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622B1 - 믹서의 파티션장치 - Google Patents

믹서의 파티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622B1
KR100744622B1 KR1020037006902A KR20037006902A KR100744622B1 KR 100744622 B1 KR100744622 B1 KR 100744622B1 KR 1020037006902 A KR1020037006902 A KR 1020037006902A KR 20037006902 A KR20037006902 A KR 20037006902A KR 100744622 B1 KR100744622 B1 KR 10074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roller
fixed
movable
partit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683A (ko
Inventor
요시오카히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코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코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코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1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60Safety arrangements
    • B01F35/605Safety devic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ixer
    • B01F35/6052Safety device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mixer with locking, blocking or interlocking mechanisms for preventing operation of the actuation mechanism of the mix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파티션기구를 양손으로 들어 기체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고, 복수의 종류의 파티션기구에서 공용할 수 있고, 파티션기구의 형상의 편차를 흡수하여 파티션기구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믹서의 파티션장치를 제공한다.
파티션장치는 기체의 지주부의 앞측에서 용기를 지지하고, 지주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교반축에 의해 용기 내에서 교반자를 회전시키는 믹서에게 설치된다. 이 파티션장치는 환형 레일 및 면형상물을 갖는 파티션기구와, 파티션기구의 레일에 끼워맞춰지는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와, 고정롤러를 기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롤러 지지수단과, 가동롤러를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하고 또한 가동롤러를 고정롤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믹서의 파티션장치{PARTITIONING DEVICE FOR MIXER}
본 발명은 식재료, 화학품 등의 재료를 교반하는 믹서의 기술분야에 속하고, 자세하게는 재료의 교반 중에 용기 내에 손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하고, 또 재료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파티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미 일본국 특허공개 2001-38186의 공보에 있어서, 이런 종류의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하나를 제안하고 있다. 이 파티션장치는 기체의 지주부의 앞측에서 용기를 지지하고, 지주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교반축에 의해 용기 내에서 교반자를 회전시키도록 한 믹서를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두부의 아래쪽에 교반축을 둘러싸듯이 배치된 환형의 가이드링 및 일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가이드링으로부터 용기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서 연장되는 방호책과, 가이드링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기체에 부착되어, 가이드링에 끼워맞추는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방호책을 용기 전방부의 상방을 덮도록 위치시키면, 작업자의 손이 교반자의 회전 영역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방호책을 회동하여 개구가 용기 전방부의 상방에 오도록 위치시키면, 재료의 투입, 용기 안의 재료의 육안확인, 교반자의 탈착 등이 가능해 진다. 이 가이드 레일은 좌우로 2분할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있어, 분할함으로써 방호책을 기체로부터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방호책만을 따로 씻을 수 있고, 또 기체내부의 세정도 용이해져, 믹서의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믹서에는 좌우로 2분할된 가이드 레일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버클 등의 결합수단이 설치된다. 방호책을 기체로부터 떼어낼 경우, 이 결합수단을 해제하는 조작을 행하면, 방호책이 가이드 레일로부터 낙하하기 때문에, 한쪽 손으로 방호책을 들고, 다른 한쪽 손으로 결합수단을 해제조작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작업성이 매우 나쁘게 된다. 그 경우, 예를 들면 기체에 있어서의 방호책의 가이드링의 아래쪽이 되는 부위에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판스프링으로 낙하하는 방호책을 일단 받아내고, 이어서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방호책을 하방으로 빼냄으로써 방호책을 기체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방호책을 양손으로 들고 기체로부터 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러한 때에는 방호책을 기체에 장착할 때에 판스프링을 역방향으로 휘게할 필요가 있고, 장착에 요령을 필요로 해서 작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믹서에는 여러종류의 사양이 있고, 방호책의 크기도 여러가지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은 방호책의 종류에 따른 수만큼 설정해 두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은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
제조상의 편차 등에 의해 방호책의 가이드링이 완전히 둥근 원으로 형성되지 않았을 때는, 가이드링과 롤러와의 간극이 둘레방향으로 일정하지 않으므로, 방호책의 회동이 부자연스러워져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방호책 등의 파티션기구를 이동가능한 롤러로 끼움으로써, 파티션기구를 양손으로 들어 기체로부터 떼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종류의 파티션기구에서 공용할 수 있고, 또한 파티션기구의 형상의 편차를 흡수해서 파티션기구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믹서의 파티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믹서의 파티션장치는 기체의 지주부의 앞측에서 용기를 지지하고, 지주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교반축에 의해 용기 내에서 교반자를 회전시키도록 한 믹서에 설치되는 파티션장치로서, 두부의 아래쪽에 교반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환형의 레일 및 일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레일로부터 용기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서 연장되는 면형상물을 갖는 파티션기구와, 파티션기구의 레일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 파티션기구를 교반축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합계 3개의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와, 고정롤러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기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롤러 지지수단과, 가동롤러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가동롤러를 고정롤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경우, 파티션기구는 그 레일에 끼워맞추는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동한다. 그리고, 파티션기구를 용기 전방부의 상 방을 덮도록 위치시키면, 작업자의 손이 교반자의 회전 영역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 재료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파티션기구를 개구가 용기 전방부의 상방에 오도록 위치시키면, 재료의 투입, 용기 안의 재료의 육안확인, 교반자의 탈착 등이 가능해 진다.
파티션기구를 기체로부터 떼어낼 경우, 파티션기구를 손으로 들고, 가동롤러를 그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밀면, 고정롤러로부터 파티션기구의 레일이 빠지므로, 이 빠진 레일부분을 내려서 파티션기구를 고정롤러의 아래쪽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어긋나게 하면, 파티션기구는 기체로부터 떨어진다. 파티션기구를 기체에 장착할 경우, 파티션기구를 가동롤러 측이 약간 위로 되도록 기울여서 손으로 들고, 파티션기구의 레일을 가동롤러에 끼워맞추고 그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밀어, 파티션기구를 수평하게 하고 나서 가동롤러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되돌려 고정롤러에 파티션기구의 레일을 끼워맞추면, 파티션기구는 기체에 장착된다. 이상의 조작은 파티션기구를 양손으로 들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파티션기구를 기체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파티션기구만을 따로 씻을 수 있고, 또 기체내부의 세정도 용이해져, 믹서의 위생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가동롤러가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되고 또한 고정롤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레일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파티션기구가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 사이에서 지지되게 되고, 여러가지의 믹서로 부품공통화에 의해 가격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파티션기구의 레일이 완전히 둥글게 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가동롤러가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이동하므로, 고정롤 러 및 가동롤러가 항상 레일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춰져, 파티션기구가 원활하게 회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믹서의 파티션장치는 파티션기구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재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재료의 투입 등을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티션기구를 기체로부터 탈착할 수 있도록 하여 믹서의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기구를 양손으로 들어 기체로부터 떼어내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으므로, 파티션기구의 탈착 작업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종류의 파티션기구에서 공용할 수 있으므로, 가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파티션기구 레일의 형상의 편차를 흡수해서 파티션기구의 원활한 회동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파티션장치를 구비한 믹서의 사시도. 파티션기구는 용기 전방부의 상방을 덮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도 2는 상기 파티션장치의 파티션기구, 고정롤러, 가동롤러, 고정롤러 지지수단, 가동롤러 지지수단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 파티션기구는 용기 전방부의 상방을 덮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도 3은 상기 파티션장치의 파티션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파티션장치의 고정롤러, 고정롤러 지지수단, 고정커버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파티션장치의 가동롤러, 가동롤러 지지수단 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파티션장치의 가동롤러 지지수단의 일부를 단면하여 암의 전진·후퇴 기능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상기 파티션장치의 가동롤러 지지수단의 일부를 단면하여 암의 스윙기능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파티션장치의 파티션기구, 고정롤러, 가동롤러, 고정롤러 지지수단, 가동롤러 지지수단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 파티션기구는 개구가 용기 전방부의 상방에 오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도 9는 파티션기구에 의해 가동롤러를 그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0은 파티션기구를 고정롤러의 아래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어긋나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1은 제2실시예의 파티션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믹서의 기체이고, 이 기체(10)는 받침대(11)와, 받침대(11)의 후단으로부터 세워지는 지주부(12)와, 지주부(12)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두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기체(10)는, 지주부(12)의 앞측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공기형의 용기(20)를 지지하고 있다. 믹서는 용기(20)을 받아서 지지하는 용기받침과, 이 용기받침을 승강시 키는 승강기구를 갖고 있다. 이 승강기구는 예를 들면 패널의 조작을 받아서 유압, 전력 등에 의해 용기받침을 승강시키는 것이어도 좋고, 레버 조작을 받아서 링크에 의해 용기받침을 승강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두부(13)로부터는 교반축(14)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이 교반축(14)의 선단에는 교반자(15)가 부착되어 있고, 기체(10)에 내장된 모터에 의해 교반축(14)이 회전하면, 용기 내에서 교반자(15)가 회전하여, 용기 내의 작업물을 교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교반축(14)이 공전축의 둘레로 공전함과 아울러 교반축(14)의 축중심의 둘레로 자전하도록 되어 있지만, 공전, 자전 중 어느 하나만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두부(13)와 용기(20) 사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티션기구(30)가 설치되어 있다. 파티션기구(30)는 두부(13)의 아래쪽에 교반축(14)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환형의 레일(31)과, 일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레일(31)로부터 용기(20)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서 연장되는 면형상물(32)를 갖고 있다. 레일(31)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막대재를 환형으로 감아 형성한 제1환형부재(31a)를 상하에 간격을 두어 배치함으로써 레일(31)을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제1환형부재(31a) 사이의 외주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홈(31b)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1환형부재(31a)는 그 내주측에 배치된 면형상물(32)에 대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면형상물(32)은 판형상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고, 빗살형상 또는 망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요컨대 작업자의 손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능이 발휘되면 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단이 제1환형부재(31a)의 내측에 고정되어,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다수의 막대재로 이루어지는 펜스(fence)(32a)와, 막대재를 환형으로 감아 형성하고, 상기 펜스(32a)의 하단을 접속하는 제2환형부재(32b)를 구비한다. 면형상물(32)은 일부에 개구를 갖고 있다. 즉, 통형상의 면형상물(32)의 약 절반둘레에 걸쳐 면이 결여되어 있어 개구(3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면형상물(32)의 일부가 수직으로 되어 있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수직으로 되어 있는 면의 외주측에 개구(3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는 어느 한 쪽만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티션기구(30)의 레일(31)에는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가 끼워맞춰져 있고, 이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에 의해 파티션기구(30)를 지지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레일(31)의 외주측에 홈(3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는 이 홈(31b)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는 교반축(14)과 평행한 축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어,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가 이 축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파티션기구(30)가 교반축(14)의 둘레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는 적어도 합계 3개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10)에는 고정롤러(41)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기체(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롤러 지지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경우, 이 고정롤러 지지수단(50)은 판형상의 브래킷이다. 이 고정롤러 지지수단(50)은 평면에서 볼때 활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가 두부(13) 의 하면의 후측에 고정되고, 양단이 비듬하게 전방으로 밀려나와 있고, 이 양단부근의 아래쪽에 고정롤러(41)가 하나씩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롤러 지지수단(50)에는 필요에 따라서 재료의 후방 내지 측방으로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커버(51)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커버(51)는 상기 두부(13)와 용기(20) 사이의 후반부분을 덮도록 통형상의 판형상물을 전후로 자른 후측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파티션기구(30) 및 고정롤러(41)를 고정커버(51)의 내주측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것들을 고정커버(51)의 외주측에 설치해도 된다.
기체(10)에는, 가동롤러(42)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가동롤러(42)를 고정롤러(4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60)이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롤러 지지수단(60)은 기체(10)에 설치된 본체(61)와, 가동롤러(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때 스윙가능해지도록 상기 본체(61)에 설치된 암(62)과, 이 암(62)을 고정롤러(41)에 근접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본체(61)와 암(6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제조, 조립 등의 편의상, 본체(61)는 두부(13)의 하면의 앞측에 고정되는 제1부재(61a)와, 제1부재(61a)의 아래쪽에 고정되는 제2부재(61b)와, 제2부재(61b)의 양단에 끼워맞추는 2개의 제3부재(61c)의 3개로 분할되어 있다. 암(62)은 평면에서 볼때 활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로부터 전방으로 2개의 지지막대(62a)가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암(62)의 양단에는 입구가 좁아진 U자형의 끼워맞춤구멍(62b)이 각각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구멍(62b)에 가동롤러(42)의 높이방향 중간부의 잘록한 부분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 대신에 가동롤러를 이것을 관통하는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체(61)의 제2부재(61b)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61d)이 좌우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 관통구멍(61d)에 암(62)의 상기 각 지지막대(62a)가 각각 끼워맞춰진다. 이로 인해 암(62)의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대적으로 관통구멍(61d)의 좌우방향의 내치수가 지지막대(62a)의 좌우폭보다 약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평면에서 볼때 암(62)이 스윙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7 참조). 관통구멍(61d)의 전단은 제3부재(61c)에 의해 폐쇄되고, 이 폐쇄면과 지지막대(62a) 사이에는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63)이 축소장착되어 있어, 암(62)을 고정롤러(41)에 근접시키도록 가압하고 있다. 또, 도면부호 64, 65는 필요에 따라 관통구멍(61d)에 끼워넣어지는 슬리브이며, 66은 잠금손잡이이다. 이 잠금손잡이(66)는 제2부재(61b)에 형성된 관통구멍(61e)에 앞에서부터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후면에 반경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암(62)의 중간부로부터 전방으로 1개의 잠금막대(62c)가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상기 잠금손잡이(66)의 홈에 끼울 수 있는 가로막대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손잡이(66)가, 상기 홈에 잠금막대(62c)의 가로막대를 끼울 수 있는 해방위치에 있을 때는 암(62)이 전방으로 크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손잡이(66)를 회동하여, 그 홈의 양측의 면에 잠금막대(62c)의 가로막대가 접촉가능한 제한위치에 있을 때는 암(62)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파티션기구(30)가 부주의하게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67은 잠금손잡이(6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자석으로서, 잠금손잡이(66)가 상기 해방위치 또는 제한위치에 왔을 때에 본체(61) 중의 상대측 자석에 흡입하여 잠금손잡이(66)를 그들의 위치에 임시고정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제2부재(61b)에는 2개의 막대형의 스토퍼가 관통구멍(61e) 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막대는 이 스토퍼의 앞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가로막대가 스토퍼에 접촉함으로써, 암(62)이 본체(61)로부터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5 내지 도 7 참조). 또, 예를 들면 용도에 따라서 탄성부재의 탄성력의 설정을 적절히 행하는 등의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파티션기구(30)에 이것을 낙하시키는 힘이 작용해도 암이 이 힘을 충분히 받아내서 파티션기구(30)가 낙하할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그러한 때에는 잠금손잡이(66)를 이용한 낙하방지기구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잠금손잡이(66) 등을 이용한 낙하방지기구를 설치하지 않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의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경우, 파티션기구(30)는, 그 레일(31)에 끼워맞추는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동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티션기구(30)를 용기 전방부의 상방을 덮도록 위치시키면, 작업자의 손이 교반자(15)의 회전영역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또 재료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티션기구(30)를 개구(32c, 32d)가 용기 전방부의 상방에 오도록 위치시키면, 재료의 투입, 용기(20) 내의 재료의 육안확인, 교반자(15)의 탈착 등이 가능해진다.
파티션기구(30)를 기체(10)로부터 떼어낼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티션기구(30)를 손으로 들어, 가동롤러(42)를 그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전방)으로 밀면, 고정롤러(41)로부터 파티션기구(30)의 레일(31)이 빠진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빠진 레일부분을 내려서 파티션기구(30)를 고정롤러(41)의 아래쪽을 향해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어긋나게 하면, 파티션기구(30)는 기체(10)로부터 떨어진다. 파티션기구(30)를 기체(10)에 장착할 경우는 이 반대의 순서로 행하면 되고, 파티션기구(30)를 가동롤러(42)의 측이 약간 위로 되도록 기울여서 손으로 들고, 파티션기구(30)의 레일(31)을 가동롤러(42)에 끼워맞추고 그 가압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밀어, 파티션기구(30)를 수평하게 하고나서 가동롤러(42)의 가압력에 따르는 방향으로 되돌려서 고정롤러(41)에 파티션기구(30)의 레일(31)을 끼워맞추면, 파티션기구(30)는 기체(10)에 장착된다. 이상의 조작은 파티션기구(30)를 양손으로 들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파티션기구(30)를 기체(10)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파티션기구(30)만을 따로 씻을 수 있고, 또 기체내부의 세정도 용이해져, 믹서의 위생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가동롤러(42)가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되고 또한 고정롤러(4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레일(31)의 직경이 다른 복수의 파티션기구(30)가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 사이에서 지지되게 되고, 여러가지 믹서에서 부품공통화에 의해 가격 저감이 도모된다. 또한, 파티션기구(30)의 레일(31)이 완전히 둥근 원으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도, 가동롤러(42)가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하도록 이동하므로,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가 항상 레일(31)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춰져, 파티션기구(30)가 원활하게 회동한다.
본 발명은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를 적어도 합계 3개 갖는 파티션장치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파티션장치는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모든 곡률의 레일(31)에 대하여 모든 롤러가 끼워맞춰지고, 또한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를 합계 3개 설치할 경우보다 파티션기구(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은 가동롤러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가동롤러를 고정롤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을 구비한 파티션장치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그 중에는 상기 지지막대(62a), 관통구멍(61d) 및 코일스프링(63)을 1개씩 갖는 간단한 구조의 실시예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실시예의 파티션장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60)이 기체(10)에 설치된 본체(61)와, 가동롤러(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롤러(41)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때 스윙가능해지도록 상기 본체(61)에 설치된 암(62)과, 이 암(62)을 고정롤러(41)에 근접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본체(61)와 암(62)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3)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암(62)의 스윙에 의해 가동롤러(42)가 고정롤러(41)에 근접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파티션기구(30)가 레일(31)의 중심 둘레로 자전할 때뿐만 아니라 조금 공전하면서 자전할 때라도, 가동롤러(42)가 주회하는 레일(31)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항상 레일(31)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춰져, 파티션기구(30)가 원활하게 회동된다.
도 11은 제2실시예의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요부를 나타낸다. 이 제2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을 부호와 함께 그대로 인용하고, 제1실시예와는 다른 구성 및 효과만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 제1환형부재(31a)를 상하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레일(31)을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제1환형부재(31a) 사이의 외주측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홈(31b)을 형성하고, 이 홈(31b)에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를 끼워맞췄다. 제2실시예의 경우는, 제1환형부재(31a)를 상하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레일(31)을 형성하고, 이들 2개의 제1환형부재(31a) 사이의 내주측에 전체둘레에 걸쳐 홈(31b)을 형성하고, 이 홈(31b)에 고정롤러(41) 및 가동롤러(42)를 끼워맞췄다. 그로 인해, 고정롤러 지지수단(50) 및 가동롤러 지지수단(60)은 평면에서 볼때 레일(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믹서의 파티션장치의 작용 및 효과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고정롤러 지지수단을 기체와 별도에 설치했지만, 고정롤러 지지수단을 기체에 일체화하여 기체의 일부를 고정롤러 지지수단으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이것은 가동롤러 지지수단의 본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 본체를 3분할했지만,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용기의 승강기구를 갖지 않는 믹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먼저 「발명의 개시」의 란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믹서의 파티션장치를 충분히 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제2 및 제3믹서의 파티션장치도 충분히 설명되었다.
즉, 제2믹서의 파티션장치는 제1믹서의 파티션장치에 있어서,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가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모든 곡률의 레일에 대해서도 모든 롤러가 끼워맞춰지므로, 롤러를 효율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를 합계 3개 설치하는 경우보다 파티션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3믹서의 파티션장치는 제1 또는 제2믹서의 파티션장치에 있어서, 가동롤러 지지수단이 기체에 설치된 본체와, 가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때 스윙가능해지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암과, 이 암을 고정롤러에 근접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와 암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암의 스윙에 의해 가동롤러가 고정롤러에 근접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하므로, 파티션기구가 레일의 중심의 둘레로 자전할 때뿐만아니라 조금 공전하면서 자전할 때라도, 가동롤러가 주회하는 레일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항상 레일에 안정적으로 끼워맞춰져, 파티션기구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기체의 지주부의 앞측에서 용기를 지지하고,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교반축에 의해 용기 내에서 교반자를 회전시키도록 한 믹서에 설치되는 파티션장치로서, 상기 두부의 아래쪽에 교반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환형의 레일 및 일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레일로부터 용기의 둘레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면형상물을 갖는 파티션기구와, 상기 파티션기구의 레일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춰져 파티션기구를 교반축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합계 3개 이상의 고정롤러 및 가동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기체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롤러 지지수단과, 상기 가동롤러를 회전가능하고 또한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해지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가동롤러를 고정롤러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동롤러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의 파티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롤러 및 상기 가동롤러는 2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의 파티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롤러 지지수단은 기체에 설치된 본체와, 상기 가동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롤러와의 거리가 변동가능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때 스윙가능해지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암과, 이 암을 고정롤러에 근접시키도록 가압하기 위해 상기 본체와 암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의 파티션장치.
KR1020037006902A 2001-05-16 2001-08-28 믹서의 파티션장치 KR100744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6904 2001-05-16
JP2001146904 2001-05-16
PCT/JP2001/007352 WO2002092210A1 (fr) 2001-05-16 2001-08-28 Dispositif de separation d'un melang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683A KR20040012683A (ko) 2004-02-11
KR100744622B1 true KR100744622B1 (ko) 2007-08-01

Family

ID=1899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902A KR100744622B1 (ko) 2001-05-16 2001-08-28 믹서의 파티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27481B2 (ko)
EP (1) EP1388367A4 (ko)
KR (1) KR100744622B1 (ko)
CN (1) CN1239242C (ko)
TW (1) TW514553B (ko)
WO (1) WO20020922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18B1 (ko) 2016-08-17 2017-04-05 이흥용 제과 제빵용 믹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187B2 (en) * 2005-04-08 2008-06-10 Premark Feg L.L.C. Mixing machine and associated bowl guard system
US8308344B2 (en) 2008-01-24 2012-11-13 Premark Feg L.L.C. Mixing machine with associated bowl guard system
GB2459309A (en) * 2008-04-19 2009-10-21 Kenwood Ltd A Stand Mixer with guarding device
US8147126B2 (en) * 2009-01-26 2012-04-03 Spar Food Machinery Mfg. Co., Ltd. Covering structure of a mixer
ITPR20120025A1 (it) * 2012-05-03 2013-11-04 Gabriele Porcari Impastatrice planetaria comprendente mezzi per creare pasta
US9925506B2 (en) 2015-05-04 2018-03-27 Whirlpool Corporation Pouring shield for a stand mixer
USD818764S1 (en) * 2017-03-20 2018-05-29 Fenghua Founter Food Machinery Co., Ltd. Mixer
USD984846S1 (en) * 2020-04-08 2023-05-02 Ningbo Founter Machinery Technology Co., Ltd. Mixer
CN115212761B (zh) * 2022-07-26 2023-12-29 中山市汇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洗涤剂混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385A (ja) * 1995-03-23 1996-10-08 Kanto Kongouki Kogyo Kk ミキサーの安全装置
JP2001038186A (ja) * 1999-05-21 2001-02-13 Aikosha Seisakusho:Kk ミキサーの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734A (en) * 1933-12-04 1935-09-17 Hoe Robert Splash guard
US2193356A (en) * 1939-02-04 1940-03-12 Edith S Green Protector for mixing bowls
BE795081A (fr) * 1972-03-15 1973-05-29 Kemper Kate Petrin melangeur a commande electrique
FR2617679B1 (fr) * 1987-07-08 1989-11-03 Dito Sama Petrin pour materiau pateux, notamment pour pate a pain
US4900160A (en) * 1988-07-19 1990-02-13 Whirlpool Corporation Pouring shield for a food mixer
US5348393A (en) * 1992-07-24 1994-09-20 Univex Corporation Safety guard system for food mixer
US5306083A (en) * 1993-08-04 1994-04-26 Premark Feg Corporation Mixer guard mounting means
ES1025908Y (es) * 1993-10-06 1994-08-01 Sammic Sa Mecanismo para movilizacion de pantallas protectoras, aplicable en batidoras industriales y similares.
US5533806A (en) * 1995-05-19 1996-07-09 Middleby Marshall Inc. Guard for industrial size food mixer
FR2740064B1 (fr) * 1995-10-24 1998-01-09 Robot Coupe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ppareil batteur/melangeur
FR2741121B1 (fr) * 1995-11-10 1998-01-30 Dito Sama Systeme de fixation d'un ecran de securite sur le bati d'une machine
US6068398A (en) * 1999-11-01 2000-05-30 Lin; Wen-Chih Safety protective hood assembly for a food ble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7385A (ja) * 1995-03-23 1996-10-08 Kanto Kongouki Kogyo Kk ミキサーの安全装置
JP2001038186A (ja) * 1999-05-21 2001-02-13 Aikosha Seisakusho:Kk ミキサーの安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18B1 (ko) 2016-08-17 2017-04-05 이흥용 제과 제빵용 믹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2210A1 (fr) 2002-11-21
TW514553B (en) 2002-12-21
KR20040012683A (ko) 2004-02-11
US6827481B2 (en) 2004-12-07
CN1481273A (zh) 2004-03-10
EP1388367A1 (en) 2004-02-11
US20040022124A1 (en) 2004-02-05
CN1239242C (zh) 2006-02-01
EP1388367A4 (en)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22B1 (ko) 믹서의 파티션장치
US7270473B2 (en) Bowl scraper and related attachment system for mixing machine
US20060227654A1 (en) Mixing machine and associated bowl guard system
AU2005339562B2 (en) Mixer with pivotable bowl
US8251567B2 (en) Mixer with pivotable bowl
KR20030033662A (ko)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MXPA06009819A (es) Mezcladora con tazon pivotable.
EP1719491A1 (en) Improved capsule filling machine
EP2939874A1 (en) Headrest
JPH07136839A (ja)
EP1754926A2 (en) Apparatus stand
WO2012044578A1 (en) Backrest assembly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KR102130339B1 (ko) 줄자용 벨트홀더
EP2045122A1 (en) Ottoman for vehicle seat
JP6200694B2 (ja) マンホール用補助梯子
EP0650008A1 (en) Protective screen moving device applicable to industrial mixers and similar equipment
JP4315411B2 (ja) 遊技機における開閉体のヒンジ構造
WO2007137350A1 (en) Automatic locking device
JP3854125B2 (ja) 落下衝撃試験装置
JP2002038504A (ja) マンホール用の転落防止補助梯子
KR102450125B1 (ko) 안전고리용 거치대
CN216289649U (zh) 一种电控柜支架
JP6713108B2 (ja) ヒンジ機構
JP2549036B2 (ja) 縦型遊技機
JP4478698B2 (ja) 遊技機における開閉体のヒン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