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743B1 - 공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공 수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8743B1 KR101718743B1 KR1020160082508A KR20160082508A KR101718743B1 KR 101718743 B1 KR101718743 B1 KR 101718743B1 KR 1020160082508 A KR1020160082508 A KR 1020160082508A KR 20160082508 A KR20160082508 A KR 20160082508A KR 101718743 B1 KR101718743 B1 KR 101718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ball
- pulley
- motor
- entr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collecting by using a sweeping means moving across the playing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1—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picking-up automatically, e.g. by apparatus moving over the playing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구공, 테니스공, 골프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어 박스에 담아주도록 하여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한 공 수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인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공인입구를 통해 인인된 공을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으로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흩어져 있는 야구공, 테니스공, 골프공 등을 수거하기 위해 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어 박스에 담아주도록 하여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공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 테니스, 골프 등과 같은 스포츠는 연습 중 많은 공을 사용하고 있으며, 연습 중 사용한 공은 지면에 흩어져 있게 되는데, 이러한 공을 사람이 일일이 수거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장치가 하기의 문헌들에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 수거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가격이 고가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거하지 못하는 공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대비 운용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며, 수거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구공, 테니스공, 골프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어 박스에 담아주도록 하여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게 한 공 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인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공인입구를 통해 인인된 공을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으로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 수거장치로서, 전방에는 공인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내부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향 경사면이 끝나는 후측에 수거박스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앞바퀴와 뒷바퀴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를 공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공인입구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이 상향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수거박스에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인입구에 인접하여 상향 경사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공 수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 수거수단은: 상기 공인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의 전방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인입구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하는 전방브러쉬; 상기 전방브러쉬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브러쉬에 의해 공인입구로 인입된 공을 상기 상향 경사면을 따라 이송시켜 수거박스에 담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공을 이송되도록 하는 후방브러쉬; 상기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상기 전방브러쉬가 회전되도록 상기 전방브러쉬에 구비되는 전방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에 의해 후방브러쉬가 회전되도록 상기 후방브러쉬에 구비되는 후방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설치된 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풀리의 직경과 상기 제2 풀리의 직경은: 상기 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풀리의 직경이 상기 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풀리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전방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몸체의 공인입구로 공을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을 상기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에 의해 상향 경사면을 따라 빠르게 이송되게 하여 수거박스에 수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공인입구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공인입구의 선단에는 플렉시블한 가이드부재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공이 공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박스의 높이는 상기 상향 경사면의 후단 제일 높은 곳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을 수거박스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수거박스를 교체하면서 착탈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주행부;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향부;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동부; 및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에는: 각각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각각 작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식 배터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충전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를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무선 리모컨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모니터에서 모니터링하면서 무선 리모콘을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에 의하면, 바닥에 흩어져 있는 공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공이 브러쉬를 통해 내부로 이송되게 하여 박스에 담아주어 수거함으로서 공을 편리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인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공인입구를 통해 인인된 공을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으로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함으로서 수거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고,
본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다른쪽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동수단의 일 구성인 주행부와 제동부 및 조향부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주행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조향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고,
본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다른쪽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동수단의 일 구성인 주행부와 제동부 및 조향부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주행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조향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고, 본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다른쪽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에는 몸체(1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는 공인입구(1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인입구(112)로부터 이어지는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경사면(114)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향 경사면(114)이 끝나는 후측에 별도의 수거박스(12)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거박스(12)의 높이는 상향 경사면(114)의 후단 제일 높은 곳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공의 수거가 용이하고, 또 상기 수거박스(12)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교체하면서 착탈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러 개의 수거박스(12)를 구비하여 하나의 수거박스(12)에 공이 모두 수거되면 다른 빈 수거박스(12)를 교체하여 편리하게 공을 수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거박스(12)의 장착을 위해 상기 몸체(100)의 수거박스(12)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부가 오픈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에는 이동수단(2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수단(200)은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설치된 앞바퀴(221)와 뒷바퀴(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앞바퀴(221)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2개를 설치하고, 상기 뒷바퀴(222)는 좌우 양측과 중앙에 각각 위치하도록 3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뒷바퀴(222) 중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바퀴는 자유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양측에 위치하는 바퀴는 고르지 않은 지면에서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앞바퀴(221)와 뒷바퀴(222)에 의해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전동 및 수동으로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0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102)를 잡고서 몸체(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동수단(200)에 도 6표시와 같이 주행부와 조향부, 제동부 및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전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0)를 별도의 바이크 등에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별도의 차량 앞쪽에 상기 몸체(100)를 연결브라켓(미도시) 등으로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200)에 의해 몸체(100)를 이동시키면서 공을 수거할 때 상기 몸체(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공인입구(112)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잔디 등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인입구(112)를 통해 공이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자고 상기 공인입구(112)의 선단에는 플렉시블한 가이드부재(116)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16)에 의해 공이 상기 공인입구(112)를 통해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에는 공 수거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공 수거수단(300)은 공인입구(112)에 인접하여 상향 경사면(114)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수단(200)에 의해 몸체(100)를 공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공인입구(112)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이 상향 경사면(114)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수거박스(12)에 수거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공 수거수단(300)은 공인입구(112)에 인접하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114)의 전방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전방브러쉬(310)가 설치되어 상기 전방브러쉬(310)에 의해 공인입구(112)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방브러쉬(310)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114)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후방브러쉬(320)가 설치되어 상기 전방브러쉬(310)에 의해 공인입구(112)로 인입된 공을 상기 후방브러쉬(320)에 의해 상향 경사면(114)을 따라 이송시켜 수거박스(12)에 담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공을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방브러쉬(310)와 후방브러쉬(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모터(330)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330)는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30)에 의한 동력으로 상기 전방브러쉬(310)가 회전되도록 상기 전방브러쉬(310)에 구비되는 전방회전축(3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풀리(314)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33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풀리(314)에 의해 후방브러쉬(320)가 회전되도록 상기 후방브러쉬(320)에 구비되는 후방회전축(32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2 풀리(324)에 벨트(340)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상기 벨트(340)가 제1 풀리(314)와 제2 풀리(324)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330)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제2 풀리(324)를 통해 제1 풀리(314)가 회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풀리(314)의 직경과 상기 제2 풀리(324)의 직경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전방브러쉬(310)와 후방브러쉬(32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후방브러쉬(320)를 전방브러쉬(310) 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후방브러쉬(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풀리(324)의 직경이 상기 전방브러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풀리(314)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벨트(34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때 직경이 작은 제2 풀리(324)가 상대적으로 빨리 회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후방브러쉬(320)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전방브러쉬(310)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전방브러쉬(310)의 회전에 의해 몸체(100)의 공인입구(112)로 공을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을 상기 후방브러쉬(320)의 빠른 회전에 의해 상향 경사면(114)을 따라 공이 빠르게 이송되게 하여 수거박스(12)에 수거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브러쉬(320)의 빠른 회전에 의해 공을 상향 경사면(114)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브러쉬(320)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방브러쉬(310)에 의해 공인입구(112)를 통해 인입된 공이 다시 빠져나가기 않고 후방브러쉬(320)의 빠른 회전속도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공수거에 따른 수거불량을 없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충전식 배터리(230)를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충전식 배터리(230)는 도 2표시와 같이 몸체(100)의 일측에 구동모터(330)에 인접하도록 설치하거나 혹은 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에 각각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공이 수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이동수단의 일 구성인 주행부와 제동부 및 조향부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주행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를 전동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의 도면으로, 조향부와 제동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 수거장치는 상기 몸체(100)를 전동식으로 이동시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200)에 주행부(220)와 조향부(250)와 제동부(240) 및 컨트롤러(21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220)는 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퀴(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향부(250)는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240)는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210)는 주행부(220)와 조향부(250) 및 제동부(2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주행부(220)와 조향부(250) 및 제동부(240)에는 각각 주행모터(223)와 조향모터(251) 및 제동모터(241)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모터(223)와 조향모터(251) 및 제동모터(241)에 의한 동력으로 각각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주행부(220)와 조향부(250), 제동부(240) 및 컨트롤러(210)의 설치 위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공간(100a)을 구비한 뒤, 그 공간(100a)에 상기 주행부(220)와 조향부(250), 제동부(240) 및 컨트롤러(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부(220)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앞바퀴(221)과 뒷바퀴(222), 상기 몸체(100)의 뒷바퀴 측 고정부(210a)에 장착된 주행모터(223), 뒷바퀴(222)에 연결된 뒷바퀴축(222a)과 주행모터(223)에 연결된 모터축(223a), 뒷바퀴축(222a)과 모터축(223a)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치합된 베벨기어(222b,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뒷바퀴축(222a)은 몸체(100) 측에 고정된 뒷바퀴장착부재(224)의 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축(223a)은 뒷바퀴장착부재(224)의 상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베벨기어(222b,223b)는 뒷바퀴장착부재(224)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221)의 앞바퀴축(221a)은 앞바퀴장착부재(225)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앞바퀴장착부재(225)는 몸체(100)의 앞바퀴 측 고정부(210b)에 베어링(226)을 매개로 설치된 회전축(226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앞바퀴회전축(221a)과 회전축(226a)은 각각의 단부에 설치된 베벨기어(221b,226b)가 치합되어 연동된다.
따라서, 컨트롤러(210)에 의해 주행모터(223)를 작동시키면 모터축(223a), 베벨기어(222b,223b), 뒷바퀴축(222a)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뒷바퀴(222)가 회전됨으로써 몸체(100)가 주행하게 된다.
또한, 앞바퀴(221)의 회전은 앞바퀴축(221a), 베벨기어(221b,226b)를 통해 회전축(226a)으로 전달되며, 회전축(226a)은 상단이 베어링(226)의 인너레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순히 공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은 앞바퀴장착부재(225)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동부(24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모터(241)와, 제동모터(241)에 연결된 감속기어박스(242)와, 감속기어박스(242)에 연결된 유압펌프(243) 및, 유압펌프(243)에 파이프와 호스로 연결되고 앞바퀴 측 회전축(226a)과 뒷바퀴 측 모터축(223a)에 설치된 브레이크어셈블리(244)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어셈블리(244)는 주행모터(223)나 베어링(226) 또는 몸체부(100)의 인접 부분에 고정될 수 있으며, 모터축(223a) 또는 회전축(226a)이 중심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어셈블리(244)는 내부에 유압 공급시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패드(244a)를 구비하며, 브레이크패드(244a)의 사이에 모터축(223a) 또는 회전축(226a)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브레이크디스크(244b)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10)에 의해 제동모터(241)를 작동시키면, 제동모터(241)의 회전력이 감속기어박스(242)에서 적절한 회전수로 감속 및 방향전환 된 후 유압펌프(243)로 입력되어 이를 작동시키고, 유압펌프(243)에서 발생한 유압이 파이프와 호스를 통해 각 앞바퀴(221)와 뒷바퀴(222) 쪽에 설치된 브레이크어셈블리(244)에 전달됨으로써 브레이크패드(244a)가 브레이크디스크(244b)에 밀착되어 모터축(223a)과 회전축(226a)의 회전이 억제되며, 이에 모터축(223a)과 회전축(226a)에 연결되어 있는 뒷바퀴(222)와 앞바퀴(221)의 회전이 감소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향부(250)는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모터(251)와, 조향모터(251)에 연결된 조향축(252)과, 조향축(252)에 연결된 조향기어박스(253)와, 조향기어박스(253)와 앞바퀴(221)가 장착된 앞바퀴장착부재(225)를 연결하는 타이로드(254)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기어박스(253)는 내부에 피니언샤프트와 이에 치합된 랙바가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조향축(252)에 피니언샤프트가 연결되고, 랙바의 양단에 타이로드(254)가 연결되며, 랙바와 타이로드(254)의 사이 및 타이로드(254)와 앞바퀴장착부재(225)의 사이는 핀 또는 볼조인트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힌, 상기 조향축(252)의 상단은 조향모터(251)의 회전축과 베벨기어로 연결되고, 조향축(252)의 하단에는 피니언샤프트의 상단이 삽입되어 핀 결합 또는 세레이션 결합됨으로써 조향축(252)과 피니언샤프트는 일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10)에 의해 조향모터(251)를 작동시키면, 모터 구동력이 조향축(252), 조향기어박스(253)의 피니언샤프트, 조향기어박스(253)의 랙바, 타이로드(254)순으로 전달되고, 이에 타이로드(254)가 앞바퀴장착부재(225)를 밀거나 당겨줌으로써 앞바퀴장착부재(225)가 회전축(226a)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조향(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행모터(223)와 조향모터(251) 및 제동모터(24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식 배터리(230)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식 배터리(23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충전식 배터리(230)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 위치되게 설치하거나(도 2참조),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10)는 주행부(220)와 조향부(250) 및 제동부(240)를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무선 리모컨(2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체(100)에는 카메라(214)를 장착하여 상기 카메라(214)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모니터에서 모니터링하면서 무선 리모콘(212)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몸체 102 - 손잡이
112 - 공인입구 114 - 상향 경사면
116 - 가이드부재 200 - 이동수단
210 - 컨트롤러 220 - 주행부
230 - 배터리 240 - 제동부
250 - 조향부 300 - 공 수거수단
310 - 전방브러쉬 320 - 후방브러쉬
112 - 공인입구 114 - 상향 경사면
116 - 가이드부재 200 - 이동수단
210 - 컨트롤러 220 - 주행부
230 - 배터리 240 - 제동부
250 - 조향부 300 - 공 수거수단
310 - 전방브러쉬 320 - 후방브러쉬
Claims (6)
- 공 수거장치에 있어서,
전방에는 공인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공인입구로부터 이어지는 내부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상향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상향 경사면이 끝나는 후측에 수거박스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 앞바퀴와 뒷바퀴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를 공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공인입구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이 상향 경사면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수거박스에 수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인입구에 인접하여 상향 경사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설치된 공 수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공 수거수단은:
상기 공인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의 전방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인입구를 통해 공이 인입되도록 하는 전방브러쉬;
상기 전방브러쉬의 후방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상향 경사면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방브러쉬에 의해 공인입구로 인입된 공을 상기 상향 경사면을 따라 이송시켜 수거박스에 담을 수 있도록 후방으로 공을 이송되도록 하는 후방브러쉬;
상기 전방브러쉬와 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상기 전방브러쉬가 회전되도록 상기 전방브러쉬에 구비되는 전방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구동모터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에 의해 후방브러쉬가 회전되도록 상기 후방브러쉬에 구비되는 후방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된 제2 풀리; 및
상기 제2 풀리에 제1 풀리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설치된 벨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풀리의 직경과 상기 제2 풀리의 직경은:
상기 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풀리의 직경이 상기 전방브러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풀리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전방브러쉬의 회전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전방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몸체의 공인입구로 공을 인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인입된 공을 상기 후방브러쉬의 빠른 회전에 의해 상향 경사면을 따라 빠르게 이송되게 하여 수거박스에 수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공인입구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공인입구의 선단에는 플렉시블한 가이드부재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공이 공인입구를 통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박스의 높이는 상기 상향 경사면의 후단 제일 높은 곳에 대응하거나 혹은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을 수거박스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수거박스를 교체하면서 착탈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주행부;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향부;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동부; 및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에는:
각각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각각 작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주행모터와 조향모터 및 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전식 배터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충전식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행부와 조향부 및 제동부를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무선 리모컨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사용자가 모니터에서 모니터링하면서 무선 리모콘을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 수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508A KR101718743B1 (ko) | 2016-06-30 | 2016-06-30 | 공 수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2508A KR101718743B1 (ko) | 2016-06-30 | 2016-06-30 | 공 수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8743B1 true KR101718743B1 (ko) | 2017-03-22 |
Family
ID=5849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2508A KR101718743B1 (ko) | 2016-06-30 | 2016-06-30 | 공 수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8743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63328A (zh) * | 2017-03-31 | 2017-06-20 | 东南大学 | 一种双级滚刷捡球机器人 |
KR20180018469A (ko) * | 2017-12-19 | 2018-02-21 | 주식회사 알에프에이 | 골프공 수거장치 |
CN109224405A (zh) * | 2018-10-16 | 2019-01-18 | 广西科技大学 | 一种新型自动捡球机器人 |
CN110812807A (zh) * | 2019-11-20 | 2020-02-21 | 哈尔滨学院 | 足球训练用捡球器 |
CN112190891A (zh) * | 2020-09-11 | 2021-01-08 | 广东工业大学 | 一种多功能捡球小车 |
CN113018802A (zh) * | 2021-02-26 | 2021-06-25 | 四川农业大学 | 一种新型网球训练用网球拾取装置 |
CN113750481A (zh) * | 2021-10-21 | 2021-12-07 | 德宏师范高等专科学校 | 一种体育训练用网球自动捡球和除污的装置 |
KR20220030453A (ko) | 2020-09-01 | 2022-03-11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 |
KR20230004021A (ko) * | 2021-06-30 | 2023-01-0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식 탁구공 수거장치 |
KR20230004029A (ko) * | 2021-06-30 | 2023-01-0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탁구공 수거 및 보관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2422A (ja) * | 1992-01-21 | 1993-08-03 | Shota Hiyamuta | ゴルフボール回収作業車 |
KR20090112338A (ko) | 2008-04-24 | 2009-10-28 | (주) 리버스 | 골프공 수거로봇 |
KR20100018120A (ko) * | 2008-08-06 | 2010-02-17 | 권동혁 | 테니스공 수집장치 |
KR20110048609A (ko) | 2009-11-03 | 2011-05-12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니스 공 수집장치 |
KR20130007280U (ko) | 2012-06-13 | 2013-12-23 | 시 명 김 | 자동 골프공 수거기 |
KR20140122906A (ko) * | 2013-04-11 | 2014-10-21 | 주식회사 만도 | 공 수거장치 |
-
2016
- 2016-06-30 KR KR1020160082508A patent/KR101718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92422A (ja) * | 1992-01-21 | 1993-08-03 | Shota Hiyamuta | ゴルフボール回収作業車 |
KR20090112338A (ko) | 2008-04-24 | 2009-10-28 | (주) 리버스 | 골프공 수거로봇 |
KR20100018120A (ko) * | 2008-08-06 | 2010-02-17 | 권동혁 | 테니스공 수집장치 |
KR20110048609A (ko) | 2009-11-03 | 2011-05-12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테니스 공 수집장치 |
KR20130007280U (ko) | 2012-06-13 | 2013-12-23 | 시 명 김 | 자동 골프공 수거기 |
KR20140122906A (ko) * | 2013-04-11 | 2014-10-21 | 주식회사 만도 | 공 수거장치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63328A (zh) * | 2017-03-31 | 2017-06-20 | 东南大学 | 一种双级滚刷捡球机器人 |
KR20180018469A (ko) * | 2017-12-19 | 2018-02-21 | 주식회사 알에프에이 | 골프공 수거장치 |
KR101873226B1 (ko) | 2017-12-19 | 2018-07-04 | 주식회사 알에프에이 | 골프공 수거장치 |
CN109224405A (zh) * | 2018-10-16 | 2019-01-18 | 广西科技大学 | 一种新型自动捡球机器人 |
CN109224405B (zh) * | 2018-10-16 | 2024-02-20 | 广西科技大学 | 一种新型自动捡球机器人 |
CN110812807A (zh) * | 2019-11-20 | 2020-02-21 | 哈尔滨学院 | 足球训练用捡球器 |
KR20220030453A (ko) | 2020-09-01 | 2022-03-11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조정 공 회수기 및 그 작동방법 |
CN112190891A (zh) * | 2020-09-11 | 2021-01-08 | 广东工业大学 | 一种多功能捡球小车 |
CN113018802A (zh) * | 2021-02-26 | 2021-06-25 | 四川农业大学 | 一种新型网球训练用网球拾取装置 |
KR20230004021A (ko) * | 2021-06-30 | 2023-01-0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식 탁구공 수거장치 |
KR20230004029A (ko) * | 2021-06-30 | 2023-01-06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탁구공 수거 및 보관 장치 |
KR102577035B1 (ko) * | 2021-06-30 | 2023-09-08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식 탁구공 수거장치 |
KR102680303B1 (ko) * | 2021-06-30 | 2024-06-28 |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듈형 탁구공 수거 및 보관 장치 |
CN113750481A (zh) * | 2021-10-21 | 2021-12-07 | 德宏师范高等专科学校 | 一种体育训练用网球自动捡球和除污的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8743B1 (ko) | 공 수거장치 | |
US9114285B2 (en) | Tennis ball pick-up cart | |
US20090137348A1 (en) | Robot for collecting table tennis balls | |
US10131403B2 (en) | Double motor power unit and procedure for mounting the unit onto bicycle frame | |
CN106427513A (zh) | 一种抽屉式电动汽车的电池快速更换系统 | |
CN208893585U (zh) | 一种投射拾取一体式网球训练机器人 | |
KR20140122906A (ko) | 공 수거장치 | |
JPH0520117B2 (ko) | ||
KR20100018120A (ko) | 테니스공 수집장치 | |
KR101127386B1 (ko) | 골프공 자동 회수 로봇 | |
CN112891873A (zh) | 一种网球发球捡球一体机 | |
JP2013517832A (ja) | 競技用移動式バスケットボール台 | |
EP3256376A1 (en) | Single motor power unit and procedure for mounting the unit onto bicycle frame | |
CN214808323U (zh) | 一种篮球用自动发球装置 | |
KR101579903B1 (ko) | 원격제어형 피칭머신 | |
US20100005603A1 (en) | Apparatus for delivering or withdrawing a flexible tubular casing of a pipe cleaning device | |
CN108261755A (zh) | 篮球投篮装备 | |
KR200397936Y1 (ko) | 골프공 회수장치 | |
KR200471935Y1 (ko) | 자동 골프공 수거기 | |
CN207769146U (zh) | 自动篮球发球装备 | |
KR200446653Y1 (ko) | 골프공 공급장치 | |
JP4289531B2 (ja) | 球技練習用投球機 | |
JP4080559B2 (ja) | パチンコ球集拾機 | |
JP7443998B2 (ja) | 物体拾得装置 | |
CN107715415A (zh) | 一种网球自动捡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