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797B1 -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797B1
KR102499797B1 KR1020220135966A KR20220135966A KR102499797B1 KR 102499797 B1 KR102499797 B1 KR 102499797B1 KR 1020220135966 A KR1020220135966 A KR 1020220135966A KR 20220135966 A KR20220135966 A KR 20220135966A KR 102499797 B1 KR102499797 B1 KR 102499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ternal
pair
support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수
Original Assignee
이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수 filed Critical 이은수
Priority to KR102022013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2037/005Tables specially adapted for laborat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1Assemblies of strip sections, able to hold panels and corner parts for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일정 형상의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접힘선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거나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조작장치와, 복수로 구비되고,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혔을 시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collapsible table for sampling}
본 발명은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시료의 오염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표층수는 수면 가까이에 있는 물이며, 다양한 오염 물질들이 바다(또는 강이나 호수)에 최초로 유입되는 경로이다.
대부분의 생명활동이 표층을 포함하는 유광대층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표층수에 대한 물리, 생물, 화학적 연구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다.
한편, 채수깊이, 채수환경, 채수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채수방법이 개발되어왔는데 해수 또는 담수를 채집하는 것은 있는 그대로의 물을 채집하는 것이므로 채집 과정에서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과정에 오염물이 시료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석 시 오염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035호(2014.08.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시료의 오염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는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거치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일정 형상의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접힘선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거나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조작장치와, 복수로 구비되고,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혔을 시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정중앙에 상기 조작장치가 결합하는 결합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접힘선은 상기 결합부분에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내접선과, 상기 네 개의 내접선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분에서 상기 본체의 외곽선으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외접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본체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또 다른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내부수직재와, 상기 내부수직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수평재와, 상기 내부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내부수평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결합홈과, 상기 내부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내부수평재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부수평재에 구비되는 내부지지대와, 상기 내부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내부지지대가 상기 내부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내부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외부수직재와, 상기 외부수직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수평재와, 상기 외부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외부수평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결합홈과, 상기 외부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한 쌍의 외부수평재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부수평재에 구비되는 외부지지대와, 상기 외부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지지대가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외부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에 의하면,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시료의 오염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거치 및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가 접힘선에 의해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힌 상태의 본체에 체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장치가 펼쳐진 상태의 본체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접힌 상태의 본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가 접힘선에 의해 접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힌 상태의 본체에 체결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장치가 펼쳐진 상태의 본체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10)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비되어 본체(100)가 일정 형상의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접힘선(200)과, 본체(100)의 하면에 구비되어 본체(100)가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거나 본래의 본체(100)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조작장치(300)와, 복수로 구비되고, 본래의 본체(100) 형태로 펼쳐졌을 시 본체(100)의 테두리에 체결되어 본체(100)를 지지하며,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혔을 시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체결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0)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고 비커나 스포이드 등과 같은 시료 채집 및 분석에 사용되는 채집용품(20)을 용이하게 받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며, 본체(100)의 정중앙에는 조작장치(300)가 결합하는 결합부분(110)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접힘선(200)은 결합부분(110)에서 본체(100)의 모서리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내접선(210)과, 네 개의 내접선(210) 사이에 구비되고 결합부분(110)에서 본체(100)의 외곽선으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외접선(220)을 구비하고, 본체(100)는 내접선(210)과 외접선(220)에 의해 결합부분(110)을 중심으로 일부가 안쪽으로 접혀 마름모꼴 형태가 될 수 있다.
조작장치(300)는 본체(100)가 펼쳐졌을 시 본체(100)의 하면에 위치하고, 본체(100)가 접혀졌을 시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조작장치(300)는 널리 사용되는 우산에 적용되어 우산을 접거나 펼치고 지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과 크기 및 형태의 차이가 다소 있을 뿐 작동원리나 이를 위한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체결장치(400)는 본체(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양면에 각각 구비되며,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의 본체(100)를 가압함으로써 접힌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장치(400)는 본체(100)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본체(100)의 테두리에 결합하여 본체(100)의 테두리를 보강함과 동시에 지면에 지지받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장치(400)는 본체(100)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프레임(410)과, 내부프레임(410)과 결합하여 본체(100)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본체(100)의 또 다른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프레임(420)을 구비하고, 내부프레임(410)은 내부수직재(411)와, 내부수직재(4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수평재(412)와, 내부수직재(411) 및 한 쌍의 내부수평재(412)에 의해 형성되어 본체(100)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결합홈(413)과, 내부결합홈(413)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외부프레임(420)이 삽입되는 삽입홈(414)과, 한 쌍의 내부수평재(412)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내부수평재(412)에 구비되는 내부지지대(415)와, 내부지지대(415)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지지대(415)에 고정되어 내부지지대(415)가 내부수평재(412)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내부회전축(416)을 구비하며, 외부프레임(420)은 외부수직재(421)와, 외부수직재(42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수평재(422)와, 외부수직재(421) 및 한 쌍의 외부수평재(422)에 의해 형성되어 본체(100)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결합홈(423)과, 외부결합홈(423)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삽입홈(4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4)와, 한 쌍의 외부수평재(422)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외부수평재(422)에 구비되는 외부지지대(425)와, 외부지지대(425)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지지대(425)에 고정되어 외부지지대(425)가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외부회전축(426)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프레임(410)과 외부프레임(420)은 본체(100)가 접혔을 시 삽입홈(414)과 삽입돌기(424)를 통해 일체화되고 본체(100)가 펼쳐졌을 시 분리되어 내부결합홈(413)과 외부결합홈(423)을 통해 본체(100)의 테두리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내부지지대(415)와 외부지지대(425)는 본체(100)가 접혔을 시 내부수평재(412)와 외부수평재(422)에 각각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본체(100)가 펼쳐졌을 시에는 내부지지대(415)의 타측과 외부지지대(425)의 타측이 지면에 닿도록 제1내부회전축(416)과 제1외부회전축(426)에 의해 각각 회전되어 본체(100)가 지면에 지지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장치(300)를 통해 본체(100)를 펼쳤을 시에는 체결장치(400)가 본체(100)의 테두리를 보강함과 동시에 지면에 지지받도록 함으로써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시료나 채집용품(2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시료나 채집용품(20)을 지면에 놓고 활용할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염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정확한 시료 채취 및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1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10)을 구성하는 체결장치(400)의 내부프레임(410)은 한 쌍의 내부수평재(412) 중에서 내부지지대(415)가 구비된 내부수평재(412)와 대응되는 내부수평재(412)에 구비되는 내부측벽(417)과, 내부측벽(417)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지지대(415)에 고정되어 내부측벽(417)이 너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내부회전축(418)을 더 구비하고, 외부프레임(420)은 한 쌍의 외부수평재(422) 중에서 외부지지대(425)가 구비된 외부수평재(422)와 대응되는 외부수평재(422)에 구비되는 외부측벽(427)과, 외부측벽(427)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부지지대(425)에 고정되어 외부측벽(427)이 너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외부회전축(42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내부측벽(417)은 본체(100)가 접혔을 시 내부수평재(412)와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본체(100)가 펼쳐졌을 시에는 내부수평재(412)로부터 기립한 형태가 되도록 제2내부회전축(418)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외부측벽(427)은 본체(100)가 접혔을 시 외부수평재(422)와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본체(100)가 펼쳐졌을 시에는 외부수평재(422)로부터 기립한 형태가 되도록 제2외부회전축(428)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내부회전축(418)과 제2외부회전축(428)에 의해 각각 회전되어 기립한 형태의 내부측벽(417)과 외부측벽(427)은 본체(100)의 상면에 일정높이의 벽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내부측벽(417)과 외부측벽(427)에 의해 형성된 일정높이의 벽은 원통형의 채집용품(20)이 굴러떨어지거나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채집용품(20)이 본체(100)의 상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료 채집 및 분석 시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10)의 본체(100)가 접힌 상태에서 본체(100)에 구비되는 보조장치(5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접힌 상태의 본체에 구비되는 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10)의 본체(100)가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혔을 시에는 복수의 체결장치(400)와 수직으로 결합하여 거치시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힌 본체(100)가 지면에 거치되도록 하고, 휴대시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힌 본체(100)가 휴대되도록 하는 보조장치(500)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장치(5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보조장치(500)는 복수의 체결장치(400)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510)와,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결합부재(510)의 일단에 위치하여 지면과 맞대어지는 거치부재(520)와, 한 쌍의 결합부재(510)와 거치부재(520)를 연결하여 한 쌍의 결합부재(510)가 거치부재(520)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한 쌍의 거치회전축(530)과, 한 쌍의 결합부재(510)의 타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결합부재(510)로부터 탈착하는 손잡이부재(540)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장치(500)는 체결장치(400)가 구비된 접힌 상태의 본체(100)와 결합하고, 체결장치(400)가 구비된 접힌 상태의 본체(100)는 한 쌍의 결합부재(510) 사이에 위치하여 거치부재(520)에 얹혀지게 되며, 이후 결합부재(510)를 거치회전축(530)을 통해 회전시켜 본체(100)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장치(400)가 구비된 접힌 상태의 본체(100)를 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관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510)가 거치회전축(530)을 통해 회전되어 본체(100)와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540)를 한 쌍의 결합부재(510)에 결합하여 손잡이부재(540)를 통해 거치되어 있는 체결장치(400)가 구비된 접힌 상태의 본체(100)를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장치(400)가 구비된 접힌 상태의 본체(100)에 보조장치(500)를 구비함으로써 거치 및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20: 채집용품
100: 본체 110: 결합부분
200: 접힘선 210: 내접선
220: 외접선 300: 조작장치
400: 체결장치 410: 내부프레임
411: 내부수직재 412: 내부수평재
413: 내부결합홈 414: 삽입홈
415: 내부지지대 416: 제1내부회전축
417: 내부측벽 418: 제2내부회전축
420: 외부프레임 421: 외부수직재
422: 외부수평재 423: 외부결합홈
424: 삽입돌기 425: 외부지지대
426: 제1외부회전축 427: 외부측벽
428: 제2외부회전축 500: 보조장치
510: 결합부재 520: 거치부재
530: 거치회전축 540: 손잡이부재

Claims (5)

  1.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일정 형상의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도록 하는 다수의 접힘선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히거나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지도록 하는 조작장치와,
    복수로 구비되고, 본래의 상기 본체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며, 다수의 조각형태로 접혔을 시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정중앙에 상기 조작장치가 결합하는 결합부분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접힘선은 상기 결합부분에서 상기 본체의 모서리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내접선과, 상기 네 개의 내접선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분에서 상기 본체의 외곽선으로 각각 이어지는 네 개의 외접선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본체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가 본래의 형태로 펼쳐졌을 시 상기 본체의 또 다른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은 내부수직재와, 상기 내부수직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내부수평재와, 상기 내부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내부수평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내부결합홈과, 상기 내부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한 쌍의 내부수평재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내부수평재에 구비되는 내부지지대와, 상기 내부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내부지지대가 상기 내부수평재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내부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프레임은 외부수직재와, 상기 외부수직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수평재와, 상기 외부수직재 및 상기 한 쌍의 외부수평재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외부결합홈과, 상기 외부결합홈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한 쌍의 외부수평재 중에서 지면과 마주보는 상기 외부수평재에 구비되는 외부지지대와, 상기 외부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지지대가 길이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외부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35966A 2022-10-20 2022-10-20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KR10249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66A KR102499797B1 (ko) 2022-10-20 2022-10-20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966A KR102499797B1 (ko) 2022-10-20 2022-10-20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797B1 true KR102499797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966A KR102499797B1 (ko) 2022-10-20 2022-10-20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7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681A1 (en) * 1987-05-13 1988-11-17 Clive Richard Hartwell Tables
KR101433035B1 (ko) 2012-12-06 2014-08-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수 채집 장치
JP2015109942A (ja) * 2013-11-05 2015-06-18 大喜 内田 伸縮式傘
KR101718633B1 (ko) * 2015-11-06 2017-03-21 김창주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681A1 (en) * 1987-05-13 1988-11-17 Clive Richard Hartwell Tables
KR101433035B1 (ko) 2012-12-06 2014-08-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표층수 채집 장치
JP2015109942A (ja) * 2013-11-05 2015-06-18 大喜 内田 伸縮式傘
KR101718633B1 (ko) * 2015-11-06 2017-03-21 김창주 테이블 및 파라솔 결합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5445B2 (en) Container system for tissue stabilization for molecular and histopathology diagnostics
US5685438A (en) Erectable holder with object insertion holes
KR102499797B1 (ko) 시료 채집용 접이식 테이블
US7469606B1 (en) Automated sampling device
CN108027304A (zh) 样本涂抹装置、样本涂抹方法、涂抹标本制作装置及涂抹标本制作方法
KR0154978B1 (ko) 기판수납용기
CN207198176U (zh) 一种分析仪用的试剂盘结构
CN206842010U (zh) 带有折叠式滚轮的收纳箱
JP2012173150A (ja) 振とう装置
JP4223498B2 (ja) 移送物搬送パレット
JP2009050187A (ja) 釣り竿支持装置
CN207773958U (zh) 一种土壤环境检测的多功能取样装置盒
FR2605278A1 (fr) Dispositif pour ranger et porter des achats
JPH0748498Y2 (ja) 飲料缶収納用の容器
KR200422081Y1 (ko) 대형 액정디스플레이 글라스용 카세트
CN220568746U (zh) 一种便携式空气检测仪
CN213009394U (zh) 一种水体环境样品普查调查采集包
CN217877777U (zh) 一种生物安全柜质量检测装置
CN216374593U (zh) 一种现场取样推车
JPH11292175A (ja) 硝子基板搬送容器
KR200232143Y1 (ko) 절첩 가능한 시험관 보관대
EP0087258A3 (en) Foldable wheelbarrow
CN115649653A (zh) 一种检测地下水用的样品储存箱
JP2007039102A (ja) 移送物搬送パレット
JPH035319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