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81B1 -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81B1
KR101718881B1 KR1020160055097A KR20160055097A KR101718881B1 KR 101718881 B1 KR101718881 B1 KR 101718881B1 KR 1020160055097 A KR1020160055097 A KR 1020160055097A KR 20160055097 A KR20160055097 A KR 20160055097A KR 101718881 B1 KR101718881 B1 KR 10171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enus
selection
pat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건
Original Assignee
홍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건 filed Critical 홍대건
Priority to KR102016005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81B1/ko
Priority to PCT/KR2017/004693 priority patent/WO2017192008A1/ko
Priority to US15/585,873 priority patent/US2017032268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는,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능을 가지고, 디스플레이,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경로 상에는 m개의 제 1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는 비출력 위치라 정의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상기 제 2 경로 위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ULTISTAGE MENU SELE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의 면적에 비해 많은 수의 메뉴를 출력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 기 정해진 혹은 선택된 일부 메뉴만을 단계별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범람하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성과 편의성이 더욱 강화된,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사람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전자 기기인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컴퓨터는 차세대 전자 기기 분야 중 가장 높은 시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그 발전속도는 점차 빨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정보통신부의 IT839 신성장 동력산업 중 하나인 차세대 PC산업의 주요 핵심분야로 웨어러블 컴퓨터의 육성에 관한 정부 차원의 정책이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컴퓨터 중 최근 가장 대중화된 것으로는 사람의 손목에 착용하는 스마트워치(smart watch)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워치를 비롯한 웨어러블 컴퓨터는 사람의 손목을 비롯한 신체 부위에 착용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러한 웨어러블 컴퓨터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의 크기 역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컴퓨터에 영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해,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에 가상 키보드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통상적인 PC(personal computer)용 키보드와 같이 영문 알파벳 26글자에 각각 대응되는 26개의 키를 동시에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면,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특성상 키의 크기가 매우 작아져 사용자가 입력에 큰 불편을 겪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도 1과 같은 가상 키보드(10)에 의한 문자 입력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1의 가상 키보드(10)는 문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복수의 키(11)를 포함하며, 하나의 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각기 다른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도 1의 가상 키보드(10)의 키 중 “ABC”라 적혀 있는 키를 한 번 누르면 A가, 두 번 연타하면 B가, 세 번 연타하면 C가 입력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하나의 키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키 크기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1과 같은 문자 입력 방식 역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횟수의 증가가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문자 입력 방식에서 “YES”라는 세 글자로 된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WXYZ”키 3회, “DEF”키 2회, “PQRS”키 4회로 총 9회의 터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자 개수에 비해 과도한 터치 횟수는 사용자의 불편 혹은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4-0051201 (2014.04.30. 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입력 공간이 한정된 경우에도 최대한 적은 수의 조작으로 문자 입력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입력 공간이 한정된 경우에도 최대한 적은 수의 조작으로 문자 입력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는,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능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경로 상에는 m개의 제 1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는 비출력 위치라 정의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하나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하나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가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라면,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인접한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가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라면,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 위치 및 상기 제 2 출력 위치는,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혹은 상기 n개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1부터 n까지의 기 정해진 순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기 정해진 순서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n개의 메뉴 중에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위의 임의의 한 점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경로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임의의 한 점을 지나는 반직선과 교차하는 제 1 경로 상의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 경로의 진행에 따라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는,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된 두 개의 메뉴가 각각 p번째, q번째 메뉴이고 p보다 q가 큰 수라고 할 때, 상기 순서가 p 이상 q 이하에 해당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메뉴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에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제 1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 혹은 비출력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된 드래그가 상기 제 2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서 종료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종료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1 경로 위의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를 비출력 위치라 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될 때,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인접한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출력 위치 및 상기 제 2 출력 위치는,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 상에서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혹은 상기 n개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1부터 n까지의 기 정해진 순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기 정해진 순서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도록 상기 n개의 메뉴 중에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 위의 임의의 한 점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경로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임의의 한 점을 지나는 반직선과 교차하는 제 1 경로 상의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 경로의 진행에 따라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는,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된 두 개의 메뉴가 각각 p번째, q번째 메뉴이고 p보다 q가 큰 수라고 할 때, 상기 순서가 p 이상 q 이하에 해당되는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메뉴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에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 혹은 비출력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된 드래그가 상기 제 2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서 종료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종료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정한 입력 동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메뉴를 모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기 정해진 일정한 수의 메뉴만을 우선 출력한 후, 후행하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기초하여 나머지 메뉴들이 출력되는 다단계 메뉴 선택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 혹은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형 전자 기기의 터치스크린 방식 디스플레이를 통한 문자 입력 등에 있어, 기존의 방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요구되는 입력 동작의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효율성과 편의성이 함께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 정해진 메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를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셋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의 조합에 의해 메뉴 선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뉴의 출력 상태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이러한 도 2의 전자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키보드(keyboard) 혹은 마우스(mouse)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10)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120)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감지 패널을 통해 구현되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 감지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120)의 자세한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혹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10)의 기능을 하는 터치 감지 패널과 일체로 구성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120)를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120)는 기 정해진 복수 개의 메뉴 중 전부 혹은 일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라 함은, 디스플레이(120)에 의해 해당 메뉴가 출력되고, 출력된 메뉴를 사용자가 터치 등의 입력 동작을 통해 선택하면, 상기 메뉴에 매칭된 동작이 전자 기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이러한 메뉴는 대표적으로 가상 키보드의 각각의 키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전자 기기(100)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바로 가기 아이콘 등이 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전자 기기(100)가 목표로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입력부(110), 디스플레이(120) 및 저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자 기기(100)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혹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메뉴 중 어떤 것을 출력할 것인지, 특정 메뉴가 선택될 시에 수행될 동작이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구체적으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기록 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의 수행을 위한 전자 기기(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워치와 같은 소형 웨어러블 전자 기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겠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각 단계는 반드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메뉴가 n개(n은 2 이상의 자연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메뉴를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메뉴로 가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뉴의 총 개수인 n은 26이 되며, 1번 메뉴는 A, 2번 메뉴는 B… 26번 메뉴는 Z에 알파벳 순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고유한 일련 번호를 갖는 메뉴가 하나 혹은 그 이상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고, 출력된 메뉴 중 하나를 사용자가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선택할 경우, 선택된 메뉴에 매칭된 영문자가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메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영문자 외에도 한글 자모, 숫자 등 일정한 순서를 갖는 부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조건 하에서, 디스플레이(120)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120) 상의 기 정해진 제 1 경로(121) 위의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100). 이와 같은 m개의 메뉴는,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혹은, 상기 m개의 메뉴는 n개의 전체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과거의 메뉴 선택 이력을 분석하여, n개의 메뉴 중 사용자가 많이 선택했던 순서대로 m개의 메뉴를 고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m개의 메뉴는 일련 번호 간의 간격이 서로 같도록 정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위에서 든 영문자의 예에서 일련 번호 간의 간격이 7이 되도록 1번 메뉴(A), 8번 메뉴(H), 15번 메뉴(O), 22번 메뉴(V)를 m개(이 경우, m은 4)의 메뉴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m개의 메뉴 결정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의 예시를 도 4를 통해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 정해진 메뉴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E, I, M, Q, U, Z의 입력에 각각 대응되는 1번, 5번, 9번, 13번, 17번, 21번, 26번 메뉴가 출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m이 7이 되며, 기 정해진 메뉴는 1번, 5번, 9번, 13번, 17번, 21번, 26번 메뉴가 되는 것이다. 각 메뉴는 해당 메뉴에 매칭된 영문자가 포함된 형상으로 출력됨을 가정한다. 한편, 상기 출력된 각 메뉴는 제 1 경로(121) 상에 일련 번호에 따라(본 실시예에서는, 현실적으로 알파벳 순서가 됨) 혹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경로(121) 상의 m개의, 이 경우에는 7개의 제 1 위치에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200) 혹은 터치 펜 등 다른 터치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 1 경로(121) 상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를 비출력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비출력 위치는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5번(E) 메뉴가 출력된 제 1 위치와 9번(I) 메뉴가 출력된 제 1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경로(121) 상의 위치는 하나의 비출력 위치로 묶일 수 있으며, 9번(I) 메뉴가 출력된 제 1 위치와 13번(M) 메뉴가 출력된 제 1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경로(121) 상의 위치는 이와는 또 다른 비출력 위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출력 위치들 간의 간격은, 제 1 경로(121) 상에서 서로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설명하면, S100 이후 입력부(110)는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S200). 그러면, 디스플레이(120)는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디스플레이(120) 상의 기 정해진 제 2 경로 위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S300). 이 경우, 제 2 경로 위에도 제 1 경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이러한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를 각각 출력한다고 설정할 수 있다. 제 2 출력 위치 역시 제 1 출력 위치와 유사하게 제 2 경로 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고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메뉴의 수 역시 특정 개수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출력 위치의 개수 역시 상기 특정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방법에 있어서,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를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컨대,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21번(U) 메뉴와 26번(Z) 메뉴 사이의 비출력 위치를 손가락(200)이 터치했음을 볼 수 있다. 해당 비출력 위치가 터치됨으로써, 해당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인 20번(U) 메뉴부터 26번(Z) 메뉴까지의 전 메뉴 및 1번(A) 메뉴가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됨을 볼 수 있다. 특정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는 기 정해진 기준에 따를 수 있으나, n개의 메뉴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도록, 즉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도 매칭되지 못한 메뉴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가)에 의하면, 제 2 경로(122)는 제 1 경로(121)와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그 위치를 공유하도록 설정되며, 이에 따라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수행되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이 전환되어, 제 1 경로(121) 상의 제 1 위치에 출력된 메뉴들은 더 이상 출력되지 않게 되는 한편,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120)상의 제 2 경로(122)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제 2 경로(122)가 제 1 경로(121)와는 겹치지 않도록 설정됨으로써, 제 1 경로(121) 상의 제 1 위치에 출력된 메뉴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120)상의 제 2 경로(122)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경로(121) 혹은 제 2 경로(122)는 디스플레이(120)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루프 형태로, 예컨대 원, 원호, 사각형, 혹은 사각형의 일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되는 메뉴들 사이의 간격은 제 2 경로(122) 상에서 서로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도 5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패널이 아닌 디스플레이(120) 주변의 다른 곳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120)와는 별도의 터치 패드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때, 도 5의 (나)의 입력부(110) 중 임의의 영역이 손가락(200)에 의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메뉴 혹은 비출력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보다 일반화시켜 설명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경로(121) 혹은 제 2 경로(122)는 디스플레이(120)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루프 형태라 가정한다. 이 때, 제 1 경로(121) 상의 제 1 위치에 메뉴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 1 경로(121)의 중심(123)으로부터 시작하여 입력부(110)에서 선택된 영역(124)을 지나는 반직선(125)과 교차하는 비출력 위치, 혹은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혹은,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되어 있는 상태라면, 역시 제 2 경로(122)의 중심(126)으로부터 시작하여 입력부(110)에서 선택된 영역(127)을 지나는 반직선(128)과 교차하는 제 2 경로(122) 상의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것으로 간주된 위치에 메뉴가 출력되어 있다면 해당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출력된 메뉴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S400). 그리고, 선택된 메뉴에 매칭된 동작이 전자 기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S500). 예컨대, 도 5의 (가) 또는 (나)에서 제 2 경로(122) 상의 25번(Y) 메뉴가 손가락(200) 등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경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선택 동작에 의해 “Y”라는 영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의 제 1 경로(121) 상의 제 1 위치에 메뉴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출력 위치가 아닌, 제 1 위치에 출력된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전자 기기(100)는 선택된 메뉴에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고, S300의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가) 또는 (나)에서 제 1 경로(121) 상의 1번(A) 메뉴가 선택될 경우, 전자 기기(100)는 상기 선택 동작에 의해 “A”라는 영문자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제 1 위치를 선택할 경우에도 비출력 위치를 선택한 것과 같이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임의의 제 1 위치를 선택할 경우 이에 인접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각각의 제 1 위치에 하나 이상의 메뉴를 매칭시켜, 임의의 제 1 위치를 선택하면 해당 제 1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S100 내지 S500의 과정에 의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적은 수의 선택 행위(예컨대, 터치)로 동일한 동작(예컨대, 영단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예로 든 “YES”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도 1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9번의 터치가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2회의 터치만으로 하나의 영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최대 6번의 터치만으로 “YES”라는 동일한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불편 혹은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성과 편의성이 함께 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본 발명의 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겹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셋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을 통해, 1부터 n까지의 일련 번호를 갖는 n개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 바 있다.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 이를 더욱 확장하여, 복수의 메뉴 셋이 있고, 하나의 메뉴 셋은 복수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메뉴 셋과 제 2 메뉴 셋의 두 개의 메뉴 셋이 있으며, 제 1 메뉴 셋은 1번, 2번… n번의 n개의 메뉴를 포함하며, 제 2 메뉴 셋은 1번, 2번… p번의 p개의 메뉴를 포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메뉴 셋은 한글 자음, 제 2 메뉴 셋은 한글 모음을 각각 선택하여 입력하기 위한 메뉴 셋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메뉴 셋은 1번(ㄱ), 2번(ㄴ)… 14(ㅎ)번의 14개의 메뉴를 포함하며, 제 2 메뉴 셋은 1번(ㅏ), 2번(ㅑ)… 10번(ㅣ)의 10개의 메뉴를 포함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도 6의 (가)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제 1 경로(121) 상에 제 1 메뉴 셋 중 기 정해진 메뉴(이 경우, 1번(ㄱ), 5번(ㅁ), 9번(ㅈ), 14번(ㅎ))를 출력하거나, 도 6의 (나)와 같이 제 1 경로(121) 상에 제 2 메뉴 셋 중 기 정해진 메뉴(이 경우, 1번(ㅏ), 4번(ㅕ), 7번(ㅜ), 10번(ㅣ))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메뉴 셋과 제 2 메뉴 셋의 전환은 디스플레이(12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존재하는 메뉴 셋 선택 영역(129)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의 (가)를 보면, 메뉴 셋 선택 영역(129)의 두 메뉴 중 “자음”메뉴가 선택(검은 바탕에 흰 글씨)되어 있기 때문에, 자음에 해당하는 제 1 메뉴 셋에 속하는 메뉴가 제 1 경로(121) 상에 출력된다. 이에 반해 도 6의 (나)를 보면, 메뉴 셋 선택 영역(129)의 두 메뉴 중 “모음”메뉴가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모음에 해당하는 제 2 메뉴 셋에 속하는 메뉴가 제 1 경로(121) 상에 출력된다. 사용자는 메뉴 셋 선택 영역(129)의 두 메뉴 중 한 메뉴를 터치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상기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뉴 셋 간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한글 입력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카테고리(자음과 모음)에 속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한정된 면적의 화면 내에서 카테고리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6의 (다)와 같이, 상기 전환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메뉴 셋에 대한 출력을 디스플레이(120)의 각각 다른 영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의 조합에 의해 메뉴 선택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외에도 드래그를 추가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본 발명의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120) 상의 기 정해진 영역, 예컨대 제 1 경로(121) 혹은 제 2 경로(122)와 겹치지 않는 영역에,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을 둘 수 있다.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7의 (가)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제 1 경로(121)에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메뉴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 1 경로(121) 상의 비출력 위치 중 하나를 터치하면, 도 7의 (나)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이 전환되면서 제 2 경로(122) 상에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매칭된 메뉴들이 출력될 수 있음은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비출력 위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를 지속시킨 상태로, 손가락(200)을 이용하여 제 2 경로(122)를 따라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로 도 7의 (나)를 보면, 손가락(200)이 제 2 경로(122) 상의 26번 메뉴(Z) 위를 터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에는 “Z”라는 영문자가 표시된다. 도 7의 (다)를 보면, 손가락(200)이 드래그 동작을 통해 26번 메뉴(Z)에서 25번 메뉴(Y) 위로 움직였으며, 이에 따라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에는 “Y”라는 영문자가 표시됨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200)을 떼면 손가락(200)을 뗀 시점에서 손가락(200)이 접촉하고 있던 25번 메뉴(Y)에 매칭된 동작, 즉 “Y”라는 영문자를 입력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도 7의 (라)를 통해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서 터치 및 드래그가 조합된 하나의 동작을 통해 하나의 영문자가 입력되고 나면, 도 7의 (마)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반전시켜 제 1 경로(121) 상에 기 정해진 메뉴가 표시된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에는 선택 동작을 통해 이미 입력된 문자(여기서는 “Y”)가 고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선택 메뉴 표시 영역(131)은 일반적인 입력창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도 7의 실시예에 의하면,“터치 및 드래그”의 연속적인 한 동작에 의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YES”라는 영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총 3회의 동작만을 수행하면 되며, 이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9번의 터치가 필요한 것에 비해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속하고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전자 기기(100)에서의 터치를 통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가)에서 손가락(200)의 터치에 의해 비출력 위치를 선택할 때, 해당 비출력 위치 안에서도 어느 위치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도 7의 (다)에서 어떤 메뉴가 손가락(200)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에 출력되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의 (가)를 보면 21번 메뉴(U)와 26번 메뉴(Z) 사이의 비출력 위치가 손가락(200)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 선택된 비출력 위치의 길이를 10mm(1cm)라 한다면, 제 1 경로(121)를 따라 26번 메뉴(Z)로부터 0~2.5mm 내의 거리에 있는 위치를 선택할 경우 도 7의 (나)에서 손가락(200)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에 25번 메뉴(Y)가 출력되도록, 2.5~5mm 내의 거리에 있는 위치를 선택할 경우 손가락(200)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에 24번 메뉴(X)가 출력되도록, 5~7.5mm 내의 거리에 있는 위치를 선택할 경우 손가락(200)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에 23번 메뉴(W)가 출력되도록, 7.5~10mm 내의 거리에 있는 위치를 선택할 경우 손가락(200)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에 22번 메뉴(V)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비출력 위치 내에서 대략적인 세부 위치를 가늠하여 해당 부분에 대한 정확한 터치를 수행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응되는 메뉴가 도 7의 (나)의 단계에서 손가락(200) 바로 밑에 오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드래그 없이 단지 손가락(200)을 떼는 동작만으로도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어 입력에 필요한 동작이 더욱 간결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위의 설명에서는 드래그 동작이 제 2 경로(122)를 따라 수행됨을 설명하였고, 실제로 그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제 2 경로(122)를 따라서만 수행될 필요는 없고, 드래그의 종점이 제 2 경로(122) 위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이기만 하면 해당 메뉴에 매칭된 명령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의하면, 손가락(200)의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 2 경로(122)에 메뉴가 출력된 경우, 손가락(200)을 제 2 경로(122)에 속하지 않는 디스플레이(120) 상의 영역까지 드래그한 후 뗌으로써, 디스플레이(122)의 화면을 반전시켜 제 1 경로(121) 상에 기 정해진 메뉴가 출력된 상태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특정 메뉴의 선택 및 해당 메뉴에 매칭된 동작의 수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도 8의 (가) 내지 (라)를 통해 볼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도 5 및 도 7을 통해 유추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뉴의 출력 상태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도 9에 대한 설명을 통해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의 설명을 참조하여 유추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도 9의 (가)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손가락(200)이 디스플레이(120)의 제 2 경로(122) 상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를 시작하여, 제 2 경로(122)의 한쪽 끝(1번 메뉴(A)가 출력된 쪽)을 지나서 제 2 경로(122)를 벗어나 제 2 경로(122)의 다른쪽 끝(20번 메뉴(T)가 출력된 쪽)에 도달한 후 손가락(200)을 뗌으로써 드래그를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면, 도 9의 (가)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된 메뉴의 종류가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의 (나)에서는 드래그의 방향을 반대로 수행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나)의 왼쪽 그림과 같이 손가락(200)이 디스플레이(120)의 제 2 경로(122) 상에 접촉된 상태로 드래그를 시작하여, 제 2 경로(122)의 20번 메뉴(T)가 출력된 쪽의 끝을 지나서 제 2 경로(122)를 벗어나 제 2 경로(122)의 1번 메뉴(A)가 출력된 쪽의 끝에 도달한 후 손가락(200)을 뗌으로써 드래그를 종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도 9의 (나)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된 메뉴의 종류가 변할 수 있다. 다만, 도 9의 (나)의 경우, 도 9의 (가)와는 드래그의 방향이 반대였기 때문에, 도 9의 (가)와는 제 2 경로(122)에 새로 출력된 메뉴의 종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가)는 1번 메뉴(A)가 출력된 위치로부터 경로를 벗어나는 드래그가 수행되었으므로 1번 메뉴(A) 이후의 8개 메뉴인 2번 메뉴(B)에서 9번 메뉴(I)까지의 메뉴가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되도록, 도 9의 (나)는 20번 메뉴(T)가 출력된 위치로부터 경로를 벗어나는 드래그가 수행되었으므로 20번 메뉴(T) 이전의 8개 메뉴인 12번 메뉴(L)에서 19번 메뉴(S)까지의 메뉴가 제 2 경로(122)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2 경로(122)상에 한 번에 출력되는 메뉴의 수 및 제 2 경로(122)상에 드래그에 의해 새로이 출력되는 메뉴의 종류는 이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경로(122)상에 출력되는 메뉴의 종류를 전환하기 위한 동작은 반드시 도 9의 (가) 및 (나)에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9의 (다) 및 (라)를 보면, 단순히 제 2 경로(122)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출발하여 제 2 경로(122)를 벗어난 위치를 거친 후, 다시 제 2 경로(122)상의 위치(출발 위치와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음)로 돌아오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각각 도 9의 (가) 및 (나)와 같은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다) 및 (라)와 같이 제 2 경로(122)를 절반으로 나누어, 한쪽 절반이 속한 디스플레이(120)상의 영역을 “A측”, 다른 쪽 절반이 속한 디스플레이(120)상의 영역, 즉 A측의 나머지 영역을 “B측”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도 9의 (다)와 같이 A측에서 이루어진 드래그에 의해 도 9의 (가)의 예와 같은 동작이, 도 9의 (라)와 같이 B측에서 이루어진 드래그에 의해 도 9의 (나)의 예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9와 관련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비출력 위치를 잘못 터치한 경우에도 터치를 다시 할 필요 없이 이미 수행된 터치와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드래그 동작을 통해 제 2 경로(122) 상에 출력된 메뉴의 종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전자 기기(100)에서의 터치를 통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 기기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
130: 제어부
140: 저장부

Claims (26)

  1.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능을 가지며,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경로 상에는 m개의 제 1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는 비출력 위치라 정의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하나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제 1 경로와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지점에,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출력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는,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제 1 출력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가 구획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상기 지점이 속하는지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으로서의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에 대한 선택이 수행된 것으로 보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3.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능을 가지며,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경로 상에는 m개의 제 1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는 비출력 위치라 정의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하나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기 설정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이 상기 제 2 경로 위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전환하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혹은 상기 n개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정의되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9. 삭제
  10. n이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기능을 가지며,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 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가 정의되고, 상기 제 1 경로 상에는 m개의 제 1 출력 위치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는 비출력 위치라 정의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도록 하되,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상기 하나 이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상기 n개의 메뉴 중 하나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이 감지된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위의 임의의 한 점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경로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임의의 한 점을 지나는 반직선과 교차하는 제 1 경로 상의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1부터 n까지의 기 정해진 순서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 경로의 진행에 따라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는,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된 두 개의 메뉴가 각각 p번째, q번째 메뉴이고 p보다 q가 큰 수라고 할 때, 상기 순서가 p 이상 q 이하에 해당되는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메뉴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에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하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의해 상기 제 1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 혹은 비출력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해 감지된 드래그가 상기 제 2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서 종료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종료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보는
    다단계 메뉴 선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13.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1 경로 위의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를 비출력 위치라 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될 때,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제 1 경로와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선택이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지점에,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는,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제 1 출력 위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가 구획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상기 지점이 속하는지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선택으로서의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메뉴에 대한 선택이 수행된 것으로 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15.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1 경로 위의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를 비출력 위치라 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될 때,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기 설정된 드래그 동작이 감지될 경우,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이 상기 제 2 경로 위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혹은 상기 n개의 메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19. 삭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2 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루프 형태로 정의되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21. 삭제
  22.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때, n개의 메뉴 중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m은 1 이상 n 미만의 범위에서 기 정해진 자연수일 때, 상기 n개의 메뉴 중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1 경로 위의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경로 위의 위치 중,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속하지 않는 위치를 비출력 위치라 하고, 상기 비출력 위치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를 경계로 구획될 때,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n개의 메뉴 중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 각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기 정해진 제 2 경로 위에 정의된 복수의 제 2 출력 위치 중 한 곳에 각각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비출력 위치에 매칭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1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 2 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선택이 감지된 제 2 출력 위치에 출력된 메뉴에 기 매칭된 동작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중 하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부 위의 임의의 한 점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제 1 경로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의 점에서 출발하여, 상기 임의의 한 점을 지나는 반직선과 교차하는 제 1 경로 상의 위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된 것으로 보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메뉴 각각은 1부터 n까지의 기 정해진 순서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메뉴를, 상기 기 정해진 m개의 제 1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 경로의 진행에 따라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하나 이상의 메뉴는, 상기 각각의 비출력 위치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 1 출력 위치에 각각 출력된 두 개의 메뉴가 각각 p번째, q번째 메뉴이고 p보다 q가 큰 수라고 할 때, 상기 순서가 p 이상 q 이하에 해당되는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출력 위치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감지될 경우, 상기 선택된 비출력 위치에 기 매칭된 메뉴를, 상기 제 2 경로 상의 상기 제 2 출력 위치에 상기 기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 혹은 상기 비출력 위치에 대한 터치가 감지될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 혹은 비출력 위치가 선택된 것으로 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가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드래그가 상기 제 2 경로 상의 메뉴가 출력된 위치에서 종료된 경우, 상기 드래그의 종료가 감지된 위치의 메뉴가 선택된 것으로 보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25.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제 18 항, 제 20 항 및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제 18 항, 제 20 항 및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60055097A 2016-05-04 2016-05-04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10171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97A KR101718881B1 (ko) 2016-05-04 2016-05-04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PCT/KR2017/004693 WO2017192008A1 (ko) 2016-05-04 2017-05-02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15/585,873 US20170322686A1 (en) 2016-05-04 2017-05-03 Multi-Stage Menu Sel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97A KR101718881B1 (ko) 2016-05-04 2016-05-04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881B1 true KR101718881B1 (ko) 2017-03-22

Family

ID=584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97A KR101718881B1 (ko) 2016-05-04 2016-05-04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22686A1 (ko)
KR (1) KR101718881B1 (ko)
WO (1) WO20171920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8037A (zh) * 2017-07-14 2017-09-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7966S1 (en) * 2016-01-26 2018-05-15 Sony Corporation Portion of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4502S1 (en) * 2016-06-11 2017-12-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5672S1 (en) * 2018-03-15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1720S1 (en) * 2018-03-30 2019-10-01 Lightspeed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0050S1 (en) 2019-03-22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D208935S (zh) * 2019-08-27 2020-1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螢幕之圖像
USD942509S1 (en) 2020-06-19 2022-02-0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3680S1 (en) * 2020-09-02 2022-12-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148181B (zh) * 2020-09-30 2022-08-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菜单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1201A (ko) 2014-04-06 2014-04-30 박용필 터치 화면을 이용하는 스마트기기의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JP5566190B2 (ja) * 2010-05-31 2014-08-06 東京アナグラム株式会社 検索装置、検索条件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9236A (ko) * 2014-06-03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3723B1 (en) * 1995-03-27 2005-06-07 Donald K. Forest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US7093201B2 (en) * 2001-09-06 2006-08-15 Danger, Inc. Loop menu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296670B2 (en) * 2008-05-19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a menu utilizing a drag-operation
US9313309B2 (en) * 2008-12-11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Access to contacts
EP2438504A1 (en) * 2009-06-05 2012-04-11 Dassault Systemes SolidWorks Corporation Predictive target enlargement
US9690449B2 (en) * 2012-11-02 2017-06-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based selection of graphical elements
KR20140111497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삭제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US9274685B2 (en) * 2013-03-15 2016-03-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text entry for small-screen devices with touch-based two-stage text input
KR102254891B1 (ko) * 2014-10-10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190B2 (ja) * 2010-05-31 2014-08-06 東京アナグラム株式会社 検索装置、検索条件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51201A (ko) 2014-04-06 2014-04-30 박용필 터치 화면을 이용하는 스마트기기의 키보드 애플리케이션
KR20150139236A (ko) * 2014-06-03 2015-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입력 공간이 한정된 경우에도 최대한 적은 수의 조작으로 문자 입력 등의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68037A (zh) * 2017-07-14 2017-09-1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2008A1 (ko) 2017-11-09
US20170322686A1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81B1 (ko)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US10126941B2 (en) Multi-touch text input
US20190354580A1 (en) Multi-word autocorrection
US20090183098A1 (en) Configurable Keyboard
US20060055669A1 (en) Fluent user interface for text entry on touch-sensitive display
US20140123049A1 (en) Keyboard with gesture-redundant keys removed
US20140267019A1 (en) Continuous directional input method with related system and apparatus
JP55563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272699A (zh) 手势检测分区
US11379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formatting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6350409A (ja) 文字入力装置
US10095403B2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5945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드레그에 기반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6178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20110080841A (ko)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814345A (zh) 用于输入字符的方法、终端及记录媒体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10166390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US20200319788A1 (en) Interactive virtual keyboard configured for gesture based word sel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keys arranged approximately radially about at least one center point
KR101791132B1 (ko) 다중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652881B1 (ko) 터치 환경에서의 피커를 이용한 영문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