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599B1 -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7599B1
KR101717599B1 KR1020150065153A KR20150065153A KR101717599B1 KR 101717599 B1 KR101717599 B1 KR 101717599B1 KR 1020150065153 A KR1020150065153 A KR 1020150065153A KR 20150065153 A KR20150065153 A KR 20150065153A KR 101717599 B1 KR101717599 B1 KR 10171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represented
acid
salt
begotast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536A (ko
Inventor
이기인
캄마코테스와라라오
황인택
김형록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5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5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3/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3/33Polycyclic acids
    • C07C63/337Polycyclic acids with carboxyl groups bound to condensed ring systems
    • C07C63/34Polycyclic acids with carboxyl groups bound to condensed ring 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 C07C63/36Polycyclic acids with carboxyl groups bound to condensed ring systems containing two condensed rings containing one carbox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여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광학분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은 종래,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 광학분할하는 방법과는 달리 광학분할제만을 사용하여 (RS)-베포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으로써,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만을 높은 수율 및 광학순도로 광학분할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Novel chiral resolving agent and Method for optically resolving preparation of (RS)-Bepotastin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광학분할제를 사용하여 (RS)-베포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여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광학분할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베포타스틴(Bepotastine, 4-[(S)-(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1-피페리딘부타노익 애시드)은 히스타민 H1-수용체의 길항제(Histamine H1-receptor antagonist)로 작용하여 선택적인 항히스타민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화학식 1]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1

상기 베포타스틴은 선택적 히스타민 H1 수용체 길항작용과 인터루킨-5(Interleukin-5)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코막힘에 높은 효과를 보이고, 간에서 대사되지 않아 약물상호작용 우려가 없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베포타스틴과 같은 선택적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 발현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혈액뇌관문을 통과하지 않아 기존의 항히스타민제가 가지는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 다년성 및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베포타스틴은 상기 화학식 1과 같이 S-배열구조의 화합물이므로 "(S)-베포타스틴"로도 표기된다. 또한, 베포타스틴에 대응되는 (R)-배열의 이성질체는 비록 정확히 베포타스틴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R)-베포타스틴"으로도 표기되며, 본 발명에서도 이에 따라 기술한다.
반면, 베포타스틴과 R-배열 이성질체((R)-베포타스틴)가 혼성된 라세미체 화합물은 의약품에 있어서 키랄 화합물의 두 거울상 이성질체들은 종종 서로 다른 약리작용을 보여준다. 즉,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중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만이 원하는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다른 거울상 이성질체는 생리활성이 없거나 심지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S)-배열인 베포타스틴이 (R)-배열의 이성질체에 비해 약 46배 정도 강한 생리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A에서와 같이, 라세미체의 (RS)-4-[(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피페리딘을 광학활성체인 (2R,3R)-2-히드록시-3-(4-메톡시페닐)-3-(2-니트로-5-클로로페닐티오)프로피온산과 반응시켜 광학분할하고, 광학분할된 좌선성 이성체 (S)-4-[(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피페리딘의 (2R,3R)-2-히드록시-3-(4-메톡시페닐)-3-(2-니트로-5-클로로페닐티오)프로피온산염으로부터 (S)-(-)-4-[(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피페리딘을 제조한 후, 후속의 반응을 거쳐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특허문헌 3 내지 4 참조). 반면, 상기 제조방법은 광학분할제로 사용되는 (2R,3R)-2-히드록시-3-(4-메톡시페닐)-3-(2-니트로-5-클로로페닐티오)프로피온산을 별도의 방법(특허문헌 5 참조)으로 제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응식 A]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2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B에서와 같이, 중간체인 (RS)-베포타스틴 -멘틸 에스테르로부터 N-벤질옥시카보닐 L-아스파라긴산염과의 광학분할을 통해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방법이 고지되어있다(특허문헌 6 참조).
[반응식 B]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3

또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C에서와 같이, (RS)-4-[(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피페리딘 라세미체를 유기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 하에 (-)-보르닐 에스테르 화합물과 반응시켜 (RS)-베포타스틴과 (-)-보르닐 에스테르의 염을 수득하는 단계와 이를 사용하여 (S)-베포타스틴를 제조하는 방법이 고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반응식 C]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4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 D에서와 같이, (RS)-4-[(4-클로로페닐)(2-피리딜)메톡시]피페리딘 라세미체를 유기용매 중에서 염기 존재 하에 (S)-메틸벤질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RS)-베포타스틴과 (S)-메틸벤질아미드의 염을 수득하는 단계와 이를 사용하여 (S)-베포타스틴를 제조하는 방법이 고지되어 있다(특허문헌 7 참조).
[반응식 D]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5

상기 반응식 B 내지 C와 같이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방법은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ℓ-멘톨, (-)-보르네올, (S)-메틸벤질아민 등 이미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야하는 단점과 광학분할 후 다시 보조기를 제거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RS)-베포타스틴을 직접 사용하여 광학분할하기 위하여, 광학분할제(캠포설포닉 애시드, 말릭 애시드, 만델릭 애시드, 타타릭 애시드, 다이벤조일 타타릭 애시드, 다이-p-톨루오일 타타릭 애시드, N-벤질옥시카보닐 L-아스파테이트, 퀴닌, 신코니딘)가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광학분할을 하지 못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광학분할을 통해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던 중, 종래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 광학분할하는 방법과는 달리 광학분할제만을 사용하여 베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으로부터,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만을 높은 수율 및 광학순도로 광학분할을 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공개특허 10-2013-0136346 공개특허 10-2014-0072323 일본특허공개 제1998-237070호 일본특허공개 제2000-198784호 일본특허공보 제1988-13994호 공개특허 10-2008-0108760 공개번호 10-2012-0063705
Bull. Korean Chem. Soc. 2013, 34, 549
본 발명의 목적은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S)-베포타스틴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S)-베포타스틴 염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6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7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8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5044680114-pat00009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0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은 종래,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 광학분할하는 방법과는 달리 광학분할제만을 사용하여 (RS)-베포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으로써,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만을 높은 수율 및 광학순도로 광학분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유기용매 및 물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얻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은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 전체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50 부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30 부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물의 비율이 0.1 부피%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S)-베포타스틴 염을 고체로 얻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50 부피% 초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S)-베포타스틴 염의 광학활성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의 사용량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에 대하여 0.5 내지 1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1은 비카이랄산을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비카이랄산의 사용량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의 사용량에 대하여 0.5 당량 내지 1.5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카이랄산은 당 분야에서 카이랄의 구조를 갖지 않는 통상적인 산(acid)이라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옥살산, 포름산, 벤조산, 살리실산, 3-나이트로벤조산, 4-나이트로벤조산 등이 바람직하고,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카이랄산을 더 혼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Pope-Peachey method에 따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수율 및 광학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는 반응의 수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산(acid)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가능한 산은 염산, 황산, 질산, 브롬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은 광학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계 1 및 단계 2 중 적어도 어느 1 단계를 수행한 후, 통상적인 방법의 재결정 등의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2
구체적으로, 상기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제는 (R)-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및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로 광학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제는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 광학분할하는 방법과는 달리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를 광학분할제로 사용할 경우, (S)-베포타스틴에 대한 선택도가 높아 광학분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험예 1 참조).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가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과 선택적으로 결합함을 알아내어, 이로부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이 신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2]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4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식 2로 표시되는 제조방법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유기용매 및 물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은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 전체 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50 부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30 부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물의 비율이 0.1 부피%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S)-베포타스틴 염을 고체로 얻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50 부피% 초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S)-베포타스틴 염의 광학활성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에 대하여 0.5 내지 1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식 2는 비카이랄산을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비카이랄산의 사용량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의 사용량에 대하여 0.5 당량 내지 1.5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카이랄산은 당 분야에서 카이랄의 구조를 갖지 않는 통상적인 산(acid)이라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옥살산, 포름산, 벤조산, 살리실산, 3-나이트로벤조산, 4-나이트로벤조산 등이 바람직하고,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카이랄산을 더 혼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Pope-Peachey method에 따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수율 및 광학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5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식 3은 반응의 수율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산(acid)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가능한 산은 염산, 황산, 질산, 브롬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S)- 베포타스틴 ·(S)-2,2'- 다이하이드록시 -[1,1'- 바이나프탈렌 ]-3,3'-다 이카복 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단계 1: (S)- 베포타스틴 ·(S)-2,2'- 다이하이드록시 -[1,1'- 바이나프탈렌 ]-3,3'- 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에탄올-물 혼합용매(3 mL, 99.5/0.5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187 mg, 0.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90 mg, 50%)을 얻는다.
1H NMR (500 MHz, DMSO-d 6 ) 8.57 (s, 2H), 8.48 (d, J = 4 Hz, 1H)), 7.99-7.97 (m, 2H), 7.83-7.79 (m, 1H), 7.59 (d, 7 Hz, 1H), 7.44-7.38 (m, 4H), 7.29-7.23 (m, 5H), 6.95-6.94 (m, 2H), 5.74 (s, 1H), 3.68 (s, 1H), 3.55-3.14 (br s, 2H), 3.12-2.96 (s, 4H), 2.32 (t, J =7Hz, 2H), 2.20-1.94 (br s, 2H), 1.94-1.78 (m, 4H).
13C NMR (500 MHz, DMSO-d 6 ) 173.9, 172.3, 161.4, 156.2, 149.3, 140.9, 137.6, 136.5, 132.5, 131.6, 129.8, 129.2, 128.7, 128.2, 126.9, 124.5, 123.2, 123.0, 120.9, 116.6, 80.6, 31.0, 19.6.
Melting Point: 175-176 ℃
단계 2: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가수분해
단계 1에서 수득한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190 mg, 0.25 mmol)을 에틸아세테이트(6.5 mL)과 물(6.5 mL)에 현탁시킨 후, 1M HCl(6.5 mL)를 가하고 10분정도 교반한다. 분리된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3 mL)로 세척한다. 이 수용액층의 pH가 중성이 되도록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조정한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20 mL x 2)로 추출한 후, 이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S)-베포타스틴(97 mg)을 얻는다.
1H NMR (500 MHz, DMSO-d 6 ) 8.48-8.47 (m, 1H), 7.82-7.79 (m, 1H), 7.56 (d, J = 7.5 Hz, 1H), 7.42-7.37 (m, 4H), 7.28-7.25 (m, 1H), 5.66 (s, 1H), 3.47-3.44 (m, 1H), 2.88-2.75 (br s, 2H), 2.44 (t, J = 7 Hz, 2H), 2.36-2.26 (br s, 1H), 2.24 (t, 7 Hz), 1.94-1.84 (br s, 2H), 1.73-1.58 (m, 4H).
13C NMR (500 MHz, DMSO- d 6 ) 174.8, 161.8, 149.2, 141.3, 137.5, 132.4, 129.1, 128.6, 123.0, 120.8, 80.3, 57.0, 50.4, 32.9, 30.6, 21.6.
HPLC: Chiralpack IE, UV = 254 nm, Hexane/EtOH/TFA/DEA = 80/20/0.1/0.1, 1.0 mL/min; 18.5 (R) and 20.4 min (S); 70% ee.
< 실시예 2>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에탄올-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187 mg, 0.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244 mg, 64%)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62%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3>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에탄올-물 혼합용매(3 mL, 99.5/0.05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90 mg, 5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70%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4>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메탄올-물 혼합용매(3 mL, 95/5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56 mg, 41%)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77%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5>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95/5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30 mg, 34%)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0%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6>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30 mg, 34%)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6%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7>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70/3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48 mg, 39%)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2%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8>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용매(3 mL, 90/1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64 mg, 43%)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75%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9>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49 mg, 39%)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0%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0>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용매(3 mL, 70/3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56 mg, 41%)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79%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1>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oxal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96 mg, 25%)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5%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2>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form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14 mg, 3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5%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3>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benzo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47 mg, 4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7%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4> (S)- 베포타스틴· (S)-2,2'- 다이하이드록시 -[1,1'- 바이나프탈렌 ]-3,3'- 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salicyl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68 mg, 44%)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3%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5>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3-nitrobenzo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15 mg, 3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9%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6>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4-nitrobenzo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53 mg, 4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8%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7>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아세토니트릴-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salicyl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42 mg, 37%)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76%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8>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및 가수분해
(RS)-베포타스틴(195 mg, 0.5 mmol)을 에탄올-물 혼합용매(3 mL, 80/20 =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94 mg, 0.25 mmol)와 salicylic acid(0.25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고체를 건조시켜 백색 결정의 표제화합물(152 mg, 40%)을 얻는다. 실시예 1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광학순도 80%의 (S)-베포타스틴을 얻는다.
< 실시예 19> (S)- 베포타스틴의 제조 및 출발물질의 회수
단계 1: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 이카복 실릭 애시드 염의 제조
(RS)-베포타스틴(3.5 g, 9.0 mmol)을 아세톤-물 혼합용매(52.5 mL, 80/20=v/v)에 용해시킨 후, 여기에 (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1.68 g, 4.48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생성물을 여과한다. 여과된 고체를 아세톤(1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백색 결정으로 2.2 g의 표제화합물(32%, 86% ee)을 얻는다. 이때, 여과한 모액과 아세톤 세척액은 합하여 따로 보관한다(S1).
단계 2: (S)- 베포타스틴· (S)-2,2'- 다이하이드록시 -[1,1'- 바이나프탈렌 ]-3,3'-다 이카복 실릭 애시드 염의 1차 재결정
단계 1에서 얻은 염 2.2 g을 33 mL의 메탄올에 가하고 2 시간동안 환류 가열한다. 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16 시간동안 저어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2.2 mL x 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1.83 g의 표제화합물(83%, 97% ee)을 얻는다. 이때, 여과한 모액과 메탄올 세척액은 합하여 따로 보관한다(S2).
단계 3: (S)-베포타스틴·(S)-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 염의 2차 재결정
단계 2에서 얻은 염 1.83 g을 27 mL의 메탄올에 가하고 3 시간동안 환류 가열한다. 이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한 후, 16 시간동안 저어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메탄올(2.2 mL x 2)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1.56 g의 표제화합물(85%, 99% ee)을 얻는다. 이때, 여과한 모액과 메탄올 세척액은 합하여 따로 보관한다(S3).
단계 4: (S)-베포타스틴의 제조
단계 3에서 수득한 염 1.56 g을 에틸아세테이트(50 mL)과 물(50 mL)에 현탁시킨 후, 1M HCl(50 mL)를 가하고 10분정도 교반한다. 분리된 수용액층을 에틸아세테이트(25 mL)로 세척한다. 이때, 유기층은 합하여 따로 보관한다(S4). 이 수용액층의 pH가 중성이 되도록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조정한다. 수용액층을 디클로로메탄(100 mL x 2)로 추출한 후, 이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778 mg의 표제화합물(98%, 99% ee)을 얻는다.
단계 5: (S)-2,2'- 다이하이드록시 -[1,1'- 바이나프탈렌 ]-3,3'- 다이카복실릭 애시드의 회수
단계 1-4에서 모아둔 용액(S1 + S2 + S3 + S4)을 감압 증류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다. 남아 있는 물층에 진한 염산을 천천히 가하여 pH ~2 정도로 조정한다. 이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18 mL x 2)를 가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하여 고형물을 얻는다. 이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18 mL)에 현탁시킨후, 4시간동안 교반한다. 고체를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3.5 mL x 2)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순수한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1.59 g, 회수율 95%).
단계 6: ( RS )- 베포타스틴의 회수
단계 5의 물층에 1N NaOH를 가하여 pH ~4 정도로 조정한다. 이 물층에 디클로로메탄(18 mL x 4)를 가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하고 감압 증류한다. 이 잔사를 에틸아세테이트(10 mL)에 녹인후,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에틸아세테이트(3.5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순수한 표제화합물을 수득한다(1.7 g, 회수율 49%).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내지 19의 제조방법의 조건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단계 1 단계 2
용매 용매
혼합비율
(%, v/v)
광학분할제
사용량
(당량)

비고
1 에탄올/물 99.5/0.5 1 -
EA, 물 및 1M HCl을
사용한 염의 가수분해
2 에탄올/물 80/20 1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3 에탄올/물 99.5/0.5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4 메탄올/물 95/5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5 아세톤/물 95/5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6 아세톤/물 80/20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7 아세톤/물 70/30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8 아세토니트릴/물 90/10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9 아세토니트릴/물 80/20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0 아세토니트릴/물 70/30 0.5 -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1 아세톤/물 80/20 0.5 옥살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2 아세톤/물 80/20 0.5 포름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3 아세톤/물 80/20 0.5 벤조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4 아세톤/물 80/20 0.5 살리실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5 아세톤/물 80/20 0.5 3-나이트로
벤조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6 아세톤/물 80/20 0.5 4-나이트로
벤조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7 아세토니트릴/물 80/20 0.5 살리실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8 에탄올/물 80/20 0.5 살리실산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19



아세톤/물



80/20



0.5



-
단계 2: 1차 재결정 (83%, 97% ee)
단계 3: 2차 재결정 (85%, 99% ee)
단계 4: 실시예 1과 동일한 염의
가수분해 (98%, 99% ee)
단계 5: 광확활성제 회수 (회수율95%)
단계 6: (RS)-베포타스틴 회수
(회수율49%)
< 실험예 1> 본 발명의 광학분할방법에 따른 수율 및 광학순도 평가
본 발명에 따른 (S)-베포타스틴 염의 수율 및 (S)-베포타스틴의 광학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수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값이다.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6
또한, 하기 표 2에 기재된 (S)-베포타스틴의 광학 순도(ee, %)는 하기 분석조건에 따른 HPLC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 값이다.
* 컬 럼: Chiralpack IE (250 4.6mm, 5)
*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54 nm)
* 이동상: Hexane/EtOH/TFA/DEA = 80/20/0.1/0.1 (v/v/v/v)
* 유 속: 1.0 /분
* 주입량: 5.0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7
실시예
단계 1 단계 2
수율 (%) ee (%)
1 50 70
2 64 62
3 50 70
4 41 77
5 34 80
6 34 86
7 39 82
8 43 75
9 43 80
10 41 79
11 25 85
12 30 85
13 40 87
14 44 83
15 30 89
16 40 88
17 37 76
18 40 80
19 32 99
상기 표 1 내지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수행한 바와 같이, 2,2'-다이하이드록시-[1,1'-바이나프탈렌]-3,3'-다이카복실릭 애시드를 광학분할제로 사용하여 (RS)-베포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여 우수한 수율로 (S)-베포타스틴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1 내지 18에서 수행한 바와 같이, 비카이랄산을 추가로 첨가하였을 경우, 수율이 보다 상승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살리실산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수율 상승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9에서 수행한 바와 같이, 재결정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 경우, 광학순도를 99%까지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은 종래, (RS)-베포타스틴의 말단에 광학활성을 갖는 보조기를 붙여 광학분할하는 방법과는 달리, 광학분할제만을 사용하여 (RS)-베포타스틴을 직접적으로 광학분할하는 신규한 제조방법으로써, (RS)-베포타스틴로부터 (S)-베포타스틴만을 높은 수율 및 광학순도로 광학분할을 할 수 있으므로, 향후 (R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할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얻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얻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5044680114-pat0001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옥살산, 포름산, 벤조산, 살리실산, 3-나이트로벤조산 및 4-나이트로벤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카이랄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에 대하여 0.5 내지 1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은 상기 단계 1 및 단계 2 중 적어도 어느 1 단계를 수행한 후, 재결정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베포타스틴으로부터 (S)-베포타스틴을 광학분할하는 방법.
  5. 삭제
  6.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
    [화학식 4]
    Figure 112015044680114-pat00020

  7.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를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6항의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15044680114-pat0002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2는 옥살산, 포름산, 벤조산, 살리실산, 3-나이트로벤조산 및 4-나이트로벤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카이랄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더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식 2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광학분할제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RS)-베포타스틴에 대하여 0.5 내지 1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베포타스틴의 염의 제조방법.
  10.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4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의 염으로부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S)-베포타스틴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
    [반응식 3]
    Figure 112015044680114-pat00022
KR1020150065153A 2015-05-11 2015-05-11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KR10171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53A KR101717599B1 (ko) 2015-05-11 2015-05-11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53A KR101717599B1 (ko) 2015-05-11 2015-05-11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36A KR20160132536A (ko) 2016-11-21
KR101717599B1 true KR101717599B1 (ko) 2017-03-17

Family

ID=5753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53A KR101717599B1 (ko) 2015-05-11 2015-05-11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5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2228A1 (en) * 2010-06-18 2012-01-26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urification of amphoteric products, or of products liable to be converted into amphoteric products
US20120122987A1 (en) * 2009-07-22 2012-05-17 Temple University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g protein-coupled receptor 35 (gpr35)
JP2014151285A (ja) * 2013-02-12 2014-08-25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新規光学活性イミダゾリン−リン酸触媒とその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119B2 (ja) 1986-03-18 1996-07-31 名古屋アイ・イ−・シ−株式会社 流体の集中配送装置
JP3107784B2 (ja) 1996-12-26 2000-11-13 宇部興産株式会社 光学活性ピペリジン誘導体の酸付加塩及びその製法
KR100879409B1 (ko) 2007-06-11 2009-01-19 한미약품 주식회사 (s)-베포타스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간체
KR101232233B1 (ko) 2010-12-08 2013-02-12 (주)팜스웰바이오 (s)-베포타스틴의 제조 방법
KR101383232B1 (ko) 2012-06-04 2014-04-10 (주) 에프엔지리서치 베포타스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신규 중간체
KR101476508B1 (ko) 2012-11-30 2014-12-26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S)-베포타스틴 p-톨루엔술폰산염의 신규 결정형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2987A1 (en) * 2009-07-22 2012-05-17 Temple University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Treatment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g protein-coupled receptor 35 (gpr35)
US20120022228A1 (en) * 2010-06-18 2012-01-26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Purification of amphoteric products, or of products liable to be converted into amphoteric products
JP2014151285A (ja) * 2013-02-12 2014-08-25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新規光学活性イミダゾリン−リン酸触媒とその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36A (ko)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8073C2 (ru) Новое бициклическое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US8288414B2 (en) Deuterium-enriched lenalidomide
US8198485B2 (en) Resolution of 4,5-dimethoxy-1-(methylaminomenthyl)-benzocyclobutane
OA12659A (en) Urea-compounds active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s for the treatment of pain.
JP2011511788A (ja) 2−メチル−2′−フェニル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される新規な中間体化合物
WO2004013101A2 (fr) Derives de n-[phenyl(piperidin-2-yl)methyl]benzamide,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EA036954B1 (ru) Ксантинзамещенные алкинилкарбаматы/обращенные карбаматы в качестве антагонистов a2b
CA2651933A1 (en) 4-[(3-fluorophenoxy)phenylmethyl]piperidine methanesulfonate: uses, process of synthe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10259794B2 (en) Methods for preparing fused bicyclic 2, 4-diaminopyrimidine derivatives
WO2007114902A2 (en) Alkylthiobenzylpiperidine compounds
KR101717599B1 (ko) 신규한 광학분할제 및 이를 이용한 (rs)-베포타스틴의 광학분할방법
US7902370B2 (en) Solid forms of the magnesium salt of S-omeprazole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JP5990336B2 (ja) フッ素置換環状アミン系化合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薬物組成物および使用
JP2023528450A (ja) ベータアドレナリンアゴニストの形態及び組成物
KR101125123B1 (ko) 높은 광학적 순도의 s-(-)-암로디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중간생성 화합물
KR102587339B1 (ko) N-[4-(1-아미노-에틸)-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테인설폰아마이드의 거울상 이성질체들의 라세미화 방법
KR101383232B1 (ko) 베포타스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신규 중간체
JP2011521007A (ja) 鏡像異性的に純粋な(s)−1−フェニル−1,2,3,4−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の製造方法
KR100928776B1 (ko) (r)-1-[(4-클로로페닐)페닐메틸]피페라진 또는 이의 염의제조방법
JP2006188466A (ja) 過活動膀胱治療薬としてのキナゾリノン誘導体
KR101232233B1 (ko) (s)-베포타스틴의 제조 방법
KR101513561B1 (ko) 펙소페나딘 염산염의 신규 제조방법
CN109956922B (zh) 屈昔多巴关键中间体的拆分方法
US9193743B2 (en) Method of enantioselective addition to imines
JP2009018992A (ja) 光学活性ミルタザピ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