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633B1 -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633B1
KR101718633B1 KR1020150156041A KR20150156041A KR101718633B1 KR 101718633 B1 KR101718633 B1 KR 101718633B1 KR 1020150156041 A KR1020150156041 A KR 1020150156041A KR 20150156041 A KR20150156041 A KR 20150156041A KR 101718633 B1 KR101718633 B1 KR 10171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asol
coupled
prese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김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주 filed Critical 김창주
Priority to KR102015015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은, 중공부를 가지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를 포함하는 덮개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천이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덮개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들이 결합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TABLE AND TABLE COMBINABLE WITH PARASOL}
본 발명은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전에 의한 개인소득의 향상, 여가선용에 대한 욕구,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의 확충, 주 5일제 근무 등에 따라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대되면서 여가선용 인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각종 대중문화와 오락 및 스포츠를 통한 여가 선용, 강이나 바다 혹은 산 등에서 즐길 수 있는 각종 레포츠 활동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야외로 캠핑을 가거나 야외에서 음식을 먹는 일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 경우 야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야외용 테이블, 그리고 햇빛이나 눈 또는 비를 피할 수 있는 파라솔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산 형상의 파라솔을 고정식 테이블(고정된 형상의 테이블) 또는 조립식 테이블 등에 단순히 지지시켜 설치하는 것이 현재의 일반적인 방식이므로, 이러한 방식에서의 야외용 테이블의 경우 그 설치 및 해체 뿐만 아니라 휴대, 이동, 보관 등이 그리 용이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파라솔을 상기와 같은 고정식 또는 조립식 테이블 등에 결합하는 경우 설치하는 데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그 공간 활용도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야외로 캠핑을 가거나 야외에서 음식 등을 먹을 때, 보다 간편하게 설치, 해체, 휴대, 이동, 보관 등을 할 수 있고, 설치하는 데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의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의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공부를 가지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를 포함하는 덮개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천이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덮개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들이 결합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에 연결되어 지면상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주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지주대 연결부; 및 상기 지주대 연결부에 결합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상부 외주면에 체결 또는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과 결합되는 수평 지지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하부 지지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블; 및 지지봉과 차양막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는 파라솔;을 포함하는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이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는 파라솔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중공부를 가지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를 포함하는 덮개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천이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덮개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들이 결합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솔은, 지지봉, 차양막 및 받침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지면 상에 안착되고,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될 때 접혀져 상기 지지봉과 함께 삽입되고, 상기 지주대의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때 펼쳐지는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이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지지봉 연결부; 및 상기 지지봉 연결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상부 외주면에 체결 또는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과 결합되는 수평 지지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하부 지지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을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그 설치 및 해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을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어 테이블의 휴대, 이동, 보관 등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삽입 결합 등의 간단한 방식으로 테이블과 파라솔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의 테이블에 파라솔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하는 데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그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덮개천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 및 이동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덮개천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의 결합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테이블>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의 덮개천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은, 지주대(110), 덮개천(120), 수평지지부(130) 및 이동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대(110)는 중공부를 가지는 봉 형상의 지주로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주대(110)는, 상기와 같은 중공부에 후술하는 파라솔의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대(110)에는 도면이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공부 내부에 파라솔의 지지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주대(110)에는 도면에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공부 내부에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해 지주대(110) 내에 결합된 파라솔의 높이를 상승/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되는 파라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덮개천(120)은 수평하게 펼쳐져 음식 등이 놓여지는 것으로서, 지주대(110)를 노출시키는 노출구(1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지주대의(110)을 상단을 노출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파라솔의 지지봉이 지주대(110)의 중공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노출구(121)는 덮개천(120)의 중심부에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라솔의 지지봉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덮개천(120)의 편심된 부분에도 노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파라솔 지지봉의 형상에 따라 사각 형상, 삼각 형상 그 밖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지지부(130)는, 도 1을 참조하면, 지주대(130)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며, 복수의 수평 지지살(150)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어 상기 덮개천(120)이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덮개천(120)을 지지한다.
이하 수평지지부(13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부(130) 및 이동지지부(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지지부(130)는 고정부(131)와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10)의 상부 외주면에 체결 또는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2) 둘레에 방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평 지지살(15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150)과 힌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평 지지살(150)은, 관형의 파이프들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단은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 타단은 덮개천(120)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평 지지살(150)은, 덮개천(120)이 접혀진 상태일 경우 지면과 거의 수직으로 고정되어 폴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평 지지살(150)은, 덮개천(120)이 펼쳐져 덮개천(120)에 의해 그 타단이 상방으로 하중을 받게 되면 상승하여 지면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수평 지지살(150)은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의 수만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동지지부(140)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15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살(160)들이 결합에 의해 체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이동지지부(14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지지부(140)는, 지주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및 하방, 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지지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1)와 하부 지지살 결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부(141)는 지주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살 결합부(1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1)의 상단 둘레에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부 지지살(160)과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하부 지지살(160)들에 있어서, 그 일단은 복수의 수평 지지살(150)들과 각각 결합되며, 그 타단은 이동지지부(140)의 하부 지지살 결합부(142)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이동지지부(140)는, 지주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 하부 지지살(160)이 수평 지지살(150)을 상승시킴으로 덮개천(120)이 수평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테이블(100)은 도면에 비록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지지부(140)가 덮개천(120)이 수평하게 펼쳐지게 하는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경우, 이동지지부(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여 더 이상 상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지지부(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지주대(110) 등에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100)을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테이블(100)의 경우, 고정식 또는 조립식 테이블 등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설치 및 해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테이블(100)의 경우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음에 따라, 테이블의 휴대, 이동, 보관 등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구성의 테이블(100)에 따르면, 슬라이딩 삽입 결합 등의 간단한 방식으로 후술하는 파라솔과 결합할 수 있으므로, 파라솔과의 결합 역시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로 돌아와, 본 실시예의 테이블(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110)에 연결되어 지면 상에 안착되는 받침지지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받침지지대(170)는, 테이블(100)을 지면 상에 세워두기 위한 것으로, 지주대 연결부(171) 및 지지다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 연결부(171)는 지주대(110)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하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주대 연결부(171)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지지다리(172)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들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수단들은 지주대 연결부(171) 둘레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지주대 연결부(171)의 내경은 지주대(110)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하여 지주대(110)가 지주대 연결부(171) 안으로 삽입된 후 지주대 연결부(171)의 하단부를 막아 지주대(110)의 하단부가 지주대 연결부(171)를 관통하지 않고 지주대 연결부(17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대(110)가 지주대 연결부(171) 안으로 삽입된 후 지주대 연결부(171)의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관통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주대 연결부(171)와 함께 받침지지대(170)를 구성하는 지지다리(172)는, 지주대(110)의 실제 받침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 예로서 단순 막대 형태로 그 일단부가 지주대 연결부(171)에 위치한 결합수단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다리(172)의 결합 방식은 본 발명의 경우 특정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대 연결부(171)의 특정 위치에 지지다리(172)를 고정시켜 결합하거나, 힌지 결합, 탄성력을 가진 지지다리의 탄성 결합 등의 방식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다리(172)가 지주대 연결부(171)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뻗어 나온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의 형성개수는 3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블(100)의 크기나 지면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의 결합 상태도(테이블의 덮개천(120)과 파라솔의 차양막(220)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라솔(200)은, 지지봉(210)과 차양막(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봉(210)은, 파라솔(200)의 지지체 및 메인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를 가지며,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테이블(100)의 지주대(110, 중공부)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봉(210)의 길이 및 형태 등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일 예로서 지지봉(210)을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구현하여 자체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봉(210)에는, 차양막(220)의 설치를 위한 지지프레임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우산의 우산살 역할, 즉 차양막(220)의 펼침과 접힘 작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 예로서 단순 막대 형태이고 일단부가 지지봉(2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지지봉(210)을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차양막(220)은, 파라솔(200)의 실제 기능, 즉 비나 눈을 차단하거나 차양 기능을 하는 것으로, 직물 형태이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차양막(220)은 비나 눈 등을 막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 자체적으로 방수 기능을 갖는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고, 차양 용도로 사용할 경우 차양과 동시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양막(220)은, 지지봉(210)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지지봉(210)에 구비된 각 지지프레임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안착되어 재봉 등을 통해 각 지지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파라솔(200)의 지지봉(210)이 테이블(100)의 지주대(110, 중공부) 내에 삽입됨으로써, 테이블(100)에 파라솔(200)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에 따르면, 테이블(100)을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식 또는 조립식 테이블 등에 파라솔이 결합된 구조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 설치 및 해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테이블(100)의 지주대(110)에 파라솔(200)의 지지봉(210)을 슬라이딩 삽입하는 등의 간단한 결합 방식으로 테이블(100)과 파라솔(20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에 따르면, 손쉽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의 테이블(100)에 파라솔(2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하는 데 있어 많은 공간을 차지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로 인해 그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 제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의 덮개천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의 결합 상태도(테이블의 덮개천(120)과 파라솔의 차양막(220)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의 결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주대(110), 덮개천(120), 수평지지부(130) 및 이동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테이블(100')의 지주대(110)에 파라솔(200')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100') 및 파라솔 결합형 파라솔(1000')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지주대(110), 덮개천(120), 수평지지부(130), 고정부(131), 수평 지지살 결합부(132), 이동지지부(140), 이동부(141), 하부 지지살 결합부(142), 수평 지지살(150), 하부 지지살(160), 차양막(220)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함과 동시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받침지지대의 형성 위치 및 형태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을 지면 상에 세워 두기 위한 받침지지대(170')를 포함하고 있기는 하나, 상기 받침지지대(17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0')이 아닌 파라솔(200')에 형성된다는 점이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받침지지대(1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200') 지지봉(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지지봉(210')과 함께 테이블(100')의 지주대(110)에 삽입된 후 지주대(110) 하단 외부로 지지다리(172')가 빠져 나와 펼쳐지면서 지면 상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지지대(17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받침지지대(1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 연결부(171') 및 지지다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 연결부(171')는 지지봉(210')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하단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봉 연결부(171') 하단부에는, 복수의 지지다리(172')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들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봉 연결부(171')의 내경은 지지봉(210')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하여 지지봉(210')이 지지봉 연결부(171') 안으로 삽입된 후 지지봉 연결부(171')의 하단부를 막아 지지봉(210')의 하단부가 지지봉 연결부(171')를 관통하지 않고 지지봉 연결부(171') 내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봉(210')이 지지봉 연결부(171') 안으로 삽입된 후 지지봉 연결부(171')의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관통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봉 연결부(171')와 함께 받침지지대(170')를 구성하는 지지다리(172')는, 단순 막대 형태로서 그 일단부가 지지봉 연결부(171')의 하단부에 위치한 결합수단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는, 그 자체 탄성을 가져 지지봉 연결부(171')와 탄성적으로 결합하거나 힌지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봉 연결부(171')에 결합된다.
이는 파라솔(200')에 형성된 받침지지대(170')를 통하여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을 지면 상에 세워 두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172')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봉 연결부(171')에 결합됨으로써, 파라솔(200')의 지지봉(210')이 테이블(100')의 중공부 내로 삽입될 때,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접혀져 지지봉(210')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다리(172')가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봉 연결부(171')에 결합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는 테이블(100')의 지주대(110)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때 위쪽으로 펼쳐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다리(172')가 지주대(110)를 중심으로 방사 형상으로 뻗어 나와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1000') 전체를 지면 상에 세워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지지다리(172')의 형성개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개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블(100')의 크기나 지면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 테이블 110 : 지주대
120 : 덮개천 130 : 수평지지부
131 : 고정부 132 : 수평 지지살 결합부
140 : 이동지지부 141 : 이동부
142 : 하부 지지살 결합부 150 : 수평지지살
160 : 하부지지살 170, 170' : 받침지지대
171 : 지주대 연결부 171' : 지지봉 연결부
172, 172' : 지지다리 200, 200' : 파라솔
210, 210' : 지지봉 220 : 차양막
1000, 1000' :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에 결합되는 파라솔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은,
    중공부를 가지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를 포함하는 덮개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덮개천이 수평하게 펼쳐지도록 상기 덮개천을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살들이 결합되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솔은,
    지지봉, 차양막 및 받침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이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지면 상에 안착되고,
    상기 받침지지대는,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지지봉 연결부 및
    상기 지지봉 연결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지지봉이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될 때 접혀져 상기 지지봉과 함께 삽입되고 상기 지주대의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상부 외주면에 체결 또는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수평 지지살과 결합되는 수평 지지살 결합부;
    를 포함하는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단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지지살과 결합되는 하부 지지살 결합부;
    를 포함하는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KR1020150156041A 2015-11-06 2015-11-06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KR10171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1A KR101718633B1 (ko) 2015-11-06 2015-11-06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1A KR101718633B1 (ko) 2015-11-06 2015-11-06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633B1 true KR101718633B1 (ko) 2017-03-21

Family

ID=5850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41A KR101718633B1 (ko) 2015-11-06 2015-11-06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6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809B1 (ko) 2022-05-24 2022-09-02 주식회사 도레미파라솔 파라솔 고정테이블
KR102499797B1 (ko) * 2022-10-20 2023-02-14 이은수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KR20230095301A (ko) * 2021-12-22 2023-06-29 박이나 방수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5548A1 (fr) * 1985-08-05 1987-02-06 Giroud Alexandre Siege portatif pliant
JP3646986B2 (ja) * 2001-08-31 2005-05-11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101544529B1 (ko) * 2014-04-18 2015-08-17 이민선 공간 확보가 가능한 파라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5548A1 (fr) * 1985-08-05 1987-02-06 Giroud Alexandre Siege portatif pliant
JP3646986B2 (ja) * 2001-08-31 2005-05-11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101544529B1 (ko) * 2014-04-18 2015-08-17 이민선 공간 확보가 가능한 파라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프랑스 특허공보 특허 제 2585548 (1987.02.0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01A (ko) * 2021-12-22 2023-06-29 박이나 방수 거치대
KR102582611B1 (ko) * 2021-12-22 2023-09-25 박이나 칫솔용 방수 거치대
KR102439809B1 (ko) 2022-05-24 2022-09-02 주식회사 도레미파라솔 파라솔 고정테이블
KR102499797B1 (ko) * 2022-10-20 2023-02-14 이은수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692B2 (en)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US3899168A (en) Umbrella puppet stage
KR101718633B1 (ko)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US9051751B2 (en) Portable, collapsible wind screen
US9388600B2 (en) Table tent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KR20090127914A (ko) 접을 수 있는 침대 프레임
KR101251579B1 (ko) 파라솔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WO2014107992A1 (zh) 一种自动高顶帐篷支架
CN201162921Y (zh) 一种可收缩支撑架
KR20070009501A (ko)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20160000063U (ko) 폴딩 텐트 프레임
KR101544529B1 (ko) 공간 확보가 가능한 파라솔
KR20180063467A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AU2006235912A1 (en) Collapsible airer
CN103611275A (zh) 一种便携式羽毛球网支架
US1601569A (en) Collapsible table
KR20180011922A (ko) 텐트
CN107616595B (zh) 农家乐专用户外折叠用餐装置
KR102136071B1 (ko) 살대 연동형 신축 파라솔
JP2016211276A (ja) 折り畳み自在なキャノピー構造体
CN105615286A (zh) 一种可伸缩的桌子
KR101802253B1 (ko) 차단막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원두막 파라솔
CA2913435C (en) Portable, collapsible wind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