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301A - 방수 거치대 - Google Patents

방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301A
KR20230095301A KR1020210184639A KR20210184639A KR20230095301A KR 20230095301 A KR20230095301 A KR 20230095301A KR 1020210184639 A KR1020210184639 A KR 1020210184639A KR 20210184639 A KR20210184639 A KR 20210184639A KR 20230095301 A KR20230095301 A KR 20230095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base rod
waterproof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611B1 (ko
Inventor
박이나
Original Assignee
박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나 filed Critical 박이나
Priority to KR102021018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6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8Accessories for toilet tables, e.g. glass plates, supports therefor
    • A47K1/09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 brushes, hair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봉, 상기 베이스봉의 일단에 방사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배치되는 방수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동작프레임 및 상기 동작프레임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봉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설정된 위치로 위치되면 상기 동작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방수 거치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수 거치대{WATERPROOFING DEVICE}
본 발명은 방수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세면도구 등이 물에 닿지 않도록 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방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기숙사란 부속된 건물로 학생이나, 사원 등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기숙사는 개인적인 공간도 있으나,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기숙사에서 위생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만약 위생을 지키지 못하면 한 사람으로 인해 다양한 사람들이 피해를 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숙사 내에서 위생이 잘 지켜지나, 위생의 취약점이 있는데 이는 세면실이다. 세면실은 공동으로 세수, 양치 등을 하는 공간으로 습도가 항상 높아 병균 등이 번식하기 쉬운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면실 내의 위생 관리는 소독, 통풍, 건조 환경 유지 등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생 관리는 공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뿐 개인의 물품들은 위생 관리가 되고 않고 있다.
일례로 칫솔의 경우, 세면실 내에 배치하여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칫솔은 항상 젖어 있는 상태가 되며, 소독 등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위생상 문제 상황에 놓여 있다.
개인 물품의 경우, 그 소유자가 개별적으로 관리하면 되나 이러한 것은 쉽지 않다. 개인 물품의 경우, 소독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단지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만으로 위생의 문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11-005793 (2011.06.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세면도구 등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수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세면도구 등에 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여 세면도구 등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방수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거치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봉, 상기 베이스봉의 일단에 방사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배치되는 방수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동작프레임 및 상기 동작프레임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봉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설정된 위치로 위치되면 상기 동작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봉의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봉의 내외를 이동 가능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봉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드부 일단을 연결하는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봉의 타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원통형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힌지 연결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방수부로 인하여 물이 세면도구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지지부로 인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운반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거치대의 슬라이드부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거치대의 슬라이드부가 설정된 위치 이동된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베이스봉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거치대의 슬라이드부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방수 거치대의 슬라이드부가 설정된 위치 이동된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는 넓게 원형으로 배치된 방수부(300)가 그 위에 위치된 세면도구에 물이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수 거치대는 세면도구 근처에 거치되어 방수천으로 제조된 방수부(300)의 상측에 세면도구가 위치되어 물이 닿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는 베이스봉(100), 베이스프레임(200), 방수부(300), 동작프레임(400), 슬라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봉(100)을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봉일 수 있다. 베이스봉(100)은 일례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봉(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베이스봉(100)은 방수 거치대의 중심 뼈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봉(100)의 상측에는 베이스프레임(200)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00)은 일측이 베이스봉(100)의 상측과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00)은 복수개의 구성으로 구성되며 베이스봉(100)의 둘레를 따라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200)은 설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200)은 상면에 방수부(300)가 배치되는 경우, 방수부(300)가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방수부(300)는 베이스프레임(200)의 상면에 배치되며,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부(300)는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에 연결되며 베이스프레임(200)에 의하여 지지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부(300)는 베이스프레임(200)의 위치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즉, 도 2a를 확인하면 알 수 있듯이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이 베이스봉(100)의 하측과 가까워진 경우 방수부(300)는 접혀진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b를 확인하면 알 수 있듯이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이 베이스봉(100)의 상측에 가까워진 경우 방수부(300)는 펼쳐진 형태가 될 수 있다.
동작프레임(400)은 일측이 베이스프레임(2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드부(500)와 연결된다. 동작프레임(400)은 베이스프레임(200)과 슬라이드부(500)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동작프레임(400)은 베이스프레임(200)의 구성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된다. 동작프레임(400)은 따라서 슬라이드부(5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베이스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이 베이스봉(100)의 상측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은 동작프레임(400)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동작프레임(400) 타측이 베이스봉(100)의 상측과 가까워지는 경우 동작프레임(400)은 베이스프레임(200)의 타측이 베이스봉(100)의 상측에 가까워지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동작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500)는 베이스봉(10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베이스봉(10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500)는 동작프레임(40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00)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프레임(400)의 타측의 위치가 변경되며 결정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200)의 위치가 변경되며 결정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부(500)가 베이스봉(100)의 상측에 위치된 경우 방수부(300)가 펼쳐지며, 슬라이드부(500)가 베이스봉(100)의 하측에 위치된 경우 방수부(300)는 접혀질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인 슬라이드부(500)가 베이스봉(100)의 상측과 가까운 위치(설정된 위치)에 위치된 채 유지된다면 본 발명의 방수부(300) 아래에 위치된 세면도구는 물이 닿지 않도록 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는 탄성체(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600)는 슬라이드부(500)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성체(600)는 제1레그(610), 제2레그(620), 탄성본체(6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레그(610)와 제2레그(620)는 각각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제1레그(610)는 베이스봉(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제1설치부에 걸어서 끼워질 수 있으며, 제2레그(620)는 슬라이드부(500)의 상측에 형성된 제2설치부에 걸어서 끼워질 수 있다.
만약 슬라이드부(500)가 베이스봉(100)의 하측에 위치되면 탄성본체(630)는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난 형태가 되어 슬라이드부(500)에 탄성력을 인가하고, 그로 인하여 슬라이드부(500)는 베이스봉(10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힘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00)에 연결된 동작프레임(400)은 항상 베이스프레임(200)을 펼치는 형태로 유지하려고 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방수부(300)는 항상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방수부(300)가 접혀진 상태로 유지될 필요도 있는데 이는 베이스봉(100)의 고정돌기(110)와 슬라이드부(500)의 고정홀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봉(100)의 하측에는 베이스봉(10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되어 방사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지는 스프링과 연결된 고정돌기(11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500)의 고정홀에 이 고정돌기(110)가 위치되는 경우 탄성체(600)에 의하여 슬라이드부(500)가 베이스봉(10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탄성력을 받는다 하여도 고정돌기(110)에 의하여 슬라이드부(500)는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방수 거치대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지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봉(100)의 하측에는 지지부(7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700)는 메인프레임(710)과 지지프레임(720)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710)은 베이스봉(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720)은 메인프레임(710)에 힌지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71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710)은 설치홈(7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720)은 연결부(721)와 블록부(722)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720)의 연결부(721)를 기준으로 블록부(722)는 단차지며 연결부(721)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721)는 설치홈(711)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가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720)이 회동되는 경우, 블록부(722)는 메인프레임(710)과 맞닿아 더 이상 회전이 안 되도록 블록할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720)의 하측에는 절곡부(723)가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베이스봉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베이스봉(10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연속되며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균일한 직경을 가지며 베이스봉(100)을 가운데 두고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500)는 특정한 위치까지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체(60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강하게 이동되는 슬라이드부(500)는 베이스봉(100)의 특정한 위치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베이스봉(100)의 상측은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어서 슬라이드부(500)가 단차부까지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드부(500)로 인하여 사용자가 입을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봉
110 : 고정돌기
200 : 베이스프레임
300 : 방수부
400 : 동작프레임
500 : 슬라이드부
600 : 탄성체
610 : 제1레그
620 : 제2레그
630 : 탄성본체
700 : 지지부
710 : 메인프레임
711 : 설치홈
720 : 지지프레임
721 : 연결부
722 : 블록부
723 : 절곡부

Claims (5)

  1.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베이스봉;
    상기 베이스봉의 일단에 방사방향으로 힌지 연결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며 배치되는 방수부;
    일측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동작프레임; 및
    상기 동작프레임의 타측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봉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설정된 위치로 위치되면 상기 동작프레임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는 슬라이드부
    를 포함하는 방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봉의 일면에는 상기 베이스봉의 내외를 이동 가능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에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봉의 일단과 상기 슬라이드부 일단을 연결하는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봉의 타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통형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과 힌지 연결될 수 있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수 거치대.
KR1020210184639A 2021-12-22 2021-12-22 칫솔용 방수 거치대 KR10258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39A KR102582611B1 (ko) 2021-12-22 2021-12-22 칫솔용 방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39A KR102582611B1 (ko) 2021-12-22 2021-12-22 칫솔용 방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301A true KR20230095301A (ko) 2023-06-29
KR102582611B1 KR102582611B1 (ko) 2023-09-25

Family

ID=8694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639A KR102582611B1 (ko) 2021-12-22 2021-12-22 칫솔용 방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6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461A (ko) * 2007-03-06 2007-04-04 임형준 자동개폐용 우산
KR20110005793U (ko) 2009-12-04 2011-06-10 손미영 조립식 홍보 진열대
KR101718633B1 (ko) * 2015-11-06 2017-03-21 김창주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461A (ko) * 2007-03-06 2007-04-04 임형준 자동개폐용 우산
KR20110005793U (ko) 2009-12-04 2011-06-10 손미영 조립식 홍보 진열대
KR101718633B1 (ko) * 2015-11-06 2017-03-21 김창주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611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231179T2 (de) Polstermatraze gegen das wundliegen
US10506877B1 (en) Collapsible tie rack
KR20230095301A (ko) 방수 거치대
ATE265170T1 (de) (elastische oder bewegliche) armstützen an computerarbeitsplätzen
KR20110065687A (ko) 애완동물 샤워대
JPH0317333A (ja) 居住空間区画方法
KR101445231B1 (ko) 다기능 가구
US20170055690A1 (en) Structure of foot brush
KR20090001796U (ko)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KR20140060992A (ko)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US20070125723A1 (en) Movable bath mat bar for towel bar or bracket mount
KR101890904B1 (ko) 애완동물 발 세정기
GB2457548A (en) Compact travel clothes line
US1047449A (en) Folding bath-tub.
KR101927895B1 (ko) 거울겸용 다림질판
US2633179A (en) Wall seat
CN104473514A (zh) 一种卫浴镜
KR200329185Y1 (ko)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KR200281786Y1 (ko) 거울이 부착된 욕실용수납장
KR200312794Y1 (ko) 절첩식 선반
KR20210000574U (ko) 접이식 애완동물 샤워용 거치대
KR200468593Y1 (ko) 책장
ITME20100007U1 (it) Accessorio reclinabile per lettino da spiaggia
KR200200827Y1 (ko) 경대
US2780823A (en) Bathtub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