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841A -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841A
KR20110080841A KR1020100001257A KR20100001257A KR20110080841A KR 20110080841 A KR20110080841 A KR 20110080841A KR 1020100001257 A KR1020100001257 A KR 1020100001257A KR 20100001257 A KR20100001257 A KR 20100001257A KR 20110080841 A KR20110080841 A KR 2011008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vowel
key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종
Original Assignee
정명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종 filed Critical 정명종
Priority to KR102010000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841A/ko
Publication of KR2011008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제1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자음키가 터치된 후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USING TOUCH AND DRAG}
본 발명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및 드래그 행위를 가하여 한국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형 휴대용 단말은 휴대나 간편한 조작을 목적으로 하는 소형 단말을 통칭하는 용어로, 구체적으로, PDA(Personal Data Assistant), 무선통신단말, MP3, 블루투스 기기,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PMP, 전자사전 및 TV나 셋톱박스, 노래방기기 등의 화상기기의 리모콘 등이 있으며, 이하 터치스크린을 갖춘 스마트폰(smartphone)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음성통화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용 단말로,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로 구성되며,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와 그 위에 설치되는 터치패널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는 통상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외부 보조필기도구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나열된 아이콘을 터치하여 해당 기능을 사용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도 1은 풀자판(QWERTY) 자판이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7개의 자모키와 6개의 기능키가 구현되어 있다. 컴퓨터의 일상적인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익숙한 키보드를 사용하므로 자모의 위치나 사용법에 있어서 가장 익숙한 형태이다. 그러나 키의 수가 모두 33개에 이르게 되어,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에서 각 키의 크기는 작게 구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손가락으로 터치하기 위해서는 인접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매우 조심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스타일러스와 같은 외부 보조필기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 2는 간편 문자입력기 중 나랏글이 사용되는 스마트폰, 도 3은 천지인이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키의 수가 QWERTY 자판의 33개에 비해 크게 축소된 12개이다. 따라서 스타일러스와 같은 외부 보조필기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손가락만으로도 충분히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 도 2와 도 3 모두의 공통점은, 키가 3 * 4 등의 격자구조 속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 방식은 사용할 수 없고, 초성 자음의 입력, 중성 모음의 입력 및 종성 자음의 입력 등 입력의 매 순간, 터치와 터치해제를 반복해야 하는 방식이라는 점이다.
도 4는 가장 최근에 등장한 모아키가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음의 입력은 기존의 방식과 마찬가지로 터치와 터치해제의 방식을 사용하지만, 모음의 경우에는, 드래그방식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 앞서 3가지의 방식보다는 보다 터치스크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아, 어, 오, 우를 제외한 나머지 모음의 입력방식에서 직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법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에 사용법을 습득하기가 쉬운 한글 입력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의 입력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서 인접키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와 드래그 행위를 통하여 한글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제1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자음키가 터치된 후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터치 행위, 드래그 행위, 드래그를 해제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추적하는 터치분석 모듈, 및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자음키가 터치된 후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를 획득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자음키, 기본 모음키 및 각각의 기본키 중앙의 자모변환키를 두어, 한글입력단계에 필요한 기본키만 키패드에 나타나도록 하여, 자판에서 각각의 키가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하여 외부 보조필기도구의 도움없이 손가락만으도 인접키의 간섭없이 터치할 수 있게 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자음키와 기본 모음키에는 형태상 가장 기본이 되는 자음과 모음만을 배치하여 각각의 개별키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하여 외부 보조필기도구의 도움없이 손가락만으로도 인접키의 간섭없이 키를 터치할 수 있게 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기본키패드 상에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을 키패드 상의 정중앙에 위치한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동일거리의 원형구조로 배치하여, 인접키에 간섭받지 않고 드래그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기본키패드의 기본키에서 얻어지는 파생키들을 기본키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배치하여 터치의 해제없이 회전 드래그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급적 터치해제의 수는 줄어들고, 드래그를 이용하여 더 빠르고 오류없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은 풀자판(QWERTY)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나랏글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천지인을 채택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모아키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자음 키패드(6자음안)에서, 각각의 기본 모음이 원형구조 내에서 차지하는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모음 키패드(6모음안)에서, 각각의 기본 모음이 원형구조 내에서 차지하는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자음키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기본 자음 "ㄱ" 및 "ㄱ"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기본 자음 "ㄴ" 및 "ㄴ"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기본 자음 "ㄹ" 및 "ㄹ"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기본 자음 "ㅁ" 및 "ㅁ"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기본 자음 "ㅅ" 및 "ㅅ"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기본 자음 "ㅇ" 및 "ㅇ" 의 파생 자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기본 모음 "ㅏ" 및 "ㅏ" 의 파생 모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기본 모음 "ㅓ" 및 "ㅓ" 의 파생 모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기본 모음 "ㅗ" 및 "ㅗ" 의 파생 모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는 기본 모음 "ㅜ" 및 "ㅜ" 의 파생 모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기본 모음 "ㅡ" 및 "ㅡ" 의 파생 모음의 배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510: 표시부
520: 키패드 배열 저장부
530: 터치분석 모듈
540: 통신부
550: 제어부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국부적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국부적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자음키 또는 모음키가 배치되어 나타나는 키 스킨은 원형을 원칙으로 하나, 6각형, 8각형 그리고 축구공과 같은 깎은 정이십면체, 깍은 십이이십면체, 부풀린 십이이십면체 등의 키 스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 장치(5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 장치(500)는 표시부(510),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 터치분석 모듈(530), 통신부(540) 및 제어부(55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510)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후술할 도 6과 같은 6자음안에 따른 기본 자음키 또는 도 7과 같은 6모음안에 따른 기본 모음키를 원형 등과 같이 자모변환키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하여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10)는 사용자에 의해 자음키 또는 모음키에 대해 터치, 드래그, 드래그 해제 등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조작에 따라 입력된 소정의 자음,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글자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10)가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에 저장된 키패드 배열 중 6자음안에 기초한 기본 자음키의 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기본 자음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원형구조 내에서 일정 각도(가령, 60도)로 나누어 표시한 도면이다. 다른 예로서, 9자음안에 기초한 자음키의 배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각 기본 자음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원형구조 내에서 가령 40도에 해당될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510)가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에 저장된 키패드 배열 중 6모음안에 기초한 기본 모음키의 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 기본 모음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원형구조 내에서 일정 각도(가령, 60도)로 나누어 표시한 도면이다. 다른 예로서, 3모음안에 기초한 모음키의 배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는 각 기본 모음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가 원형구조 내에서 가령 120도에 해당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하여 손 또는 입력 펜과 같은 보조수단으로 해당 키를 터치하거나 상기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필요한 단방향 또는 복수방향으로 드래그 입력을 수행하거나 드래그 입력 후 드래그를 해제하는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는 기본 자음 키패드, 기본 모음 키패드, 파생 자음 키패드, 파생 모음 키패드, 자모변환키 등의 배치 및 방향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도 6에 도시된 기본 자음 키패드 및 자모변환키의 배열에 대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자모변환키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6자음키가 그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8d는 자모변환키의 주변을 둘러싸는 6자음키의 배열이 입체적(3차원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자음 키패드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패턴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서는 기본 자음 키패드의 변형예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7과 같은 기본 모음 키패드의 변형예를 상정함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추후 설명될 파생 자음 키패드 및 파생 모음 키패드의 변형예를 상정함에 있어서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분석 모듈(530)은 표시부(5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특정 영역에서 발생되는 터치, 드래그 입력, 드래그 해제(즉, 드래그 입력의 종료) 여부 등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5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패드의 특정 영역에 터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드래그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 및 드래그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터치분석 모듈(53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550)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분석 모듈(530)은 표시부(5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도 6과 같은 기본 자음 키패드 상의 "ㄱ" 부분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일어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ㄱ" 부분으로부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표시부(510)가 도 7과 같은 기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해 준다. 이어서, 터치분석 모듈(530)에 의해 상기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도 7과 같은 기본 모음 키패드 상의 "ㅏ" 부분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졌음이 감지되면 표시부(510)는 "가" 라는 글자가 현재까지의 입력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이때 반드시 디스플레이될 필요는 없고 상기 글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상태에서 네 가지 다른 후속 동작별로 어떠한 글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지를 자세히 살펴 본다.
우선, 첫 번째 후속 동작의 예로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기본 모음 키패드 상의 "ㅏ" 부분으로부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터치분석 모듈(530)은 이러한 행위를 파악하여 표시부(510)로 하여금 다시 도 6과 같은 자음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재차 디스플레이된 자음 키패드 중 가령 "ㄴ" 부분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간"이라는 글자가 현재까지의 입력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두 번째 후속 동작의 예로서, "ㅏ" 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드래그의 유지 상태를 종료하면 터치분석 모듈(530)은 이러한 행위를 한 글자의 완성으로 판단하여 "가"라는 글자가 입력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표시부(510)로 하여금 "가"라는 글자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것이다. 이때, 표시부(510)는 다음 문자의 초성 자음입력을 위해 기본 키패드를 자음 키패드로 바꾸어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 번째 후속 동작의 예로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기본 모음 키패드 상의 "ㅏ" 부분으로부터 또 다른 모음인 "ㅣ" 부분으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터치분석 모듈(530)은 이러한 행위를 복합 모음의 입력으로서 판단하여 표시부(510)로 하여금 "개"라는 글자가 현재까지의 입력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모음 "ㅏ"와 모음 "ㅣ"의 결합이 음성 또는 형태적으로 "ㅐ"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응용한 글자 완성 매커니즘에 따른 것이다. 다만, 복합 모음의 입력이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모음 키패드 상의 "ㅏ" 부분을 터치하기만 하면 추후 설명될 도 15에서와 같이 "ㅏ" 및 "ㅏ"에 대한 파생 모음들이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15에서와 같이 "ㅏ" 부분으로부터 "ㅐ" 부분으로 드래그 행위가 수행되면 "개"라는 글자가 현재까지의 입력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네 번째 후속 동작의 예로서,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기본 모음 키패드 상의 "ㅏ" 부분으로부터 키 스킨 바깥으로 드래그한 후 드래그 상태를 종료하면, 터치분석 모듈(530)은 이러한 행위를 파악하여 모음 "ㅏ"의 입력은 취소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고 표시부(510)로 하여금 계속 도 7과 같은 기본 모음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다시 기본 모음의 입력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에서 드래그 상태가 종료되는 경우 모음 "ㅏ"의 입력만 취소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근에 입력된 글자인 "가"의 입력 전체가 취소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키 스킨 바깥으로 드래그한 후 드래그 상태를 종료하는 경우의 동작이 상기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 스킨 바깥으로 드래그가 되면 현재 입력 중인 글자의 입력을 완성하고 한 칸 띄어쓰기를 수행한 후 다음 글자의 입력을 준비하는 모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한 칸 띄어쓰기의 역할은 어절과 어절 사이를 구분해 주는 역할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기본 자음 및 기본 모음의 입력에 의한 글자 구성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파생 자음 및 파생 모음의 입력까지 포함하는 글자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자음키로부터 파생된 파생 자음키로서, 기본 자음키 "ㄱ"을 터치했을 때 보여지는 "ㄱ"의 파생 자음인 "ㄲ, ㄳ, ㅋ" 등이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 또는 양방향 등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또는 도 9b를 참조하면, 표시부(510)는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에 저장된 복수의 파생 자음키 배열 중 사용자 등에 의해 선택된 특정 파생 자음키 배열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상기 특정 파생 자음키의 배열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서와 같이 "ㄱ" 및 "ㄱ"의 파생 자음들을 원형 스킨 내에 가령 60도의 각도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9b에서와 같이 인식의 오류가 방지되는 선에서 그 각도를 좁혀 가령 대략 10도 정도의 각도로 배치하여 회전 왕복 드래그의 운동 범위를 작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510)는 파생 자음키를 입력하기 위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은 기본 자음키가 배열된 상태에서 "ㄱ"을 터치하면 도 9a 또는 도 9b에서와 같은 "ㄱ" 및 "ㄱ"의 파생 자음키의 배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주로 이러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때, 도 9a 또는 도 9b와 같은 상태에서 "ㄱ" 부분으로부터 "ㅋ" 부분으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표시부(510)는 파생 자음인 "ㅋ"가 입력된 것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로 "ㅋ" 부분으로부터 자모변환키로 드래그를 수행하면 도 7과 같은 기본 모음 입력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의 중성 모음 또는 종성 자음 등의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7과 같은 UI 상에서 기본 모음인 "ㅏ"의 파생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선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ㅏ" 부분으로 드래그를 수행함에 따라 도 15와 같은 "ㅏ" 및 "ㅏ"의 파생 모음으로 이루어진 모음키들의 배열이 디스플레이되면,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로 "ㅏ" 부분으로부터 "ㅐ" 부분으로 드래그를 수행함으로써, "캐"라는 글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을 것이다.
다만, 파생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UI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과 같은 기본 자음키 배열을 응용하여 모든 자음(기본 자음 및 파생 자음)을 360도의 원형 스킨 내에 적절히 배열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도 9a 또는 도 9b에서와 같은 파생 자음 입력 모드로 전환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는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파생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UI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할 것이다.
그 밖에, 기본 자음 "ㄴ, ㄹ, ㅁ, ㅅ, ㅇ"에 대한 파생 자음의 배열의 예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되고 있으며, 기본 모음 "ㅏ, ㅓ, ㅗ, ㅜ, ㅡ"에 대한 파생 모음의 배열의 예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540)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50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50)는, 표시부(510),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 터치분석 모듈(530) 및 통신부(5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50)는 외부로부터의/로의 또는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표시부(510),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 터치분석 모듈(530) 및 통신부(5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50)는 터치분석 모듈(530)에서 감지된 정보 및 키패드 배열 저장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키패드의 배열 정보를 기초로 어떠한 자음, 모음 등이 조합되는지를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조합된 글자가 표시부(510)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국부적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단말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제1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자음키가 터치된 후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모음키 부분으로부터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자음을 종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e)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2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자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자음으로 구성되는 글자가 획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본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제1 기본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기본 자음키가 터치되면 상기 제1 기본 자음과 관련된 파생 자음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a2)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기본 자음키로부터 제1 파생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파생 자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파생 자음이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본 모음을 중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기본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기본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기본 모음과 관련된 파생 모음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2)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기본 모음키로부터 제1 파생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파생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파생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가 획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상기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상기 자모변환키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상기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상기 자모변환키를 3차원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각각 임의로 특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음키 또는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된 영역 외부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글자의 입력이 완성되고 한 칸 띄어쓰기가 되어 다음 글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터치 행위, 드래그 행위, 드래그를 해제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추적하는 터치분석 모듈, 및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자음키가 터치된 후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를 획득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모음키 부분으로부터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됨이 감지되면, 자음을 종성으로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2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자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됨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자음, 상기 제1 모음, 및 상기 제2 자음으로 구성되는 글자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기본 자음을 초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기본 자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제1 기본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기본 자음키가 터치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본 자음과 관련된 파생 자음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기본 자음키로부터 제1 파생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파생 자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파생 자음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기본 모음을 중성으로서 입력하기 위한 기본 모음키의 배열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자모변환키 부분으로부터 제1 기본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기본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기본 모음과 관련된 파생 모음을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화면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 기본 모음키로부터 제1 파생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파생 모음키 부분으로 드래그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자음 및 상기 제1 파생 모음으로 구성되는 글자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상기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상기 자모변환키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상기 자모변환키를 중심으로 상기 자모변환키를 3차원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키의 배열 및 상기 모음키의 배열은 각각 임의로 특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분석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자음키 또는 상기 제1 모음키가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된 영역 외부로 드래그가 수행되었음이 감지되면, 글자의 입력을 완성하고 한 칸 띄어쓰기를 수행한 후 다음 글자의 입력을 기다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01257A 2010-01-07 2010-01-07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10080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57A KR20110080841A (ko) 2010-01-07 2010-01-07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257A KR20110080841A (ko) 2010-01-07 2010-01-07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841A true KR20110080841A (ko) 2011-07-13

Family

ID=4491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257A KR20110080841A (ko) 2010-01-07 2010-01-07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08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47A1 (ko) * 2012-04-06 2013-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CN106055265A (zh) * 2016-05-20 2016-10-26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记录输入速度的方法及装置、输入设备及笔记本电脑
CN106258906A (zh) * 2015-05-13 2017-01-04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种植器及置于汽车内的植物种植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347A1 (ko) * 2012-04-06 2013-10-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9891822B2 (en) 2012-04-06 2018-02-13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Sejong Campus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character selection gesture upon an arrangement of a central item and peripheral items
CN106258906A (zh) * 2015-05-13 2017-01-04 深圳市铁汉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种植器及置于汽车内的植物种植器
CN106055265A (zh) * 2016-05-20 2016-10-26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记录输入速度的方法及装置、输入设备及笔记本电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6294B2 (ja) ジェスチャと重複するキーが除去されるキーボード
US10126941B2 (en) Multi-touch text input
JP4560062B2 (ja) 筆跡判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213414B2 (ja) 機能の実現方法及び装置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EP2370878B1 (en) Gesture detection zones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718881B1 (ko) 다단계 메뉴 선택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JP2013527539A5 (ko)
JP5951886B2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JP4462120B2 (ja) 文字入力装置
KR102381051B1 (ko)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KR102216127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20110080841A (ko)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095403B2 (en) Text input on devices with touch screen displays
KR100647827B1 (ko)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10156178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KR101482867B1 (ko) 테두리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 및 포인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3182342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US20140250402A1 (en) Efficient input mechanism for a computing device
KR101710377B1 (ko) 멀티터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1268141B1 (ko) 자모 변환 기반의 터치스크린 한글 입력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KR101550140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