 대영제과제빵기계공업주식회사 제과 제빵용 믹서의 믹싱 볼 탈착장치
KR101304328B1 (ko) * 2013-07-12 2013-09-11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377481B1 (ko) 2013-12-09 2014-03-25 송영광 제과 제빵용 믹서
KR101461434B1 (ko) * 2014-10-02 2014-11-20 박준서 제과 제빵용 믹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574B1 (ko) 2017-11-24 2019-05-14 신지원 자력 교반 반죽기
KR20200094527A (ko) 2019-01-30 2020-08-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른 컬러를 갖는 다수의 믹싱볼을 이용한 제과 제빵용 스마트혼합장치
CN111728120A (zh) * 2020-07-28 2020-10-02 浙江好德食品集团有限公司 一种鱿鱼蒸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18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US10426173B2 (en) Automatic bread maker and ingredient box for the same
CN106798487B (zh) 一种食品搅拌料理机
KR20220012571A (ko) 효율적인 제과 제빵용 믹서 장치
US5314338A (en) Shape-matching spin-action toy
CN102578930A (zh) 带活塞式密封装置的食品处理机
MX2012010141A (es) Liberacion de agitador para un mezclador de alimentos.
KR101304328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CN217136624U (zh) 一种饼干加工装置
CN105212680B (zh) 一种米水可分开存放的电饭煲及其控制方法
WO2021218380A1 (zh) 一种倾斜婴儿床
WO2004098293A1 (fr) Porte-pain coulissant automatique pour grille-pain
KR101377481B1 (ko) 제과 제빵용 믹서
CN202739791U (zh) 带活塞式密封装置的食品处理机
CN213192445U (zh) 一种益智玩具
KR102298968B1 (ko) 속재료가 내장된 햄버거 제조장치
KR101461435B1 (ko) 믹싱 볼 고정장치를 구비한 제과 제빵용 믹서
CN105433820A (zh) 一种面包自动制作机和面包的快捷制作方法
CN108522577B (zh) 一种家用面团压制成型装置
CN220047087U (zh) 一种面包机玩具
JP2003112027A (ja) 撹拌装置
CN208318985U (zh) 用于速溶饮料机上的精准落粉装置
CN201312754Y (zh) 一种可自动翻转的多功能煎炸烤机
CN215346709U (zh) 一种电动和面装置
CN217157391U (zh) 一种顶球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